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가즈 학살

Blagaj massacre
블라가즈 학살
크로아티아 독립국가 세르비아인 학살 사건 일부
NDH 내 Blagaj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위치크로아티아 독립국 블라가지
날짜1941년 5월 9일
대상세르비아인
공격형
요약 실행
죽음c. 400
가해자우스타셰

블라가즈 학살제2차 세계대전 중 1941년 5월 9일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인 우스타셰 운동에 의해 약 400명의 세르비아 민간인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이번 학살은 독일 주도유고슬라비아 침공크로아티아 독립국(NDH)으로 알려진 우스타셰 주도의 축 인형극 국가 수립 직후 발생했다. 그것은 우스타슈가 집권하자마자 저지른 두 번째 대량 살인 행위였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될 NDH에서 세르비아인에 대한 광범위한 집단 학살 운동의 일환이었다.

피해자들은 벨준 마을과 그 주변 지역에서 끌려온 것으로 표면적으로는 크로아티아 가톨릭 밀러인 조소 음라부낙과 그의 가족에 대한 강도살인 사건에 연루되어 있었다. 우스타슈는 이번 살인이 인종적으로 동기를 부여했으며 세르비아 지역 봉기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체포된 후, 죄수들은 많은 사람들이 구타와 고문을 당했던 블라가즈 학교에 구금되었다. 우스타슈는 '인민재판소'의 후원을 받아 이들에 대한 집단재판을 조직할 생각이었다. 이들 계획은 Mravunac의 생존한 딸이 경찰 라인업에서 가해자를 확인할 수 없었고 검찰은 유죄의 증거도 없이 어떤 개인에 대한 소송 절차를 진행하기를 거부하면서 무산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우스타슈 고위관료 브제코슬라브 루부리치는 새로운 '특별재판소'를 만들 것을 주선하고 증거부족이 유죄판결을 방해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으려는 검사를 임명했다. 다음날 살아남은 Mravunac 딸은 경찰 라인에서 나온 죄수들 중 한 명을 범죄의 가해자 중 한 명으로 지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32명 또는 36명의 죄수들에게 사형을 선고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되었다. 우스타슈는 더 나아가 감금되어 있던 모든 남자들을 블라가즈 학교 뒤쪽의 구덩이에 처단하여 시신을 집단 무덤에 묻었고, 이후 농작물로 뒤덮였다.

학살 이후, 희생자들의 여성 친척들은 죄수들을 위한 음식 바구니를 들고 블라가지를 방문했지만, 그 남자들은 독일로 보내졌다는 말을 들었다. 3개월 후, 파르티잔인들에게 붙잡힌 현지 우스타슈 관계자는 죄수들이 실제로 살해되었다고 인정했다. 이번 학살 사건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온 블라게와 벨쥔의 주민들 사이에 적대감을 조성했다. 1991~1995년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속에 싸웠던 두 공동체의 주민들은 서로의 마을을 파괴하고 약탈했으며, 서로 강제로 실향시켰다. 두 마을의 주민들은 전쟁이 끝난 후 이 지역으로 돌아가기 시작했지만, 긴장이 지속되었고, 1999년 5월에 있었던 대학살을 기념하기 위한 시도로 인해 사회주의 시대의 희생자들에 대한 기념비가 훼손되었다. 그 후 연례 기념행사가 재개되었다.

