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전투

Battle of Harim
하림 전투
십자군의 일부
날짜1164년 8월 12일
위치
결과 젠기드 승리
호전성
알레포다마스쿠스
모술
트리폴리의 군
안티오키아 공국
비잔틴 제국
아르메니아
지휘관과 지도자
누르 앗딘 잔기
콰트브 앗딘 마우두드
레이몬드 3세 (POW)
보헤문트 3세 (POW)
콘스탄티노스 칼라마노스 (POW)
소로스 2세
휴 8세 (POW)
조셀린 3세 (POW)
9000 기사 600명
보병[1] 1만2000명
사상자 및 손실
알 수 없는 10,000?
칼라만오스, 휴, 레이몬드, 보헤문드, 조셀린 포로로 잡혔다.

하림 전투(하렌츠)는 1164년 8월 12일 시리아 하림에서 누르 앗딘의 군대와 트리폴리 군, 안티오키아 공국, 비잔틴 제국, 아르메니아 군의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였다. 누르 앗딘은 대승을 거두며 상대 군대의 지도자들을 대부분 사로잡았다.

배경

1163년 예루살렘의 아말리히 1세가 이집트의 침공을 주도하여 십자군 국가들을 동쪽에서 공격하도록 개방하였다. 누르 앗딘은 이를 틈타 트리폴리를 침공했지만 알부카아[2] 전투에서 대규모의 적군 조합에 의해 기습당해 거의 자살할 뻔했다. 그 후 모술에 있는 동생 쿠트브 앗딘의 도움을 받아 안티오키아로 북쪽으로 이동하였고, 알레포다마스쿠스에서 온 다른 신하들과 자지라오르토키드족들의 도움을 받아 1164년 하림(하렌크) 요새를 포위하였다. 타이어의 윌리엄이 말하길, "그는 관례적인 방법으로 엔진들을 그 주위에 배치했고, 격분하여 그 곳을 공격하기 시작했는데, 그 때문에 주민들은 쉴 틈이 없었다."

전투

하림의 영주 세인트 발레리의 레지날드가 도움을 요청했고 트리폴리의 레이몬드 3세, 안티오크의 보헤문트 3세, 에데사의 조셀린 3세가 도착하여 포위를 풀었다.[3] 이들은 빌리시아의 비잔틴 총독 콘스탄티노스 칼라만오스, 소로스, 아르메니아의 멜레, 루시난의 8세, 앙굴렘의 윌리엄 6세의 동생 제프리 마르텔 등이 함께 하였는데, 이들은 둘 다 최근 순례길에 올랐다.

누르 앗딘은 도착하자마자 포위를 포기할 준비를 했지만, 알부카아에서의 승리에 고무된 십자군원정들은 "군기율과 상관없이... 무턱대고 흩어져서 적을 추격하여 이리저리 돌아다녔다. 누르 앗딘의 부대는 자신들의 공격에 방어하고 반격을 주도하여 십자군을 늪으로 밀어 넣었고, 그들은 "제단 앞의 희생자들처럼" 학살당했다.

누르 앗딘은 십자군을 매복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후퇴를 꾀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구호군이 도착했을 때 포위를 포기하는 것은 표준 전술이었고 누르 앗딘은 아마도 십자군이 따라올 줄 알 길이 없었을 것이다. 이것이 무모한 행동이었다는 윌리엄의 주장은 이것을 증명하는 추가적인 증거다. "터키 공작을 목격하고 추격에 나서지 않았던 아르메니아 소로스만이 재난에서 탈출했다."[4] 멜레 역시 포획을 피했다. 콘스탄티노스 칼라만오스, 휴, 레이몬드, 보헤문트, 조셀린 등은 알레포에서 붙잡혀 수감되었다. Ibn al-Athir에 따르면, 1만 명의 십자군들이 죽임을 당했다.

여파

누르 앗딘은 포위를 재개하여 며칠 후 하림을 사로잡았다. 아말릭이 이집트에 없는 상황에서 십자군 3개국은 이제 모두 통치자가 없는 상태였지만 누르 앗딘은 공국이 엄밀히 말하면 제국주의 피파였기 때문에 비잔틴의 반응을 자극할 것을 우려하여 안티오크 자체를 공격하고 싶지 않았다. 그는 비평가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였다. `나는 그리스 왕보다 보헤문트를 이웃으로 삼고 싶다.'[4] 누르 앗딘은 계속해서 바니아스를 포위하고 사로잡았다. 아말릭은 이집트를 버리고 알자스의 티에리와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여 누르 앗딘의 안티오크에 대한 압력을 완화시켰다. 보헤문트는 1165년에 포로로 풀려났지만 레이몬드는 1173년까지 감옥에 있었다.

메모들

  1. ^ 바버 2012, 페이지 240: "(누르 앗딘은) 가공할 북군을 완전히 격파하여 600명의 기사들과 1만2000명의 보병 중 상당 부분을 죽이고, 레이몬드 3세, 트리폴리 백작, 보헤몬드 3세, 안티오크의 왕자, 조셀린 3세, 에데사 십일곱, 콘스탄틴 콜로만, 비잔틴 총독 등 중요한 지도자들을 모두 사로잡았다. 실리시아 사람이요."
  2. ^ 올덴부르 1966 페이지 363.
  3. ^ Cawley 2012, Harenc의 Lords. no (
  4. ^ a b 올덴부르 1966 페이지 364.

참조

  • Cawley, Charles (2 January 2012), Antioch: Lords of Harenc [Harim], Medieval Lands database,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self-published source][better source needed]
  • Oldenbourg, Zoé (1966). The Crusades. New York: Pantheon Books.
  • Barber, Malcom (2012). The Crusader State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 Runciman, Steven (1952).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I,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