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질 레카페노스
Basil LekapenosBasil Lekapenos (Greek: Βασίλειος Λεκαπηνός, romanized: Basíleios Lekapēnós; c. 925 – c. 985), also called the Parakoimomenos (ό παρακοιμώμενος) or the Nothos (ό Νόθος, "the Bastard"),[1] was an illegitimate child of the Byzantine emperor Romanos I Lekapenos.그는 947년부터 985년까지 대부분의 기간 동안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그의 처남), 나이키포로스 2세 포카스, 요한 1세 츠미스케스, 바실 2세(그의 위대한 조카)의 밑에서 비잔틴 제국의 파라코미모노스와 총리로 일했다.
전기
출신 및 초기 경력
바질은 후궁에 의해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재위 920–944) 황제의 사생아였다.[2][3]그의 어머니는 '시티아누스'(Scythian) 출신(아마도 슬라브어를 암시하는 것)의 노예였던 것으로 보도되고 있지만, [2]캐서린 링로즈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경멸적인 토포일 수도 있다"[4]고 한다.그의 정확한 생년월일은 알려지지 않았다;[3] 옥스포드 비잔티움 사전은 ca. 925를 제안하는 반면,[2] 네덜란드의 학자 W. G. 브로카르는 910년에서 915년 사이에 제안했다.[5]나중에 존 스카이리츠, 조나라스, 케드레노스 같은 비잔틴의 고질적인 사람들은 바질이 944년 아버지의 퇴정에 이어 성인으로서 거세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마이클 프셀로스는 이것이 그의 어린 시절 정치적 이유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한다. 브로카르나 링크로스와 같은 현대 학자들이 성인을 거세한 것이었기 때문에 지지하는 견해였다.위험하다고 여겨지고 오히려 희귀했다.[3][6][7]
그의 아버지 재위 기간 동안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그는 마케도니아 왕조의 합법적인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네토스(재위 913–959)의 프로토베스티아리오스(chamberlain)로 처음 등장하지만, 그를 그 자리에 임명한 사람이 로마노스 르카페노스인지, 로마노스가 몰락한 후 콘스탄티누스 7세에게 준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현대 Theophanes Continuatus는 바질이 콘스탄티누스 7세의 충직하고 헌신적인 신하였으며, 콘스탄티누스의 아내, 그리고 자신의 이복동생인 헬레나 르카페네와 친밀한 관계를 가졌다고 보도하고 있다.[3][4]944년 12월 로마노스 레카페노스가 퇴위한 데 이어 945년 1월 바질의 이복형제 스테판 레카페노스와 콘스탄티누스 레카페노스로부터 정권을 되찾았을 때 바질은 콘스탄티누스 7세를 지지했고, 고위 직책과 보답을 받았다: 도장과 헌정 비문에서는 바실리코스, 파트리아키오스, 파라디스토스 오.f 원로원" (예컨대 원로원의 "첫"과 패러디슈온과 프로토스의 결합 직함을 나타내는 왜곡)은 물론 콘스탄티누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미래의 로마노스 2세(r. 959–963)의 메가스 바이울로스(위대한 전도사)도 있다.Ca. 947/8에서 그는 테오파네스에 이어 원생자리에서 파라코미모노(두방)로 더 성장했다.[2][3]
958년 아랍인 반대운동에서 장군(그리고 미래의 황제) 존 치미스크를 보강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동방으로 건너갔다:비잔틴인들은 사모사타를 습격하여 사예프 알 다울라 알레포의 함다니드 국왕의 휘하에 있는 구호군에게 큰 패배를 내렸다.비잔틴인들은 함다니드 왕국의 친척들을 포함한 많은 죄수들을 만들었다.그 결과 바질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히포드롬에서 승리를 축하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곳에서는 비잔틴 수도의 민중 앞에 포로들이 행진하였다.[3][8]바질은 총대주교 폴리에레쿠스(956–970)의 적수였으며,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어 황제를 자신에게 등을 돌리려 했다.소식통에 따르면 이는 총대주교가 르카페노이와 그 친족들의 탐욕을 캐스트했기 때문이었다.그는 마지막 날 동안 콘스탄티누스 7세의 곁에 있었고, 그의 시신을 장막으로 싸맨 사람이었다.[3]
로마노스 2세, 나이키포로스 포카스, 존 츠미스키스 이하 경력

