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의 요리

Cuisine of Berlin
베를린의 델리

베를린의 요리는 베를린의 음식 제공의 다른 측면들을 묘사하고 있다.한편으로 독일 요리의 요리가 있는 베를린 가정의 전통적인 베를린 요리를 의미한다.한편, 1945년과 1990년 이후 많은 이주 물결로 인해 점점 더 국제화 되어가는 촌스러운 펍과 간식주방도 종종 있다.[1][2]2000년 이후 베를린에서는 수많은 최고급 식당들이 발전했다.

역사

프리드리히 2세는 1750년경 감자 재배 현장을 시찰한다.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베를린 주방은 세련된 맛보다는 푸짐한 맛과 포화감을 강조한 소박한 부엌이었다.17세기에 수많은 위그노트가 베를린에 정착하여 그들의 요리 전통을 가지고 왔다.[3]프러시아-프로테스탄트 주방은 이러한 영향들을 기본적으로 단순화를 통해 통합했다.

대표적인 재료는 돼지고기, 거위, 붕어, 장어, 파이 등 생선, 양배추, 완두콩, 렌틸, 등 콩류, 비트와 오이, 감자 등이다.오늘날의 관점에서[when?] 볼 때 놀라운 것은 18세기와 19세기에 베를린에서 부유한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한 고귀한 가재의 빈번한 사용이다.[citation needed]

독일제국의 성립과 함께 베를린은 세계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여러 지방으로부터 도착하여 도시의 요리 전통이 확대되었고, 베를린 요리는 국제화되기 시작하였다.유대인동유럽의 준비 유형이 추가되어 수도에서 메뉴가 확대되었다.[citation needed]

1988년 카페 크랜즐러

1920년대에 베를린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수많은 대형 호텔과 식당들이 각기 다른 요리를 내놓았다.[4]나치 정권과 그 뒤를 이은 제2차 세계 전멸전쟁은 이러한 요리 다양성을 종식시켰다.동부 지역에서는 GDR의 사실상의 수도로서 고급 미식축제가 거의 완전히 사라지고 수십 년 동안 국제적인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던 동안, 서부의 식당 풍경은 이번 휴식기부터 서서히 회복되었다.

훌륭한 요리를 위한 첫 번째 식당은 전쟁 후에 재건된 시티 웨스트에 문을 열었다.베를린 분단 기간 동안, 카데위의 조제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종류 중 하나로 남아 여전히 도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5]

2019년 주스바 트럭

베를린 커리워스트는 1949년 쾨니히스베르크 출신의 헤르타 후워가 당시 샬롯텐부르크에서 작은 분식점을 운영하던 중 발명했다고 한다.[6]

1958년, 전후 커피하우스 문화를 따르고자 했던 쿠르퓌스텐덤카페 크랜즐러가 문을 열었다.그 카페는 이듬해 서베를린 기관으로 설립되었다.[7]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노동력 이주로 인해 베를린 주방은 다시 국제화되었다.터키 이민자들은 1970년대에 크레우즈베르크에서 도너 케밥을 발명했다고 하는데, 이 도너 케밥은 현재 베를린의 대표적인 간식으로 여겨지고 있다.[8][9]

늦어도 1990년 통일 이후 베를린은 다시 미식가의 대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밋테나 프란츨라워 베르그 같은 옛 동부 지역에서도 이제는 국제적인 제의가 있는 식당들이 수없이 많다.[10]

식사 시간

아침 식사는 종종 잼이나 차가운 고기와 치즈를 곁들인 빵 롤로 구성되며, 커피, 차 또는 주스를 곁들인다.한낮의 식사는 전통적으로 하루의 주요 식사였지만, 현대에는 베를린 사람들이 집에서 몇 시간 더 멀리 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 그렇지 않다.주요 식사는 이제 저녁에 자주 먹는다.

접시.

고기요리

생선 요리

  • 롤맵 – 청어 절임 파일럿
  • "폴란드 잉어" – 생강빵 소스에 잉어
  • 헤흐트미트 버터카르토펠른

야채요리 및 반찬

스위츠

디저트

  • "베를린 루프트" – ("베를린의 에어") 라즈베리 소스를 바른 화이트 와인 크림
  • "한산티엘렌" – 양귀비 씨가 들어간 브레드 푸딩
  • "Rote Grütze" – 적과일 젤리

베이커리 제품

음료수

베를린은 오랜 전통이 있다.가장 흔한 품종은 필세너다.슐테이스, 베를리너 킨들[de], 베를리너 필세너 같은 브랜드는 흔하다.밀맥주 베를리너 위스라즈베리우드러프 시럽을 넣은 베를리너 웨이제 밋 슈스로 여름에 마신다.

