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카토
Pizzicato피지카토(Pizzicato)는 현악기의 현을 뽑는 연주 기법이다.[1]정확한 기법은 계측기 유형에 따라 다소 다릅니다.
- 활을 사용하는 현악기에서는 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으로 현을 당겨서 연주하는 방법입니다.이것은 지속적이기보다는 절하고, 짧고, 타악기적인 소리와 매우 다른 소리를 낸다.
- 피아노와 같은 건반 현악기에서는 피지카토가 사용될 수 있다(전통 레퍼토리에서 거의 볼 수 없지만, 이 기법은 조지 크럼, 토루 타케미츠, 헬무트 라첸만 등의 풍부한 예와 함께 현대 음악에서 표준화되었다).'현악 피아노'로 통칭됩니다.
- 기타에서는 음소거 형태의 플럭으로, 비교적 짧은 지속력과 함께 활로 된 현악기의 피지카토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팜 뮤트라고도 합니다(특히 클래식 기타에서는).
현을 치거나 당기면 피지카토와 같이 현을 [2]구부렸을 때와 같이 조화 계열에 속하지 않는 음파가 발생한다.이 복잡한 음색을 부조화라고 한다.현의 부조화는 장력, 구성, 지름 및 길이와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활의 스틱슬립 동작은 주기적이기 때문에 현을 구부릴 때 부조화는 사라집니다.따라서 현의 모든 공명을 정확한 조화 비율로 구동합니다. 비록 그것이 현의 고유 [3]주파수를 약간 벗어나게 해야 하지만요.
역사
클래식 음악에서 처음으로 피지카토의 사용이 인정된 것은 토바이어스 흄의 캡틴 흄스 시컬올 뮤직케(1607)에서 볼 수 있으며, 그는 비올라 다감바 연주자에게 피지카토('썸페')를 사용하도록 가르친다.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Il combattimento di Tancredi e Clorinda (1638년경)에서 다른 초기 용도가 발견되었는데, 이 곡에서는 연주자들이 오른손의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현을 뽑도록 지시받았다.나중에, 1756년에 레오폴드 모차르트는 그의 Versuch einer gründlichen Violinschule에서 연주자에게 오른손 검지를 사용하도록 지시한다.이것은 때때로 가운데 손가락을 사용하지만 피자카토를 실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남아 있다.활을 내려놓고 활을 다시 쥘 시간이 없다면 활은 동시에 손에 쥐게 된다.
다양한 음악 스타일에 사용
재즈와 블루그래스, 그리고 더블 베이스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대중 음악 스타일에서, 피지카토는 더블 베이스를 연주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바이올린 가족 악기로서는 이례적인데, 바이올린 가족 악기가 재즈(예: 재즈 바이올린), 인기 있는 음악, 전통 음악(예: 블루그래스 바이올린) 또는 클래식 음악에서 사용되든 상관없이, 그들은 보통 공연의 대부분에서 활로 연주되기 때문이다.전통적인 더블 베이스 연주에서, 피지카토는 종종 손에 활을 들고 연주된다. 따라서, 보통 현은 한 손가락으로만 뽑힌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재즈, 블루그래스 및 기타 클래식하지 않은 스타일에서는 연주자는 보통 활을 들고 있지 않기 때문에 두세 손가락을 사용하여 줄을 뽑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에서는 현악기가 대부분 활로 연주되고 작곡가들은 필요할 때 피지카토를 연주하도록 특정한 지시를 내린다.완전히 피지카토로 연주되는 클래식 음악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J. S. 바흐: 마니페라트의 제9악장(1723년-173년)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요제프 슈트라우스: 피지카토 폴카(1869)
- 에드바르 그리그: 4막 - 아니트라의 피어건트 춤 (1874년)
- 레오 델리베: 발레 실비아의 3막의 '변화: 피지카티'(1876)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제4교향곡의 제3악장(1877년-1878년)
- 요한 스트라우스 2세: 노이 피지카토 폴카 (1892)
- 헬머 알렉산데르손: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의 세 번째 악장(1919년)
- 벨라 바르토크: 현악 4중주 제4악장(1928년)
- 벤자민 브리튼: 심플 교향곡 제2악장(1934년)
- 리로이 앤더슨: 재즈 피지카토(1938년)와 플링크, 플랭크, 플랭크!(1951년)
안토니오 비발디는 그의 칸타타 세사테의 "아 치 인펠리스 셈프레" 섹션에서 피지카토와 활로 된 악기를 결합하여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냈다.그는 또한 포시즌스의 "윈터"의 2악장에 피지카토를 포함시켰다.