배경

전쟁중기

A map of wartime Yugoslavia
1941-1943년 유고슬라비아의 점령과 분열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왕국제1차 세계대전의 즉각적인 여파로 형성되었다. 600만 명의 세르비아인, 350만 의 크로아티아인, 100만 명의 슬로베니아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큰 인종 집단인 세르비아인들은 중앙집권적인 국가를 선호했다.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이슬람교도들은 그렇지 않았다. 1921년 6월 28일 승인되고 1903년 세르비아 헌법에 근거한 이른바 비도브단 헌법은 세르비아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하에서 왕국을 의회 군주국으로 제정했다. 베오그라드는 세르비아와 정교회 기독교의 정치적 지배를 보장하면서 새로운 주의 수도로 선택되었다. 1928년, 유명한 크로아티아 정치인 Stjepan Radiche는 세르비아의 한 부대표에 의해 그 나라의 의회 바닥에서 총에 맞고 치명상을 입었다. 이듬해 알렉산더 왕은 왕실 독재를 선동하고 그 나라 이름을 유고슬라비아로 개칭해 민족적 구성을 강조했다고 본다. 바네테스(세르보크로아티아어:바노바인)라고 불리는 9개의 행정 단위로 나뉘었고, 그 중 6개는 세르비아계 전공자들이 있었다.[1] 1931년 알렉산더는 유고슬라비아의 친유고슬라브 정당만 그 안에 대표되는 것을 조건으로 유고슬라비아 의회가 재결집할 수 있도록 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소외된 극우 정당과 극좌 정당이 번창했다.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운동인 우스타슈가 이 중 가장 극단적인 운동으로 떠올랐다.[2] 우스타슈는 세르비아인에 대한 심오한 증오로 몰렸다.[3] 1932년, 그들은 리카의 경찰서를 공격하면서 베레빗 봉기를 시작했다. 경찰은 이번 공격에 가혹하게 대응하고 지역 주민을 괴롭혔으며 이로 인해 크로아츠와 세르비아인 사이의 반감이 더욱 심해졌다.[4] 1934년, 우스타슈가 훈련을 받은 암살자가 프랑스를 국빈 방문하던 중 알렉산더를 살해했다. 알렉산더의 사촌인 바울 왕자는 섭정이 되어 알렉산더의 아들 베드로가 18세가 될 때까지 왕의 책임을 맡았다.[1]

1938년 독일오스트리아 사이에 있었던 안슐러스에 이어 유고슬라비아는 서북쪽 국경을 제3제국과 공유하게 되었고, 이웃들이 추축 열강에 동조하면서 점점 더 많은 압력을 받게 되었다. 1939년 4월, 이탈리아는 이웃 알바니아침략하고 점령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제2의 국경을 열었다.[5]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중립을 선언했다.[6] 1940년 9월과 11월 사이에 헝가리루마니아3국 조약에 가입하여 축에 동조하였고, 이탈리아는 그리스를 침공하였다. 이때부터 유고슬라비아는 축 열강과 그들의 위성에 거의 완전히 포위되어 전쟁에 대한 중립적인 입장이 경색되었다.[5] 1941년 2월 말에 불가리아는 조약에 가입했다. 다음날 독일군은 유고슬라비아 주변의 고리를 폐쇄하면서 루마니아에서 불가리아로 진입했다.[7] 소련에 대한 공격이 임박한 것에 대해 남쪽 측면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아돌프 히틀러는 유고슬라비아에 축에 가입하도록 중압감을 주기 시작했다 1941년 3월 25일, 약간의 지연이 있은 후,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조건부로 조약에 서명했다. 이틀 후, 친서방, 세르비아 민족주의자왕립 유고슬라비아 공군 장교들이 무혈 쿠데타로 이 나라의 섭정 바울 왕자를 폐위시키고, 10대 조카인 피터를 왕좌에 앉히고, 두샨 시모비치 장군이 이끄는 '국민통합의 정부'를 집권시켰다.[8] 쿠데타는 히틀러를 격분시켰고 히틀러는 1941년 4월 6일에 시작된 이 나라의 침략을 즉각 명령했다.[9]

