Page semi-protected

아틸라

Attila
아틸라
Black-and-white illustration
17세기 흉노 아틸라 묘사
훈닉 제국왕과 족장
군림하다434–453
전임자블리다와 루가
후계자엘락, 뎅기치, 에르낙
태어난알 수 없는 날짜, 406[1][2]
죽은c. 453년 3월(46~47)
배우자크레카일디코
아버지문덕

아틸라(/ila calledtɪlə/,[3] /ˈætələ/;[4] 406c.–453)는 흔히 훈족 아틸라(Attila the Hun)로 불리며, 434년부터 453년 3월 사망할 때까지 훈족의 통치자였다.그는 또한 중유럽과 동유럽에 있는 훈족, 오스트로고츠족, 알란족, 불가르족으로 구성된 부족 제국의 지도자였다.그는 또한 세계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치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서부동로마 제국의 가장 두려운 적들 중 한 명이었다.다뉴브 강을 두 번 건너서 발칸 반도를 약탈했지만 콘스탄티노플을 빼앗을 수는 없었다.페르시아에서의 그의 성공적이지 못한 캠페인은 441년 동로마(바이잔틴) 제국의 침공으로 이어졌다. 이 성공은 아틸라를 서부로 침공하도록 대담하게 만들었다.[5]또한 로마 가울(현대 프랑스) 정복도 시도하여 451년 라인 강을 건너 아우렐리아누움(올레앙)까지 진군한 뒤 카탈라우니아 평원 전투에서 저지되었다.

이후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북부 지방을 황폐화시켰지만 로마를 빼앗을 수는 없었다.그는 로마인들에 대한 추가 캠페인을 계획했으나 453년에 죽었다.아틸라가 죽은 후, 그의 측근인 게피드아르다릭은 훈닉 통치에 대항하여 게르만 반란을 일으켰고, 그 후 훈닉 제국은 빠르게 붕괴되었다.아틸라는 게르만 영웅전설의 인물로 살아가고, 그의 대량학살 정복은 후기 제국주의 몽골과 나치(그의 이름을 따서 계획된 군사작전을 명명)[6][7]2천년 정복에 선행한다.

외모와 성격

프리수스파편을 바탕으로 한 모르 탄의 19세기 아틸라 잔치 그림

아틸라의 외모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은 남아 있지 않지만, 프리쿠스가 준 설명을 인용한 조단스가 제공한 간접적인 출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8][9]

그는 모든 땅의 재앙인 민족을 뒤흔들려고 세상에 태어난 사람이었다. 그는 어떤 면에서는 자신에 관한 해외에 떠도는 무시무시한 소문에 전 인류를 공포에 떨게 했다.그는 거만한 걸음걸이에 거만하여, 눈알을 이리저리 굴려서, 자랑스러운 영신의 힘이 몸의 움직임에 나타나게 했다.그는 정말로 전쟁을 사랑하는 사람이었지만, 행동에는 절제되어 있었고, 변호에 있어서 강렬했으며, 탄원자들에게 자애롭고, 한때 그의 보호를 받았던 사람들에게 관대했다.키가 작고, 가슴이 넓고, 머리가 크고, 눈이 작고, 수염이 가늘고, 회색을 뿌렸으며, 코가 납작하고 피부가 희끗희끗하여 기원의 증거를 보였다.[10]: 182–183

일부 학자들은 이 묘사가 동아시아 출신 사람들의 신체적 유형에 맞는 모든 복합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고, 아틸라의 조상들은 거기서 왔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동아시아인이라고 제안했다.[9][11]: 202 다른 역사학자들은 또한 같은 묘사가 일부 스키타인 사람들에게도 분명하다고 믿었다.[12][13]

어원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 (1798–1863)의 아틸라가 창백한 말을 타고 있는 그림

많은 학자들은 아틸라라는 이름이 동 게르만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아틸라는 "작은 아버지"라는 뜻의 작은 접미사 -ila를 사용하여 고딕 또는 게피딕 명사 atta에서 형성되었다. 즉, "작은 아버지"는 뜻의 작은 접미사 -ilaWulfs "늑대"와 -ila, 즉 "작은 늑대"[14]: 386 [15]: 29 [16]: 46 를 비교한다.고딕 어원은 19세기 초 야곱빌헬름 그림(Wilhelm Grim)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17]: 211 Maenchen-Helfen은 이 이름의 유래에 대해 "표현적 어려움도 의미론적 어려움도 없다"[14]: 386 고 지적하고, Gerhard Doerfer는 그 이름이 단순히 올바른 고딕어라고 지적한다.[15]: 29 알렉산더 사벨리예프와 충원 정(2020)은 아틸라의 이름이 "원래 고딕이었을 것"[18]이라고 비슷하게 말한다.그 이름은 때때로 훈닉 출신 이름을 독일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15]: 29–32

다른 학자들은 그 이름의 투르크어 기원을 주장해왔다.오멜잔 프리차크는 투르크어 *es(위대한, 오래된), *til(바다, 해양)에서 유래한 복합 제목명 /a/[19]: 444 을 고려했다.스트레스를 받은 요절은 앞 멤버 es동화되어 *as가 되었다.[19]: 444 그것은 "해양적, 보편적 지배자"[19]: 444 라는 뜻을 가진 명목상의 한 형태다.J. J. Mikkola는 그것을 투르크어 att(이름, 명성)와 연결했다.[17]: 216

또 다른 투르크 가능성으로 H. 알토프(1902)는 터키 아틀리(말잡이, 캐벌리어)나 터키어(말)와 관련이 있다고 여겼다.[17]: 216 Maenchen-Helfen은 Pritsak의 파생어가 "불가침하지만 많은 이유로 받아들일 수 없다"[14]: 387 고 주장하는 반면 Mikkola는 "심각하게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억지스럽다"[14]: 390 고 일축했다.M. 스누달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안들 중 어느 것도 폭넓게 수용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한다.[17]: 215–216

아틸라에 튀르크 어파의 또는 다른 etymologies을 찾는 제안 비난하면서, Doerfer하는 현상은 조지 6세 영국의, 그리고 쉴레 이만은 아름다운 아랍어 기원의 이름을 지어 있지만, 그러한 그들 그리스인들 또는 아랍인들을 만들지는 않는다:그러므로 아틸라Hunnic의 이름지 않을 것이다 그럴듯한 지는 그리스의 이름만 가지고 있었습니다.[15]:31–32그러나 역사학자 김현진은 투르크 어원이 "가능성이 더 높다"[20]: 30 고 주장해왔다.

