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듀본 파크웨이
Audubon Parkway경로 정보 | |
---|---|
KYTC 유지 보수 | |
길이 | 23.441 mi[1] (37.725 km) |
주요 접합부 | |
웨스트엔드 | ![]() ![]() |
![]() | |
이스트 엔드 | ![]() |
장소 | |
나라 | 미국 |
주 | 켄터키 주 |
군 | 헨더슨, 데이비스 |
고속도로 시스템 | |
|
오듀본 파크웨이(Audubon Parkway)는 켄터키주 헨더슨시와 오웬스보로시를 연결하는 4차선 통제형 고속도로(옛 유료 도로)입니다.초기 미국 박물학자 존 제임스 오듀본의 이름을 딴 오듀본 서쪽 종착역은 69번 고속도로(I-69)/미국 41번 국도(US 41)에 있으며, 동쪽 종착역은 미국 60번 우회도로입니다.1970년 12월 18일 개통된 이 도로는 2,350만 달러(2020년[2] 1억 2,300만 달러 상당)의 비용으로 개통되었으며, 23.4마일(37.7km)로 주 파크웨이 시스템의 7개 도로 중 가장 짧다.또한 파크웨이 시스템에서 켄터키 정치인의 이름이 붙어 있지 않은 유일한 도로이기도 하다.이 도로는 켄터키 루트 9005(KY 9005)라는 서명 없는 명칭이 붙어 있습니다.2006년까지 오듀본 파크웨이를 따라 흰색과 금색 방패가 사용되었으며, 그 때 켄터키 모든 파크웨이에 새로운 표준화된 파란색-온-화이트 마커가 도입되었습니다.
경로 설명
![]() | 이 섹션은 비어 있습니다.추가해서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2022년 4월) |
역사
유료도로로서
오듀본 파크웨이는 다른 8개의 모든 파크웨이와 마찬가지로 원래 1970년 개통부터 2006년까지 유료 도로였다.오듀본의 유일한 톨 플라자는 헨더슨 카운티 [3][4]동부 헤바즈빌 근처의 KY 416번 출구 10번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통행료 삭제
1972년에 개통된 오듀본과 인근의 윌리엄 H. 나처 파크웨이는 켄터키 파크웨이 시스템에 남아있는 마지막 두 개의 터널링 파크웨이였다.그들은 2006년 11월 21일 화요일에 통행료를 없앴다.당시 주지사였던 어니 플레처는 2006년 9월 27일 오하이오 카운티에 있는 내처 파크웨이의 하트포드 요금소에서 통행료 철폐를 발표했다.플레처는 오듀본의 헤바즈빌 요금소 중 하나를 철거한 엔드 로더를 직접 지휘해 통행료 징수의 종료를 알렸다.
통행료 징수 종료와 함께, 헤바즈빌 인터체인지도 약간 변경되었지만, 과거 파크웨이의 유일한 톨 플라자였던 것은 켄터키 주의 다른 파크웨이의 대부분의 인터체인지에서 공유되는 특성인 램프의 변형된 클로버 리프 레이아웃에 남아 있습니다.요금소가 설치된[update] 섬들은 제거되었고, 나들목의 포도는 평탄화되었지만, 2009년 7월 현재 나들목에서 나들목으로 접근하는 울퉁불퉁한 띠는 남아 있다.2008년에는 나들목 남쪽에 있던 옛 유료광장 사무소가 철거되었다.
미래.
69번 고속도로 스퍼
69번 고속도로 스퍼 | |
---|---|
위치 | 헨더슨오웬스보로 |
데이비스 카운티 관계자들은 2005년에 Audubon을 주간 고속도로로 업그레이드할 것을 처음 제안했는데, 구체적으로 I-369라는 번호를 제시했다.제안서에 따르면, 이는 69번 주간 오하이오 강 다리와 그 접근법이 완성되면 이루어질 것이다.I-69 "스퍼"는 켄터키주 오웬스보로와 I-69를 연결하며 I-369가 유력한 [5]명칭이다.
Audubon은 주간 고속도로로 승인되기 위해 대폭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 갓길이를 넓히고 중앙분리대를 넓히거나 전체 24마일(39km) 길이에 걸쳐 견고한 안전 장벽을 구축해야 한다.
Audubon Parkway는 2008년 SAFETEA-LU 기술 수정법에서 "미래 주간 도로 69 스퍼"로 일컬어지는 고우선도 주간 회랑으로 2008년 6월 6일 공법 110-244가 되었다.2008년 9월 파크웨이에 새로운 "Future I-69 Spur" 표지판이 설치되었다.
종료 리스트
자치주 | 위치 | mi[1] | km | 퇴장 | 수신처 | 메모들 |
---|---|---|---|---|---|---|
헨더슨 | 헨더슨 | 0.000 | 0.000 | 0 | ![]() ![]() ![]() | 서부 종착역이며 0A(북쪽) 및 0B(남쪽) 출구로 서명되었다.US 41 출구 12 |
5.389 | 8.673 | 5 | ![]() | 1986년 준공 | ||
헤바즈빌 | 10.175 | 16.375 | 10 | ![]() | 구 톨게이트;원래 출구 | |
데이비스 | 18.043 | 29.037 | 18 | ![]() | 1986년 준공 | |
오웬스보로 | 23.441 | 37.725 | 24 | ![]() ![]() ![]() | 동부 종착역 24A(남) 및 24B(북) 출구로 서명; US 60 10 출구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레퍼런스
- ^ a b "Kentucky Transportation Cabinet — Division of Planning — Highway Information System Official Milepoint Route Log Extra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0, 2007. Retrieved April 8, 2007.
- ^ Johnston, Louis; Williamson, Samuel H. (2022). "What Was the U.S. GDP Then?". MeasuringWorth. Retrieved February 12, 2022. 미국 국내 총생산 디플레이터 수치는 Measuring Worth 시리즈를 따릅니다.
- ^ Kentucky Department of Highways (1973). Kentucky Official Highway and Parkway Map (PDF) (Map). c. 1:760,320. Frankfort: Kentucky Department of Highways. Audubon Parkway toll schedule inset.
- ^ Rand McNally (2002). "Kentucky" (Map). The Road Atlas (2002 ed.). 1 in≈30 mi. Chicago: Rand McNally. p. 42.
- ^ "CONGRESSMAN COMER AND SENATOR MCCONNELL INTRODUCE LEGISLATION TO DESIGNATE I-69 SPUR IN MUHLENBERG AND OHIO COUNTIES". comer.house.gov. April 3,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4, 2019. Retrieved April 2, 2022.
외부 링크
루트 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