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의 아우젠티우스

Auxentius of Milan
아우센티우스
아리안 밀라노의 주교
임명됨서기 355년
기간이 종료됨374
전임자디오니시오스
후계자앰브로즈
개인내역
죽은374

밀라노[1] 아우센티우스 또는 카파도키아[2][3](fl. c. c. 355 – 374)는 밀라노신학자주교였다. 그의 아리안 신앙 때문에, 아우센티우스는 가톨릭 교회로부터[4] 침입자로 간주되고 밀라노 성당에 새겨진 것과 같은 밀라노의 주교 명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우젠티우스는 서양에서 니케네 신조의 위대한 적수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의 신학적 교리는 포이티어의 힐러리에게 공격받았는데,[5] 포이티어스의 힐러리에게는 리버풀 콘트라 아우센티움이 그에 대한 정보의 주요 원천으로 남아 있다.[3]

인생

아우젠티우스는 카파도키아 출신이며, 343년 알렉산드리아의 아리안 주교 카파도키아 그레고리에 의해 사제 서품을 받았다.[1] 상대인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에 따르면, 아우센티우스는 "중남어에도 무지했고, 불순함을 제외한 모든 것에 있어서 무식했다"[6]고 한다.

아우젠티우스가 살았던 역사적 시기는 아리아인들니케아 공의회의 신앙 지지자들 사이의 싸움으로 특징지어졌다. 355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밀라노에 시노드를 소집했는데, 그곳에서 밀라노 디오니시우스의 주교는 베르첼리의 에우세비우스, 카글리아리의 루시퍼와 함께 황제의 아리안 기울기에 반대했다. 이로 인해 디오니시우스를 비롯한 세 명의 주교가 망명하게 되었다. 얼마 후 아리아 주교들은 황제의 지원을 받아 아리아 아우센티우스를 밀라노의 새 주교로 임명했다.[4]

359년 아우센티우스는 351년 제2차 시리뮴 평의회에 명기된 세미아리아 교리를 지지한 리미니 평의회에서 관련 역할을 했다. 콘스탄티우스가 죽은 후, 이교도 황제 줄리안(363년 사망)은 아우센티우스를 자신의 교구에 방해받지 않고 남겨두었다.

다음의 기독교 황제인 조비앙발렌티니아누스 1세 휘하에서는 니케아 신앙 지지자들의 아우센티우스를 퇴위시키려는 시도가 많았다. 364년 아우센티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명에 의해 밀라노에서 열린 푸아티에스의 힐러리와의 분쟁으로 공개적으로 고발되었다. 그러나 그의 굴복은 분명할 뿐이었고, 그는 밀라노에서 힐라리가 떠나도록 강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력했다.[1] 베르첼리의 에우세비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도 아우센티우스의 퇴정을 얻지 못했다.

372년 교황 다마스쿠스 1세는 아우센티우스를 이단자로 명시적으로 비난한 시노드를 소환했다.[4] 그러나 아우센티우스는 374년 니케아 신관 필라스트리오스(브레시아의 후위 주교)가 가톨릭 인구를 지원하기 위해 밀라노에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죽을 때까지 밀라노에 남아 있었다. 아우젠티우스는 니카이안 암브로스에 의해 계승되었다.

메모들

  1. ^ a b c Shahan, Thomas Joseph (1913). "Auxentius of Milan" . In Herbermann, Charles (ed.).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 ^ "Baynes, T. S., ed. (1878). "Auxentius of Cappadocia"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3 (9th e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 143.
  3. ^ a b Chisholm, Hugh, ed. (1911). "Auxentius"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3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0.
  4. ^ a b c Cazzani, Eugenio (1996). Vescovi e arcivescovi di Milano. Milano: Massimo. pp. 17–18. ISBN 88-7030-891-X.(이탈리아어로)
  5. ^ Williams, Daniel H. (March 1992). "The Anti-Arian Campaigns of Hilary of Poitiers and the Liber Contra Auxentium". Church History. 61 (1): 7–22. doi:10.2307/3167999. JSTOR 3167999.
  6. ^ Athanasius. "Historia Arianorum, par 75". CCEL. Retrieved 11 October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