M. Sndaldal은 게르만어 유래는 거부하지만 기존의 제안된 투르크어 에티모어 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논문에서 아틸라의 이름은 "워호 제공자인 게르만족의 소유"[17]: 216–217 를 의미하는 투르크어 몽골리아어(Ady/agta, gelding, warhors)와 터키어 아틀리(말, 카발리)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학 및 출처

헝가리의 박물관에 있는 아틸라의 모습

아틸라의 역사학은 유일하게 완전한 출처가 그리스어라틴어로 훈족의 적들에 의해 쓰여진다는 점에서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아틸라의 동시대인들은 그의 생애에 대한 많은 후기를 남겼지만, 이것들의 단편들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21]: 25 프리수스는 그리스어로 쓴 비잔틴 외교관이자 역사학자로 449년 훈닉 궁정의 테오도시우스 2세 대사관의 일원으로 아틸라 이야기에서 증인이자 배우였다.그는 분명히 정치적 지위에 편향되어 있었지만, 그의 글은 아틸라의 생활에 관한 주요 정보원이며, 그에 대한 육체적 묘사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사람이다.그는 430년부터 476년까지를 아우르는 8권의 책에 후기 로마 제국의 역사를 썼다.[22]

프리수스의 작품 조각만이 남아 있다.6세기 역사학자 프로코피우스조단스가 광범위하게 인용했으며,[23]: 413 특히 프리수스의 역사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들어 있는 조르다네스의 <고트족기원과 행적>에서 인용되었으며, 훈닉 제국과 그 이웃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기도 하다.그는 아틸라가 죽은 후 한 세기 동안 아틸라와 훈닉족의 유산을 묘사하고 있다.같은 시대 저스틴의 수상 마르첼리누스 컴도 훈족과 동로마 제국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다.[21]: 30

수많은 교회적 저술에는 유용하지만 산재한 정보가 담겨 있는데, 때로는 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의 수년간의 수작업에 의해 인증이 어렵거나 왜곡되기도 한다.12세기의 헝가리 작가들은 훈족을 찬란한 조상처럼 긍정적인 시각으로 묘사하기를 바랐고, 그래서 특정한 역사적 요소를 억압하고 그들만의 전설을 더했다.[21]: 32

흉노들의 문학과 지식 자체가 경구적으로 전해져 대대로 전해지는 시를 경구적으로 전승되고 있다.[23]: 354 간접적으로, 이 구전 역사의 단편들은 9세기와 13세기 사이에 쓴 흉노의 이웃인 스칸디나비아인들과 독일인들의 문헌을 통해 우리에게 도달했다.아틸라는 다양에드다와 사가스뿐만 아니라 니벨룽게니 같은 많은 중세 서사시의 주요 인물이다.[21]: 32 [23]: 354

고고학 조사 결과 흉노족의 생활 방식, 예술, 전쟁에 대한 몇 가지 세부 사항이 밝혀졌다.전투와 시위의 흔적이 몇 군데 남아 있지만 아틸라의 묘와 수도의 위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21]: 33–37

초기생활과 배경

알란족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훈스.요한 네포무크 가이거(1805–1880)의 그림을 본 후 1870년대를 새겼다.

흉노족은 볼가 동쪽에서 나타난 유라시아 유목민 집단으로, 서유럽 c. 370으로[24] 더 이주하여 그곳에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였다.그들의 주요 군사 기술은 기마 활쏘기와 창 던지기였다.그들은 서유럽에 도착하기 전에 정착지를 개발하는 과정에 있었지만, 훈족은 목회 전사들의[23]: 259 사회였고, 그들의 가축의 생산물인 육류와 우유였다.

흉노족의 기원과 언어는 수세기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일부 이론에 따르면, 그들의 지도자들은 적어도 투르크어를 말했을지도 모르며, 아마도 현대 추바시 언어에 가장 가까운 언어일 것이다.[19]: 444 한 학자는 예니세이안을 통해 시온누와 관계를 제안한다.[25]유럽민족백과사전(European People of European People)에 따르면, "훈씨족, 특히 서부로 이주한 사람들은 중앙아시아 투르크족, 몽골족, 우그릭족의 주식의 결합이었을지도 모른다"[26]고 한다.

아틸라의 아버지 문드주크는 5세기 초 훈닉 제국을 공동으로 통치한 옥타르 왕과 루가의 형제였다.이러한 형태의 디아제이션은 훈족과 되풀이되었지만 역사학자들은 그것이 제도화된 것인지, 단지 관습적인 것인지, 아니면 가끔 일어나는 것인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21]: 80 그의 집안은 귀족 혈통 출신이었지만 왕조를 구성했는지는 확실치 않다.아틸라의 생년월일이 논의되고 있다; 저널리스트 Eric Deschodt와 작가 Herman Schreiber는 395년의 생년월일을 제안했다.[27][28]그러나 역사가 이아로슬라프 레베딘스키와 고고학자 카탈린 에셔는 390년대에서 5세기 첫 10년 사이의 추정을 선호한다.[21]: 40 여러 역사학자들이 406을 날짜로 제시했다.[29]: 92 [30]: 202

아틸라는 급변하는 세상에서 자랐다.그의 사람들은 유럽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유목민들이었다.[31]이들은 370년대 볼가 강을 건너 알란스 영토를 병합한 뒤 카르파티아 산맥다뉴브 강 사이에 있는 고딕 왕국을 공격했다.그들은 매우 기동성이 강한 사람들이었는데, 기마 궁수들은 무적의 명성을 얻었고, 게르만 부족들은 그들을 견뎌낼 수 없을 것 같았다.[23]: 133–151 흉노족을 탈출한 광대한 인구는 게르마니아에서 서부와 남부의 로마 제국으로, 라인 강과 다뉴브 강둑을 따라 이동했다.376년 고트족은 다뉴브 강을 건너 로마인들에게 처음에는 복종했지만 곧 378년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죽인 발렌스 황제에 반기를 들었다.[23]: 100 반달족, 알란스족, 수비족, 부르고뉴족은 406년 12월 31일 흉노족을 탈출하기 위해 라인 강을 건너 로마 가울에 침입했다.[21]: 233 로마 제국은 395년 이후 반으로 갈라져 서양의 라벤나를 근거지로 하고, 동양의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두 개의 뚜렷한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동서양을 막론하고 로마 황제들은 아틸라의 생전에 일반적으로 테오도시우스 가문 출신이었다(여러 번의 권력 다툼에도 불구하고).[32]: 13

흉노족은 민족적으로 다양한 민족들의 별자리의 의지에 의해 결정되는 모호한 국경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일부는 훈닉 국적에 동화되었고, 반면에 많은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정체성과 통치자를 유지했지만 훈족 왕의 비저성을 인정했다.[32]: 11 훈족은 또한 여러 가지 게르만족을 로마 영토로 몰아넣는 등 많은 로마인들의 문제의 간접적인 원천이기도 했지만, 두 제국 사이의 관계는 우호적이었다: 로마인들은 훈족을 독일군에 대항하는 용병으로 사용했고 심지어 내전에서도 마찬가지였다.따라서, 추방자 조안스는 424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상대로 그의 군대를 위해 수천 명의 흉노를 모집할 수 있었다.이 작전을 지휘한 사람은 훗날 서부의 패트리시언인 아에티우스였다.그들은 401년부터 450년까지 지속되는 동맹과 로마인들에게 수많은 군사적 승리를 허락하는 대사들과 인질들을 교환했다.[23]: 111 흉노인들은 로마인들이 그들에게 조공을 바치는 것으로 여겼지만, 로마인들은 이것을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지불로 보는 것을 선호했다.훈족은 아틸라가 숙부 루가 왕위에 오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그들은 로마인의 주인과 노예가 되었다"[23]: 128 는 말로 상황을 개탄할 정도로 큰 세력이 되었다.