로마노스 2세는 즉위하자마자 그를 해임하고 또 다른 관리인 조셉 브레와스를 편애했다. 그는 바질이 맡은 파라다이스스테우온, 프로토스, 파라코이미모노스의 위치를 맡았다.이것은 두 사람 사이의 격렬한 경쟁과 심지어 증오까지도 시작하게 되었다.[2][3]바질은 재위 기간 동안 방관하였으나 963년 초 로마노스가 사망하자 아들 바실 2세와 콘스탄티누스 8세가 미성년자여서 왕위 다툼이 일어났다.바질은 저명한 장군 나이키포로스 포카스의 편을 들어 브레가스에게 대항했다.바질은 수많은 수행원들을 무장시켰으며, 약 3천명의 도시 폭도들이 브레야스와 그의 지지자들을 공격하고 도시와 항구들을 장악했다.브라위타스는 하지아 소피아 강에서 성역을 찾았고 바질은 제국 드로몬과 다른 배들을 크리소폴리스로 동원했고, 그곳에서 포카스는 그의 군대와 함께 기다렸다.포카스는 이 도시에 입성하여 로마노스 2세의 어린 아들들의 후견인으로 원로 황제로 추대되었다.[3][9]포카스가 왕위에 오른 데 대한 보상으로, 바질은 파라코미모노스로 복직되어 프로에드로스 계급(완전히 프로에드로스 테스 싱클레토, "상원의 대통령")을 새로 받았다.이 사무소로의 승진은 데포르테니스에 포함된 특별한 의식을 포함했으며, 아마도 바질이 직접 쓰거나 편집했을 것이다.[3]
바질이 포카스 밑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없다.968년 크레모나의 뤼트프란드가 비잔틴 궁정의 고위관료들 가운데서도 그를 알 수 있지만, 정권의 두 번째 사람은 분명히 나이키포로의 동생인 쿠로팔라이트와 로고테츠 투 드로무 레오 포카스 1세였다.[3]969년 12월 츠지미스크에 의한 포카스 암살에 병으로 위장(이후 현실에서 병으로 변함)하여 가담하지 않았지만, 그는 그것을 알고 후에 츠지미스크가 왕위를 차지하는 데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고, 그의 대리인을 도시로 파견하여 불안을 조장하거나 약탈에 가담하지 않도록 경고하였다.현대 역사학자 레오 디콘에 따르면 바질은 츠지미스크의 절친한 친구였지만, 포카스 정권이 계속되면 레오 포카스가 동생을 계승하는 것을 보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번 쿠데타에 대한 바질의 지원은 조카 바질 2세와 콘스탄티누스 8세의 지위와 권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었을지도 모른다.[3]
바질은 새 황제가 포카스의 지지자들과 친척들을 제거하는 것을 도왔다.로마노스 2세와 포카스의 미망인 테오파노의 은퇴를 도왔으며, 츠지미스키스에게 콘스탄티누스 7세의 딸 테오도라와 결혼하여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라고 충고하기도 했다.[4]티미스키스 휘하에서 바질은 국가 통치, 특히 재정 행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반면 티미스키스 자신은 외교 정책과 그의 군사 캠페인에 더 신경을 썼다.[3]바질 자신은 971년 불가리아에서 예비군, 수하물 열차, 보급 준비 등을 맡긴 러스에 대항하는 대전에 참가했고, 츠미스키스 자신은 정예 부대와 함께 전진했다.[3][10]
이 기간 동안, 바질은 최근 정복된 아나톨리아의 남동부에 있는 모든 정착지를 포함하여 막대한 재산을 모았다.리오 더 디콘은 롱디아스와 드리즈의 지역들을 언급하고 있으며 스카일릿츠는 그가 아나자르보스와 포단도스 사이의 지역을 소유했다고 보도했다.이들 부자들은 바질이 치미스크와의 결별의 원인이었다; 소식통에 따르면 974년 시리아에서 선거운동을 마치고 돌아온 후, 황제는 바질에게 속한 광대한 땅을 보고 그에게 대항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이 사실을 알게 된 바질은 비록 이것이 어떻게, 어디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출처가 다르지만 티미스크가 독살되도록 주선했다.[3][4]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보도에 회의적이다; 캐서린 링로즈가 쓴 것처럼, "내시들은 여성들처럼 남성들과 명예롭게 싸우는 일이 거의 없다고 믿었고 대신 독과 다른 비잔티움의 옥스퍼드 사전은 "Tzimiskes가 노토스의 바질에게 중독되었다는 소문"을 언급하고 있다.확실한 것은 티미스케스가 선거운동 중 병에 걸려 귀국 직후 콘스탄티노플에서 사망했다는 것뿐이다.[4][11]
바실 2세 이하 경력
그는 바실 2세 초기에도 계속 재임했으나 985년, 섭정들과 관리 황제들에 의해 30년 동안 지배된 후 스스로 정권을 잡기를 원하는 젊은 황제는 반군 바르다스 포카스에 동조했다고 비난하고 바실리를 권좌에서 물러나게 했다.그의 모든 땅과 재산은 몰수되었고, 그의 통치하에 발표된 모든 법률은 무효로 선언되었다.바질 르카페노스 자신은 유배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
예술의 후원자

옥스퍼드 비잔티움 사전에 따르면, 그의 막대한 재산은 바질이 "비잔티움 예술 후원자들 중 가장 호화로운 사람 중 한 명"이 될 수 있게 했다.이탈리아 카말돌리에 있는 스틸라이트인 성 시므온의 머리, 노란색 재스퍼파틴, 세인트의 찰리체 등 그가 의뢰한 몇몇 물건들이 살아남았다. 베니스에 있는 마크의 바실리카와 독일 림부르크 대성당에 있는 잘 알려진 에나멜 십자가 사리(Staurotheke [ 이다.[2][12]프로토마르트르 스티븐의 머리를 담은 또 다른 사리갖춤은 헤라클리온의 프란치스코 수도원에서 열렸으며, 1628년 선교사 알렉산더 바실로풀로스(Alexander Basilopoulos)에 의해 묘사되었다.[13]비탈리엔 로랑에 따르면 이들 품목은 풍성하고 고품격의 장식품과 더불어 비교적 긴 구절 헌정 비문이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그들은 아마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는 성 바실 수도원에 헌납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들의 보물은 나중에 바실 2세에 의해 약탈당했다.