NDH 생성

왕립 유고슬라비아군(Vojska Kraljevine Jugoslavije, VKJ)은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군의 총공격에 순식간에 제압당했다. 그것의 많은 장비들은 쓸모없었고, 그것의 군사 전략은 구식이었고, 그것의 군인들은 규율이 떨어지고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10][11] 설상가상으로, VKJ의 비세르브 인사들 중 많은 사람들, 특히 크로아티스는 수십 년의 세르비아 억압으로부터 해방자라고 여겨온 독일인들과 싸우는 것을 꺼렸다.[10][12][13] 4월 10일, 우스타슈의 원로 지도자 슬라브코 크바테니크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ezavisna Država Hrvatska, NDH)의 설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은 VKJ가 축국에 무조건 항복하기 정확히 일주일 전에 나왔다. 우스타슈의 지도자 안테 파벨리치는 당시 로마에 있었고 자그레브 서쪽의 카를로바크로 여행할 준비를 했다. 그는 그의 추종자 수백 명과 함께 4월 13일에 카를로바크에 도착했다. 4월 15일, 파벨리치는 크로아티아의 비용으로 이탈리아에 영토 침해를 허가했고 독일인들에게 베를린으로부터 독립된 외교 정책을 추진할 의사가 없다고 약속했다. 같은 날, 독일과 이탈리아는 NDH에 외교적인 인정을 확대했다.[14][15] 파벨리치는 자신이 현재의 크로아티아와 오늘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의 일부를 포함하는 우스타셰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주의 포그라브니크("리더")를 선언했다.[16] 4월 17일, 유고슬라비아 최고사령부는 축 열강에 항복했다. 그 후 그 나라는 독일과 그 동맹국들에 의해 분할되어 점령되었다.[17]

파벨리치와 그의 추종자들은 세르비아인, 유대인, 그리고 다른 비 크로아티아인들의 대량 살인과 추방을 통해 "윤리적으로 순수한" 크로아티아를 만들려고 했다.[18] 당시 크로아츠는 NDH 인구 650만 명의 약 50%만 차지했다. NDH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거의 2백만 세르비아인들이 이제 새로 형성된 주 경계선 안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세르비아 주요 지역도 NDH 전체 육지의 60~70%를 차지했다.[19] 믈라덴 로르코비치 크로아티아 미래 외무장관은 "180만 세르비아인이 살고 있고 우리 등에 강력한 세르비아 국가가 있다면 크로아티아 국가는 존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세르비아인들을 우리 지역에서 사라지게 하려고 하고 있다."[18] 4월 28일, 우스타슈는 권력을 잡자마자 첫 대량 학살 행위인 구도바크 마을에서 거의 200명의 세르비아 민간인들을 학살했다.[20]

서곡

블라가즈는 카를로바크에서 남쪽으로 약 30km(19mi) 떨어진 코르둔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21] 크로아티아 민족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22] 1941년 5월 5일 저녁, 정체불명의 두 남자가 지역 밀러인 카톨릭 크로아티아인 조소 음라부낙의 집으로 강제로 들어갔다. 그들은 먼저 가족을 강탈하고 나서 음라부낙과 그의 아내, 그의 어머니와 그의 자녀 두 명을 죽였다. Mravunac의 12살 된 딸 Milka는 근처 강으로 뛰어들어 탈출했다. 다음 날 니콜라 라시치 수사판사와 에두아르트 렌체리크 군청장은 이번 사건을 '알 수 없는 가해자들에 의한 살인죄'로 기술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현지 우스타셰 관계자들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일축하고 세르비아계가 대부분인 벨준 인근 마을에서 발생한 '체트니크'[a]로 사망자가 추정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스타셰의 고위 관리인 디도 크바테르니크는 이번 살인이 세르비아 반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라고 믿었다. 즉시 부하인 이비카 샤리치와 브제코슬라프 루부리치를 블라지에 급파했다.[22] 샤리치와 루부리치는 대부분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50여명의 우스타셰 전투기를 이끌고 마을과 주변으로 들어갔다.[21] 샤리치와 루부리치의 감독 아래 우스타슈는 거의 400명의 세르비아인들을 체포했다.[22]

