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
Rama라마 | |
---|---|
다샤바타라의 일원 | |
데바나가리 | राम |
산스크리트어 번역 | 라마 |
소속 | |
전임자 | 다샤라타 |
후계자 | 용암 |
거주지 | |
만트라 | 자이슈리람 Jai Siya Ram 토끼 라마 라마나마 반복 |
무기 | 샤랑가(활)와 화살 |
군대 | 바나라 세나 아요디안 군 |
데이 | 목요일. |
텍스트 | |
성별 | 남자 |
페스티발스 | |
개인정보 | |
태어난 | |
죽은 | 사라유 강, 아요디아, 코살라 (오늘날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
부모님 | |
형제의 | |
배우자. | 시타[3] |
아이들. | |
다이너스티 | Raghuvamsha-Suryavamsha |
라마(/ˈ어 ɑː ə/; 산스크리트어: राम어, 로마자: 라마; 산스크리트어:ˈ라 ː ɐ)는 힌두교의 주요 신입니다. 그는 비슈누의 일곱 번째이자 가장 인기 있는 아바타 중 한 명입니다. 라마 중심의 힌두교 전통에서 그는 최고의 존재로 여겨집니다.[5]
라마는 코살라 왕국의 수도 아요디아에서 카우살라와 다샤라타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형제로는 락슈마나, 바라타, 샤트루그나가 있었습니다. 그는 시타와 결혼했습니다. 라마의 삶은 왕실에서 태어났지만,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으로 망명하는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변화와 윤리적 질문과 도덕적 딜레마에 의해 도전받는 것으로 힌두 문헌에 묘사되어 있습니다.[6] 그의 모든 고난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악마 왕 라바나가 시타를 납치한 것이고, 이어서 라마와 락슈마나가 그녀의 자유를 얻고 큰 역경에 맞서 사악한 라바나를 파괴하려는 단호하고 서사적인 노력이 뒤따릅니다.
라마, 시타 그리고 그들의 동료들의 전체 인생 이야기는 우화적으로 개인의 의무, 권리, 사회적 책임에 대해 논의합니다. 모델 캐릭터를 통해 달마와 달마의 삶을 보여줍니다.[6][7]
라마는 특히 바이슈나비즘에 중요합니다. 그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문화권에서 역사적으로 인기 있는 텍스트인 고대 힌두 서사시 라마야나의 중심 인물입니다.[8][9][10] 그의 고대 전설들은 바샤(해설)와 광범위한 중등 문학을 끌어들였고 공연 예술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그러한 텍스트는 라마난디 수도원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간주되는 정신적이고 신학적인 논문인 Adhyatma Ramayana와 [11]인도에서 매년 가을 동안 수천 개의 람릴라 축제 공연에 영감을 주는 인기 있는 논문인 Ramcharitmanas입니다.[12][13][14]
라마 전설은 자이나교와 불교의 문헌에서도 발견되지만, 이 문헌들에서 그는 파우마 또는 파드마라고 불리기도 하며,[15] 그 세부 사항은 힌두교의 문헌들과 상당히 다릅니다.[16] 자인 텍스트는 또한 라마를 63명의 살라카푸루사 중 8번째 발라바드라로 언급했습니다.[17][18][19] 시크교에서 라마는 다삼 그란트의 쇼비스 아브타르에 있는 비슈누의 24명의 신성한 아바타 중 한 명으로 언급됩니다.[20]
어원 및 명명법
라마는 람(Ram), 라만(Raman), 라마(Ramar), 라마(Ramachandra), 라마찬드라(/ ˌr ɑːm əˈt ʃændr ə/; IAST: Rāmacandra, 산스크리트어: रामचन्द्र)라고도 합니다. Rāma는 두 가지 맥락적 의미를 가진 베다 산스크리트어입니다. 한 맥락에서, 모니에-윌리엄스(Monier-Williams)가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은 "어두운, 어두운 색, 검은 색"을 의미하고 밤을 의미하는 라트리(ratri)라는 용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베다 문자의 다른 맥락에서, 이 단어는 "즐겁고, 즐겁고, 매력적이고, 아름답고, 사랑스럽다"는 뜻입니다.[23][24] 이 단어는 때때로 불교 문헌의 Pali와 같은 다른 인도 언어와 종교에서 접미사로 사용되는데, 여기서 -rama는 합성어에 "마음에 즐거움을, 사랑스럽게"라는 감각을 더합니다.[25]
라마는 베다 문헌에 등장하며, 서로 다른 개인들을 나타내는 마르가베야(Margaveya)와 아우파타스비니(Aupatasvini)라는 두 개의 후대적인 이름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라마 자마다그냐라는 이름의 세 번째 사람은 힌두 전통에서 리그베다의 찬송가 10.110의 저자로 알려져 있습니다.[23] 라마라는 단어는 고대 문헌에서 세 사람에 대한 경건한 용어로 등장합니다.[23]
- 파라슈라마, 비슈누의 여섯 번째 아바타. 그는 리그베다 명성의 라마 자마다냐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라마찬드라는 비슈누의 일곱 번째 아바타이자 고대 라마야나 명성의 인물입니다.
- 할라유다라고도 불리는 발라라마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의 전설에 둘 다 등장하는 크리슈나의 형입니다.
라마라는 이름은 신화 속의 많은 다른 학자들과 왕들을 위해 힌두 문헌에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23] 이 단어는 고대의 우파니샤드와 아라니야카스 층의 베다 문학, 그리고 음악과 다른 베다 이후의 베다 문학에서도 나타나지만, 어떤 것 또는 "매력적이고, 아름답고, 사랑스럽다" 또는 "어둠, 밤"을 가진 사람의 자격 있는 맥락에서 나타납니다.[23]
라마라는 이름의 비슈누 아바타는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라마찬드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달)[24] 또는 다사라티 (다사라타의 아들) 또는 라그하바 (힌두 우주론에서 태양 왕조 라구의 후손)라고 불립니다.[23][26] 그는 람랄라(Ram Lalla, 라마의 유아 형태)로도 알려져 있습니다.[27]
라마의 추가적인 이름은 라마비자야(자바어), 프레아 렘(크메르), 프라 람(라오어와 태국어), 메가트 세리 라마(말레이어), 라자 반투간(마라나오), 라무두(텔루구), 라마(타밀) 등입니다.[28] 라마는 비슈누의 394번째 이름입니다. 일부 Advaita Vedanta 영감을 받은 텍스트에서 라마는 요기들이 비이원론적으로 기뻐하는 영원히 행복한 영적 자아(아트만, 영혼)인 슈프림 브라만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내포합니다.[29]
라마라는 단어의 어원은 람인데, "멈추고, 가만히 서 있고, 쉬고, 기뻐하고, 기뻐하라"는 뜻입니다.[24]
더글러스 큐에 따르면. 아담스, 산스크리트어 라마는 토카리안 람, 레메, *로모와 같은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도 발견됩니다. 여기서 라마는 "지지, 가만히," "목격자, 명백하게"를 의미합니다.[24][30] "어둡고, 검고, 그을음"이라는 감각은 *remos 또는 Old English romig와 같은 다른 인도 유럽 언어에서도 나타납니다.[31][β]
전설들
이 요약본은 라마야나의 문헌적인 세부사항과 불교와 자이나교의 다른 역사적인 신화를 포함하는 텍스트에 기초한 전통적인 전설적인 이야기입니다. 셸던 폴록(Sheldon Pollock)에 따르면 라마의 형상은 발리(Bali)와 나무치(Namuci)의 신화 전설과 같은 더 오래된 "인도 신화의 형태소"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고대 현자 발미키는 3.27절, 3.59절, 3.73절, 5.19절, 29.28절과 같이 라마야나 시밀에 이러한 형태소를 사용했습니다.[33]
출생.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는 발라칸다에서 라마와 그의 형제들이 사라유 강둑에 있는 도시 아요디아의 카우샬야와 다샤라타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말합니다.[34][35] 비말라수리의 파우마카리야(Paumacariya, 글자 그대로 파드마의 행적)와 같은 라마야나의 자인어판에도 라마의 초기 생애에 대한 세부 사항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자인 문자는 다양하게 연대가 측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서기 500년 이전으로, 아마도 공통 시대의 첫 5세기 중에 언제쯤일 것입니다.[36] Moriz Winternitz는 발미키 라마야나가 1세기 후반의 자인 파우마카리야 시에서 다시 주조되기 전에 이미 유명했다고 진술하고 있는데, 이 시는 아스바고사의 붓다-카리타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개작이 서기 2세기 초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37]
다샤라타는 코살라의 왕이었고, 익스바쿠스의 크샤트리야 태양 왕조의 일부였습니다. 그의 어머니의 이름 카우샬야는 말 그대로 그녀가 코살라 출신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코살라 왕국은 불교와 자인 문헌에서도 언급되고 있는데, 고대 인도의 16개 마하 자나파다 중 하나이며, 자인과 불교도들의 순례의 중요한 중심지입니다.[34][38] 그러나 현대의 아요디아가 라마야나와 다른 고대 인도 문헌에서 언급된 아요디아와 코살라와 같은지에 대해서는 학자적 논쟁이 있습니다.[39][γ]
라마야나에 따르면 라마의 탄생은 인간으로서의 신(비슈누)의 화신입니다. 반신반신들이 땅 위에서 라바나의 행세로부터 해방을 찾아 브라흐마로 갔을 때, 비슈누 자신이 나타나 라마(인간)로 화신하여 라바나를 죽이겠다고 말했습니다(브라흐마의 호의로 인해 신을 포함한 모든 것으로부터 그가 무능력해졌기 때문에, 인간을 제외하고는).[41]
청소년, 가족, 친구
라마야나의 발라칸다 편에 따르면 라마에게는 형제가 셋 있었습니다. 그들은 락스마나와 바라타와 샤트루냐였다.[3] 현존하는 본문의 필사본에는 그들의 교육과 훈련이 어린 왕자로 묘사되어 있지만, 이는 간략합니다. 라마는 예의 바르고, 자기 통제적이며, 항상 다른 사람들을 도울 준비가 된 도덕적인 젊은이로 묘사됩니다. 그의 교육에는 베다족, 베당족뿐만 아니라 무술도 포함되었습니다.[43]
라마가 성장한 세월은 툴리다스의 라마발리와 같은 후기 힌두 문헌에 의해 훨씬 더 자세히 설명됩니다. 템플릿은 크리슈나에게 발견되는 것과 비슷하지만 툴리다스의 시에서 라마는 장난을 치는 외향적인 크리슈나의 성격보다는 온화하고 내성적입니다.[3]
