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석

Bladder stone
방광석
기타 이름소변 미적분, 낭석
Urinary Bladder stone 04.jpg
환자에게서 나온 방광석.
전문비뇨기과 Edit this on Wikidata
증상통증
합병증방광염
원인들칼슘
예방다이어트
치료주스 소다 식초 수술

방광석방광에서 발견된 돌이다.[1]

징후 및 증상

전립선 절제술 중 방광 게실(방광 절개를 통한 전립선 제거)에서 우연히 발견된 방광결석(14mm 직경)

방광석은 방광에서 형성될 수 있는 작은 광물 퇴적물이다. 대부분의 경우 방광결석은 소변이 매우 집중되거나 탈수될 때 발생한다. 이것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소금과 같은 미네랄이 결정화하여 돌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방광석은 수, 크기, 일관성이 다양하다. 방광결석이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평이한 방사선 촬영에서 부수적인 발견으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증상이 나타나면 아래 복부와 요통, 난뇨, 야간 잦은 배뇨, 발열, 통증 배뇨, 소변 혈액이 포함될 수 있다. 증상이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파도에 오는 고통을 호소할 것이다. 그 통증은 또한 메스꺼움, 구토, 오한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방광석은 크기, 모양, 질감이 다양하다. 어떤 돌은 작고 단단하며 매끄러운 반면 어떤 돌은 크고, 뾰족하며, 매우 부드럽다.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돌을 가질 수 있다. 방광결석은 전립선 확대가 있는 남성들에게 다소 더 흔하다.전립선이 요도를 누르고 있어 소변 통과가 어렵다. 시간이 흐르면서 정체된 소변이 방광에 모이고 칼슘과 같은 미네랄이 침전되기 시작한다. 방광결석이 생기는 다른 사람들은 척수손상, 마비, 또는 신경손상을 입은 사람들이다. 등에 대한 신경이 손상되면 방광이 비지 못해 소변이 정체된다.[3]

원인들

방광결석은 신장이나 방광, 요인에 염증이 생길 때마다 생기는데, 소변이 너무 농축되거나 신체가 탈수될 때 생길 수 있다.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결정적으로 돌에 들어가며, 이는 허리 아래나 복부 통증,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요로 카테터의 사용은 방광석을 유발할 수 있다. 마비되거나 소변을 충분히 통과하지 못하는 개인들은 방광에 놓인 작은 플라스틱 관(카테터)을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을 사용하면 방광을 자극하는 감염을 일으켜 돌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장석은 요인을 타고 방광으로 내려가 방광석이 될 수도 있다. 돌에 의한 방광의 만성적인 자극이 방광암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몇몇 증거가 있다. 비뇨기성 치스토소마 해마토비움증(Digenean dematode Schistosoma hematobium)으로 인한 질병인 비뇨기성 치스토소미아시스증은 배실성 치석증의 발달에 관여하고 있다.[4][5] 그러나 지금까지 축적된 증거는 이 가설을 뒷받침하지 못했다.[6][7]

진단

60세의 중동 남자의 방광에 있는 큰 잭스톤. 돌은 열린 세포절개술로 제거되었다.

방광석의 진단에는 소변검사, 초음파검사, x선 또는 낭종검사(작은 얇은 카메라를 요도에 삽입하고 방광을 보는 것)가 포함된다. 정맥 혈전도는 또한 신장결석의 유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테스트는 비뇨기계에 전달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주입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몇 분마다 X선 영상을 획득하여 방광으로 배설될 때 대비를 방해하는 요소가 있는지 판단한다. 오늘날 많은 보건소에서 정맥주사 혈전도가 CT 촬영으로 대체되었다. CT 스캔은 더 민감하고 다른 검사에서는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돌들을 식별할 수 있다.[8]

분류

골반 방사선 사진의 요로 방광에서 별 모양의 잭스톤 우롤리스를 볼 수 있다.