미르코 푸크 NDH 법무장관은 지난 5월 6일 카를로바크 우스타셰 평의회의 비서 블라디미르 이루독에게 '인증된 선량한 크로아츠'로 판단되는 지역 변호사를 선정해 드라부나크 살인사건에 연루된 세르비아인들을 기소할 것을 요청했다. 체포된 개인들은 블라고지에 있는 이른바 '인민법원'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되어 있었다.[22] 그날 저녁, 북은 카를로바크 우스타셰 평의회의 전령들을 파견하여, 자신이 선택한 변호사들에게 다음 날 아침 05시까지 블라가지로 출발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Those selected included Mirko Mikac, president of the county courthouse, as president of the Special People's Court; Ivan Betlehem, the assessor of the county court, and Zdravko Berković, an Ustaša Council representative, as members of the Special People's Court; Milan Stilinović, district court clerk, as the deputy judge; Ivan Gromes, the secreta지방법원을 주 검사로, 지방검사인 베리슬라프 루키니치를 피고인의 국선 변호사로 임명했다.[24]

스티리노비치, 루키니치 등을 제외하고 임명된 사람들은 모두 우스타셰 협력자이거나 파벨리치 정권의 알려진 동조자였다. 5월 7일 새벽, '인민법원' 구성원들이 아직 범행 현장에 있는 동안, 박씨는 법무부령으로 인선을 확정했다. 이후 베틀레헴, 스티리노비치, 루키니치의 확증성명에 따르면, '인민법원' 구성원들은 블레이지 학교에서 많은 수의 죄수들과 마주쳤는데, 이들 중 다수는 눈에 띄게 구타를 당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문을 당했다. 생존한 억류자들의 말에 따르면, 죄수들은 루부리치의 감독 아래 우스타셰 에미그레에게 고문을 당했다고 한다. 무장 농민 50여 명에 달하는 현지 '독서부대'의 우스타셰도 참여했다.[24] Mravunac의 살인에 격분하여, Blagaj와 이웃한 Pavlovac의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은 세르비아인 이웃들을 체포하여 그들을 Blagaj 학교로 데려왔다. 라시치는 법정에서 가해자들이 세르비아인임을 암시하는 증거가 없거나 살해 배경에는 정치적 동기가 있다고 반복했다. 그는 그의 초기 발견을 지지했고 그 범죄가 "알 수 없는 가해자들에 의한 살인"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Mravunac의 생존한 딸이 경찰 라인업에서 어떤 가해자도 식별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샤리치는 세르비아 반군의 소행이라는 증거를 들고 상세한 보고서를 준비하겠다고 재판부에 약속했다. 법원은 블라가즈 학교에서 재심의를 했고, 재판을 정당화할 증거가 없다고 진술했으며, 충분한 증거가 수집된 후에야 피의자들이 재판을 받게 될 것이라는 만장일치 결정을 내렸다. 5월 7일 저녁이 되자 판사들은 카를로바크로 돌아왔다.[25]

학살

루부리치는 법원의 '상대적으로 관대한' 결정에 불만을 나타내며 '우스타슈 규정'에 따라 도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26] 크바테르니크도 불쾌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같은 날 그는 크바테닉의 에미그레 시절의 오랜 친구인 블라도 싱어에게 법적 절차와 '우스타슈의 방식으로 재판'을 감독하는 새로운 '인민법원'을 구성하도록 주선했다.[25] 5월 8일 오전, Puck은 그 날 오후 Blagaj 학교에 소집된 새로운 법정의 창설을 승인했다. 조소 루카비나가 법원장에 임명되었고, 조시프 마지치와 야코프 쥬라그가 회원으로 임명되었으며, 조시프 라수디치와 그르가 에레쉬가 부장판사로 설치되었으며, 블라디미르 브란코비치가 국가 검사로 임명되었다. 모두 전쟁 전 충실한 우스타슈였고, 이 자리에는 국선변호사가 임명되지 않았다.[27]