미틸라 왕국에서 라마는 활시위 대회에서 우승하고, 따라서 야나카 왕의 딸 ī타의 손에 넘어갑니다. 결혼 후, Rāma는 Ayodhya로 그녀를 다시 데리고 갑니다.[44]
라마와 그의 형제들이 자리를 비운 사이, 바라타의 어머니이자 다샤라타 왕의 두 번째 부인인 카이케이는 왕에게 그녀가 묻는 한 가지, 무엇이든 따르겠다고 오래 전에 약속했다는 것을 상기시킵니다. 다샤라타는 그렇게 하는 것을 기억하고 동의합니다. 그녀는 라마를 단다카 숲으로 14년 동안 추방할 것을 요구합니다.[43] 다샤라타는 그녀의 요청에 슬퍼합니다. 그녀의 아들 바라타와 다른 가족들은 그녀의 요구에 화가 납니다. 라마는 아버지가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하고, 지상적이거나 천상의 물질적 쾌락을 갈망하지 않으며, 권력이나 다른 어떤 것도 추구하지 않는다고 덧붙입니다. 아내에게 자신의 결정을 알리고 시간이 빨리 흐른다고 모두에게 말합니다. 시타는 숲에서 살기 위해 그와 함께 떠나고, 락슈마나는 그들의 유배지에서 자상한 친한 동생으로 합류합니다.[43]
유배와 전쟁
라마는 코살라 왕국 밖으로 나가 야무나 강을 건너 처음에는 만다키니 강둑에 있는 치트라쿠타(Chitrakuta)에 머물며, 현자 바실사의 암자입니다.[45] 망명 기간 동안 라마는 그의 헌신적인 신자 중 한 명인 샤바리를 만나게 되는데, 샤바리는 라마가 먹을 것을 요청했을 때 과일인 과일을 그녀에게 바쳤습니다. 하지만 그녀가 그것을 그에게 줄 때마다 그녀는 그녀의 헌신에 대한 증거로서 그것이 달콤하고 맛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그것을 처음 맛보았습니다. 라마 역시 그녀의 헌신을 이해하고 그녀가 준 반쯤 먹은 것들을 모두 먹었습니다. 그것은 그가 백성들을 위해 가졌던 사랑과 연민의 보답이었습니다. 이곳은 힌두 전통에서 우타르프라데시주와 마디아프라데시주의 경계에 있는 치트라쿠트와 같은 곳으로 여겨집니다. 이 지역에는 수많은 라마 사원이 있으며 중요한 바이슈나바 순례지입니다.[45] 본문에는 아트리와 같은 베디크리시스(현자)의 인근 암자들과 라마가 숲을 거닐며 소박한 삶을 살았고, 숲 속의 금욕자들이 서로 다른 아쉬람에 머물면서 악마에게 괴롭힘과 박해를 받는 것을 보호하고 구제해 주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45][46]
10년간의 방황과 투쟁 끝에 라마는 고다바리 강둑에 있는 판차바티에 도착합니다. 이 지역에는 수많은 악마(락샤샤)들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슈르파나카라는 악마가 라마를 보고 그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를 유혹하려고 했습니다.[43] 라마는 그녀를 거부했습니다. 슈르파나카는 시타를 위협하며 보복했습니다. 가족을 보호하는 동생 락슈마나는 차례로 슈르파나카의 코와 귀를 잘라내며 보복했습니다. 폭력의 주기는 증가했고, 결국 슈르파나카의 형제였던 악마 왕 라바나에게 도달했습니다. 라바나는 가족을 대신하여 복수하기 위해 판차바티로 와서 시타를 보고 매혹되어 그녀를 그의 왕국인 스리랑카(현재의 스리랑카로 추정됨)로 납치합니다.[43][46]
Rama와 Lakshmana는 납치를 발견하고, Sita의 안전에 대해 걱정하고, 그들의 상실에 절망하고, Ravana를 상대할 자원이 부족합니다. 그들의 투쟁은 이제 새로운 경지에 이르렀습니다. 그들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원숭이 군대인 마셜 수그리바를 만나고 수그리바의 장관이었던 하누만과 같은 헌신적인 지휘관들을 끌어들입니다.[47] 한편, 라바나는 시타를 그의 아내, 여왕 또는 여신이 되도록 괴롭힙니다.[48] 시타는 그를 거부합니다. 라바나는 격분하여 결국 스리랑카에 도착하고, 우여곡절이 많은 전쟁에서 싸우지만, 결국 라마가 승리하여 라바나와 악의 세력을 죽이고 아내 시타를 구출합니다. 그들은 아요디아로 돌아옵니다.[43][49]
전후의 지배, 죽음과 재등장
라마의 아요디아로의 귀환은 그의 대관식과 함께 축하되었습니다. 그것은 라마팟타비셰카라고 불리며, 그의 통치 자체는 라마 라즈야가 정의롭고 공정한 규칙이라고 묘사했습니다.[50][51] 라마가 돌아왔을 때 사람들은 자신들의 행복을 diyas(등)로 축하했고, 디왈리 축제는 라마의 귀환과 연결되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은 믿습니다.[52]
라마가 왕으로 즉위하자 시타가 라바나와 함께 있을 때 기꺼이 갔을 것이라는 소문이 퍼집니다. 시타는 그녀를 강제로 잡았다고 항의합니다. 라마는 세간의 소문에 대해 아내를 버리고 아그니(불) 앞에서 정조를 증명해 달라고 부탁하는 등 화답합니다. 그녀는 시험을 보고 통과합니다. 라마와 시타는 아요디아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으며 라마야나와 다른 주요 문헌에서 쿠샤와 라바라는 이름의 쌍둥이 아들을 두고 있습니다.[46] 그러나 일부 수정에서는 시타가 자신을 믿지 못하는 남편에 대한 슬픔으로 죽어 시타를 도덕적 여주인공으로 만들고 라마에 대한 도덕적 질문을 독자에게 남기는 등 이야기가 다르고 비극적입니다.[53][54] 이 수정본에서 시타의 죽음으로 라마는 스스로 익사합니다. 죽음을 통해 그는 사후세계에서 그녀와 함께 합니다.[55] 라마가 물에 빠져 죽고 나서 하늘에 비슈누의 6개의 팔을 가진 화신으로 나타나는 묘사는 버마어판 라마의 삶 이야기인 티리 라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56]
변주곡
라마의 전설은 지역에 따라 그리고 원고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선과 악의 싸움과 관련된 공통적인 기초, 줄거리, 문법 및 가치의 본질적인 핵심이 있지만 올바른 버전이나 검증 가능한 고대의 것은 단 하나도 없습니다. Paula Richman에 따르면, "인도, 동남아시아 그리고 그 너머의 라마 이야기"의 수백 가지 버전이 있다고 합니다.[57][58] 그 버전들은 지역 선점과 역사를 반영하여 지역별로 다양하며, 이것들은 "진짜" 버전과 "차이나 다른 이야기"라고 할 수 없으며, 오히려 모든 라마 이야기 버전이 지역 문화 전통에 대한 그 자체의 의미에서 실제이고 진실이라고 할 수 있다고 리치만과 라마누잔과 같은 학자들은 말합니다.[57]
이야기는 구체적으로 다양한데, 특히 도덕적 질문은 분명하지만 적절한 윤리적 대응은 불분명하거나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59][60] 예를 들어, 악마 슈르파나카가 라마를 유혹하기 위해 여자로 변장한 후 라마가 거부한 후 라마의 아내 시타를 스토킹하고 괴롭힐 때, 락슈마나는 적절한 윤리적 대응의 문제에 직면합니다. 리치먼은 인도의 전통에서 사회적 가치는 "전사가 여성을 해치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59] 라마와 락슈마나의 반응과 그에 대한 정당성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러 버전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라마가 시타에 대한 소문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한 수많은 다른 버전들이 있는데, 소문들이 객관적으로 조사될 수도 없고 간단히 무시될 수도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말입니다.[61] 마찬가지로 라마, 시타, 락슈마나가 죽는 방법과 같은 다른 많은 특정 상황과 폐쇄에 따라 버전이 다릅니다.[59][62]
힌두교 전통에서 볼 수 있는 텍스트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자인 전통의 라마 이야기는 작가와 지역에 따라 세부적으로, 암묵적인 윤리적 처방과 심지어 이름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는데, 이전의 버전들은 라마 대신 파드마라는 이름을 사용한 반면, 이후의 자인 텍스트들은 라마만 사용합니다.[63]
데이트
일부 힌두 문헌에서는 라마가 기원전 5,000년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트레타 유가에[64]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시 인도 역사와 고대 인도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고고학자 H. S. S. Sankalia는 그러한 추정이 "순수한 추측"이라고 생각합니다.[65] 다른 몇몇 연구자들은 더 현실적인 통치 기간이 주어지면 라마의 동시대 사람들인 바라트와 사트와타를 배치할 수 있는 쿠루와 브리슈니 지도자들의 섭정 목록을 근거로 라마가 기원전 1250년경에 살았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66] 산칼리아는 라마야나의 다양한 사건들이 기원전 1,500년경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65][67]
라마의 서사시인 라마야나의 현재 형태의 구성은 대개 기원전 8세기에서 4세기 사이로 거슬러 올라갑니다.[44][68][69] 라마야나에 대한 출판물로 유명한 옥스퍼드의 산스크리트어 교수인 존 브로킹턴에 따르면, 원문은 더 고대에 작곡되었고 구두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대 학자들은 기원전 1,000년에 다양한 세기를 제안했습니다. 브로킹턴의 견해에 따르면, "작품의 언어, 스타일, 내용에 근거하여, 대략 기원전 5세기의 날짜가 가장 합리적인 추정치입니다."[70]
아이콘화 및 물리적 특성
라마 도상학은 비슈누의 아바타의 요소를 공유하지만 몇 가지 독특한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두 손을 가지고 있고 오른손에는 바나(화살)를 들고 있고 왼손에는 다누스(활)를 잡고 있습니다.[71] 그에게 가장 추천되는 아이콘은 그가 트리방가 포즈(세 번 구부러진 "S" 모양)로 서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는 검은색, 파란색 또는 어두운 색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붉은 색의 옷을 입습니다. 라마는 종종 그의 왼쪽에 그의 형제 락슈마나와 동행하고 그의 컨소시엄 시타는 항상 그의 오른쪽에, 둘 다 황금색과 노란색의 안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원숭이 친구 하누만은 팔짱을 끼고 근처에 서 있습니다. 이 그룹은 라마의 형제 바라타와 샤트루그나와도 동행할 수 있습니다.[71]
라마야나는 라마를 어두운 안색(바르 ṇ람 ś얌)과 긴 팔(āj reaches knee, 가운데 손가락이 무릎 너머까지 닿는 사람을 뜻하는 ānabhu)의 매력적이고 잘 생긴 사람으로 묘사합니다. 서사시의 순다라 칸다 부분에서 하누만은 라마가 정말 라마의 전령사임을 증명하기 위해 그녀가 스리랑카에서 포로로 잡혔을 때 시타에게 다음과 같이 묘사합니다.