비뇨기결석은 다음 각 호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9]

잭스톤 미적분학

잭스톤 칼쿨리는 장난감 과 닮은 외관을 가진 희귀 방광석이다. 그것들은 거의 항상 칼슘 옥살레이트 이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밀집한 중심핵과 방사된 스피쿨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들은 전형적으로 옅은 갈색으로 어두운 부분이 있으며 보통 방광에서 형성되며 위 요로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인간 환자의 일반 방사선 촬영과 컴퓨터 단층 촬영에 대한 그들의 모습은 보통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잭스톤은 종종 세포절개술을 통해 제거되어야 한다.[10]

예방

방광결석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액체를 많이 마시는 것이다. 구연산염이 함유된 주스는 석재 형성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 네피톨로지 협회의 임상저널에 게재된 연구는 오렌지 주스가 다른 감귤류 주스보다 석재 형성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11] 전립선 확대 등으로 배뇨에 어려움을 겪는 남성은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앉아 있는 자세로 배뇨하면 방광 비우기가 좋아져 방광석이 형성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12][13]

, 관리

유체 섭취량을 늘리면 작은 방광결석이 쉽게 통과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돌은 다른 치료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14] 방광결석의 파편화는 방광에 삽입된 방광경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비뇨기과 의사는 돌을 시각화하여 초음파 에너지나 레이저 광석증을 이용하여 돌을 잘게 조각내게 한 다음 방광 밖으로 빨개진다. 이 절차는 마취가 필요하며 병원에 입원해야 할 수도 있다. 이 치료의 합병증은 감염과 방광의 손상을 포함한다.[15] 일부 돌은 방광 치료에도 너무 커서 방광에 절개를 하고 돌을 수동으로 제거하는 개복술이 필요할 수 있다. 비뇨기결석이 있는 어린이의 경우 치료 선택권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매우 약하고 임상 관리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고품질 임상시험이 필요하다.[16]

방석절개술

낭석절개술은 발달한 잭스톤 캘컬리처럼 너무 커서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방광석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것은 돌을 제거하기 위해 열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지만, 로봇 세포절개술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훨씬 작은 절개를 통해 돌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의 침습적인 접근을 허용한다. 대부분의 방광결석은 내시경 수술로 치료할 수 있어 외과적 절개가 필요 없다.

개방성 낭석절개술은 전신마취 상태에서 입원시술로 시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방광을 검사하기 위한 방광 투시법으로 하복부에 절개를 한다. 일단 돌이 제거되면 흡수가 가능한 바느질로 방광을 수리하고, 요도를 통해 방광에 카테터를 삽입한다. 간혹 시술 후 출혈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광에 일정 기간 동안 부드럽게 액체를 투하할 필요가 있다. 낭석절제술에 따른 부작용이 크지 않지만 경미한 화상감각과 가벼운 출혈이 뒤따를 수 있다. 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방광염, 카테터 사용의 장기화, 수술 절개 감염 등이 있다.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응고 제거나 추가 수술이 필요한 지연 출혈, 흉터 형성을 유발하는 요도 손상, 발열 및 보다 심각한 병원 체류가 필요한 감염, 방광의 회복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어 추가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17]

역사

니콜라스 툴프의 '관찰의 메디케이' 1652년 한 책에 따르면 자신에게서 제거한 방광석을 들고 있는 캐럴사보이엔의 얀 드 도트의 초상화

석탄성 낭종절개술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암모니우스 리토토모스(돌 절단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토절개'라는 용어는 같은 말( (ιθτοομαα(리토토모미아) - 돌절개(石cutting)에서 유래한다. Aulus Cornelius Celsus는 리토토모스가 방광석을 분해하여 추출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고 썼다.[18] 켈소스는 자신의 시대 전후에 행해진 것과 같은 석판절개술에 대한 최초의 설명을 하였고, 그 이후 그 수술은 그의 이름인 셀시언의 방법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19]

어원

방광의 리티아시스(석기형성)는 시스토-(낭/시스트) + -리쓰(석기형성) + -iasis(분열)에서 시스토리스(//ssstostolɪˈaaaaaaaaɪs/)라고 한다.