동로마제국 반대 운동

아틸라 당시 훈족과 대상 부족의 제국

434년 루빌라(루아 또는 루가라고도 한다)의 죽음으로 형 문드주크(Mundzuk)와 아틸라(Attila), 블리다(Bleda)의 아들들이 연합 훈족을 지배하게 되었다.두 형제가 즉위할 당시 훈 부족은 동로마 제국 내에서 피난한 여러 의 반역자, 어쩌면 그 형제들의 지도력에 대한 가정에 동의하지 않는 훈닉 귀족들의 귀환을 위해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사절들과 교섭하고 있었다.

이듬해 아틸라와 블레다는 마르구스(포아레바크)에서 황실 공관을 만나 모두 훈닉 방식으로 말을 타고 앉아 유리한 조약을 협상했다.[33]로마인들은 도망자들을 돌려보내고, 이전에 헌납한 350 로마 파운드(c. 115 kg)의 금을 두 배로 늘리며, 훈니쉬 상인들에게 시장을 개방하고, 훈족에게 포로로 잡혀간 로마인 1인당 8 솔리디의 몸값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이 조약에 만족한 훈족은 로마 제국으로부터 탈영하여, 아마도 그들의 제국을 공고히 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대헝가리 평야에 있는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왔다.테오도시우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을 강화하여 도시의 첫 번째 해벽을 쌓았으며, 다뉴브강을 따라 국경 방어를 쌓았다.

흉노족은 사사니드 제국을 침공하는 동안 그 후 몇 년 동안 로마인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그들은 아르메니아에서 사산족에게 패하여 침략을 버리고 다시 유럽으로 관심을 돌렸다.440년 로마 제국의 국경에 다시 무력시위를 하여 435년 조약으로 성립된 다뉴브강 북쪽 둑의 시장에서 상인들을 공격하였다.

다뉴브를 건너서 그들은 일리리쿰의 도시들과 (프리수스에 따르면) 모시아의 도시인 비미나키움을 포함한 강에 요새들을 버려두었다.그들의 진격은 마르구스에서 시작되었는데, 거기서 그들은 로마인들에게 아틸라가 자신의 소유로 여기는 재산을 가지고 있던 주교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로마인들이 주교의 운명에 대해 의논하는 동안 그는 흉노들에게 몰래 도망쳐 그들에게 도시를 배반했다.

흉노족이 다뉴브강을 따라 도시국가들을 공격하는 동안 반달족(게이세리히 주)은 서로마 지방의 아프리카와 그 수도 카르타고를 점령했다.아프리카는 서부 제국의 가장 부유한 지방이었고 로마의 주요 식량원이었다.사사니드야즈데게르드 2세는 441년에 아르메니아를 침공했다.[citation needed][34]

로마인들은 아프리카 반달족에 대항하여 원정을 하기 위해 발칸 지역의 병력을 빼앗아서 시칠리아로 보냈다.이로써 아틸라와 블레다는 일리리쿰을 거쳐 발칸으로 가는 분명한 길을 남겼고, 441년에 그들이 침공하였다.훈니쉬군은 마르구스와 비미나치움을 자르고 나서 싱기두눔(벨그라드)과 시리뮴을 빼앗았다.442년 동안 테오도시우스는 시칠리아에서 온 자신의 군대를 회상하고 흉노에 대항한 작전에 자금을 대기 위해 새 화폐를 대량 발행하라고 명령했다.그는 흉노를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고 훈니쉬 왕들의 요구를 거절했다.

아틸라는 443년에 선거운동을 했다.[35](로마인들이 알고 있는 한) 처음으로 그의 군대는 타격이 가능한 숫양과 구르는 포위탑을 갖추고 있었는데, 거기서 라티아라와 나이수스(니시)의 군사 중심지를 성공적으로 공격하고 주민들을 학살했다.프리수스는 "나이스소스에 도착했을 때, 우리는 그 도시가 이미 폐허가 된 것처럼 버려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다만 몇몇 병든 사람들만이 교회 안에 누워 있었다.둑에 인접한 땅은 모두 전쟁 중에 살해된 사람들의 뼈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강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공터에 멈춰 섰다.'[36]

니샤바 강을 따라 진군한 훈족은 다음으로 세르디카(소피아), 필리포폴리스(플로브디브), 아르카디오폴리스(뤼엘부르크라즈)를 차지했다.그들은 콘스탄티노플 외곽에서 로마군을 만나 파괴했지만 동부 수도의 이중 성벽에 의해 저지당했다.칼리폴리스(젤리볼루) 근처에서 제2군을 격파했다.

효과적인 무력 저항을 할 수 없었던 테오도시우스는 패배를 인정하여 오리엔템 아나톨리우스마기스터 민병대를 보내 평화 조건을 협상하게 했다.그 조건은 이전 조약보다 더 가혹했다: 황제는 침략 중에 조약의 조건을 어긴 것에 대한 벌로 6,000 로마 파운드의 금을 건네주기로 동의했고, 연간 헌금은 3배로 증가하여 2,100 로마 파운드의 금으로 증가했으며, 각 로마 포로의 몸값은 12 솔디로 올랐다.

그들의 요구는 잠시 받아들여졌고, 훈 왕들은 그들의 제국의 내부로 철수했다.블레다는 훈족이 비잔티움에서 물러난 후(아마 445년경) 사망했다.그러자 아틸라는 스스로 왕위를 차지하여 흉노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37]

단독왕권

447년 아틸라는 다시 모시아를 거쳐 동로마 제국으로 남쪽으로 갔다.고딕 마기스터 민병대 아르네기슬로스 휘하의 로마군유투스 전투에서 그를 만나 큰 손실을 입히지는 못했지만 패배했다.훈족은 아무 반대도 받지 않고 남겨졌고 테르모필레까지 발칸 반도를 휩쓸었다.