그는 넓은 어깨와, 힘센 팔과, 소라 모양의 목과, 매력적인 얼굴과, 구리빛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쇄골을 감췄고 사람들에게 라마로 알려졌습니다. 그의 목소리는 (깊고), 마치 케톤드럼 소리와 같은, 윤기 나는 피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광이 넘치고 네모난 체격과 proport이 잘 어우러진 팔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짙은 갈색의 안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철학과 상징성
라마의 인생 이야기는 상징성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셸던 폴록(Sheldon Pollock)에 따르면, 인도 문헌에서 말하는 라마의 삶은 세계와 삶의 본질을 대표하고 개념화하고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는 걸작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의 주요 서사시나 종교 이야기처럼, 그것은 "그것이 무엇인지를 문화에 알려주기" 때문에 중요한 관련이 있습니다. 라마의 삶은 불멸의 강력한 신들이나 영웅들과 인간들의 사투가 분명한 선과 악의 싸움에 대한 서구의 판형보다 더 복잡합니다. 인도의 전통, 특히 라마에서 이야기는 인간과 신 모두를 초월하는 모범에 포함되는 신성한 인간, 즉 필멸의 신에 관한 것입니다.[74]
악에 대한 대응
우월한 존재는 악을 위해 악을 만들지 않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지켜야 할 격언입니다.
덕망 있는 사람의 장식은 그들의 행위입니다.
(...)
고결한 영혼은 동정심을 발휘할 것입니다.
심지어 다른 사람들을 다치게 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Ramayana 6.115, Valmiki
(Abridged, Translator: Roderick Hindery)[75]
라마는 한 사람으로서 이상적인 사람의 특징(푸루쇼타마)을 의인화합니다.[54] 그는 그 안에 개인이라면 누구나 열망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덕목들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그는 모든 도덕적 의무를 다합니다. 라마는 마랴다 푸루쇼타마 또는 법의 최고 지지자로 여겨집니다.[76]
Rodrick Hindery에 따르면, 2권, 6권, 7권은 윤리적 연구로 주목할 만하다고 합니다.[77][60] 라마의 견해는 "이성과 감정"을 결합하여 "생각하는 마음" 접근법을 만듭니다. 둘째, 그는 "자의식과 행동"의 결합을 통해 "성격의 윤리"를 창조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셋째, 라마의 삶은 삶의 미학과 윤리를 결합합니다.[77] 라마와 그의 삶 속 사람들의 이야기는 "악을 이용하여 악에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가?"와 같은 의문을 제기한 다음 업과 법 등 인도 신앙의 틀 안에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75]
라마의 삶과 논평은 삶을 추구하고 온전히 살아야 하며, 세 가지 삶의 목표인 덕(법), 욕망(가마), 정당한 부의 획득(아르타)이 모두 동등하게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라마는 또한 라마야나 4.38절과 같이 자신의 고유한 의무, 적절한 책임, 진정한 이익, 정당한 쾌락이 무엇인지를 내향적으로 생각하고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입니다.[42]
문헌자료
라마야나
라마의 삶의 주요 원천은 리시 발미키가 작곡한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라마야나입니다.[78]
서사시는 인도의 여러 지역에 걸쳐 많은 버전이 있었습니다. 마드바차리아의 추종자들은 라마야나의 오래된 버전인 뮬라-라마야나가 이전에 존재했다고 믿습니다.[79] 마드바 전통은 그것이 발미키의 버전보다 더 권위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80]
라마야나어의 판본은 대부분의 주요 인도 언어에 존재하며, 라마의 삶, 행적, 신성한 철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예로는 서사시 라마바타람과 라마의 삶 이야기의 다음과 같은 고유어 판본이 있습니다.[81]
- 시인 캄바르의 타밀어 라마바타람 또는 캄바-라마야남. (12세기)
- 시인 마드하바 칸달리의 아사메어의 삽타칸다 라마야나. (14세기)
- 시인 크리티바스 오즈하의 벵골어 크리티바시 라마야나. (15세기)
- 아와디의 람차리트마나스 산트 툴시다스. (16세기)
- 칸나다의 팜파 라마야나, 쿠마라 발미키의 토라베 라마야나, 쿠벰푸의 스리 라마야나 다르샤남.
- 마라티의 바바르타 라마야나 산트 에크나트. (16세기)
- 랑가나타 라마야남(c.1300년)과[82] 텔루구의 비스와나타 사티아나라야나 라마야나 칼파브룩샴.
- 오디아의 빌란카 라마야나
- 말라얄람어의 Eluttachan (이 텍스트는 Advaita Vedanta에서 영감을 받은 공연 Adhyatma Ramayana에 더 가깝습니다).[83]
서사시는 인도 전역에서 다양한 언어와 문화 전통에서 발견됩니다.[84]
Adhyatma Ramayana
Adhyatma Ramayana는 라마야나 이야기에서 영성주의를 찬양하는 중세 후기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입니다. 브라만다 푸라나의 후반부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약 3분의 1을 구성합니다.[85] 본문은 라마 신에서의 박티와 샤크티즘과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조화를 철학적으로 시도하는데, 이는 65장, 4,500절에 이릅니다.[86][87]
본문은 라마를 브라만(형이상학적 현실)으로 표현하며 라마의 모든 속성과 측면을 추상적 덕목과 영적 이상으로 매핑합니다.[87] Adhyatma Ramayana는 Advaita 용어로 묘사된 은유와 함께 Ramayana를 자신의 영혼에 대한 자기 연구의 상징으로 바꿉니다.[87] 그것은 툴시다스의 인기 있는 람차리트마나스에 영향을 미쳤고,[85][87] 바누바크타 아차리아의 가장 인기 있는 네팔 라마야나 버전에 영감을 주었습니다.[88] 이것은 또한 툰차트 에즈후타찬에 의해 말라얄람어로 번역되었는데, 이것은 말라얄람어 문학의 기초 자체를 주도합니다.[89]
라마차리트마나스
라마야나어는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인 반면, 라마차리타마나사는 여러 힌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93]의해 인도 북부에서 흔히 이해되는 아와디어로 라마야나어를 다시 말합니다.[94][95][96] 라마차리타마나사는 16세기에 툴시다스에 의해 작곡되었습니다.[97][98][93] 대중적인 텍스트는 원래의 전설과 사상이 개인적인 신에 대한 영적인 박티의 표현으로 형성되는 박티 운동의 틀에서 서사시를 종합한 것으로 유명합니다.[93][99][δ]
툴리다스는 라마와 발미키 라마야나의 다른 인물들이 그들의 속성(사구나 서사)과 함께 영적 용어와 속성(니르구나 현실) 없는 아트마(영혼, 자아, 브라만)의 추상적 렌더링으로 바뀐 아드야트마 라마야나에게서 영감을 받았습니다.[85][87][101] 카푸어에 따르면 라마의 라마차리타마나사에서의 인생 이야기는 신화, 철학, 종교적 신념을 삶의 이야기, 윤리강령, 보편적인 인간 가치에 대한 논문으로 결합합니다.[102] 그것은 대화에서 인간의 딜레마, 행동의 이상적인 기준,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한 의무, 상호 책임에 대해 토론합니다. 관객들이 영적인 평면에서 자신의 삶을 볼 수 있도록 영감을 주고, 덕 있는 사람들이 계속 갈 수 있도록 격려하고, 치유의 밤으로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로합니다.[102]
라마차리트마나스는 라마를 소재로 한 연극으로 매년 가을, 일주일간의 람릴라 공연예술축제 기간에 흔히 공연됩니다.[14] "라마차리트마나스를 기반으로 한 라마야나의 무대화"는 유네스코에 의해 2008년 인류무형문화유산의 하나로 새겨졌습니다.[103]
요가 바사사
인간의 노력은 자기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신들에 의해 부과된 외적 운명 같은 것은 없습니다.
