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페개 전투

Battle of Pegae
페개 전투
비잔틴-불가리아 전쟁의 일부:
913-927년 전쟁
날짜921년 3월
위치
콘스탄티노플 근처에 있는 발라클라의 현대 마을 페게
결과 불가리아의 승리
호전성
불가리아 제국 비잔틴 제국
지휘관과 지도자
카우카노스
메니코스
포토스 아르기로스
레오 아르기로스
알렉시오스 모슬레
랴오커의 요한
대군 알 수 없는
사상자 및 손실
알 수 없는 무겁다

페개 전투(불가리아어: итааа пра пра)는 921년 3월 11일과 18일 사이에 콘스탄티노플 변두리에서 비잔틴-불가리아 전쟁 913–927년 당시 불가리아 제국의 세력들과 비잔틴 제국의 세력들 사이에서 싸웠다. 전투는 인근 성교회의 이름을 딴 페개(즉, "봄")라는 지역에서 벌어졌다. 봄의 마리아. 비잔틴 선은 바로 첫 번째 불가리아의 공격에 무너졌고 그들의 지휘관들은 전쟁터에서 도망쳤다. 그 후 대패에서 대부분의 비잔틴 병사들은 칼에 맞아 죽거나 익사하거나 포로로 잡혔다.

922년 불가리아인들은 비잔틴 트라스에서 성공적인 캠페인을 계속하여, 트라스의 가장 중요한 도시인 아드리아노플과 비제 등 많은 도시와 요새를 점령했다. 922년 6월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에서 또 다른 비잔틴 군대를 교전하고 격파하여 발칸반도의 불가리아 지배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 자체는 그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머물러 있었는데, 불가리아는 성공적인 포위를 개시할 수 있는 해군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불가리아 황제 시메온 1세파티미드와 불가리아-아랍 공동 공격을 협상하려는 시도가 비잔틴에 의해 발각되어 반박되었다.

이 전투의 주요 출처는 테오파네스 콘티누스, 문법학자 레오, 조지 하마톨로스크로니클, 존 스카일리츠역사 시놉시스다.

분쟁의 기원

A map of medieval Bulgaria
시메온 1세 통치 때의 불가리아의 지도.

비록 913년에 시작된 비잔틴-불가리아 분쟁은 비잔틴에 의해 도발되었지만, 스스로 황실의 칭호를 주장하고 콘스탄티노플의 왕좌를 차지하려는 야망을 실현하기 위해 구실을 찾고 있던 것은 불가리아의 군주 시메온 1세(재위 893–927)이다.[1] 불가리아인들과 맞설 수 없었던 비잔틴인들은 시메온 1세를 이르면 913년 7월경 불가리아(불가리아, 차르) 황제로 마지못해 인정했으나 914년 콘스탄티노플에서 궁정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결정이 취소되었다. 그로부터 3년 뒤인 917년 주 비잔틴군은 아켈루스 전투에서 대패하고 불가리아군은 군사 주도권을 쥐었다.[2] 그 뒤를 이은 4년 동안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코린트의 이스무스성벽에 이르면서 많은 성공적인 캠페인을 벌였다.[3]

시메온 1세는 딸과 유아인 콘스탄티누스 7세(재위 913~959)의 결혼을 통해 콘스탄티노플에서 그의 지위를 확보할 계획이었고, 이에 따라 콘스탄티누스 7세의 근거지(부자)이자 후견인이 되었다.[4][5] 그러나 919년 로마노스 레카페노스 제독은 딸을 콘스탄티누스 7세와 결혼시켰고 920년 스스로 원로 황제를 선포하여 외교적인 수단으로 왕위에 오르려는 시메온 1세의 야망을 망쳤다. 그가 죽을 때까지 불가리아 군주는 로마노스의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921년 시메온 초에는 로마노 1세의 자손에게 딸이나 아들 중 한 명을 베드로로케 해 달라는 에큐메니컬 총대주교 니콜라스 미스티코스의 제안에 답하지 않고 그의 군대를 비잔틴 트라스로 보내 콘스탄티노플 외곽의 카타시르타이에 이르렀다.[6][7][8] 로마노스 1세는 포토스 아르기로스 휘하의 캠페인으로 보복을 하였는데, 포토스 아르기로스는 현대 부르가스 근처 아쿠아에 칼리대 마을에 이르렀지만, 그의 군대의 일부가 매복되어 불가리아인들에 의해 파괴되었다.[9]

전투

A spring in a church
페개의 봄 풍경

아쿠아에 칼리대에 대한 비잔틴 캠페인과 수많은 비잔틴 군대가 불가리아 침공을 준비하고 있다는 니콜라스 미스티코스의 편지의 위협은 시메온 1세의 신속한 행동을 야기시켰다.[10] 그는 카우카노스메니코스[11] 휘하의 대군을 지휘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하게 하였고, 시메온 1세 자신은 또 다른 숙주를 준비하여 아드리아노플의 트라이스 테마의 수도를 포위하였다.[10] 그들은 스트랜드자 산맥을 통해 신속하게 진군하여 921년 3월 초 콘스탄티노플 외곽의 지역인 페게(즉, "봄")에 도달했다.[12]

로마노스 1세는 불가리아인들이 페개의 궁전을 불태우고 포토스 아르기로스 학파, 그의 동생 레오 아르기로스, 알렉시오스 모슬레 제독, 랴오렉터 요한가정하에 "충분한 군대"[13]를 파견할 것을 우려했다.[12][13][14] 비잔틴군은 술그마타, 헤타이레아(즉 황실 호위병), 해군의 부대로 구성되었다.[13]

