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거 비브라토
Finger vibrato핑거비브라토는 현악기에서 주기적인 손놀림으로 만들어진 비브라토다.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보통 손 전체가 움직이고, 때로는 상팔 전체가 움직인다. 그것은 또한 수조처럼 드러난 구멍들 중 하나 위로 한 개 이상의 손가락을 내려서 달성한 몇몇 목관악기에 있는 비브라토를 가리킬 수도 있다. 이것은 주기적으로 노트를 평평하게 만들어 비브라토를 만든다.
바이올린과 비올라
바이올린 비브라토에는 손가락과 손목의 두 종류가 있다. 손가락 비브라토에서 연주자는 손가락만 움직인다. 손목 비브라토에서는 연주자가 팔을 편안한 자세로 유지하면서 손목을 앞뒤로 움직인다.
비브라토를 만들기 위해 다른 신체 운동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전방이나 후방 비브라토 운동과 관련하여 다른 방법이 있다. 비브라토는 연주되는 노트의 톤을 변경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음조를 바꾸는 것은 비브라토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
이것은 음을 더 높거나 더 낮은 톤으로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손가락, 손목 또는 팔을 앞뒤로 움직이면 주로 톤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바이올린 비브라토는 피치 위와 아래에서 진동하지만 극적인 효과는 피치 아래뿐만 아니라 위에서도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20세기 내내 손가락 비브라토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바이올린 계열의 모든 멤버를 연주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세기말 무렵 비브라토 없이 노는 것은 어떤 맥락에서 더욱 받아들여지는 기술이 되었다.[citation needed]
기타
순수한 형태에서 비브라토는 대개 손목을 빠르게 비틀어 음을 약간 구부려 출발 피치를 오가며 달성한다. 종종 비브라토의 속도는 음이 감지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빠른 비브라토는 일반적으로 긴장과 스트레스를 더하는 반면 느린 비브라토는 더 서정적인 소리를 낸다. 가장 느린 바이브라토들은 초창기 이후 음을 "성장"하는 활 악기를 모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이 효과는 절뚝거리는 악기의 볼륨을 가리킨다 하더라도, 많은 상황에서 음량 변동의 동일한 구조를 따르는 피치 변동을 갖는 것은 청취자들에게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현대 음악에서 손가락 비브라토는 더 오래 지속되는 느낌을 주기 위해 클래식 기타리스트들에 의해 더 긴 음에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이 기술은 또한 재즈 베이스 연주자들이 음조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사용한다.
축 피치-시프팅
Axial vibrato는 왼손으로 정지된(유지된) 끈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스트링의 장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피치가 변화한다. 이런 유형의 비브라토는 일반적으로 클래식 기타리스트들이 사용하지만(클래식 기타 기법 참조), 어떤 종류의 기타에서도 연주할 수 있으며, 스틸 스트링이나 전기 기타에도 자주 사용된다. 클래식 기타리스트가 비브라토(vibrato)라는 말을 한 점수로 볼 때 일반적으로 이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효과다.[1]
반지름 피치-시프팅(스트링 벤딩)

방사형 피치-시프팅("스트링 벤딩" 또는 "벤딩"이라고도 함)은 안절부절못과 평행하고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안절부절못한 손으로 정지된(유지된) 스트링을 이동함으로써 생성된다. 이런 종류의 피치 쉬핑은 블루스, 록, 컨트리, 팝 음악과 관련이 있다.[2] 효과는 일반적으로 축방향 피치 시프트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피치를 이동시킨다. 그것은 피치의 주기적 변화, 단 한번의 상하 급거 또는 한 피치에서 다른 피치로의 이동으로 비브라토를 생산할 수 있다. 기타의 현악과 액션이 충분히 가벼우면 연주자는 세미톤 이상으로 음을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현악 벤딩은 단순히 노트의 장식으로서가 아니라 음 사이를 포타멘토 전환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악기 굴곡은 기타에서 특히 블루 음을 미세하게 음색화시키는 몇 안 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기본기법
기타리스트는 커브를 연출하기 위해 현에 손가락을 댄 다음 현을 손가락판까지 누르면서 음을 치고 현을 옆으로 밀거나 당긴다. 이것은 끈을 늘이는 효과가 있어서 그것의 피치를 높인다. 일반적으로 기타리스트의 관점에서 볼 때 하위(6~4위) 문자열의 굽힘은 이들을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시키고, 상위(3~1위) 문자열의 굽힘은 이들을 위로 이동시킨다. 이 기법은 핀치 고조파에도 사용할 수 있다.