– Yoga Vasistha (Vasistha teaching Rama)
Tr: Christopher Chapple[104]
요가 바시사는 젊은 라마 왕자와 아디 샹카라에 의해 힌두교 철학 베단타 학파의 첫 번째 현자로 불렸던 현자 바시사의 대화로 구성된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입니다. 전체 텍스트에는 29,000개 이상의 구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105] 본문의 짧은 버전은 라구 요가바시사(Laghu Yogavasistha)라고 하며 6,000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06] 그 완성의 정확한 세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6세기에서: th 14세기: th 사이의 어딘가로 추정되어 왔지만, 그 텍스트의 버전은: st 1천년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107]
요가 바사 텍스트는 6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책은 삶의 본질에 대한 라마의 좌절, 인간의 고통, 세상에 대한 경멸을 제시합니다. 두 번째는 라마의 형상을 통해 해방에 대한 열망과 그러한 해방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성격을 묘사합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책은 해방은 자기 노력을 필요로 하는 영적인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며, 이야기 속에 내재된 우주론과 형이상학적 존재론을 제시합니다.[108] 이 두 권의 책은 자유의지와 인간의 창조력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08][109] 다섯 번째 책은 개인을 해방시키는 명상과 그 힘에 대해 이야기하고, 마지막 책은 깨달음을 얻고 행복한 라마의 상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108][110]
요가 바사는 베단틱 철학의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111]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112]David Gordon White)는 중세 Advaita Vedanta 학자들의 요가에 대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고 말합니다. 화이트에 따르면 요가 바사는 12세기 이전에 인도 요가 문화계를 지배했던 요가에 관한 대중적인 텍스트 중 하나였습니다.[112]
기타 텍스트
라마에 관한 다른 중요한 역사적인 힌두 문헌으로는 부순디 라마나야, 프라산나 라그하바, 툴시다스의 라마발리 등이 있습니다.[3][114] 서기 7세기 구자라트에 살았던 바티의 산스크리트어 시 Bha ṭṭikāvya는 서사시를 개작한 것으로, 파 ṇ리니의 ṣṭ디야이 ī의 문법적인 예와 주요 언어와 프라크리트어에 대한 예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또 다른 역사적, 연대순으로 중요한 텍스트는 Kalidasa가 쓴 Raghuvamsa입니다.[116] 그 이야기는 라마야나에 대한 많은 세부 사항을 확인시켜 주지만 참신하고 다른 요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요디아는 라마의 아들 쿠샤의 시대에 수도가 아니라 나중에 다시 수도로 돌아와서 다시 수도로 삼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텍스트는 텍스트 속의 시가 정교하고 인도 전통에서 마하카비아라고 불리며 많은 학자적 논평을 불러들였기 때문에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칼리다사는 서기 4세기에서 5세기 사이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라마야나 전설이 칼리다사 시대에 잘 확립되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116]
마하바라타에는 라마야나에 대한 요약이 있습니다. 자이나교의 전통은 라마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비말라수리의 파우마카리야와 같이 그를 파드마라고 부릅니다.[36] 라마와 시타 전설은 불교의 자타카 설화에서 다사라타-자타카(461호)로 언급되지만, 락슈마나는 락카나, 라마는 라마판디타 등 약간 다른 철자를 가지고 있습니다.[117][118][119]
비슈누 푸라나 4장, 파드마 푸라나 112장, 가루다 푸라나 143장, 아그니 푸라나 5~11장도 라마의 일대기를 정리하고 있습니다.[120] 그리고 마하바라타의 바나 파르바에도 라마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라마야나가 더 오래 전일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로 고대 마하바라타 서사시에 정리되어 있습니다.[121]
예배와 사원
예배
시리즈의 일부 |
비슈나비즘 |
---|
라마는 가정이나 사원에서 개인적으로 숭배되는 존경 받는 바이샤나바 신입니다.
박티 운동의 일환으로 라마는 14세기 북인도 시인이자 성 라마난다에 의해 설립된 산냐시 공동체인 라마난디 삼프라다야의 초점이 되었습니다. 이 공동체는 현대에 가장 큰 힌두교 수도원 공동체로 성장했습니다.[122][123] 라마에 영감을 받은 이 운동은 라마난다 시대부터 이슬람을 떠나고 싶어하는 이슬람교도들을 받아들인 라마난다 시대부터 성별, 계층, 카스트, 종교에 따라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구성원들을 받아들이며 사회 개혁을 옹호해 왔습니다.[124][125] 전통적인 학자들은 그의 제자들이 나중에 카비르, 라비다스, 바갓 피파 등의 박티운동 시인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125][126]
페스티발스
라마 나바미는 라마의 생일을 축하하는 봄 축제입니다. 이 축제는 봄 나브라트리의 일부이며, 전통적인 힌두교 달력에서 차이트라 달의 밝은 반의 아홉 번째 날에 해당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매년 3월이나 4월의 그레고리안 달에 발생합니다.[127][128]
이 날은 사원에서 라마 전설을 낭독하거나 집에서 라마 이야기를 읽는 것으로 기념됩니다. 어떤 바이슈나바 힌두교도들은 사원을 방문하고, 어떤 이들은 그들의 집에서 기도하고, 어떤 이들은 푸자와 아티의 일부로 음악과 함께 바잔이나 키르탄에 참여합니다.[129] 지역 사회는 자선 행사와 자원 봉사 식사를 조직합니다. 이 축제는 많은 힌두교인들에게 도덕적 성찰의 기회입니다.[130][131] 어떤 사람들은 이 날을 브라타(금식) 또는 강에 방문하여 다이빙을 합니다.[130][132][133]
이 날의 중요한 기념 행사는 아요디아, 시타마르히,[134] 야낙푸르(네팔), 바드라찰람, 코단다라마 사원, 본티미타, 라메스와람에서 열립니다. 라마, 시타, 그의 형제 락슈마나, 하누만의 쇼바야트라스로도 알려진 전차 행렬인 라타야트라스는 여러 곳에서 꺼내집니다.[130][135][136] 아요디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성스러운 사라유 강에 몸을 담그고 라마 사원을 방문합니다.[133]
라마 나바미의 날은 또한 우가디로 시작하는 Vasanthothsavam (봄의 축제)라고 불리는 카르나타카와 안드라 프라데시에서 기념되는 9일간의 봄 축제의 마지막을 나타냅니다. 이 날의 일부 하이라이트는 텔랑가나의 바드라드리 코타구뎀 지역의 고다바리 강둑에 있는 바드라찰람에서 열리는 칼리아남(사원 성직자들이 행하는 의식적인 결혼식)으로, 자갈과 후추, 행렬과 라마 사원 장식으로 준비된 달콤한 음료인 파나캄을 준비하고 나누었습니다.[137]
라밀라 주와 두세라 주
라마의 삶은 매년 가을 극적인 연극과 불꽃놀이로 기억되고 기념됩니다. 이것은 람릴라라고 불리고, 연극은 라마야나 또는 더 일반적으로 람차리트마나스를 따릅니다.[138] 인도 나브라트리 축제 기간 동안 무대에 오르는 수천[12] 개의 라마 관련 공연 예술과 춤 행사를 통해 관찰됩니다.[139] 선과 악의 전설적인 전쟁이 제정된 후, 라밀라는 악마 라바나와 같은 거대한 괴기스러운 악마의 형상을 태우는 두세라(다사라, 비자야다샤미) 밤 축제에서 절정을 축하합니다.[103][140]
람릴라 축제는 2008년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 문화 유산" 중 하나로 선언되었습니다. 람릴라는 특히 역사적으로 중요한 힌두 도시인 아요디아, 바라나시, 브린다반, 알모라, 사트나, 마드후바니, 우타르프라데시, 우타라칸드, 비하르, 마드후바니에서 두드러집니다.[103][141] 서사시와 극적인 연극은 서기 1천년에 동남아시아로 이주했고, 라마야나에 기반을 둔 람릴라는 인도네시아, 특히 발리, 미얀마, 캄보디아, 태국의 힌두 사회의 공연 예술 문화의 일부입니다.[142]
디왈리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라마가 아요디아로 돌아오고 그의 대관식이 빛의 축제로도 알려진 디왈리를 기념하는 주요 이유입니다.[143]
가이아나에서 디왈리는 특별한 행사로 표시되고 많은 팡파르로 기념됩니다. 그 날은 세계의 이 지역에서 국경일로 기념되고 정부의 일부 장관들 또한 공식적으로 기념 행사에 참여합니다. 비자야다슈미처럼, 디왈리는 라마가 아요디아로 돌아오는 것 외에도 다양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인도 전역의 다양한 공동체에서 기념합니다. 예를 들어, 많은 공동체들은 악마 나라카수르에 대한 크리슈나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디왈리의 하루를 기념합니다.[ε]
사원
라마를 모시는 사원은 인도 전역과 인도 이주자 공동체가 거주해 온 곳에서 발견됩니다. 대부분의 사원에서 라마의 도상은 그의 아내 시타와 형제 락슈마나의 도상을 동반합니다.[146] 어떤 경우에는 하누만이 그들 근처나 사원 부지에 포함되기도 합니다.[147]
동판 비문의 증거에 따르면 라마를 모시는 힌두교 사원들은 5세기 초까지 세워졌지만, 이 사원들은 아직 남아있지 않습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라마 사원은 마하나디 강 근처의 라짐에 있는 라지바 로카나 사원이라고 불리는 라이푸르(차티스가르) 근처입니다. 비슈누에 바쳐진 사원 단지 안에 있으며, 서기 1145년경에 일부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148][149] 이 사원은 라마 나바미와 같은 날짜에 신자들과 수도승들이 모이는 등 현대 라마 신자들에게 여전히 중요합니다.[150]
라마 사원의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라마 사원, 람 잔맙후미, 아요디아, 우타르프라데시.
- 바드라찰람 사원, 텔랑가나.
- 코단다라마 사원, 본티미타, 안드라프라데시.
- 안드라 프라데시의 라마테어탐 사원.
- 라마스와미 사원, 쿰바코남, 타밀나두
- 타밀나두주 티루벨리양구디의 콜라 발빌 라마 사원
- 타밀나두주 티루발루르의 베라라가하바 스와미 사원
- 타밀나두주 아디 자간나타 페루말 사원
- 무디콘단 코탄다라마 사원, 타밀나두.
- 비자야라가바 페루말 사원, 타밀나두.
- 타밀나두주 푸나이날루르 코탄다라마 사원
- 타밀나두 에리카타라마르 사원
- 타밀나두의 스리 칼랴나 라마스와미 사원
- 타밀나두, 틸라이빌라감, 코탄다라마 사원.
- 타밀나두주 라메스와람의 코탄다라마스와미 사원.
- 타밀나두주 스리 코탄다 라마스와미 사원
- 타밀나두 주 바두부르의 고탄다라마 사원
- 타밀나두 스리 요가 라마 사원
- 타밀나두 코단다라마스와미 사원
- 고탄다라마스와미 사원, 난담박캄, 타밀나두
- 트리프라야르 스리라마스와미 크셰트람, 케랄라, 트리프라야르.
- 칼라람 사원, 나식 사원, 마하라슈트라 사원.
- 잠무 라구나트 사원.
- 람 만디르, 부바네스와르, 오디샤.
- 카르나타카 치크마갈루르의 코단다라마 사원.
- 오도가온 라구나스 사원, 오디샤
- 람차우라 만디르, 비하르.
- 스리 라마 사원, 라마푸람, 케랄라.
- 펀자브 구르다스푸르 타쿠르드와라 바관 나랭지
- 케랄라주 티루빌와말라에 있는 빌와드리나타 사원.