살아남은 Mravunac의 딸은 다시 경찰 라인업에서 용의자를 확인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에레쉬에 따르면, 이번에는 세르비아인 억류자를 공격자 중 한 명으로 지목했다. 우스타셰는 수십 명의 저명한 세르비아인들을 심문했는데, 한 신부가, 전쟁 중 시장이며 체트니크스를 의심하고, 알려진 공산주의자들을 심문했다. 우스타셰 기록에 따르면 다음 날 오후 '독립국가 크로아티아에 대항한 체트니크 봉기 미수 및 크로아티아 가문 음라부낙 살해'로 32명이 총살형에 처해졌다. 전쟁이 끝난 후, 이 집단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두샨 니키치는 36명의 사람들이 유죄 판결을 받고 곧바로 블라지 학교 뒤의 구덩이인 처형장으로 끌려갔다고 진술했다. 법원은 체포된 다른 사람들을 유죄로 판결할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에레쉬는 유고슬라비아 전범 수사관들의 전후 심문에서 "루부리치가 나머지 억류자들을 모두 살해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고 말했다.[27]

블라가즈에서의 학살은 우스타슈가 집권한 후 두 번째로 자행한 것이다.[28] 크로아티아 소식통들은 희생자의 수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150명 정도의 사망자를 낸 반면 세르비아 소식통들은 600명 정도의 사망자를 낸다고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우스타슈가 약 400명의 포로를 학살했다는 것에 동의한다.[26] 몇몇 진술에 따르면 루부리치와 샤리치가 데려온 사람들은 민간인을 고문하고 살해하는 데 더 광범위하게 참여했고 지역 우스타슈 활동가들은 단지 방어를 하고 있었다.[21] 전쟁 후, 두 명의 현지 우스타슈는 살인에 대한 광범위한 참여를 인정했다.[29] 블라가즈 출신의 한 크로아티아 여성은 남편이 비록 죄수들을 지키는 데 그쳤지만, 그 대학살에 참여한 것은 남편이 아프고 며칠 동안 먹거나 잠을 잘 수 없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생존자들의 증언은 그들이 지역 크로아티아인들이 똑같이, 더 이상은 아니더라도, 똑같이 살인에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 블라가즈 주민들은 살인 사건이 있던 날 밤, 듣는 총성과 비명소리를 떠올렸다. 한 여성은 루부리치의 손과 소매에 묻은 피를 씻기 위해 "양동이로 우물에서 물을 퍼오는" 모습을 본 기억이 있다.[30]

그 학살 이후 블라가의 주민들은 벨준 살해된 주민들의 집을 약탈하여 귀중품과 가축을 훔쳤다. 그 대학살의 희생자들은 집단 무덤에 묻혔고, 그 후에 농작물과 함께 심어졌다.[31] 매장되기 전에, 그들의 몸은 부패를 가속화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덮여 있었다.[30]

여파

5월 10일, 벨준 여인들은 죄수들을 위한 음식 바구니를 들고 Blagaj 학교에 들렀다. 샤리치는 남성들이 독일로 파견된 상태였고, 블라가지의 여성들은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그들에게 말하길 꺼렸기 때문에, 그들은 그를 믿었다.[30] 몇 달이 지나고 남자들 중 아무에게서도 소식이 없자, 여자들은 최악의 상황을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홀로코스트 학자인 슬라브코 골드스타인은 "마을 전체가 그날 밤 학교 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고 있었다"면서 "그들은 꼬박 3개월 동안 지속된 침묵의 음모에 참여했다"고 썼다. 1941년 8월, 파르티잔인들은 이반 샤이파르 벨쥔의 우스타셰 위원을 포로로 잡았다. 그들은 죄수들의 행방을 알아 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그들에게 그들이 5월 9일 밤 블레이지 학교 뒤쪽의 구덩이에서 살해되었다고 말했다. 그 직후 그는 처형되었다.[29]

