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 25°16'55 ″N 82°57'23 ″E / 25.282°N 82.9563°E / 25.282; 82.9563

베나레스 주

Benares State
베나레스 주
1740–1948
Flag of Kashi-Benares
깃발
Coat of arms of Kashi-Benares
국장
Benares State (in red) in India 1940 (in green)
1940년 인도 베나레스 주(빨간색) (녹색)
Benares State in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인도 제국 관보의 베나레스 주
자본의베나레스 (카시)
공용어보즈푸리
종교
힌두교 (공식)
라자
• 1740–1770 (최초)
발완트 싱
• 1739–1947 (마지막)
비부티 나라얀 싱
역사
• 설립
1740
1948
선행후
성공한 사람
무굴제국
오우드 주
체로 왕조
인도 연합
오늘의 일부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바라나시
베나레스 주 라자 차이트
람나가르에 있는 마하라자의 요새와 궁전
1870년대 베나레스의 마하라자가 그의 궁정들과 함께합니다.

바나라스 왕국 또는 카시 왕국나라얀 왕조 아래 오늘날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위치한 왕국이었습니다. 1948년 10월 15일, 베나레스의 마지막 통치자는 인도 연합 가입에 서명했습니다.[1]

이 나라는 18세기 중반에 "베나레스의 라자"라는 칭호를 받은 푸미하르[2] 라자 발완트 싱에 의해 세워졌습니다. 그의 후손들은 아와드에서 해방된 후 베나레스 주변 지역을 봉건 동인도 회사로 통치했습니다. 1910년에 베나레스는 인도의 본격적인 주가 되었습니다.[3]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인도에 병합된 국가이지만, 오늘날까지도 카시 나레쉬(제호 통치자)는 바라나시 사람들에게 높은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베나라스의 통치자는 그 주의 종교적인 우두머리였고, 베나레스 사람들은 그가 시바경에 의해 가시의 왕위를 수여받았다고 여겼습니다(그를 대리하여 가시 나레시라고 칭함). 그는 또한 최고의 문화 후원자였으며 모든 종교 행사에서 필수적인 부분이었습니다. 1948년 카시의 88대 통치자 비부티 나라얀 싱은 초대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의 요청을 받아들여 인도 연합 가입에 서명했습니다.[1]

역사

프린스리 스테이트

나중에 왕자가 된 베나레스의 초기 통치자들은 원래 무굴 제국아와드 지방을 위한 자민다르였으며 나중에 독립국이 되었습니다.

현재 바라나시로 알려진 대부분의 지역은 우타리아자민다르인 만사 람이 인수했습니다. 1737년 우타리아의 통치자였던 발완트 싱은 1737년 델리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로부터 자운푸르(푸른의 자민다르가 독립적으로 통치했던 바얄라시 제외), 바라나시, 추나르야기르족을 넘겨받았습니다. 베나라스 왕국은 무굴 왕조 시대에 이런 식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가시 나레쉬의 다른 왕권 아래에는 찬둘리, 갸누르, 차키아, 라티프샤, 미르자푸르, 난데슈와르, 조폐국, 빈디아찰이 있었습니다.

무굴의 종주권이 약화되면서 베나레스 자민다리 영지는 바나라스 주가 되었고 나라얀 왕조발완트 싱은 영토를 다시 장악하고 1740년에 자신을 베나레스의 마하라자로 선포했습니다.[4] 그들이 쉬었던 강력한 씨족 조직은 덜 알려진 힌두교 왕자들에게 성공을 가져다 주었습니다.[5] 후에 베나레스, 고라크푸르, 아잠가르 지역이 된 곳에는 베나레스 라자의 힘을 뒷받침하는 푸미하르 브라만 씨족이[6] 10만 명이나 있었습니다.[5] 이것은 1750년대와 1760년대에 왕조가 경쟁자이자 명목상의 종주국인 오우드의 나와브에 직면했을 때 결정적인 이점으로 증명되었습니다.[5] 베나레스 통치자가 오우드 진영을 상대로 벌인 지칠 줄 모르는 게릴라전으로 나와브족은 주력 부대를 철수해야 했습니다.[5]

베나레스는 1911년에 왕자의 주가 되었습니다.[7] 그것은 13발의 경례의 특권이 주어졌습니다.