영향을 주다
라마의 이야기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걸쳐 주요한 사회 문화적이고 영감을 주는 영향을 미쳤습니다.[8][151]
언제 어디서나 제작된 문학 작품은 위대하고 고대 산스크리트 서사시인 발미키 라마야나만큼 대중적이고 영향력 있으며 모방되고 성공적이었습니다.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이자 산스크리트어의 보덴학자인 아서 앤서니 맥도넬에 따르면, 인도 문헌에 언급된 라마의 사상은 그 기원이 세속적이며, 그 사상이 적어도 2.5천년 이상 동안 사람들의 삶과 사상에 미친 영향이라고 합니다.[152][153] 그들의 영향력은 개인적 성찰의 틀에서 문화 축제와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8] 골드만은 그의 인생 이야기가 "그림, 영화, 조각, 인형극, 그림자 연극, 소설, 시, TV 시리즈 및 연극"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합니다.[152]
동남아시아의 힌두 예술
라마의 생애 이야기는 산스크리트어 라마야나라는 문자 형식과 구전 모두 서기 1천년에 동남아시아에 도착했습니다.[155] 라마는 채택된 많은 사상과 문화적 주제들 중 하나였고, 다른 것들은 부처, 시바 그리고 다른 브라만 사상과 이야기들의 호스트였습니다.[156] 특히 자바, 발리, 말라야, 버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에서 라마와 다른 문화 사상의 영향이 커졌습니다.[156]
라마야나는 서기 860년경 산스크리트어에서 옛 자바어로 번역된 반면, 공연 예술 문화는 라마를 기반으로 한 춤과 연극의 타밀어와 벵골어 버전에서 영감을 받은 구전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155] 이러한 공연 예술의 가장 초기 증거는 중국 기록에 따르면 서기 243년에 나온 것입니다. 라마의 삶을 춤과 음악으로 축하하는 것 외에도 족자카르타(자바) 인근의 프람바난, 블리타르(동자바) 인근의 파나타란 등 동남아시아에 세워진 힌두교 사원들은 라마의 삶을 묘사한 광범위한 부조를 보여줍니다.[155][157] 라마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동남아시아에서 인기가 있었습니다.[158]
14세기에 아유타야 왕국과 수도 아유타야는 힌두의 신성한 도시 아유타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 나라의 공식적인 종교는 테라바다 불교입니다.[159][160] 콘스탄스 존스와 제임스 라이언에 따르면, 태국의 왕들은 라마키엔의 라마에서 영감을 받은 이름인 라마라고 불렸는데, 이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라마야나의 현지 버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촐라롱꼰 왕(1853–1910)은 라마 5세라고도 알려져 있는 반면, 2016년 왕위를 계승한 바지랄롱꼰 왕은 라마 10세라고 불립니다.[161]
자이나교
자이나교에서 라마 이야기의 가장 초기의 것은 기원전 1세기부터 5세기까지 다양하게 연대가 알려져 있습니다. 비말라수리에 공을 세운 이 자인 텍스트는 디감바라-스베탐바라(자인교의 분파) 간의 구별 징후를 보이지 않으며, 마하라슈트리어와 사우라세니어의 조합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이 텍스트가 고대의 뿌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162]
자인 우주론에서 사람들은 진나라에 이르러 완전한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영적인 성질로 진화하면서 계속해서 거듭납니다. 이 생각은 Baladeva, Vasudeva, 그리고 사악한 Prati-vasudeva라고 불리는 Puranas에서 순환적으로 다시 태어난 삼부작으로 설명됩니다.[163][164] 라마, 락슈마나, 사악한 라바나는 여덟 번째 삼합회로 라마는 다시 태어난 발라데바, 락슈마나는 다시 태어난 바수데바입니다.[62] 라마는 네미나타라고 불리는 22번째 자인 티르샨카라보다 훨씬 이전에 살았던 것으로 묘사됩니다. 자인의 전통에서 네미나타는 기원전 9세기 파르쉬바나타보다 84,000년 전에 태어난 것으로 여겨집니다.[165]
자인 텍스트는 발미키와 같은 힌두교 텍스트와는 매우 다른 라마 전설을 말해줍니다. 자인판에 따르면 라바나(프라티바수데바)를 죽이는 자는 락슈마나(바수데바)입니다.[62] 라마는 시타를 구출하고 전쟁을 준비하는 데 모든 참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죽이지 않아 비폭력적인 사람으로 남아 있습니다. 힌두교 문헌에서 라마에게 주어진 일부일처제의 미덕과 달리 자이나교의 라마에는 락슈마나와 마찬가지로 많은 아내가 있습니다. 그의 삶이 끝날 무렵, 라마는 자이나 승려가 되고 목샤에 이어 싯다에 성공합니다.[62] 그의 첫 번째 부인 시타는 이야기의 마지막에 자이나 수녀가 됩니다. 자인 버전에서 락슈마나와 라바나는 모두 자인 우주론의 지옥으로 갑니다. 왜냐하면 라바나는 많은 사람들을 죽였고, 락슈마나는 라바나의 폭력을 막기 위해 라바나를 죽였기 때문입니다.[62] 파드마푸라나는 라마를 자이나교의 20번째 티르산카라인 무니수브라타의 동시대 인물로 언급합니다.[166]
불교
다사라타-자타카(461호)는 라마 이야기의 버전을 제공합니다. 라마를 라마판디타라고 부릅니다.[117][118]
이 다사라타-자타카 담론의 마지막에, 불교 문헌은 그가 이전에 재탄생한 부처가 라마라고 선언합니다.
주인은 이 담화를 끝내고 진리를 선언하고 탄생을 확인했습니다(...). '당시 왕 수다다나는 다사라타 왕이었고, 마하마야는 어머니였고, 라훌라의 어머니는 시타였고, 아난다는 바라타였고, 나 자신은 라마판디타였습니다.
— Jataka Tale No. 461, Translator: W.H.D. Rouse[118]
불교의 자타카 문헌들이 라마를 전생에 부처의 화신으로 만드는 반면,[118] 힌두교의 문헌들은 라마를 전생에 부처의 화신으로 만들고 그를 비슈누의 아바타로 만듭니다.[167][168] 불교의 자타카 문헌은 일반적으로 동굴의 조각과 바르후트 부도와 같은 불교 기념물에 근거하여 기원전 1천년 후반기의 것으로 추정됩니다.[169][ζ] 다사라타-자타카에서 전해지는 바후트 스투파에 새겨진 기원전 2세기의 석각은 고대 인도에서 라마 이야기가 널리 퍼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초기의 비문구적인 증거입니다.[171]
시크교
라마는 전통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구루 고빈드 싱에게 귀속된 다삼 그란트의 작곡인 차우비스 아브타르에서 비슈누의 24개의 신성한 화신 중 하나로 언급됩니다.[20][η] 라마와 크리슈나 아바타에 대한 논의는 2차 시크교 경전의 이 부분에서 가장 광범위합니다.[20][173] 라마의 이름은 구루그란트 사히브에서[174] 2,500번 이상 언급되며 크리슈나와 함께 아바타로 여겨집니다.[η]
다른.
아쌈에서 보로 사람들은 스스로를 람사라고 부르는데, 이는 람사의 아이들이라는 뜻입니다.[175] 차티스가르에서 람나미 사람들은 람의 이름으로 온몸에 문신을 새겼습니다.[176]
라마는 영감의 원천으로 여겨져 왔고, Maryāda Puru ṣotama Rama (이상적인 사람)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그는 많은 영화, 텔레비전 쇼와 연극에서 묘사되었습니다.[177]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 ^ 힌디어와 같은 인도의 많은 언어들은 산스크리트어 단어의 'a' 소리를 지웁니다. 타밀어와 말라얄람어와 같은 다른 언어들은 고유한 접미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r과 -n. 인도아리아어의 슈와 삭제.[21]
- ^ 라마, 말로리 주, 애덤스 주에 대해 발견된 전설들은 "라이르의 브랜웬 딸, 라이르의 마나위단 아들과 같은 후기 웨일스 이야기에서 발견된 많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개념과 전설이 더 깊은 고대 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32]
- ^ 코살라는 많은 불교 문헌과 여행 회고록에서 언급됩니다. 코살라의 불상은 상좌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것으로 7세기 중국 순례자 현장이 묘사한 것입니다. 그는 회고록에서 이 조각상이 코살라의 수도에 있으며, 당시 큰 수도원의 폐허 가운데에 있는 슈라바스티라고 불렸다고 말합니다. 그는 또한 부처의 복제품인 우다야나의 코살라 아이콘과 프라세나짓의 프라세나짓 아이콘 두 개를 중국으로 가져왔다고 말합니다.[40]
- ^ 예를 들어, 16세기 이전의 박티 운동의 다른 힌두교 시인-성자들처럼, 람차리트마나스의 툴리다스는 가장 간단한 헌신의 길을 남심란("라마"라는 신성한 이름을 기억하는 데 몰두하는 것)이라고 추천합니다. 그는 그 이름을 음성적으로 반복하거나 (잡) 마음속으로 조용히 반복하거나 (아자파잡) 둘 중 하나를 제안합니다. 라마의 이 개념은 신성화된 영웅을 넘어 내부의 라마와 동등한 "만능한 존재"를 내포합니다. 라마야나와 박티 운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프랑스의 인디 학자 샬롯 보드빌에 따르면, 아트마라마라는 용어는 "아트마"와 "라마"의 합성어이며, 문자 그대로 "자기 자신 안에서 기쁨을 찾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100]
- ^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드바파라 유가 시대에 비슈누의 아바타인 크리슈나가 프라뇨티샤푸라의 사악한 왕이었던 악마 나라카수라를 오늘날의 아삼 근처에서 죽이고 나라카수라에게 사로잡힌 1만 6천 명의 소녀들을 풀어주었다고 합니다. 디왈리는 나라카수라에 대한 크리슈나의 승리 이후 악에 대한 선의 승리의 표시로 기념되었습니다. 디왈리가 나라카수라가 크리슈나에 의해 살해된 날인 나라카 차투르다시로 기억되기 전날.[144]
- ^ Richard Gombrich는 Jataka 이야기가 기원전 3세기에 작곡되었다고 제안합니다.[170]
- ^ a b Ath Beesvan Ram Avtar Kathan 또는 Ram Avtar는 아난드푸르 사히브에 있는 Guru Gobind Singh에 의해 쓰여진 시크교의 두 번째 신성한 대성당에 있는 작곡입니다. 구루 고빈드 싱은 아브타르 전체를 설명한 후 이 사실을 ਰਾਮ ਰਹੀਮ ਪਰਾਨ ਕਰਾਨ ਅਨੇਕ ਕਹੈਂ ਮਤਿ ਝਕ ਨ ਮਾਨਿਯੋ ॥로 정리했듯이 람찬드라를 숭배하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람 아브타르는 라마야나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시크교도는 이 전체 구성의 영적 측면을 연구합니다.