콘스탄티노플 자체는 오리엔템 제노당마가스터 민병대이사우리아 군대에 의해 구원되었고, 콘스탄티누스 현관의 개입에 의해 보호되었는데, 콘스탄티누스는 이전에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던 성벽의 재건과, 어떤 곳에서는 옛것 앞에 새로운 요새화 노선을 건설하기 위해 조직하였다.칼리니쿠스는 생 히파티우스의 생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트라이스에 있던 흉노의 야만적인 민족은 백여 개의 도시가 포로로 잡히고 콘스탄티노플이 거의 위험에 처할 뻔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나라에서 도망쳤다……그리고 살인과 혈흔이 너무 많아서 죽은 사람의 수를 헤아릴 수 없었다.그들은 교회와 수도원을 점령하고 수도사와 하녀들을 많이 약탈하였기 때문이다.

서쪽에

가울침략에 있어서 훈군의 일반적 길.

450년 아틸라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동맹을 맺음으로써 비시고트 왕국 툴루즈를 공격하겠다는 의도를 천명했다.그는 이전에 서로마 제국과 영향력 있는 장군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와 사이가 좋았던 적이 있다.아에티우스는 433년 흉노들 사이에서 잠시 망명 생활을 보냈고, 아틸라가 고트족바고데족에 대항하여 제공한 군대는 아틸라에게 서쪽에 있는 마기스터 민병대라는 주로 명예로운 칭호를 얻는 데 일조했다.비시가츠족을 반대하고 두려워했던 가이세릭의 선물과 외교적 노력도 아틸라의 계획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발렌티니아의 누나는 450년 봄에 로마 상원의원에게 강제로 베드로탈인을 피하기 위해 훈니쉬 왕에게 도움을 청하는 탄원서와 약혼반지를 보낸 호노리아였다.호르니아가 결혼을 제안할 의도는 없었겠지만 아틸라는 그녀의 메시지를 그렇게 해석하기로 선택했다.그는 서부 제국의 절반을 지참금으로 요구하면서 받아들였다.

발렌티니안이 이 계획을 발견했을 때, 오직 어머니 갈라 플라시디아의 영향력만이 그를 죽이기보다는 호노리아를 유배시키도록 설득했다.그는 또한 아틸라에게 편지를 써서, 추정된 결혼 제안의 정당성을 강력히 부정했다.아틸라는 라벤나에게 사절을 보내 호노리아는 결백하고, 그 제안은 적법했으며, 자신의 것이 정당하다고 주장하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아틸라는 프랑크 통치자가 죽은 후 후계 투쟁을 방해했다.아틸라는 큰아들을 부축했고, 아에티우스는 작은아들을 부축했다.(이 왕들의 위치와 신원은 알려져 있지 않고 추측의 대상이 된다.)아틸라는 그의 신하들, 게피드, 오스트로고스, 루기안, 시리안, 헤룰스, 튜링안, 알란스, 부르고뉴안 등을 모아 서쪽으로 진군하기 시작했다.451년 조단스가 50만 명으로 과장한 군대를 이끌고 벨기카에 도착했다.

4월 7일, 그는 메츠를 사로잡았다.공격당한 다른 도시들은 주교들을 기념하기 위해 쓰여진 해오그래픽 비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니카시우스라임스에 있는 그의 교회의 제단 앞에서 학살되었다; 세르바투스생제네비브가 파리를 구했다고 전해지듯이 그의 기도로 통게렌을 구했다고 주장되고 있다.[38]트로예스의 주교 루푸스도 아틸라를 직접 만나 도시를 구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5][39]

아에레티우스는 아틸라에 대항하기 위해 움직이며, 프랑크족, 부르고뉴족, 켈트족 사이에서 병력을 집결시켰다.아비투스와 아틸라의 계속되는 서쪽으로 진격하는 임무는 비시고트 왕 테오도리히 1세(테오도리드)가 로마인들과 동맹을 맺도록 설득했다.연합군은 아틸라보다 앞서 오를레앙에 이르렀고, 따라서 훈니쉬 진군을 견제하고 되돌렸다.아에티우스는 추격전을 벌여 보통 카탈라우눔(현대판 샤를론센샹파뉴)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흉노들을 붙잡았다.아틸라는 기병을 사용할 수 있는 평원에서 로마인들과 싸우기로 결심했다.[40]

양군은 카탈라우니아 평원 전투에서 격돌했는데, 그 결과는 흔히 비시가트-로마 동맹의 전략적 승리로 여겨진다.에드워드 깁본과 에드워드 크레아스에 따르면 테오도리어는 싸움에서 죽었고, 아에티우스는 패배한 만큼 압도적인 비시가치의 승리가 가져올 결과를 두려워하여 자신의 장점을 누르지 못했다고 한다.아에티우스의 관점에서 가장 좋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 것이었다.테오도리어는 죽고, 아틸라는 퇴각하고 혼란에 빠져 있었고, 로마인들은 승리한 것처럼 보이는 이점을 누렸다.

이탈리아 침공과 죽음

아틸라가 아킬레리아를 포위하고 있다(크로니콘 픽텀, 1358년)
라파엘의 <위대한 레오와 아틸라의 만남>은 성 베드로와 성 바울의 호위를 받으며 로마 밖 훈황제를 만나는 레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아틸라는 452년에 돌아와 호노리아와의 혼인신고를 갱신하면서 도중에 이탈리아를 침략하고 황폐화시켰다.주민들이 베네치아 석호의 작은 섬으로 피신했을 때 이러한 공격의 결과로 나중에 베니스가 될 곳에 공동체가 설립되었다.그의 군대는 수많은 도시를 약탈하고 아킬레아를 완전히 파괴하여 이후 원래의 터를 알아보기가 어려웠다.[41]: 159 아에티우스는 전투를 제의할 힘이 부족했지만 그림자 힘만으로 간신히 아틸라의 전진을 괴롭히고 느리게 했다.아틸라는 마침내에서 멈추었다.이쯤 되면 아틸라의 진영에 질병과 기아가 붙어서 그의 전쟁 노력을 방해하고 잠재적으로 침략의 종식에 기여했을지도 모른다.[42][citation needed]

발렌티니아누스 3세 황제는 로마 레오 1세 주교와 함께 고위 민간인 장교인 겐나디우스 아비에누스와 트리게티우스, 그리고 만투아 인근 민시오에서 아틸라를 만나 이탈리아에서 철수하고 황제와의 평화 협상을 하겠다는 약속을 그에게서 얻어냈다.[43]아키타인의 프로스퍼는 역사적인 만남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지만 성공적인 협상을 위해 모든 공을 레오에게 준다.프리쿠스는 알라릭이 410년 로마를 축출한 직후 사망했기 때문에 알라릭의 운명에 대한 미신적인 공포가 그를 잠시 멈추게 했다고 보고한다.