[14]Three manuscripts commissioned by him also survive, all written in high-quality parchment: a collection of Taktika, including his own treatise on naval warfare, now in the Biblioteca Ambrosiana in Milan; the homilies of John Chrysostom, in the Dionysiou Monastery of Mount Athos, Greece; and a Gospel with the Pauline epistles preceded by a fine boo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바질에게 바쳐진 경전[permanent dead link].[2]그는 또한 조슈아 롤(BAV, Pal)의 유력한 후원자다.Gr. 431) 조슈아(Steven H. Wrand, The Joshua Roll[Wiesbaden, Dr. Ludwig Reichert Verlag, 2012년]의 구약성서의 조명이 들어오는 두루마리. ISBN978-3-89500-854-2)
참조
- ^ Ringrose 2003, 페이지 92.
- ^ a b c d e f g ODB, "노토스 바실" (A. Kazhdan, A)커틀러), 페이지 27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mbZ, 바실리오스 라카페노스 (#20925).
- ^ a b c d e 링로즈 2003, 페이지 130.
- ^ 브로카르 1972, 페이지 200.
- ^ 브로카르 1972쪽 201-203쪽
- ^ Ringrose 2003, 페이지 62, 130, 243 (주 3)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493.
-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498–499.
- ^ Ringrose 2003, 페이지 136.
- ^ ODB, "John I Tzimiskes" (A. Kazhdan, A)커틀러), 페이지 1045.
- ^ 로랑 1953쪽 1956쪽
- ^ 로랑 1953 페이지 194.
- ^ 로랑 1953 페이지 196
여기서 언급된 많은 참고문헌, 특히 독일어 참고문헌에 대해서는 그리스어 출처의 정확한 인용문이 있는 영어 번역문을 Wandle(esp. 106–32)에서 구할 수 있다.
원천
- Brokaar, W.G. (1972). "Basil Lecapenus". Studia bizantina et neohellenica Neerlandica. 3: 199–234.
- Holmes, Catherine (2005). Basil II and the Governance of Empire (976–1025).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7968-5.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4652-6.
- Laurent, V. (1953). "Ὁ μέγας βαΐουλος. À l'occasion du parakimomène Basile Lékapène". Επετηρίς Εταιρείας Βυζαντινών Σπουδών (in French). XXIII: 193–205. hdl:11615/16013.
- Lilie, Ralph-Johannes; Ludwig, Claudia; Zielke, Beate; Pratsch, Thomas, eds. (2013). Prosopographie der mittelbyzantinischen Zeit Online. Berlin-Brandenburg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Nach Vorarbeiten F. Winkelmanns erstellt (in German). De Gruyter.
- Ringrose, Kathryn M. (2003). The Perfect Servant: Eunuchs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in Byzantium.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72015-9.
- Treadgold, Warren T.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2630-2.
- Vlysidou, Vassiliki (2005). Η πολιτική του Βασιλείου Λακαπηνού έναντι της Δύσης. Byzantine Symmeikta (in Greek) (17): 111–129. ISSN 1105-163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31. Retrieved 2016-01-25.
- 방황하라, 스티븐 H. (2012).조슈아 롤 (Wiesbaden, Dr. Ludwig Reichert Verlag, 2012).하드커버, 224페이지, 240 x 170mm, 29색, 15개의 흑백 일러스트, 7개 다이어그램.ISBN 978-3-89500-854-2. ca. 98,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