- ^
- 블랭크 2000, 페이지 190
- 도디야 2001, 페이지 109–110
- Tripathy 2015, 페이지 1
인용
- ^ SATTAR, ARSHIA (20 October 2020). Maryada: Searching for Dharma in the Ramayana. HarperCollins Publishers, India. ISBN 978-93-5357-713-1.
- ^ "Dharma Personified". The Hindu. 5 August 2011. Retrieved 16 January 2021.
- ^ a b c d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페이지 555.
- ^ "Rama". Webster's Dictionary. Retrieved 9 March 2021.
- ^ Tulasīdāsa (1999). Sri Ramacaritamanasa. Translated by Prasad, RC. Motilal Banarsidass. pp. 871–872. ISBN 978-81-208-0762-4.
- ^ a b William H. Brackney (2013). Human Rights and the World's Major Religions, 2nd Edition. ABC-CLIO. pp. 238–239. ISBN 978-1-4408-2812-6.
- ^ Roderick Hindery (1978).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pp. 95–124. ISBN 978-81-208-0866-9.
- ^ a b c d Vālmīki (1990). The Ramayana of Valmiki: Balakanda. Translated by Goldman, Robert P.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3. ISBN 978-1-4008-8455-1.
- ^ Dimock Jr, E.C. (1963). "Doctrine and Practice among the Vaisnavas of Bengal". History of Religions. 3 (1): 106–127. doi:10.1086/462474. JSTOR 1062079. S2CID 162027021.
- ^ Marijke J. Klokke (2000). Narrative Sculpture and Literary Tradition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BRILL. pp. 51–57. ISBN 90-04-11865-9.
- ^ 람다스 양고기 2012, 페이지 28.
- ^ a b Schechner, Richard; Hess, Linda (1977). "The Ramlila of Ramnagar [India]". The Drama Review: TDR. The MIT Press. 21 (3): 51–82. doi:10.2307/1145152. JSTOR 1145152.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페이지 389.
- ^ a b Jennifer Lindsay (2006). Between Tongues: Translation And/of/in Performance in Asi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pp. 12–14. ISBN 978-9971-69-339-8.
- ^ Dalal 2010, 337-338쪽.
- ^ Peter J. Claus; Sarah Diamond; Margaret Ann Mills (2003).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Taylor & Francis. p. 508. ISBN 978-0-415-93919-5.
- ^ King, Anna S. (2005). The intimate other: love divine in Indic religions. Orient Blackswan. pp. 32–33. ISBN 978-81-250-2801-7.
- ^ Matchett, Freda (2001). Krishna, Lord or Avatara?: the relationship between Krishna and Vishnu. 9780700712816. pp. 3–4. ISBN 978-0-7007-1281-6.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pp. 72–73.
- ^ a b c Robin Rinehart 2011, pp. 14, 28–30.
- ^ "Why we put 'a' after each Hindu name". Hinduism.Stackexchange. 16 October 2016. Retrieved 8 March 2021.
- ^ Wells, John C. (2008).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3rd ed.). Longman. ISBN 978-1-4058-8118-0.
- ^ a b c d e f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र". sanskrit.inria.fr. Retrieved 6 March 2021.
- ^ a b c d Asko Parpola (1998). Studia Orientalia, Volume 84. Finnish Oriental Society. p. 264. ISBN 978-951-9380-38-4.
- ^ Thomas William Rhys Davids; William Stede (1921). Pali-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p. 521. ISBN 978-81-208-1144-7.
- ^ Wagenaar, Hank W.; Parikh, S. S. (1993). Allied Chambers transliterated Hindi-Hindi-English dictionary. Allied Publishers. p. 528. ISBN 978-81-86062-10-4.
- ^ "Ayodhya Case Verdict: Who is Ram Lalla Virajman, the 'Divine Infant' Given the Possession of Disputed Ayodhya Land". News18. 9 November 2019. Retrieved 4 August 2020.
- ^ Rajarajan, R.K.K. (2001). Sītāpaharaṇam: Changing thematic Idioms in Sanskrit and Tamil. In Dirk W. Lonne ed. Tofha-e-Dil: Festschrift Helmut Nespital, Reinbeck, 2 vols., pp. 783–97. pp. 783–797. ISBN 3-88587-033-9.
- ^ 람다스 양고기 2012, 페이지 31.
- ^ Adams; Douglas Q. Adams (2013). A Dictionary of Tocharian B: Revised and Greatly Enlarged. Rodopi. p. 587. ISBN 978-90-420-3671-0.
- ^ Malory and en 1997, 160쪽.
- ^ 말루리와 1997년 165쪽.
- ^ Vālmīki; Sheldon I. Pollock (2007).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Araṇyakāṇḍa. Motilal Banarsidass. pp. 41 with footnote 83. ISBN 978-81-208-3164-3.
- ^ a b A. W. P. Guruge (1991). The Society of the Ramayana. Abhinav Publications. pp. 51–54. ISBN 978-81-7017-265-9.
- ^ 발미키 라마야나, 발라 칸다
- ^ a b Cort, John (2010).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313 note 9. ISBN 978-0-19-973957-8.
- ^ Winternitz, Moriz (1981).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pp. 491–492. ISBN 81-208-0264-0.
- ^ John Cort (2010).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60–162, 196, 314 note 14, 318 notes 57–58. ISBN 978-0-19-973957-8.John Cort (2010).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60–162, 196, 314 note 14, 318 notes 57–58. ISBN 978-0-19-973957-8.인용문(314쪽): "(...) 코살라는 현재 우타르프라데시 주 동부에 있는 아요디아를 중심으로 한 왕국이었습니다."
- ^ Peter van der Veer (1994). Religious Nationalism: Hindus and Muslims in Ind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57–162. ISBN 978-0-520-08256-4.
- ^ John Cort (2010).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94–200, 318 notes 57–58. ISBN 978-0-19-973957-8.
- ^ Rosen, Steven (2006). Essential Hinduism. Westport, Conn.: Praeger. pp. 68–69. ISBN 0-275-99006-0. OCLC 70775665.
- ^ a b Roderick Hindery (1978).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pp. 106–107. ISBN 978-81-208-0866-9.
- ^ a b c d e f Dalal 2010, 326-327쪽
- ^ a b Goldman, Robert P. (1984).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Vol. I: Bālakāṇḍa.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48–263.
- ^ a b c Dalal 2010, pp. 99, 326–327
- ^ a b c Hindery 1978, 페이지 98-99
- ^ B. A van Nooten William (2000). Ramaya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2703-3.
- ^ 골드만 1996, 페이지 406:
16. ... 라바나는 시타가 자신을 적으로 생각하지 말 것과 시타가 자신을 아내로 삼기를 바라는 잘못된 생각을 버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대표됩니다. 그는 자신의 수석 여왕을 언급함으로써 시타가 자신과 수석 여왕 만도다리의 선택된 여신이 되기를 바란다고 진심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 ^ 골드만 1996, 90쪽
- ^ Ramashraya Sharma (1986). A Socio-political Study of the Vālmīki Rāmāyaṇa. Motilal Banarsidass. pp. 2–3. ISBN 978-81-208-0078-6.
- ^ Gregory Claeys (2010). The Cambridge Companion to Utopi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40–241. ISBN 978-1-139-82842-0.
- ^ Self-realization Magazine. Self-Realization Fellowship. 1971. pp. 50.
- ^ Hindery 1978, 페이지 100.
- ^ a b Hess, L. (2001). "Rejecting Sita: Indian Responses to the Ideal Man's Cruel Treatment of His Ideal Wif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67 (1): 1–32. doi:10.1093/jaarel/67.1.1. PMID 21994992.
- ^ Frye, Northrope (2015). Northrop Frye's Uncollected Prose. Toronto,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191. ISBN 978-1-4426-4972-9.
- ^ Rooney, Dawn F. (2017). The Thiri Rama: Finding Ramayana in Myanmar. Taylor & Francis. p. 49-51. ISBN 978-1-315-31395-5.
- ^ a b Richman 1991, pp. 7–9 (Richman by Richman), pp. 22–46 (Ramanujan)
- ^ A. N. Jani (2005). Kodaganallur R.S. Iyengar (ed.). Asian Variations in Ramayana: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Variations in Ramayana in Asia. Sahitya Akademi. pp. 29–55. ISBN 978-81-260-1809-3.
- ^ a b c Richman 1991, pp. 10–12, 67–85.
- ^ a b Monika Horstmann (1991). Rāmāyaṇa and Rāmāy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pp. 9–21. ISBN 978-3-447-03116-5.
- ^ Richman 1991, pp. 11–12, 89–108.
- ^ a b c d e Padmanabh S Jaini (1993). Wendy Doniger (ed.). Purana Perennis: Reciprocity and Transformation in Hindu and Jaina Tex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16–219. ISBN 978-0-7914-1381-4.
- ^ Umakant P. Shah (2005). Kodaganallur R.S. Iyengar (ed.). Asian Variations in Ramayana: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Variations in Ramayana in Asia. Sahitya Akademi. pp. 57–76. ISBN 978-81-260-1809-3.
- ^ Menon 2008, 10-11쪽.
- ^ a b Dhirajlal Sankalia, Hasmukhlal (1982). The Ramayana in historical perspective. India (branch): Macmillan Publishers. pp. 4–5, 51. ISBN 9-780-333-90390-2.
- ^ Pattanaik, Devdutt (8 August 2020). "Was Ram born in Ayodhya". mumbaimirror.
- ^ Hasmukhlal Dhirajlal Sankalia (1977). Aspects of Indian History and Archaeology. B. R. Publishing Corporation. p. 205.
