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두스파니과

Baduspanids
파두스파니과
پادوسبانیان
665–1598
The Baduspanids in 1346, during the reign of Jalal al-Dawla Iskandar (r. 1333–1360)
잘랄 알다울라 이스칸다르 (1333–1360)r.의 통치 기간 중인 1346년 바두스파니 왕조
공용어페르시아의
카스피어족
종교
조로아스터교 (665-9세기)
이슬람교 (9세기-1598년)
정부군주제
이스파바드
우스탕다르
말리크
• 665–694
바두스판 1세 (첫번째)
• 1590–1598
자한기르 4세 (마지막)
역사시대중세
• 성립됨
665
사파비드 정복
1598
앞에
승계인
다부이드 왕조
사파비드 이란

파두스파니드(Paduspanids) 또는 바두스바니드(Badusbanids, 페르시아어: پادوسبانیان, 로마자: Pusbdusbâniâninin)는 타바리스탄의 지역 왕조로 루얀과 루탐다르를 통치했습니다.이 왕조는 665년에 세워졌으며, 이란에서 가장 긴 왕조로 933년의 통치 기간을 가지고 있었고, 1598년 사파비 왕조가 그들의 영토를 침략하고 정복하면서 끝이 났습니다.[1][2]

역사

아랍의 이란 침공 동안, 마지막 사산 왕인 야즈데게르드 3세 (r.632–651)는 타바리스탄에 대한 통제권샤한샤 자마스프 (r.496–498/9)의 증손자였던 다부이드 통치자 길 가바라에게 부여했다고 전해집니다.[2][3][4]길 가바라의 아들 바두스판 1세는 665년에 루얀에 대한 통치권을 부여받았으며, 그리하여 바두스판 왕조를 형성하여 1590년대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습니다.[2]또 다른 아들인 다부야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다부야 가문의 수장이 되었고, 타바리스탄의 나머지 지역을 통치했습니다.[5][2]

마지막 다부이 왕조의 통치자 쿠르시드는 우마이야 왕조로부터 그의 영토를 지켜냈지만, 압바스 왕조에 의해 대체된 후, 그는 결국 760년에 패배했습니다.[6]그 후 타바리스탄은 아랍 총독에 의해 아물로부터 통치되는 칼리파의 정규 속주가 되었지만, 이전에는 다부이 왕조의 지배를 받았던 바반디 왕조, 카린반디 왕조, 자르미흐리드 왕조, 바두스파니 왕조가 아바스 왕조의 속주로서 산악 내부를 계속 지배했습니다.[7][8][9]이 통치자들은 완전히 자율적이지는 않더라도 대체로 자율적이었습니다.[9]바두스파니 왕조의 지역적인 명성 때문에, 루얀은 몽골 시대에 루탐다르라고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그들이 샤리야르 3세 이븐 잠시드 (937–949)r.의 통치 때부터 사용해온 그들의 속국 칭호인 우스탄다르의 변형된 형태입니다.[2][10]

바두스파니아인들은 마잔다란을 정복하려고 했던 투르코-몽골 통치자 티무르 r.(1370–1405)와 동행했던 아프리카-몽골 통치자 이스칸다르-이 샤이키 (1370–1405)에 대항하기 위해 1381년부터 1390년까지 루스탄다르를 통치했던 마라시스에 의해 잠시 권좌에서 물러났습니다.그러나 투스는 비밀리에 이스칸다르이 샤이키와 서신을 주고받았고, 결국 1392년 티무르의 군대에 합류했습니다.이듬해(1393년), 티무르는 마라시스를 몰아내고 마잔다란을 정복했습니다.[11]1399년/1400년, 그는 군대를 보내 루스타마르의 대부분을 관리하게 함으로써 바두스파니아인들의 대부분의 소유권을 빼앗았습니다.바두스파니아의 새로운 통치자 카유마르스 1세의 소유권은 누르 성의 소유로 제한되었습니다.[1][12]하지만, 1405년, 그는 루스타마르에서 그의 통치를 회복했습니다.[1]그는 1453년에 죽었습니다.그가 죽은 후, 왕조간의 투쟁이 뒤따랐고, 그의 왕국은 그의 아들 이스칸다르 4세와 카우스 2세에 의해 각각 코주르와 누르에서 나뉘었습니다.[1]바두스파니드 왕조는 다시는 연합하지 않을 것이며, 두 분파가 따로 통치하다가 결국 1590년대 이란의 사파비드 군주 압바스 대왕(1588–1629)r.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12][1]

알려진 바두스파니아의 통치자들

아프리두니드 선

샤흐리야리드 선

누르가지

코주르점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마들룽 1988, 385-391쪽
  2. ^ a b c d e 게레글루 2018.
  3. ^ 멜빌 2020, 36쪽.
  4. ^ 마들룽 1993, 페이지 541-544
  5. ^ 야바리 2020.
  6. ^ 말렉 2017, 105쪽.
  7. ^ 마들룽 1975, 페이지 200-201.
  8. ^ 레카야 1986, 페이지 68-70.
  9. ^ a b 말렉 2017, 페이지 106.
  10. ^ 마이너 스카이 1995, 페이지 650-651.
  11. ^ Bosworth 1984, pp. 742-743
  12. ^ a b Bosworth 1978, p. 808.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