이탈리아는 451년에 끔찍한 기근에 시달렸으며 452년에는 그녀의 농작물이 훨씬 나아졌다.아틸라가 올해 북부 이탈리아 평야를 파괴적으로 침범한 것은 수확량을 향상시키지 못했다.[41]: 161 로마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탈리아에서는 구할 수 없는 물자를 필요로 했을 것이고, 도시를 빼앗는다고 해서 아틸라의 공급 상황이 개선되지는 않았을 것이다.따라서 아틸라에게는 평화를 체결하고 고국으로 후퇴하는 것이 더 이득이었다.[41]: 160–161

게다가 동로마 군대는 전년도 찰세돈 평의회에 참가했던 아에티우스라는 다른 장교의 지휘를 받아 다뉴브 강을 건너가 아틸라에게 뒤처진 흉노들을 쳐부수어 고향 영토를 지키게 했다.따라서 아틸라는 " 남쪽에 발을 들여놓지 않고 이탈리아에서 은퇴하라"는 무거운 인간과 자연의 압력에 직면했다.[41]: 163 히다티우스크로니카 미노라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탈리아를 약탈하고 여러 도시를 습격했던 흉노들은 기근과 어떤 종류의 질병이라는 하늘이 내린 재난을 당하면서 신의 형벌의 희생자들이었다.게다가 그들은 마르키우스 황제가 보내고 에이티우스가 이끄는 보조원들에 의해 학살당했고, 동시에 그들의 [집] 정착촌에서 압살당하기도 했다.그래서 그들은 로마인들과 화해했다.[44]

죽음

아틸라가 이끄는 흉노족은 이탈리아를 침공한다(Attila, 신의 스쿠지, 울피아노 체카, 1887년).

동로마 제국에서는 마르치안 황제가 테오도시우스 2세의 뒤를 이어 훈족에 대한 헌사를 중단했다.아틸라는 이탈리아에서 다뉴브 강 건너 자신의 궁전으로 철수하는 한편, 공물을 되찾기 위해 콘스탄티노플을 다시 한 번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45]

그러나 453년 초순에 죽었다.

프리쿠스의 통념에 따르면 아틸라는 이번에는 아름다운 젊은 일디코(이름은 고딕이나 오스트로고스의 유래를 암시한다)에게 자신의 최근 결혼을 축하하는 잔치에 있었다고 한다.[41]: 164 그러나 흥청망청 흥청망청하는 와중에도 심한 출혈을 당해 죽었다.코피가 나고 목이 졸려 죽었는지도 모른다.아니면 식도 정맥 파열로 인한 내출혈로 굴복했을 수도 있다.식도정맥류는 식도 하부에 형성된 확장정맥류로, 수년간의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종종 발생한다. 식도는 깨지기 쉽고 쉽게 파열되어 출혈로 사망할 수 있다.[46]

그의 죽음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로마의 만성적인 마르첼리누스 컴의 사건 이후 80년 만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유럽 지방의 흉노왕이자 황폐한 아틸라가 아내의 손과 칼에 찔렸다"는 내용이다.[47]한 현대 분석가는 그가 암살당했다고 [48]주장하지만 대부분은 이 이야기들을 소문이나 다름없다고 거부하며 대신 6세기에 아틸라의 현대 프리수스가 말한 것을 선호한다.

다음날 아침의 큰 부분을 보내자, 왕실 수행원들은 약간의 병을 의심했고, 큰 소란 끝에 문틈으로 침입했다.거기에서 그들은 아틸라의 죽음이 피를 흘리면서 아무런 상처도 입지 않은 채 이루어진 것을 발견했고, 얼굴이 침울한 소녀는 베일 아래에서 눈물을 흘렸다.그리고 그 종족의 풍습처럼, 그들은 머리털을 뽑고 깊은 상처로 얼굴을 흉측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그 유명한 전사는 슬픔에 잠길 것이다. 울음이 아니라, 사람의 피에 의해.게다가 아틸라의 죽음과 관련하여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꿈속에서 어떤 신이 동방 황제 마르시안의 편에 서서, 그가 그의 사나운 적에 대해 불안해하는 동안, 같은 날 밤에 부러진 아틸라의 활을 그에게 보여 주었기 때문에, 마치 훈스의 인종이 그 무기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는 것을 친밀하게 하려는 듯 보였다.역사학자 프리수스는 그가 진실된 증거에 의해 인정한다고 말한다.아틸라는 위대한 제국에 대해 그렇게 끔찍하다고 생각되어 신들은 그의 죽음을 통치자들에게 특별한 기쁨으로 알렸다.

그의 몸은 평야 한가운데에 놓여 있었고, 남자들의 감탄의 표시로 비단 천막 속에 그대로 누워 있었다.훈족 전체의 가장 뛰어난 기마병들은 서커스 놀이를 마친 후, 그가 장송장에서 데리고 와서 그의 행위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빙글빙글 돌았다. "헌족 족장 아틸라 왕은 가장 용감한 부족의 영주인 문디우치에게서 태어났으며 스키티안과 독일 레이아의 유일한 소유주였다.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힘인 lms는 도시를 점령하고 로마 세계의 두 제국을 공포에 떨게 했으며 그들의 기도에 유화되어 나머지 사람들을 약탈로부터 구하기 위해 매년 헌사를 했다.그리고 이 모든 것을 운명의 총애를 받아 이루었을 때, 그는 적들의 상처나 친구들의 배반으로가 아니라, 평화롭게 조국의 한가운데에서, 기쁨과 고통의 감각 없이, 행복했다.아무도 복수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믿지 않는데 누가 이것을 죽음으로 평가할 수 있겠는가?"