델리 국립박물관에 있는 베나라스 라자의 왕좌.

람나가르의 역사

나레쉬의 주거용 궁전은 바라나시 근처 람나가르에 있는 람나가르 요새갠지스 강 옆에 있습니다.[8]

람나가르 요새는 라자 발완트 싱이 18세기에 크림색 추나르 사암으로 지었습니다. 조각된 발코니, 탁 트인 마당, 그림 같은 정자가 있는 전형적인 무굴 양식의 건축입니다.[9]

카시 나레쉬바나라스 힌두 대학 캠퍼스를 짓기 위해 도시 외곽에 1,300에이커(5.3km2)가 넘는 땅을 기부했습니다.

1983년 1월 28일, 카시 비슈와나트 사원우타르프라데시 주 정부에 의해 인수되었고, 그 관리는 신탁으로 넘어갔고, 당시 카시 나레쉬가 회장으로 있었고, 사단장이 회장으로 있는 집행위원회가 있었습니다.[10]

람나가르의 람 릴라

두세라 축제가 화려한 미인대회로 시작될 때, 카시 나레쉬는 코끼리를 행렬의 선두에 탑니다. 그런 다음 비단과 브로케이드를 입은 채 한 달 동안 람나가르에 있는 람릴라민속 극장을 개관합니다.[11]

람릴라툴시다스가 쓴 라마야나의 판본인 람카리트마나스에 나오는 라마경의 서사시를 되짚어보는 연극의 순환입니다. 마하라자의 후원을 받는 이 연극들은 매일 저녁 람나가르에서 31일 동안 공연됩니다. 마지막 날 라마가 마왕 라바나를 완파하면서 축제는 절정에 달합니다. Maharaja Udit Narayan Singh는 19세기 중반에 람나가르에서 람렐라를 상연하는 이 전통을 시작했습니다.[11]

매년 백만 명이 넘는 순례자들이 카시 나레쉬에 의해 조직된 거대한 행렬과 공연을 위해 도착합니다.[12]

지리

1737년부터 바라나시를 포함한 오늘날의 대부분의 바다히, 찬둘리, 자운푸르, 미르자푸르, 손바드라, 바라나시 지역을 포함했습니다. 발완트 싱은 파즐 알리를 현재의 가지푸르발리아에서 추방하고 자신의 영토에 추가했습니다.[13]

1775년에서 1795년 사이에 영국은 점차적으로 대부분의 주의 행정을 장악했고, 라자는 두 개의 분리된 지역, 즉 현재의 바다히 지구에 해당하는 동부 지역과 현재의 찬둘리 지구의 차키아 테실을 포함하는 남부 지역을 직접 관리하도록 남겼습니다. 이 두 지역은 1911년부터 1948년까지 베나레스의 왕자 주를 구성했습니다. 라자는 임대료에서 특정 수익과 특정 관리권을 유지했으며, 나머지 영토에서는 영국이 통합 지방의 일부인 베나레스 사단으로 관리했습니다. 라자들은 람나가르에 그들의 주요 거주지를 만들었습니다.

올 인디아 카시 라지 트러스트

푸라나스에 대한 진지한 작업은 카시의 마하라자인 비부티 나라얀 박사의 후원과 지도 아래 전인도 카시라이즈 신탁이 설립되었을 때 시작되었으며, 이 신탁은 푸라나스의 비평판을 제작했을 뿐만 아니라 학술지 푸라남을 발행했습니다.[14]