- ^ Parmeshwaranand, Swami (2001a). Encyclopaedic Dictionary of Puranas. Swarup & Sons. ISBN 978-81-7625-226-3.
- ^ Simanjuntak, Truman (2006). Archaeology: Indonesian Perspective : R.P. Soejono's Festschrift. p. 361.
- ^ John Brockington; Mary Brockington (2016). The Other Ramayana Women: Regional Rejection and Response. Routledge. pp. 3–6. ISBN 978-1-317-39063-3.
- ^ a b T. A. Gopinatha Rao (1993). Elements of Hindu iconography. Motilal Banarsidass. pp. 189–195. ISBN 978-81-208-0878-2.
- ^ 발미키 라마얀, p. 키시킨다 칸다.
- ^ Valmiki Ramayan, p. 1235 (Volume 2 of Śrīmad Vālmīki-Rāmāyaṇa: 산스크리트어 텍스트 및 영어 번역 포함)
- ^ Vālmīki; Pollock, Sheldon I. (2007).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Araṇyakāṇḍa. Motilal Banarsidass. pp. 41–43. ISBN 978-81-208-3164-3.
- ^ a b Roderick Hindery (1978).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pp. 103–106. ISBN 978-81-208-0866-9.
- ^ Gavin Flood (17 April 2008).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ISBN 978-81-265-1629-2.
- ^ a b Roderick Hindery (1978).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pp. 100–101. ISBN 978-81-208-0866-9.
- ^ 발미키 라마얀.
- ^ Timm, Jeffrey R. (1 January 1992). Texts in Context: Traditional Hermeneutics in South Asia. SUNY Press. p. 118. ISBN 978-0-7914-0796-7.
- ^ 그리피스.
- ^ Constance Jones; James D. Ryan (2006). Encyclopedia of Hinduism. Infobase Publishing. p. 355. ISBN 978-0-8160-7564-5.
- ^ Gilbert Pollet (1 January 1995). Indian Epic Values: Rāmāyaṇa and Its Impact :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Rāmāyaạ Conference, Leuven, 6-8 July 1991. Peeters Publishers. p. 59. ISBN 978-90-6831-701-5.
- ^ Dalal 2010, p. 4.
- ^ "구술 전통과 많은 '라마야나스'" 2021년 2월 25일, 시라큐스 대학교 남아시아 센터의 Moynihan @Maxwell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a b c John Nicol Farquhar (1920). An Outline of the Religious Literature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p. 324–325.
- ^ Rocher 1986, pp. 158–159각주.
- ^ a b c d e RC Prasad (1989). Tulasīdāsa's Sriramacharitmanasa. Motilal Banarsidass. pp. xiv–xv, 875–876. ISBN 978-81-208-0443-2.
- ^ R. Barz (1991). Monika Horstmann (ed.). Rāmāyaṇa and Rāmāy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pp. 32–35. ISBN 978-3-447-03116-5.
- ^ Paniker, K. Ayyappa (2006) [1977], A Short History of Malayalam Literature, Information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Kerala State, p. 31
- ^ Ralhan 1997, 페이지 194–197.
- ^ 프라다스 2008, 878쪽, J. L. 브로킹턴의 말을 인용합니다. 왜냐하면 그의 개인적인 비나야파트리카 툴라시는 라마의 환영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 루트겐도르프 1991, 49-50쪽.
- ^ a b c 람차리트마나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2)
- ^ 루트겐도르프 1991.
- ^ 밀러 2008, 217쪽
- ^ Varma 2010, 페이지 1565
- ^ Poddar 2001, 26-29쪽
- ^ Das 2010, 페이지 63
- ^ Schomer & McLeod 1987, 페이지 75.
- ^ Schomer & McLeod 1987, pp. 31–32, 각주 13 및 16 (C). 보드빌).
- ^ Schomer & McLeod 1987, pp. 31, 74–75, 각주 인용: "하지만 람차리트마나스에 등장하는 도하들의 놀라운 점은 그들이 종종 산트와 같은 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니르구나 현실에 대한 진술과 함께 사구나 이야기의 가장 한가운데로 난입한다는 것입니다."
- ^ a b A Kapoor (1995). Gilbert Pollet (ed.). Indian Epic Values: Rāmāyaṇa and Its Impact. Peeters Publishers. pp. 181–186. ISBN 978-90-6831-701-5.
- ^ a b c "Ramlila-The traditional performance of Ramayana". UNESCO. Retrieved 8 March 2021.
- ^ Chapple 1984, pp. x–xi (각주 4 포함)
- ^ Chapple 1984, pp. ix–xi
- ^ Leslie 2003, pp. 105
- ^ Chapple 1984, p. x
- ^ a b c Chapple 1984, pp. xi–xii
- ^ 수렌드라나스 다스굽타, 인도철학사, 2권, 캠브리지 대학 출판, ISBN 978-0-521-04779-1, 252-253페이지
- ^ Valmiki (1984). The Concise Yoga Vāsiṣṭha. Translated by Venkatesananda, 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55-8.
- ^ Tigunait, Rajmani (2002). The Himalayan Masters: A Living Tradition. Itanagar: Himalayan Institute Press. pp. 33. ISBN 978-0-89389-227-2.
- ^ a b White, David Gordon (2014). The "Yoga Sutra of Patanjali": A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xvi–xvii, 51. ISBN 978-0-691-14377-4.
- ^ Kapila Vatsyayan (2004). Mandakranta Bose (ed.). The Ramayana Revisit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35–339. ISBN 978-0-19-516832-7.
- ^ Edmour J. Babineau (1979). Love of God and Social Duty in the Rāmcaritmānas. Motilal Banarsidass. pp. 85–86. ISBN 978-0-89684-050-8.
- ^ Bhaṭṭi (600) [2009]. Bhaṭṭikāvya. Translated by Olliver, Fallon. New York, United States: Clay Sanskrit Library. p. 22.35. ISBN 978-0-8147-2778-2.
- ^ a b Dalal 2010, 323쪽
- ^ a b H. T. Francis; E. J. Thomas (1916). Jataka Ta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Reprinted: 2014). pp. 325–330. ISBN 978-1-107-41851-6.
- ^ a b c d Cowell, E. B.; Rouse, WHD (1901). The Jātaka: Or, Stories of the Buddha's Former Birt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78–82.
- ^ Jaiswal, Suvira (1993). "Historical Evolution of Ram Legend". Social Scientist. 21 (3 / 4 March April 1993): 89–96. doi:10.2307/3517633. JSTOR 3517633.
- ^ Rocher 1986, 각주 26과 함께 84쪽.
- ^ Buitenen, J. A. B. van (1973). The Mahabharata, Volume 2: Book 2: The Book of Assembly; Book 3: The Book of the Fores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07–214. ISBN 978-0-226-84664-4.
- ^ Raj, Selva J.; Harman, William P. (1 January 2006). Dealing with Deities: The Ritual Vow in South Asia. SUNY Press. ISBN 978-0-7914-6708-4.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페이지 98–108.
- ^ Larson, Gerald James (16 February 1995). India's Agony Over Religion: Confronting Diversity in Teacher Education. SUNY Press. ISBN 978-0-7914-2412-4.
- ^ a b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페이지 1.
- ^ Lorenzen, David N. (1999). "Who Invented Hinduism?".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41 (4): 630–659. doi:10.1017/S0010417599003084. ISBN 9788190227261. ISSN 0010-4175. JSTOR 179424. S2CID 247327484 – via Book.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562쪽.
- ^ "City News, Indian City Headlines, Latest City News, Metro City News". The Indian Ex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09. Retrieved 7 March 2021.
- ^ 람나바미
- ^ a b c "BBC – Religions – Hinduism: Rama Navami". BBC News. Retrieved 7 March 2021.
- ^ "President and PM greet people as India observes Ram Navami today". IANS. news.biharprabha.com. 8 April 2014. Retrieved 8 April 2014.
- ^ "National Portal of India". Govt. of India. Retrieved 7 March 2021.
- ^ a b John, Josephine (8 April 2014). "Hindus around the world celebrate Ram Navami today". DNA India. Retrieved 7 March 2021.
- ^ "Sitamarhi India".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8 March 2021.
A large Ramanavami fair, celebrating the birth of Lord Rama, is held in spring with considerable trade in pottery, spices, brass ware, and cotton cloth. A cattle fair held in Sitamarhi is the largest in Bihar state. The town is sacred as the birthplace of the goddess Sita (also called Janaki), the wife of Rama.
- ^ "Latest News, India News, Breaking News, Today's News Headlines Online". The Indian Ex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09. Retrieved 8 March 2021.
- ^ "City News, Indian City Headlines, Latest City News, Metro City News". The Indian Ex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09. Retrieved 8 March 2021.
- ^ Satpathy, Kriti Saraswat (14 April 2016). "Did you know these rituals of Ram Navami celebration in Karnataka?". India News, Breaking News India.com. Retrieved 6 March 2021.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페이지 389.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
- ^ Kasbekar, Asha (2006). Pop Culture India!: Media, Arts, and Lifestyle. ABC-CLIO. ISBN 978-1-85109-636-7.
- ^ 제임스 G. 로체펠트 2002, 561-562쪽.
- ^ Bose, Mandakranta (2004). The Ramayana Revisit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42–350. ISBN 978-0-19-516832-7.
- ^ 굽타 1991, p. 폰트커버.
- ^ Richman 1991, 페이지 107.
- ^ Hans Bakker (1990). The History of Sacred Places in India As Reflected in Traditional Literature: Papers on Pilgrimage in South Asia. BRILL. pp. 70–73. ISBN 90-04-09318-4.
- ^ 굽타 1991, 36쪽.
- ^ Bhat, Rama (2006i). The Divine Anjaneya: Story of Hanuman. iUniverse. pp. 79. ISBN 978-0-595-41262-4.
- ^ J. L. Brockington (1998). The Sanskrit Epics. BRILL. pp. 471–472. ISBN 90-04-10260-4.
- ^ Meister, Michael W. (1988). "Prasada as Palace: Kutina Origins of the Nagara Temple". Artibus Asiae. 49 (3/4): 254–280 (Figure 21). doi:10.2307/3250039. JSTOR 3250039.