1942년 9월, 제1 프리모르스코-고란스키 파르티니트 부대와 제1 프롤레타리아 대대의 2개 대대가 블라고지를 공격했다. 120여 명으로 구성된 현지 내무반 수비대원들은 대부분 산발적인 저항 끝에 도망치거나 투항했다. 약 30명은 거의 마지막 총알까지 그들의 집을 방어했다. 그들 중 일부는 도망칠 수 있었고, 몇몇은 붙잡히기보다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나머지는 파르티잔인들에게 붙잡혀 약식으로 처형되었다. 블라가지가 파르티칸의 손에 들어갔을 때, 벨준 출신의 세르비아 미망인들은 그 마을의 크로아티아 거주 주택들 중 20여 채에 불을 질렀다. 골드스타인은 "파르티잔인들이 저지하지 않았다면 마을의 모든 집을 불태웠을 것"이라고 썼다. 여성들은 블라가즈 우스타슈가 대학살을 주도한 과정에서 훔친 재산을 발견한 집에만 불을 질렀다고 주장했다.[32] NDH의 파괴와 유고슬라비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재설립하는 것으로 끝난 전쟁이 끝난 후 벨쥔 주민들은 현지인이 살인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Mravunac 가족은 학살을 정당화하기 위해 지역 우스타슈 전투기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소문이 계속 퍼졌다.[29]

세르비아인들에 대한 우스타셰의 살인은 전쟁 내내 계속되었고, 파벨리치 정권에 반대하는 세르비아인, 유대인, 집시, 반파시스트 크로아츠 등을 구금하기 위해 수십 개의 강제 수용소가 설치되었다.[33] 독일의 현대 계정에는 우스타슈에 의해 살해된 세르비아인의 수가 약 35만 명에 이른다.[34]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에 따르면, 32만에서 34만 명의 세르비아인들이 전쟁 과정에서 우스타시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35] 대부분의 현대 역사학자들은 우스타슈가 NDH에 살고 있는 전체 세르비아인의 약 17%인 30만 명 이상의 세르비아인들을 살해했다는 것에 동의한다.[36]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는 이러한 살인이 대량학살을 구성했다고 판단되었다.[34]

파벨리치는 아르헨티나로 도망쳐 1957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유고슬라비아 정부 요원의 암살 기도에서 살아남았고 2년 후 마드리드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7] 크바테르니크는 전쟁과 NDH 파괴에서 살아남았고 가족과 함께 아르헨티나로 도망쳤으며 1962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38] 전쟁 이후 루부리치는 스페인으로 이민을 갔고, 1969년 8월 유고슬라비아 요원에 의해 암살당했다.[39]

레거시

전쟁이 끝난 후 블라가즈 학교 뒤편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희생자들의 유해는 이후 벨준으로 옮겨져 묘소가 세워졌다.[32]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정부가 세운 이 기념비는 가해자들을 명시적으로 우스타슈라고 부르지 않고 "파시스트"라고 얼버무려 묘사했는데, 이는 유고슬라비아 민족간의 협력과 화해를 증진시키려는 시도의 일환이다.[40] 1990년까지 매년 5월에 기념식이 열렸으며,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했다.[32] 골드스타인은 "벨준 출신의 아이들은 이곳에서 그들의 할아버지가 어떻게 살해되었고 블라가지 우스타슈가 어떻게 그들을 죽였는지 듣게 될 것"이라고 썼다. "블라가즈 출신의 아이들은 그들의 할아버지가 어떻게 살인자가 되었는지, 그들이 벨준에서 온 아이들의 할아버지와 같은 학교에 다녔던 이유 없이 어떻게 살해했는지를 듣게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블라가의 주민들은 벨준, 폴로즈 그리고 다른 세르비아 마을의 체트니크들이 NDH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150명 이하의 사람들이 법에 따라 재판을 받고 처형된 음라부낙 일가를 살해했다고 비난했다.[41] 역사학자 필립 쿡과 벤 셰퍼드는 구도박, 블라지, 글리나에서 일어난 것과 같은 1941년 4월과 5월에 일어난 잔혹행위는 파르티잔이나 체트니크에 의한 어떤 조직적인 봉기 이전에 일어났다는 점에 주목한다.[42] 코르둔의 세르비아인들에게 이번 살인은 우스타슈 통치의 잔혹성을 상징하게 되었고,[29] 세르비아의 민간 시에서 기념되었다.[43]