그들이 그런 한탄으로 그를 애도했을 때, 소위 말하는 건장한 사람이 그의 무덤 위에서 크게 기뻐하며 축하를 받았다.그들은 차례로 감정의 극한에 굴복했고 기쁨과 교대로 참된 슬픔을 보여주었다.그리고 밤의 비밀 속에 그들은 그의 시체를 땅에 묻었다.첫째 관은 금으로, 둘째 관은 은으로, 셋째 관은 쇠로 묶어서, 이 세 가지가 가장 강한 왕에게 어울린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가 민족을 다스렸기 때문에, 금과 은으로, 두 제국을 모두 다스렸기 때문이다.그들은 또한 싸움에서 승리한 병사들의 팔, 희귀한 가치의 포획, 다양한 보석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것, 그리고 왕자다운 상태를 유지하는 모든 종류의 장신구들을 추가했다.그리고 인간의 호기심으로부터 엄청난 부를 지켜낼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그들은 그 일에 임명된 사람들, 즉 그들의 노고에 대한 끔찍한 보수인 사람들을 모두 잃게 된다. 그래서 갑작스런 죽음은 그를 묻어버린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를 묻어버린 사람들 중 많은 수가 되었다.[10]: 254–259

아틸라의 아들 엘락뎅기찌에르낙은 "그들은 모두 똑같이 통치하려는 경솔한 열망 속에서 그의 제국을 멸망시켰다"[10]: 259 고 말했다.그들은 "우리는 민족을 그들 사이에 평등하게 나누어야 하고, 민족과 함께 싸우는 왕들을 가족처럼 제비뽑기로 그들에게 배분해야 한다고 아우성치고 있다"고 말했다.[10]: 259 '가장 기초적인 상태의 노예'라는 대우에 맞서 게피드 통치자 아르다릭(아틸라에[10]: 199 대한 대단한 충성심으로 주목받던)이 이끄는 게르만 동맹이 반란을 일으켜 서기 454년 네다오 전투 때 판노니아에서 흉노와 싸웠다.[10]: 260–262 아틸라의 장남 엘락은 그 전투에서 전사했다.[10]: 262 아틸라의 아들들은 "고트족을 그들의 지배에서 탈영한 자들로 간주하여, 도망 노예를 찾는 것처럼 그들에게 대항했다"고 말했고, 오스트로고딕 공동의 공동연구자인 발라미르(카탈라루니아 평원에서[10]: 199 아르다릭과 아틸라와 함께 싸웠다)를 공격했지만, 퇴짜를 맞았고, 훈스 일행 중 일부는 스키티아(어낙의 자들)로 이동했다.[10]: 268–269 그의 형 뎅기치치는 서기 468년 다뉴브 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침략을 시도했으나, 오스트로고스족에 의해 바시아네 전투에서 패배하였다.[10]: 272–273 뎅기치치는 이듬해 로마고트족 장군 아나가스트에게 살해당했고, 그 후 훈닉의 지배가 끝났다.[14]: 168

아틸라의 많은 자녀와 친척들은 이름, 심지어 행위로도 알려져 있지만 곧 유효한 족보 출처는 거의 말라버렸고, 아틸라의 후손들을 추적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 방법은 없어 보인다.이것은 많은 족보학자들이 다양한 중세 통치자들을 위해 유효한 혈통을 재구성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가장 믿을 만한 주장 중 하나는 불가리아 카족의 명목상신화에 대한 아비토홀불가르족의 둘로 가문이르닉의 주장이었다.[49]: 103 [20]: 59, 142 [50]

후기 민속과 우상화

이 이름에는 여러 가지 언어로 된 여러 가지 변형들이 있다.올드 노르웨이의 아틀리와 아틀레, 중세 독일어의 엣젤(Nibelungenlied), 고대 영어의 에틀라, 헝가리어의 아틸라, 아틸라, 에텔(Attila가 가장 인기 있음);터키어로 아틸라, 아틸라, 아틸라, 아틸라, 그리고 카자흐어 또는 아딜어로 아딜과 에딜("동일/시밀어") 또는 몽골어로 에딜("사용할 것")이다.

크로니콘 픽텀, c. 1360에서 아틸라와 교황 레오와의 만남의 삽화

아틸라와 화성의 검에 관한 전설

조르다네스프리수스의 보고를 장식하며, 아틸라가 화성이 그에게 준 '스키타이인의 성스러운 전쟁검'을 소유하고 있어 '전 세계의 왕자'[51][52]로 만들었다는 보고를 했다.

12세기 말까지 헝가리의 왕실은 아틸라로부터 그들의 계보를 선포했다.헤르스펠트의 현대 연대기의 램퍼트는 1071년 직전에 헝가리의 여왕인 키예프의 아나스타샤에 의해 아틸라의 검노르드하임의 오토에게 선물되었다고 보고한다.[53]현재 빈의 쿤스트히스토리체스 박물관에 있는 기병 사브르인 이 검은 9세기나 10세기의 헝가리 금장수들의 작품으로 보인다.[54]

아틸라와 교황 레오 1세와의 만남에 대한 전설

중세 시대의 한 익명의 chronicler 교황 레오와 Atilla의 회의 또한 세인트 피터와 세인트 폴에 의해,"기적적으로 이야기가 시간의 기호에 맞게 계산되"[55]이 절정이다 나중에 예술적 르네상스 예술가 라파엘과 조각가 Algardi, 18세기 역사학자 Edwa에 의해 그려졌다 참석한 수치다.Grdibbon은 "교회 전통의 가장 고귀한 전설 중 하나"[56]를 세운 것에 대해 찬사를 보냈다.

보통 헝가리 연대기 크로니콘 픽텀에 관련된 이 설화 버전에 따르면 교황은 아틸라에게 만약 그가 평화롭게 로마를 떠난다면 그의 후계자 중 한 사람이 성스러운 왕관을 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했다(헝가리 성관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게르만 영웅전설에 나오는 아틸라

몇몇 역사와 연대기는 아틸라를 위대하고 고귀한 왕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는 노르웨이의 3대 사가스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아틀락비야,[57] 볼숭가 사가, [58]아틀람말.[57]폴란드 크로니클은 아틸라의 이름을 아퀼라로 나타낸다.[59]

미켈스베르크의 프루톨프프레이징의 오토는 어떤 곡들은 "불가르 우화"라고 지적하고, 조단스의 독자들 중 누구라도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았을 때 테오데릭을 대왕, 아틸라, 에르마나르 동시대인으로 만들었다.[60]이것은 디트리히 베른(테오데릭)에 관한 소위 역사시들을 일컫는 말로, 엣젤(아틸라를 위한 독일어)이 사악한 삼촌 에르멘리히(에르마나릭)로부터 디트리히의 망명 피난처라는 내용이다.엣젤은 시 디트리히스 플루히트라벤슈클라크트에서 가장 두드러진다.에첼은 또한 니벨룽게니에서 크림힐드의 두 번째 귀족 남편으로 등장하는데, 그곳에서 크림힐드는 훈니쉬 왕국과 부르고뉴 친척들의 왕국을 모두 파괴하게 된다.

초기 근현대 리셉션

1812년 루트비히 베토벤은 아틸라에 관한 오페라를 작곡할 생각을 하고, 리브레토를 작곡하기 위해 아우구스트코체베에에게 접근했다.그러나 그것은 결코 쓰여지지 않았다.[61]1846년, 주세페 베르디는 아틸라의 이탈리아 침공의 에피소드를 느슨하게 바탕으로 이 오페라를 썼다.