- ^ James C. Harle (1994).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Yale University Press. pp. 148–149, 207–208. ISBN 978-0-300-06217-5.
- ^ Richman 1991, p. 17 노트 11.
- ^ a b Goldman, Robert (2013). The Valmiki Ramayana (PDF).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 Center for South Asia Stud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October 2020. Retrieved 10 April 2017.
- ^ Sundaram, P S (2002). Kamba Ramayana. Penguin Books. pp. 1–2. ISBN 978-93-5118-100-2.
- ^ Willem Frederik Stutterheim (1989). Rāma-legends and Rāma-reliefs in Indonesia. Abhinav Publications. pp. 109–160. ISBN 978-81-7017-251-2.
- ^ a b c James R. Brandon (2009). Theatre in Southeast Asia.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2–27. ISBN 978-0-674-02874-6.
- ^ a b Brandon, James R. (2009). Theatre in Southeast Asia. Harvard University Press. pp. 15–21. ISBN 978-0-674-02874-6.
- ^ Jan Fontein (1973), 시타의 납치: 동부 자바의 돌 부조에 관한 노트, 보스턴 박물관 회보, 제71권, 제363호 (1973), 21-35쪽
- ^ Kats, J. (1927). "The Ramayana in Indonesia".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3): 579. doi:10.1017/s0041977x00102976. S2CID 162850921.
- ^ Francis D. K. Ching; Mark M. Jarzombek; Vikramaditya Prakash (2010). A Global History of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 p. 456. ISBN 978-0-470-40257-3.Francis D. K. Ching; Mark M. Jarzombek; Vikramaditya Prakash (2010). A Global History of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 p. 456. ISBN 978-0-470-40257-3.인용: "수도의 이름 [아유타야]는 힌두 신인 라마의 탄생지라고 일컬어지는 인도 북부의 힌두 성지 아요디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 Michael C. Howard (2012).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pp. 200–201. ISBN 978-0-7864-9033-2.
- ^ Constance Jones; James D. Ryan (2006). Encyclopedia of Hinduism. Infobase Publishing. p. 443. ISBN 978-0-8160-7564-5.
- ^ John E Cort (1993). Wendy Doniger (ed.). Purana Perennis: Reciprocity and Transformation in Hindu and Jaina Tex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190. ISBN 978-0-7914-1381-4.
- ^ Jacobi, Herman (2005). Vimalsuri's Paumachariyam (2nd ed.). Ahemdabad: Prakrit Text Society.
- ^ Iyengar, Kodaganallur Ramaswami Srinivasa (2005). Asian Variations in Ramayana. Sahitya Akademi. ISBN 978-81-260-1809-3.
- ^ 짐머 1953, 226쪽.
- ^ 나투바이 샤 2004, 21-23쪽.
- ^ Bassuk, Daniel E (1987). Incarnation in Hinduism and Christianity: The Myth of the God-Man. Palgrave Macmillan. p. 40. ISBN 978-1-349-08642-9.
- ^ Edward Geoffrey Parrinder (1997). Avatar and Incarnation: The Divine in Human Form in the World's Religions. Oxford: Oneworld. pp. 19–24, 35–38, 75–78, 130–133. ISBN 978-1-85168-130-3.
- ^ Claus, Peter J.; Diamond, Sarah; Mills, Margarat (2003).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pp. 306–307. ISBN 978-0-415-93919-5.
- ^ Naomi Appleton (2010). Jātaka Stories in Theravāda Buddhism: Narrating the Bodhisatta Path. Ashgate Publishing. pp. 51–54. ISBN 978-1-4094-1092-8.
- ^ Mandakranta Bose (2004). The Ramayana Revisit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37–338. ISBN 978-0-19-803763-7.
- ^ Singh, Govind (2005). Dasamgranth.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ISBN 978-81-215-1044-8.
- ^ Doris R. Jakobsh (2010). Sikhism and Women: History, Texts, and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pp. 47–48. ISBN 978-0-19-806002-4.
- ^ Judge, Paramjit S.; Kaur, Manjit (2010). "The Politics of Sikh Identity: Understanding Religious Exclusion". Sociological Bulletin. 59 (3): 219. doi:10.1177/0038022920100303. ISSN 0038-0229. JSTOR 23620888. S2CID 152062554 – via Book.
- ^ 도디야 2001, 139쪽.
- ^ Ramdas Lamb 2012, pp. 31–32.
- ^ Rajadhyaksha, Ashish; Willemen, Paul (1994). Encyclopaedia of Indian Cinema. British Film Institute. ISBN 9780851704555.
원천
- Chapple, Christopher (1984). "Introduction". The Concise Yoga Vāsiṣṭha. Translated by Venkatesananda, Swami.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55-8. OCLC 11044869.
- Das, Krishna (15 February 2010), Chants of a Lifetime: Searching for a Heart of Gold, Hay House, Inc, ISBN 978-1-4019-2771-4
- "Navratri – Hindu festival". Encyclopedia Britannica. 21 February 2017. Retrieved 21 February 2017.
- Flood, Gavin (17 April 2008).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Wiley India Pvt. Limited. ISBN 978-81-265-1629-2.
- Hertel, Bradley R.; Humes, Cynthia Ann (1993). Living Banaras: Hindu Religion in Cultural Context. SUNY Press. ISBN 978-0-7914-1331-9.
- Miller, Kevin Christopher (2008). A Community of Sentiment: Indo-Fijian Music and Identity Discourse in Fiji and Its Diaspora. HarperCollins. ISBN 978-0-549-72404-9.[영구적 데드링크]
- Leslie, Julia (2003). Authority and meaning in Indian religions: Hinduism and the case of Vālmīki. Ashgate Publishing, Ltd. ISBN 0-7546-3431-0.
- Morārībāpu (1987). Mangal Ramayan. Prachin Sanskriti Mandir.
- Poddar, Hanuman Prasad (2001). Balkand. 94 (in Awadhi and Hindi). Gorakhpur, India: Gita Press. ISBN 81-293-0406-6.
- Lutgendorf, Philip (1991). The Life of a Text: Performing the Rāmcaritmānas of Tulsid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6690-8.
- Naidu, S. Shankar Raju (1971). A Comparative Study of Kamba Ramayanam and Tulasi Ramayan. University of Madras.
- Platvoet, Jan. G.; Toorn, Karel Van Der (1995). Pluralism and Identity: Studies in Ritual Behaviour. BRILL. ISBN 90-04-10373-2.
- Richman, Paula (1991). Many Rāmāyaṇas: The Diversity of a Narrative Tradition in South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7589-4.
- Rocher, Ludo (1986).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02522-5.
- Schomer, Karine; McLeod, W. H. (1 January 1987),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277-3
- Shah, Natubhai (2004) [First published in 1998], Jainism: The World of Conquerors, vol. I,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1938-1
- Stasik, Danuta; Trynkowska, Anna (1 January 2006). Indie w Warszawie: tom upamiętniający 50-lecie powojennej historii indologii na Uniwersytecie Warszawskim (2003/2004). Dom Wydawniczy Elipsa. ISBN 978-83-7151-721-1.
- Varma, Ram (1 April 2010). Ramayana : Before He Was God. Rupa & Company. ISBN 978-81-291-1616-1.
- Zimmer, Heinrich (1953) [April 1952], Campbell, Joseph (ed.), Philosophies Of India, Routledge & Kegan Paul Ltd, ISBN 978-81-208-0739-6
- Dodiya, Jaydipsinh (2001),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Rāmāyaṇa, Sarup & Sons, p. 139, ISBN 978-81-7625-244-7
- Bassuk, Daniel E (1987). Incarnation in Hinduism and Christianity: The Myth of the God-Man. Palgrave Macmillan. ISBN 978-1-349-08642-9.
- Parrinder, Edward Geoffrey (1997). Avatar and Incarnation: The Divine in Human Form in the World's Religions. Oxford: Oneworld. ISBN 978-1-85168-130-3.
- Tripathy, Amish (2015). Scion of Ikshvaku. New Delhi, India: Westland Publications. ISBN 9-789-385-15214-6.
- Rinehart, Robin (2011). Debating the Dasam Granth.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4247-6.
- Lochtefeld, James G. (200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The Rosen Publishing Group. ISBN 978-0-8239-3180-4.
- Lamb, Ramdas (2012). Rapt in the Name: The Ramnamis, Ramnam, and Untouchable Religion in Central Ind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28–32. ISBN 978-0-7914-8856-0.
- Gupta, Shakti M. (1991). Festivals, Fairs, and Fasts of India. University of Indiana, United States: Clarion Books. ISBN 9-788-185-12023-2. OCLC 1108734495.
- Dalal, Roshan (2010).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SBN 978-0-14-341421-6.
- Hindery, Roderick (1978).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866-9.
- Goldman, Robert P. (1996). The Ramayan of Valmiki. New Jersey, United 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6662-2.
- Van Der Molen, Willem (2003). "Rama and Sita in Wonoboyo".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159 (2/3): 389–403. doi:10.1163/22134379-90003748. ISSN 0006-2294. JSTOR 27868037.
원천
- Blank, Jonah (2000). Arrow of the Blue-Skinned God: Retracing the Ramayana Through India. Grove Press. ISBN 0-8021-3733-4.
- Griffith, Ramayana, Project Gutenberg
- J. P. Mallory; Douglas Q. Adams (1997).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ISBN 978-1-884964-98-5.
- Menon, Ramesh (2008) [2004]. The Ramayana: A Modern Retelling of the Great Indian Epic. HarperCollins. ISBN 978-0-86547-660-8.
- Valmiki. Ramayana. Gorakhpur, Uttar Pradesh: Gita Press.
더보기
- Jain Rāmāyaṇa of Hemchandra (English translation), book 7 of the Trishashti Shalaka Purusha Caritra, 1931
- Willem Frederik Stutterheim (1989). Rāma-legends and Rāma-reliefs in Indonesia. Abhinav Publications. ISBN 978-81-7017-251-2.
- Vyas, R.T., ed. (1992). Vālmīki Rāmāyaṇa. Vadodara: Oriental Institute.
Text as Constituted in its Critical Edition,
- Growse, F.S. (2017). The Ramayana of Tulsidas. Trieste Publishing Pty Limited. ISBN 9-780-649-46180-6.
- Kambar. Kamba Ramaya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