후진, 후진 또는 해제 커브에는 문자열을 핑거보드로 누르고, 문자열을 먼저 잡아당기거나 위로 밀어 올려서 문자열을 타격하고 문자열을 정상 위치로 이완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이로 인해 음이 평평하게 되고, 직선으로 구부러지는 역방향이다.
때로는 기타리스트가 특정 문자열 위에서 음을 위로 구부릴 때도 있고, 그 음을 연주하면서 다른 문자열로 음을 구부려 '유니즌 구부림'[3]을 만들어 내고 있다.
1, 2세미톤의 굴곡이 가장 흔하지만, 숙련된 선수들은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Wall의 "Another Brick In the Wall.2"에서 데이비드 길무어가 연주한 솔로에서 들을 수 있듯이 3세미톤에서 최대 5세미톤까지 벤딩을 사용할 수 있다.[2] 선수의 기량 외에도 기타의 종류, 소재, 스트링 게이지, 휨이 연주되는 목 부위 등에 따라 피치 벤딩의 범위가 어느 정도 제한된다. 예를 들어, 강철 끈은 나일론 끈보다 음높이 더 굽고, 가는 끈은 굵은 끈보다 더 굽고, 목 중간은 너트 근처보다 더 굽는다.
블루스 플레이에서, 목표 음은 초조해하는 음보다 약간 높거나 낮을 수 있다. 4분의 1 톤이 될 수도 있고, 그것조차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담금질 저울에는 없는 피치, 대신 자연적인 3분의 1이나 7이 될 수도 있다(또는 그것에 가깝다). 이것들은 파란색 음표인데, 그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작은 음표와 큰 음표 3분의 1 사이의 음표들이다. 정확한 위치는 연주자마다 다르다.
어려움
- 벤딩을 연습하는 초보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순간은 음을 적절한 음으로 구부리는 것이다. 보통 벤딩은 정확히 하나의 세미톤이나 하나의 전체 톤(2개의 세미톤)으로 음을 변경하며, 대부분의 초보자는 적절한 음조로 줄을 정확하게 구부리지 못해 '오버벤드'와 '언더벤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기타 선생님들은 더 높은 안절부절못으로 목표 음을 연주하고, 그 소리를 잘 듣고, 정확히 같은 음을 얻기 위해 줄을 구부리도록 노력하라고 조언한다.
- 벤딩(특히 무거운 벤딩, 두 개 이상의 세미톤)은 일반적으로 그림에서 보듯이 왼손(퍼팅)으로 하나 이상의 줄을 만지는 것을 포함한다.
- 구부리면 줄이 끊기거나 기타의 음이 틀어질 수 있다.
- 특히 넓은 벤딩은 특수한 손가락 힘이 필요하다. 손을 구부리는 것이 어색하거나 피곤한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적절한 연습으로 이것은 가라앉는다. 현악기 또한 큰 역할을 한다; 전형적으로 굵은 현은 구부리기 더 어렵다. 음악적 곡선을 만들면서 매우 무거운 줄을 사용한 유명한 기타리스트로는 스티비 레이 본과 피터 그린이 있다.
후두 피치 시프팅
- "너트 뒤 벤딩"이라고도 함
너트와 기계 헤드(조정 키) 사이의 문자열을 누르면 피치가 이동한다. 레드 제플린의 '하트브레이커'[4]에서 지미 페이지의 무반주 솔로 브레이크가 대표적이다.