자와할랄 네루의 세계사 글립스에 따르면 제1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의 선전은 헌병 아틸라를 칭송하는 빌헬름 2세 황제의 1900년 연설을 토대로 독일인들을 "헌스"라고 지칭했다.[62]데르 슈피겔은 1948년 11월 6일 아틸라의 검이 위협적으로 오스트리아 위에 걸려 있다고 평했다.[63]

미국 작가 세실리아 홀랜드는 아틸라가 주인공, 젊은 훈닉 전사, 게르만족 전사 등 생사가 깊은 영향을 미치는 유력한 배경 인물로 등장하는 역사소설 '아틸라의 죽음'(1973년)을 썼다.

현대 헝가리터키에서는 "아틸라"와 터키의 변주곡 "아틸라"가 남성 이름으로 통용된다.헝가리에서, 몇몇 공공 장소들은 아틸라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다; 예를 들어, 부다페스트에는 10개의 아틸라 거리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다에 있는 중요한 거리다.1974년 터키 국군키프로스를 침공했을 때 작전은 아틸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The Attila Plan)")[64]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54년 개봉한 세계 영화 '바간스간판'은 잭 팔런스가 아틸라 역을 맡았다.

아틸라의 묘사

참고 항목

메모들

  1. ^ 하비, 페이지 208. (
  2. ^ Cooper, 페이지 202.
  3. ^ "Attila". Lexico UK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n.d.
  4. ^ "Attila". Merriam-Webster Dictionary.
  5. ^ a b Peterson, John Bertram (1907). "Attila".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2.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14. Retrieved 18 May 2014.
  6. ^ Reyhner, Jon (2013). "Genocide". In Danver, Steven (ed.).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1st ed.). Routledge. p. 732. doi:10.4324/9781315702155. ISBN 9780765682222. OCLC 905985948.{{cite encyclopedia}}: CS1 maint: 날짜 및 연도(링크)
  7. ^ Hedeager, Lotte (24 May 2011). "Historical framework: the impact of the Huns". Iron Age Myth and Materiality: An Archaeology of Scandinavia AD 400-1000. Taylor & Francis Group. p. 192. ISBN 9780415606028.
  8. ^ Bakker, Marco. "Attila the Hun". Gallery of reconstructed portraits. Reportret. Retrieved 9 March 2013.
  9. ^ a b Wolfram, Herwig (1997). The Roman Empire and its Germanic Peoples (Hardcover). Dunlap, Thomas (translator) (1st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43. ISBN 978-0-520-08511-4. Retrieved 18 May 2014.
  10. ^ a b c d e f g h i j Jordanes (1908). The Origin and Deeds of the Goths. Project Gutenberg. Translated by Mierow, Charles Christopher.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anuary 2016. Retrieved 24 November 2015.
  11. ^ Sinor, Denis (1990).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4304-9.
  12. ^ 울프, 래리.동유럽의 발명: 계몽주의의 마음에 새겨진 문명지도.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판(1994년). 페이지 299-230.ISBN 978-0-8047-2702-0
  13. ^ 필드, NIC.훈(명령) 아틸라.오스프리 출판사; 영국 에디션(2015년).58-60 페이지ISBN 978-1-4728-0887-5
  14. ^ a b c d e Maenchen-Helfen, Otto (August 1973).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1596-8.
  15. ^ a b c d Doerfer, Gerhard (1973). "Zur Sprache der Hunnen". Central Asiatic Journal. 17 (1): 1–50.
  16. ^ Lehmann, W. (1986). A Gothic Etymological Dictionary. Leiden.
  17. ^ a b c d e Snædal, Magnús (2015). "Attila" (PDF).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20 (3): 211–219.
  18. ^ Savelyev, Alexander; Jeong, Choongwon (2020).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Evolutionary Human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 doi:10.1017/ehs.2020.18. ISSN 2513-843X.
  19. ^ a b c d Pritsak, Omeljan (December 1982). "The Hunnic Language of the Attila Clan" (PDF). Harvard Ukrainian Studies. VI (4): 428–476. ISSN 0363-557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February 2014. Retrieved 18 May 2014.
  20. ^ a b Hyun Jin Kim (2013).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0906-6.
  21. ^ a b c d e f g h Lebedynsky, Iaroslav; Escher, Katalin (1 December 2007). Le dossier Attila [The Attila Report] (Paperback) (in French). Editions Errance. ISBN 978-2-87772-364-0.
  22. ^ Given, John (2014). The Fragmentary History of Priscus: Attila, the Huns and the Roman Empire, AD 430–476 (Paperback). Arx Publishing. ISBN 978-1-935228-14-1.
  23. ^ a b c d e f g h Rouche, Michel (3 July 2009). Attila: la violence nomade [Attila: the Nomadic Violence] (Paperback) (in French). [Paris]: Fayard. ISBN 978-2-213-60777-1.
  24. ^ Grousset, Rene (1970).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pp. 38. ISBN 978-0-8135-1304-1.
  25. ^ Vovin, Alexander (2000).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Central Asiatic Journal. 44 (1). ISBN 978-3-447-09164-0. ISSN 0008-9192.
  26. ^ Waldman, Carl; Mason, Catherine (1 April 2006).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Facts On File. p. 393. ISBN 978-0-8160-4964-6.
  27. ^ Deschodt, Éric (1 May 2006). Folio Biographies (Book 13): Attila (in French). Paris: Éditions Gallimard. p. 24. ISBN 978-2-07-030903-0.
  28. ^ Schreiber, Hermann (1976). Die Hunnen: Attila probt den Weltuntergang [The Huns: Attila Rehearses the End of the World] (Hardcover) (in German) (1st ed.). Düsseldorf: Econ. p. 314. ISBN 978-3-430-18045-0.
  29. ^ Harvey, Bonnie (2003) [1st Published in 1821 by Chelsea House Publications]. Attila the Hun (Ancient World Leaders). Infobase Publishing. ASIN B01FJ1LTIQ.
  30. ^ Cooper, Alan D (2008). The Geography of Genocid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SBN 978-0-7618-4097-8.
  31. ^ Bóna, István (8 April 2002). Les Huns: le grand empire barbare d'Europe (IVe-Ve siècles) [The Huns: The Great Empire of Barbaric Europe IVth–Vth Century] (in French). Escher, Katalin (translation of the Hungarian). Paris: Errance. p. 15. ISBN 978-2-87772-223-0.
  32. ^ a b Lebedynsky, Iaroslav (2011). La campagne d'Attila en Gaule [The Campaign of Attila in Gaul] (in French). Clermont-Ferrand: Lemme edit. ISBN 978-2-917575-21-5.
  33. ^ Howarth, Patrick (1995). Attila, King of the Huns: The Man and The Myth. Barnes & Noble Books. pp. 36–37. ISBN 978-0-7607-0033-4.
  34. ^ Foundation, Encyclopaedia Iranica.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iranicaonline.org. Retrieved 3 June 2021.
  35. ^ Dupuy, R. Ernest; Dupuy, Trevor N. (March 1993).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4th ed.). HarperCollins. p. 189. ISBN 978-0-06-270056-8.
  36. ^ "Priscus at the court of Attila". ucalgary.ca.