람나가르의 뱌사 사원

뱌사 카시(Vyasa Kasi)는 카시를 순례하는 사람들이 여러 시대에 걸쳐 부르는 이름으로 람나가르(Ramnagar) 근처에 있습니다. 세이지 뱌사를 위한 사원이 강가의 맞은편 카시와 마주보고 있는 이곳에 있습니다. 사원은 카시에서 도로로 19km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옛날 옛적에, 이 지역 전체가 바다리 나무 숲으로 덮여있었습니다. (바다리는 힌디어로 '벨' 또는 '베르', 영어로 '쥬쥬브'라고 불립니다.) 바다리는 가시가 많은 덤불 같은 나무로 작고 새콤달콤한 열매를 맺습니다. 뱌사는 바다리나무 사이에서 살았기 때문에 '바다리나무 덤불 사이에서 이동한 사람'(Baadarayana)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카시로 순례를 떠나는 사람들은 반드시 뱌사 카시를 방문합니다. 그들은 강가를 흐르는 배를 통해 이동합니다. 그러나 일단 뱌사카시에 도착하면, 그들은 그곳의 투어를 매우 빨리 끝내고 일몰 전에 카시로 돌아옵니다. 아무도 이곳에서 밤을 지새우지 않습니다.

2000-2500년 전 제자들과 함께 이 숲에서 살아야 했던 현자 뱌사는 베다 뱌사, 크리슈나 드와이파야나, 파라사랴(리시 파라사라의 아들), 사티아바테야(어머니 사티아바티의 아들)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그는 카시의 지배신 비스와나트 경에 의해 카시 성에서 추방당하면서 그곳에서 살아야 했습니다.유명한 푸란족의 이야기에 따르면, 뱌사바라나시에서 구호를 받지 못했을 때, 그는 도시에 저주를 걸었다고 합니다.[15] 얼마 지나지 않아 파르바티시바가 가주로 인간의 모습을 갖춘 집에서 뱌사는 받은 구호에 너무나 기뻐하며 저주를 잊었습니다. 그러나 시바는 뱌사의 성질이 나빠 바라나시에서 그를 추방했습니다. 근처에 남기로 결심한 뱌사는 갠지스 강 반대편에 거주하기 시작했고, 그곳에서 그의 사원은 여전히 람나가르에서 볼 수 있습니다.[15]

통치자들

이 나라의 통치자들은 "마하라자 바하두르"라는 칭호를 달고 다녔습니다.

마하라자 바하두르스

마하라하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Benares Princely St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ne 2017. Retrieved 18 June 2014.
  2. ^ Lethbridge, Roper (1893). The golden book of India, a genealogical and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ruling princes, chiefs, nobles, and other personages, titled or decorated, of the Indian empire. Robarts - University of Toronto. London Macmillan. p. 66.
  3. ^ Swati Mitra 2002, pp. 124-126.
  4. ^ Bayly, C. A. (19 May 1988). Rulers, Townsmen and Bazaars: North Indian Society in the Age of British Expansion, 1770–1870. CUP Archive. pp. 17–. ISBN 978-0-521-31054-3.
  5. ^ a b c d Bayly, Christopher Alan (1983). Rulers, Townsmen, and Bazaars: North Indian Society in the Age of British Expansion, 1770–18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89 (at p 18). ISBN 978-0-521-31054-3.
  6. ^ Bayly, C. A. (19 May 1988). Rulers, Townsmen and Bazaars: North Indian Society in the Age of British Expansion, 1770-1870. ISBN 9780521310543.
  7. ^ Benares (Prince State) 2006년 2월 21일 Wayback Machine보관 – 바라나시의 Maharajas에 관한 문서
  8. ^ "A review of Varanas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09. Retrieved 16 August 2006.
  9. ^ Swati Mitra 2002, p. 216.
  10. ^ "Official website of Varanas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07. Retrieved 16 August 2006.
  11. ^ a b Swati Mitra 2002, p. 126.
  12. ^ Banham, Martin (1995). The Cambridge Guide to Theatre (seco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47. ISBN 978-0-521-43437-9.
  13. ^ 가지푸르 구, 인도 제국 관보, 옥스포드, Clarendon Press, 1908-1931. v. 12, p. 224.
  14. ^ Mittal, Sushil (2004). The Hindu World. Routledge. pp. 657. ISBN 978-0-415-21527-5.
  15. ^ a b Swati Mitra 2002, p. 129.

서지학

외부 링크

25°16'55 ″N 82°57'23 ″E / 25.282°N 82.9563°E / 25.282; 82.9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