- 클래식 기타(나일론 문자열): 이것은 클래식 기타(나일론 문자열)의 언바운딩 스트링에 적용되며, 또한 머리(조정 키)가 너트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스트링에도 더 효과적이다.
- 베이스 기타: 모든 스트링에 사용 가능
이 기법의 특별한 장점은 음을 음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변형
- 한 번에 여러 줄을 구부릴 수 있다.
- 셀 수 없이 많은 굽힘 패턴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트링의 직선 굽힘은 2세미톤 위로, 한 세미톤 아래로, 한 세미톤 아래로, 한 세미톤 아래로, 그리고 한 세미톤 아래로, 그리고 두 세미톤 아래로.
소리
끈이 휘었을 때, 그것이 만들어내는 소리는 다른 것들보다 훨씬 부드럽다. 심지어 해머-온, 풀-오프, 핑거 슬라이드 같은 다른 슬러링 기술을 사용해도 말이다. 기타에 휘는 현은 슬라이드 기타의[citation needed] 부드러운 소리를 흉내내기 위해 블루스로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 리드 기타를 연주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기타에 현악 굽힘의 대가로는 데이비드 길무어, 토니 이오미, 브라이언 메이, 티본 워커, B. B. 킹, 에릭 클랩튼 등이 있다. 클랩튼은 그의 폭넓은 현악기 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의 기타에 있는 세 번째 현악기 대신 다루곤 했다.[citation needed] 당시에는 풀리지 않은 세 번째 문자열이 있는 라이트 게이지 문자열 세트는 사용할 수 없었다.
키보드 악기
손가락 비브라토는 또한 베붕으로 알려진 클라비코드 기법의 표준 부분이다.
20세기 전반까지 클라비코드는 손가락 비브라토가 가능한 유일한 키보드 악기였다. 1928년 첼리스트로서의 경험에 고무된 모리스 마르테노트는 온데스 마르테노를 발명했는데, 이 발명품에는 플레이어가 좌우로 흔들 수 있는 키보드가 있었다.
다른 손가락 비브라토 기법은 적절한 소리와 패치를 가진 압력에 민감한 전자 키보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로저스 디지털 교회 장기는 속도에 민감한 볼륨과 압력에 민감한 음조의 솔로 트럼펫을 제공하는 상단 키보드의 선택적 음성을 가지고 있어 숙련된 연주자가 사실적인 트럼펫 솔로 연주를 할 수 있다. 일부 2010년대와 2020년대 MIDI 컨트롤러와 신디사이저 키보드에는 초기 타격 후에도 플레이어가 키를 계속 누르고 있는지 감지하는 압력 또는 애프터치 센서가 있다. 일부 동기 모듈 패치(사운드)에서 키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은 표현식 발성, 구부러진 문자열 또는 키의 모방을 통해 전자적 비브라토 효과를 유발한다. 보유 노트에 비브라토를 가미하는 바람 기술
아코디언에서는 벨로우즈의 움직임이나 벨로우즈 압력의 변화, 또는 키에 손가락을 흔들어 비브라토 타입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관악기
핑거 비브라토는 클래식 음악이나 전통 음악 모두에서 몇몇 목관악기에 사용된다. 바로크 음악에서는 프랑스어로 플랫트(plattette)라고 불리며, 바로크 플루트와 레코더에 주로 긴 음으로 사용되었으며, 자크 마르틴 핫테레와 미셸 코레트의 저술에 기록되어 있다. 아일랜드 음악에서, 그것은 의용 파이프와 페니휘슬에 사용된다. 현대적인 용어로 이 기법을 더 일반적으로 "뇌조"라고 부른다.
참고 항목
원천
- ^ 클래식 기타 비브라토 설명
- ^ Jump up to: a b "A Couple Guitar Tips". How To Play Blues Guitar. 2008-07-30. Retrieved 2008-07-31.
- ^ "Unison ben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09. Retrieved 2010-08-18.
- ^ Hilborne, Phil (20 September 2019). "5 guitar tricks you can learn from Jimmy Page". MusicRadar. Retrieved 3 Dec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