Blagaj와 Veljun의 주민들 사이의 긴장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오래 지속되었다.[41] 1991년까지 블라가즈와 파블로바크는 전쟁 전 인구 708명에서 200명으로, 벨준과 인근 마을인 라포바크와 토차크는 전쟁 전 인구 1297명에서 700명으로 줄어들었다.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의 분열로 촉발된 인종간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남아 있는 블라가즈와 파블로바크의 모든 주민들은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반군에 의해 집에서 쫓겨났다. 그들의 집 대부분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1995년 8월 크로아티아군은 중앙 크로아티아에 있는 반란군이 장악하고 있는 모든 지역을 탈환하여 벨쥔과 주변 세르비아 마을 주민들을 피난시킬 수밖에 없었다. 그들의 집 또한 약탈당하고 파괴되었고, 뒤에 남아 있던 몇몇 노인 거주자들이 목숨을 잃었다. 1996년 블라게와 파블로바크의 실향민들은 집으로 돌아가기 시작했고, 몇 년 후 벨쥔의 전전 주민들 중 일부도 돌아왔다. 1999년 5월 6일 벨준 묘소에서 기념식을 조직하려 했으나 100여 명의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이 모인 군중들에 의해 저지당했다. 더 많고 목소리가 큰 그들은 벨쥔의 주민들을 현장에서 물러나게 했다. 그러자 한 여인이 군중 속에서 나와 오수리에 소변을 보았는데, 웃음과 찬성이 맞아떨어졌다.[44] 그 이후로 매년 기념식이 재개되었지만, 주로 희생자의 수에 대한 논쟁과 누가 Mravunac 가족을 죽였는지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에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45]

참고 항목

참조

내주

  1. ^ 체트니크는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20세기 전반기의 세르비아 게릴라 전사들이었다. 전쟁 중에 이 이름은 세르비아인, 특히 우스타슈인들에 의해 대체적으로 세르비아인들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23]

인용구

  1. ^ a b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6-10.
  2. ^ 렘킨 2008, 페이지 241–243.
  3. ^ 라멧 2006, 페이지 118.
  4. ^ 골드스타인 1999, 페이지 125-126.
  5. ^ a b 로버츠 1973쪽 6-7쪽
  6. ^ 파블로위치 2008, 페이지 8.
  7. ^ 로버츠 1973, 페이지 12.
  8. ^ 파블로위치 2008, 페이지 10-13.
  9. ^ 로버츠 1973 페이지 15.
  10. ^ a b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63.
  11. ^ 라멧 2006, 페이지 111.
  12.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55.
  13. ^ 태너 2001, 페이지 141.
  14. ^ 라멧 2006, 페이지 115.
  15. ^ 골드스타인 1999 페이지 133.
  16.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272.
  17.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73.
  18.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06.
  19. ^ 파블로위치 2008, 페이지 31-32.
  20. ^ 유다 2000, 페이지 125.
  21. ^ a b c d Erdeljac 2015, 페이지 74.
  22. ^ a b c d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15.
  23. ^ 토마세비치 1975, 페이지 183.
  24.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16.
  25.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17.
  26.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19.
  27.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18.
  28. ^ 2007년 골드스타인 페이지 22.
  29. ^ a b c d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21.
  30. ^ a b c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20.
  31. ^ Erdeljac 2015, 페이지 75.
  32. ^ a b c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22.
  33. ^ 골드스타인 1999 페이지 137.
  34. ^ a b 싱글톤 1985, 페이지 177.
  35. ^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 항목 7. 오류:
  36. ^ 콕스 2007, 225 페이지
  37. ^ 콕스 2007, 페이지 211.
  38. ^ 둘리치 2005, 페이지 292.
  39. ^ 토마세비치 2001, 페이지 400.
  40. ^ 트르보비치 2008, 페이지 139, 주석 83.
  41. ^ a b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23.
  42. ^ Cooke & Shepherd 2013, 221페이지.
  43. ^ Brkljachichi 2004 페이지 199.
  44. ^ 골드스타인 2012 페이지 124.
  45. ^ "U Veljunu odana počast žrtvama ustaškog pokolja 1941. godine". Index.hr.

참고 문헌 목록

좌표: 45°21°N 15°54°E / 45.350°N 15.900°E / 45.350; 15.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