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셀 호네스

Axel Honneth
악셀 호네스
Axel Honneth 2016-04-18.jpg
2016년 호네스
태어난 (1949-07-18) 1949년 7월 18일 (72세)
모교
시대현대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
기관
박사과정 학생
주된 관심사

악셀 호네스(//hhnnetht, -ɛt/; 독일어: [aksl̩ ˈhɔnɛt]; 1949년 7월 18일생)는 독일철학자로서 괴테 대학교 프랑크푸르트[6]B사회철학 교수다. 웨인슈타인 [7]컬럼비아대 철학과 교수2001년부터 2018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마인에 있는 소지알포르스충 연구소(사회연구기관)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전기

호네스는 1949년 7월 18일 서독 에센에서 태어나 , 보훔, 베를린, 뮌헨(위르겐 하버마스 휘하의)에서 공부했으며 베를린 자유대학신학교에서 강의한 뒤 1996년 프랑크푸르트 요한 볼프강 괴테-대학으로 옮겼다.는 또한 1999년에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스피노자 철학 강좌를 열었다.[8]2001년과 2018년 사이에 그는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소위 프랑크푸르트 학교가 있는 사회 연구소의 소장을 지냈다.[9]2011년부터 그는 잭 B이기도 하다.와인스타인 교수는 뉴욕시 컬럼비아대 철학과에서 인문학을 전공했다.[10]

리서치

호네스의 작품은 사회정치적, 도덕적 철학, 특히 권력, 인정, 존경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그의 핵심 주장 중 하나는 사회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인정의 주체적 관계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다.여기에는 사회 및 대인관계 갈등의 근거로 비인정 및 오인정 등이 포함된다.예를 들어, 사회의 상품 유통에 관한 불평은 궁극적으로 인정을 위한 투쟁이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작품인 "권력에 대한 비판: 비판적 사회 이론의 반사적 단계"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미셸 푸코의 친밀감을 탐구한다.그의 두 번째 주요 작품인 인정을 위한 투쟁에서: 사회 갈등의 도덕 문법, 인식 개념은 주로 G. W. F. 헤겔의 초기 사회철학 작품에서 파생되지만, 조지 허버트 미드사회심리학,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윤리학, 도널드 위니코트객체 관계 이론으로 보완된다.이러한 것들을 호네스가 비판적으로 각색한 것은 이전 접근법의 결손을 고치려는 그의 비판적 사회 이론의 기본이다.2003년에 호네쓰가 공동저술한 인정인가 재분배인가?페미니스트 철학자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와 함께, 호네스의 사상에서의 재분배와 같은 구조적인 사회정치적 범주보다 인정과 같은 윤리적 범주의 우선 순위를 비판한다.그의 최근 작품 Reification은 인정과 권력의 주체적 관계 측면에서 이 핵심 "서방 마르크스주의자" 개념을 개혁한다.호네쓰에게 있어서 모든 형태의 재화는 마르크스와 료르지 루카스가 주장하는 자본주의와 같은 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주체적으로 기반한 병리학 때문이다.

사회주의의 사상(The Idea of Socialism)에서 호네스는 사회주의 이론의 역사유물주의, 현대사회의 정치적 권리와 사회적 차별성에 대한 비판에 근거해 21세기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사회주의 이론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노동계급을 혁명적인 주제로서 지나치게 강조한다.프랑스 혁명의 3원칙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 호네스는 경제결정론을 존 듀이에서 영감을 받은 역사적 실험으로 대체하고, 사회자유-사회구성원 간의 상호의존과 협력을 현대사회의 다른 영역(즉, 정치와 정치)으로 확대하는 3가지 수정안을 제안한다.(사적으로) 민주적 영역의 모든 시민에게 연설할 뿐만 아니라.

영어로 번역된 작품

  • 한스 조아스와 공동 저술한 사회 행동과 인간 자연 (Social Action and Human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980])
  • 권력의 비판: 비판적 사회 이론에서의 반사적 단계 (MIT Press, 1991년 [1985년])
  • 분열된 사회 세계: 사회정치철학의 에세이 (SUNY Press, 1995 [1990])
  • 인정 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문법 (폴리티 프레스, 1995년 [1992년]
  • 재분배 또는 인식?: 정치-철학 교류, 낸시 프레이저와 공동 저술 (Verso, 2003)
  • 재화: 인식-이론적 견해(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무례: 비판 이론의 규범적 기초 (극성 출판사, 2007 [2000])
  • 이유의 병리학: 비판 이론의 유산(2009년)에 대하여.
  • 개인의 자유의 병리학: 헤겔의 사회론(2010년).
  • I in We: 인식 이론의 연구(2012년).
  • 자유가 옳다(2014년).
  • 사회주의 사상(2016년).

참고 항목

참조

  1. ^ "Authors - PublicSpace".
  2. ^ "Journalism, human rights and moral rectitude: Letters from a war zone". 14 August 2010.
  3. ^ "Einstein Forum – Wissen essen oder die Weisheit eines guten Geschmacks".
  4. ^ Honneth, Axel. "Reification: A Recognition-Theoretical View" (PDF). tannerlectures.utah.edu/lecture-library.php. Tanner Humanities Center.
  5. ^ Campbell, Catherine Galko (2014). Persons, Identity, and Political Theory: A Defense of Rawlsian Political Identity.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p. 58. doi:10.1007/978-94-007-7917-4. ISBN 978-94-007-7917-4.
  6. ^ "Goethe-Universität —".
  7. ^ "Axel Honneth Philosophy".
  8. ^ uva.nl
  9. ^ 악셀 호네스 연구소 퓌르 소지오알포르충(IfS), 프랑크푸르트(주)
  10. ^ 액셀 호네스 철학부 - 컬럼비아 대학교

추가 읽기

  • 버트 판 덴 브링크와 데이비드 오웬, 인정과 힘: 악셀 호네스와 비판적 사회 이론의 전통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7)
  • 데란티, 장필리프, 비욘드 커뮤니케이션: 악셀 호네스의 사회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 (Brill, 2009)
  • 이스르, 마티아스, 엠포룽과 포르츠크리트. Grundlagen einer Kiner Ksolchen Theory der Gesellschaft (Campus, 2008)
  • 슈미트암 부쉬, 한스 크리스토프와 주른, 크리스토퍼(eds), 인정의 철학. 역사현대적 관점 (Exington Books, 2009)
  • 톰슨, 사이먼, 인식의 정치이론. 비판적 소개(Polity, 2006).
  • Huttunen, Rauno, Habermas, Honneth and Education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