다른동물

참조

  1. ^ McNutt, WF (1893). "Chapter VII: Vesical Calculi (Cysto-lithiasis)". Diseases of the kidneys and bladder: a text-book for students of medicine. Vol. IV: Diseases of the Bladder.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pp. 185–6. Retrieved 2011-06-04.
  2. ^ 블래더 스톤 일반 개요 웨이백 머신보관된 2019-04-08, 2010-01-19.
  3. ^ 방광석 방지, 2010-01-19년에 회수되었다.
  4. ^ Ward, RO (1945). "Some Surgical Aspects of Urinary Bilharziasi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39 (1): 27–38. doi:10.1177/003591574503900105. ISSN 0035-9157. PMC 2181785. PMID 19993192.
  5. ^ Lukács, T; Frang D; El-Seaghy AA; Pajor L (1989). "Multiple urolithiasis in bilharziasis patients".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21 (3): 269–73. doi:10.1007/BF02559736. PMID 2807777. S2CID 35057871.
  6. ^ Ibrahim, A (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bilharziasis and urolithiasis in the Sudan". British Journal of Urology. 50 (5): 294–7. doi:10.1111/j.1464-410X.1978.tb03634.x. ISSN 0007-1331. PMID 753482.
  7. ^ Kambal, A (1981). "The Relation of Urinary Bilharziasis to Vesical Stones in Children". British Journal of Urology. 53 (4): 315. doi:10.1111/j.1464-410X.1981.tb03185.x. ISSN 0007-1331. PMID 7260543.
  8. ^ 방광석: e메디컬 비뇨기과, 2010-01-19년에 회수되었다.
  9. ^ S. Materazzi, R. Curini, G. D'Ascenzo, A. D. Magri(1995)에 적용된 TG-FTIR 결합 분석은 uroolithiasis: 인간 신장결석의 특성화. Termochimica Acta, 264권, 75-93권.
  10. ^ Singh, KamalJeet; Goyal, Adarsh; Tiwari, Anuj (2011). "Jackstone: A rare entity of vesical calculus". Indian Journal of Urology. 27 (4): 543–4. doi:10.4103/0970-1591.91449. ISSN 0970-1591. PMC 3263228. PMID 22279326.
  11. ^ [1], 2011-04-26 검색됨.
  12. ^ 블래더 스톤: 예방, 2010-01-19에 검색됨.
  13. ^ de Jong, Y; Pinckaers, JH; Ten Brinck, RM; Lycklama À Nijeholt, AA; Dekkers, OM (2014). "Urinating Standing versus Sitting: Position Is of Influence in Men with Prostate Enlar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9 (7): e101320. Bibcode:2014PLoSO...9j1320D. doi:10.1371/journal.pone.0101320. PMC 4106761. PMID 25051345.
  14. ^ 방광석: NY 타임즈 건강 정보, 2010년 1월 19일 회수
  15. ^ 블래더 스톤 개요: 메릴랜드 대학 의료 센터, 2010년 1월 19일 발견
  16. ^ Barreto, Lenka; Jung, Jae Hung; Abdelrahim, Ameera; Ahmed, Munir; Dawkins, Guy P. C.; Kazmierski, Marcin (2019-10-09). "Medical and surgical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stones in childr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9 (10): CD010784. doi:10.1002/14651858.CD010784.pub3. ISSN 1469-493X. PMC 6785002. PMID 31596944.
  17. ^ "Cystolithotomy (Open Removal of Bladder Stones)". Nicholas Brook Urology. Nick Brook Urologist Adelaide. 2013. Retrieved 17 April 2014.
  18. ^ Celsus, Aulus Cornelius (1831). A translation of the eight books of Aul. Corn. Celsus on medicine. Simpkin and Marshal. pp. 311. Retrieved 2011-06-04.
  19. ^ Gouley, John William Severin (1892). Diseases of the urinary apparatus: phlegmasic affections. D. Appleton and Company. pp. 3. Retrieved 2011-06-0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