  37. ^ Haas, Christopher. "Embassy to Attila: Priscus of Panium". Villanova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4. Retrieved 18 May 2014.
  38. ^ Hodgkin, Thomas (2011). Italy and Her Invaders: 376–476. Vol. II. Book 2. The Hunnish Invasion, Book 3. The Vandal Invasion and the Herulian Mutiny. New York: Adegi Graphics LLC. ISBN 978-0-543-95157-1.
  39. ^ Goyau, Georges (1912). "Troyes".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4. Retrieved 19 May 2014.
  40. ^ "Rome Halts the Huns". 17 Jan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7. Retrieved 28 January 2017.
  41. ^ a b c d e Thompson, Edward Arthur (1948). The Huns. Peoples of Europe Series (1999 ed.). Oxford: Wiley-Blackwell. ISBN 978-0-631-21443-4.
  42. ^ Soren, David; Soren, Noelle (1999). A Roman Villa and a Late Roman Infant Cemetery: Excavation at Poggio Gramignano, Lugnano in Teverina. L'ERMA di BRETSCHNEIDER. p. 472. ISBN 978-88-7062-989-7.
  43. ^ Kirsch, Johann Peter (1910). "Pope St. Leo I (the Grea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9.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14. Retrieved 20 May 2014.
  44. ^ Burgess, R. W., ed. (1993). The Chronicle of Hydatius and the Consularia Constantinopolitana. Oxford: Clarendon Press. p. 103. ISBN 978-0-19-814787-9. Retrieved 22 March 2018.
  45. ^ 커쇼, 스티븐 P(2013).로마 제국의 간략한 역사: 흥망성쇠 런던.컨스터블 앤 로빈슨 주식회사 398페이지, 402-403.ISBN 978-1-78033-048-8
  46. ^ Man, John (17 February 2009). Attila: the Barbarian King Who Challenged Rome. New York: Thomas Dunne Books/St. Martin's Press. p. 264. ISBN 978-0-312-53939-9.
  47. ^ Chadwick, Hector Munro (1926). The Heroic Ag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9, n 1.
  48. ^ Babcock, Michael A. (5 July 2005). The Night Attila Died: Solving the Murder of Attila the Hun. Berkley Books. ISBN 978-0-425-20272-2.
  49. ^ Golden, Peter Benjamin (1992).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ethnogenesis and state formation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asia and the Middle East. Wiesbaden: Otto Harrassowitz. ISBN 978-3-447-03274-2.
  50. ^ Biliarsky, Ivan (2013). The Tale of the Prophet Isaiah: The Destiny and Meanings of an Apocryphal Text. Brill. pp. 255–257. ISBN 978-90-04-25438-1.
  51. ^ Geary, Patrick J. (28 October 1994). "Chapter 3. Germanic Tradition and Royal Ideology in the Ninth Century: The Visio Karoli Magni". Living with the Dead in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p. 63. ISBN 978-0-8014-8098-0.
  52. ^ Oakeshott, Ewart (17 May 2012). "Chapter Eight. The Curved and Single-Edged Swords of the Sixteenth Century". European Weapons and Armou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Woodbridge, UK: Boydell Press. p. 151. ISBN 978-1-84383-720-6.
  53. ^ Róna-Tas, András (1 July 1999). "Chapter XIV. Historical Traditions, Attila and the Hunnish-Magyar Kinship". Hungarians and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An Introduction to Early Hungarian History. Bodoczky, Nicholas (translator). Budapes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 425. ISBN 978-963-9116-48-1.
  54. ^ Fillitz, Hermann (1986). Die Schatzkammer in Wien: Symbole abendländischen Kaisertums [The Vault in Vienna: Symbols of Occidental Imperial Rule] (in German). Salzburg: Residenz. ISBN 978-3-7017-0443-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3. Retrieved 10 March 2013.
  55. ^ Robinson, James Harvey (January 1996). "Medieval Sourcebook: Leo I and Attila". Fordham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4. Retrieved 20 May 2014.
  56. ^ Gibbon, Edward (1776–1789).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Milman, Rev. H. H. (notes). London: Strahan & Cade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rch 2013. Retrieved 20 May 2014.
  57. ^ a b "Atlakvitha en Grönlenzka" [The Greenland Lay of Atli]. The Poetic Edda. Bellows, Henry Adams (translator).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19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14. Retrieved 20 May 2014.{{cite web}}: CS1 maint : 기타(링크)
  58. ^ "Völsunga Saga". Morris, William; Magnússon, Eiríkr (translators). The Northvegr Foundation. 18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line) on 25 July 2013. Retrieved 20 May 2014.{{cite web}}: CS1 maint : 기타(링크)
  59. ^ Urbańczyk, Przemysław (1997). Early christianity in central and east Europe: Volume 1 of Christianity in east central Europe and its relations with the west and the east. Instytut Europy Środkowo-Wschodniej. p. 200. ISBN 978-83-86951-33-8.
  60. ^ Innes, Matthew (26 June 2000). Hen, Yitzhak; Innes, Matthew (eds.). The Uses of the Past in the Early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45. ISBN 978-0-521-63998-9.
  61. ^ Thayer, Alexander Wheelock (1921). Forbes, Elliot (ed.). Thayer's Life of Beethoven (Revised 1967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blished 1991). p. 524. ISBN 978-0-691-02717-3. ... I could not refrain from the lively wish to possess an opera from your unique talent .... I should prefer one from the darker periods, Attila, etc., for instance, ...
  62. ^ Nehru, Jawaharlal (1934). Glimpses of World History. London: Penguin Books India (published 30 March 2004). p. 919. ISBN 978-0-14-303105-5.
  63. ^ "Attilas Schwert über Oesterreich: Mit ferngelenktem "New Look"" [Attila's Sword over Austria: With remote-controlled "New Look"] (Online). Vol. 45/1948 (in German). Vol. 45. Der Spiegel. 6 November 194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4. Retrieved 20 May 2014.
  64. ^ Martin, Elizabeth, ed. (December 2006). A Dictionary of World Histor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41. ISBN 978-0-19-920247-8. The invasion, which was likened to the action of Attila the Hun, put into effect Turkey's scheme for the partition of Cyprus (Atilla Plan).

원천

외부 링크

섭정 직함
선행자 흉노의 통치자
435–453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