표기법
음악 표기법에서, 작곡가는 보통 연주자가 pizzicato와 함께 pizzicato를 사용해야 한다고 지시합니다.절로의 복귀는 이탈리아어 arco로 나타낸다.왼손 피지카토는 보통 노트 위에 작은 십자가를 쓰고, 바르토크 피지카토는 종종 해당 노트 위에 작은 세로줄이 있는 원이나 관련 구절의 선두에 바르토크 피즈를 써서 표시한다.
클래식 음악에서는 아코 연주가 기본 가정입니다.따라서 악보 부분이 시작되고 음이 아코인지 피즈인지에 대한 지시가 주어지지 않으면 연주자는 음이 절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활현악기법
실제적인 의미
현악기 연주자가 장시간 피지카토를 연주해야 할 경우 연주자는 활을 내려놓을 수 있다.바이올리니스트와 비올리스트는 또한 "반조 자세"로 악기를 잡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현을 당길 수도 있다.이 기술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개 피지카토 전체에 걸친 움직임에서만 사용됩니다.이와 유사한 기법으로 현을 기타처럼 퉁기는 것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카프리시오 에스파놀'(Scena e canto gitano) 제4악장에 요구되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피지카토 '콰시기타라'를 연주하도록 지시받는데, 이 악장은 3음, 4음표로 구성되어 있다.모방된 악기와 매우 흡사합니다.
기타 피자카토 기술
앞에서 말한 림스키코르사코프 작품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화려한 피지카토 기술은 양손 피지카토이며, m.s.와 m.d.(왼손 마노 시니스트라, 오른손 마노 데스트라)로 표시된다.여기서 열린 E 줄은 왼손과 오른손으로 번갈아 빠르게 뽑힌다.
왼손 손가락은 사용하지 않을 때나 이전 위치에서 떠날 때 사용할 수 있다.이렇게 하면 오른손을 구부릴 시간이 없는 곳에서 피지카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왼손 피지카토의 사용은 비교적 드물고 바이올린 독주 레퍼토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왼손 피지카토의 두 가지 유명한 예는 파가니니의 24번째 카프리스와 사라사테의 지게네르바이젠이다.주로 19세기 후반 이후의 레퍼토리에 나타난, 왼손의 피지카토는, 활을 들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 기법의 예는 비에니아프스키, 베르그, 스트라빈스키, 그리고 다른 많은 작품들에서 찾을 수 있다.
모리스 들라지는 소프라노와 실내악단에 방해가 되는 그의 Quatre poémes의 첼로 파트에서 음탕한 피지카티를 요구한다.이것은 하나의 음을 재생한 후 동일한 문자열에서 새 음을 중지하고 다시 줄을 뽑지 않으면 됩니다.이 기법은 (기타 연주자들에게 "망치질"로 알려져 있다) 활로 된 악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변형은 특히 강한 피지카토입니다.이 피지카토는 악기의 핑거보드를 튕겨서 줄을 수직으로 당깁니다.이것은 그것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작곡가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스냅 피지카토 또는 바르토크 피지카토라고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그의 제4현악 사중주악장, 1928년).구스타프 말러는 그의 교향곡 7악장 3악장에서 이런 종류의 피지카토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그는 첼로와 더블베이스에 '줄이 나무에 닿을 정도로 세게'라는 각주를 제공한다.
더블 베이스에서는, 이러한 스타일의 스냅 피지카토, 즉 "슬랩핑"이 1920년대부터 재즈에 사용되었고 나중에 로커빌리에 사용되었습니다.증폭되지 않은 더블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재즈 밴드에서 가장 조용한 악기이기 때문에,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많은 연주자들은 슬랩 스타일을 사용했고, 슬랩하고 현을 잡아당겨서 그들이 지판에 리드미컬한 "찰칵" 소리를 냈다.슬랩 스타일은 단순히 현을 뽑는 것보다 밴드 사운드를 잘 가르고, 초기 녹음에서도 저음을 더 쉽게 들을 수 있게 했다.
바르토크는 또한 피지카토 글리샌디를 사용했는데, 이는 음표를 뽑은 다음 정지 손가락을 현을 위아래로 미끄러뜨리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다.이 기술은 그의 현악기, 타악기, 첼레스타 음악에서 들을 수 있다.
레퍼런스
- ^ "Pizzicato". 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Retrieved 2008-02-08.
- ^ 마티 A.Karjalainen(1999년).2012-02-09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된 "현악기 사운드의 부조화성 및 디지털 사운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 네빌 H.플레처(1994년)."악기의 비선형 역학 및 혼돈" 2009-10-17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국제 복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