시장 및 상점

다양한 빵과 페이스트리를 제공하는 독일의 빵집들은 널리 퍼져있다.카데위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조미료 시장이 있으며, 3만4000여 개의 특산품과 고급 식품과 음료가 보관되어 있다.세계에서 가장 큰 초콜릿 가게들 중에는 Fassbender & Rausch가 있다.[11]

레스토랑 및 바

베를린은 이 도시의 이민 역사를 반영하는 다양한 미식가들의 고향이다.터키인, 아랍인, 베트남인 그리고 많은 유럽 이민자들은 그들의 요리 전통을 이 도시에 가져왔다.1970년대 베를린에서 진화도너 케밥 샌드위치의 현대식 패스트푸드 버전은 이후 세계 다른 곳에서도 베를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이 되었다.[12]베를린에만 1000개가 넘는 ö너 레스토랑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독일식 펍, 중국식, 태국식, 인도식, 한국식, 일식 레스토랑은 물론 스페인식 타파스 바, 이탈리아식, 그리스식 요리가 시내 곳곳에서 볼 수 있다.

2017년에는 미슐랭 스타 2명을 수상한 레스토랑은 총 7곳이었다.또 다른 14개의 레스토랑은 별을 받았다.2017년 베를린은 독일어권 국가에서 가장 스타 식당이 많은 도시였다.[13]베를린은 채식주의자[14] 채식주의자들[15] 음식 제공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베를린 푸드위크와 같은 음식 축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맛, 지역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료, 팝업 스트리트 푸드마켓, 저녁 클럽을 홍보하는 혁신적인 음식 풍경이 자리잡고 있다.[16][17]

휴일

크리스마스 이브에 이은 크리스마스 날에, 구운 거위는 크리스마스 날 식사의 주식이다.[18][19]재림절은 종종 Weihnachts- 또는 ChriststollenLebkuchen과 같은 달고 매운 음식과 관련이 있다.예를 들어 부활절 시즌은 일반적으로 초콜릿 부활절 달걀과 부활절 토끼와 관련이 있다.이전 카니발 시즌과 새해 전야는 판쿠첸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 및 브랜드

참고 항목

참조

  1. ^ "Berlin cuisine". www.visitberlin.de. Retrieved 2020-05-12.
  2. ^ "Berlin: History, Lifestyle and Home-Style Cuisine – Germanfoods.org". Retrieved 2020-05-12.
  3. ^ "Huguenot Museum in the Französischer Dom". www.visitberlin.de. Retrieved 2020-05-12.
  4. ^ "Berlin's Café Kranzler in name only". Walled In Berlin. 2017-07-10. Retrieved 2020-05-12.
  5. ^ "KaDeWe". berlin.de. Retrieved 2020-05-12.
  6. ^ Ball, Alexandra (5 September 2019). "Currywurst: The Berlin dish that wouldn't exist without the British". The Local. Germany. Retrieved 2020-05-12.
  7. ^ "Berlin's Café Kranzler in name only". Walled In Berlin. 2017-07-10. Retrieved 2020-05-12.
  8. ^ "Döner Kebab ist eine Berliner Erfindung". berlin.de (in German). Retrieved 2020-05-12.
  9. ^ Cichanowicz, Lily. "A Brief History Of The Döner Kebab". Culture Trip. Retrieved 2020-05-12.
  10. ^ "Eating out in Berlin". www.visitberlin.de. Retrieved 2020-05-12.
  11. ^ "Chocolate Heaven at Fassbender & Rausch". Luxe Adventure Traveler. 2013. Retrieved 1 March 2016.
  12. ^ James Angelos (18 April 2012). "There's Nothing More German Than a Big, Fat Juicy Döner Kebab".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6 June 2016.
  13. ^ "Michelin starred restaurants". www.visitberlin.de. Retrieved 2020-05-12.
  14. ^ "Good Taste Award Winner 2015: Berlin, The New Vegetarian Capital". SAVEUR. Retrieved 1 March 2016.
  15. ^ "Berlin: Vegan capital of the world?". DW. Retrieved 4 April 2017.
  16. ^ "Berlin's booming food scene". DW. Retrieved 4 April 2017.
  17. ^ "Conscious Food Consumption at Berlin's Restlos Glücklich". Food Tank. 11 September 2016. Retrieved 4 April 2017.
  18. ^ Levius, Travis (December 20, 2016). "10 Christmas meals around the world CNN Travel". CNN. Retrieved 2017-11-30.
  19. ^ Nolen, J.J.; Lazor, D.; Varney, J. (2015). New German Cooking: Recipes for Classics Revisited. Chronicle Books. p. 105. ISBN 978-1-4521-3648-6. Retrieved November 3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