양군은 921년 3월 11일부터 18일 사이에 사순절 5주 사이에 페게에서 충돌했다. 비잔틴 지휘관들은 샘 주변의 저지대에 전선을 형성했고, 불가리아인들은 높은 지대를 점령했다.[15] 불가리아인들은 끔찍한 전투적 외침으로 기소되었다. 그들의 초기 타격은 저항할 수 없었고 비잔틴 선은 끊어졌다. Rhaictors인 John은 즉시 도망쳤고, Platipodos의 아들 Photinus가 그를 보호하려다가 다른 많은 사람들과 함께 살해되었다.[15] Rhaictor인 John은 드로몬을 타고 간신히 탈출했다. 완전무장을 하고 달아난 알렉시오스 모셀은 배에 오르려다 원양자와 함께 익사했다.[13][15] 포토스와 레오 아르기로스 형제는 근처의 요새에서 간신히 은신처를 찾았다.[12] 그 후 벌어진 참패에서 비잔틴 군인들의 대부분은 칼에 맞아 죽거나 익사하거나 불가리아인들에게 붙잡혔다.[6][12][15] 전투가 끝난 후 불가리아인들은 페개의 궁전을 불태우고 콘스탄티노플 성벽의 반대쪽 해안에 있는 골든수로 북쪽 지역을 약탈했다.[15]

여파

A page from a medieval manuscript
불가리아인들은 성 교회를 불태운다. 봄의 메리, 마나시스 크로니클

불가리아 군대가 콘스탄티노플 근처에서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하는 동안, 시메온 1세는 또 다른 주요 작전을 트라이스에서 준비하고 있었다. 수도인 프레슬라프를 떠나기 전 시메온 1세는 니콜라스 미스티코스 총대주교에게 편지를 보내 로마노스 1세 가족과 왕조 결혼에 대한 제안을 거절했다. 그는 로마노 1세가 자신을 위해 비잔틴 왕좌를 포기하는 조건에서만 평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16][17] 불가리아 군주는 이 끔찍한 전쟁에 책임이 있다는 미스티코스의 비난을 부인했고, 대신 914년 콘스탄티누스 7세에게 딸을 베드로하겠다는 자신의 제안을 거절하고 917년 불가리아를 공격한 조에 카르보놉시나 황후의 내시들을 비난했다.[18]

시메온 1세는 그의 군대의 선두에 서서 프레슬라프에서 발칸 산맥과 툰차 강 계곡을 행진하여 아드리아노플을 포위했다.[19] 불가리아군의 대부분이 트라이스에 집중되어 있는 동안, 비잔틴군은 불가리아 원생이었던 세르비아 왕자인 파블 브라노비치에게 뇌물을 주어 편을 바꾸게 했다. 불가리아인들은 세르비아에 대한 성공적인 개입으로 대답했고, 세르비아를 쉽게 장악했으며 또 다른 불가리아 후보인 자하리자 프리비사블제비치를 집권시켰다.[20] 세르비아에서의 분쟁은 921년 나머지 기간 동안 비잔틴 제국에 대한 불가리아의 군사작전을 방해했다.[6][21]

922년 불가리아인들은 비잔틴인들을 파티미드 칼리프하테와의 비밀 협상에서 벗어나 콘스탄티노플의 공동 공격을 위한 불가리아-아랍 동맹을 결성하기 위해 트라이스에서 다시 공세를 펼쳤다. 시메온 1세는 다른 군대가 비잔틴 수도로 보내지는 동안 아드리아노플의 포위망에 남아 있었다. 922년 6월 불가리아인들은 또 다른 비잔틴 군대를 전투하고 격파했다. 몇 주 후 아드리아노플은 항복했다.[22] 그 사이 비잔틴인들은 불가리아로 돌아가는 길에 불가리아와 파티미드 사절단과 함께 배를 나포했다. 따라서 로마노 1세는 협상에 대해 알게 되었고 불가리아인보다 더 비싸게 값을 불렀다.[23]

인용구

  1.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97
  2.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100
  3. ^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382, 408–410
  4. ^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98
  5. ^ Fine 1991, 페이지 145
  6. ^ Jump up to: a b c 안드리브 & 랄코프 1996, 페이지 101
  7. ^ Fine 1991, 페이지 150-151
  8. ^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406–407
  9. ^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408–409
  10. ^ Jump up to: a b 즐라타르스키 1972년 페이지 409
  11. ^ PmbZ, #23693 카우카노스.
  12. ^ Jump up to: a b c d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410
  13. ^ Jump up to: a b c d GIBI의 "George Hamartolos의 크로니클 계속" vol. VI,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소피아, 페이지 145
  14. ^ GIBI, V권,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소피아, 페이지 130에 있는 "Cronographia by Theophanes Continuatus"
  15. ^ Jump up to: a b c d e GIBI, V권,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소피아, 페이지 131에 있는 "Theophanes Continuatus에 의한 연대기"
  16. ^ Fine 1991, 페이지 151
  17. ^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410-411
  18. ^ 즐라타르스키 1972년 411페이지
  19. ^ 즐라타르스키 1972년 413페이지
  20. ^ Fine 1991, 페이지 150
  21. ^ 즐라타르스키 1972년 417페이지
  22. ^ 즐라타르스키 1972년 425페이지
  23. ^ 즐라타르스키 1972, 페이지 433-434

원천

좌표: 41°00′44″N 28°58′34″E / 41.01224°N 28.976018°E / 41.01224; 28.97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