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에서 불기
Blowing from a gun총에서 부는 것은 일반적으로 희생자가 대포의 입에 묶인 후 발사되는 처형 방법이다. 조지 카터 스텐트는 그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
죄수는 일반적으로 총에 매여 있고, 작은 등의 윗부분이 주둥이에 기대어 있다. 총이 발사되면 그의 머리는 40~50피트 상공으로 곧장 올라가는 것이 보이고, 팔은 좌우로 날아가 공중에서 높이 날아오르며, 아마도 백야드 거리에 떨어질 것이다. 다리는 총의 주둥아리 밑 땅으로 떨어지고, 몸은 말 그대로 흔적도 없이 날아가 버린다.
총에서 부는 것은 16세기 이전까지 보고된 처형 수단이었고 20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16~17세기 포르투갈 식민주의자들이 실론(현대판 스리랑카)[2]에서 모잠비크까지[3], 자신들의 제국을 가로질러 1509년경부터 브라질까지 활용했다.[4] 무할족은 17세기 전반과 18세기에 걸쳐 이 방법을 사용했으며, 특히 반군에 대항했다.[5]
이 처형 방법은 인도의 영국의 식민지 지배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1857년 인도 반란을 일으킨 뒤 영국이 반군뿐만[6] 아니라 탈영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인도 세포이에게도 '총에서 발사'는 처형할 때 사용한 수법이었다.[7] 이전에 무갈족에 의해 실행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영국은 18세기 후반에 총에서 부는 바람을 시행하기 시작했다.[8]
시신을 훼손하고 유골을 넓은 지역에 흩어지게 한 것은 인도 아대륙에서 힌두교인들의 필요한 장례식을 효과적으로 막았기 때문에 처형 수단으로 특정한 종교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9] 그러므로 신자들에게는 그 처벌이 죽음 이상으로 확대되었다. 이것은 외국인 점령자들에 의해 잘 이해되었고, 이 관습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또는 아메리카의 동시 외국인 거주자로 고용되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는 1930년 아프가니스탄에서 11명의 판지리 반군에 대항하여 이 관행을 예외적으로 사용하였다.[10]
의식
흔히 보고되는 총에서 사람을 날려 보내는 방법은 총의 주둥이 앞에 묶어 놓고 총으로 쏘게 하는 것이다. 대포에 실제 포탄을 적재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보고되지만, 더 일반적으로는 빈 카트리지나 그래핀샷을 사용하는 것이 증명된다. 유죄판결을 받은 자들을 묶는 방법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1839년 7월 7일 슈자 샤가 도스트 모하마드 칸에 대항하여 캠페인을 벌이는 동안 명령한 아프가니스탄 출신이다.[11]
그러자 세 사람은 총에 밧줄로 묶인 채 주둥이에 등을 기대고 있었다. 바퀴의 한 바퀴의 바퀴살 위에 묶인 밧줄은 팔 둘레에 매듭을 지어 다른 팔의 주둥이를 지나 몸을 고정시켜 주는 반대편 바퀴의 말씨로 지나갔다.
비록 대포를 쏘기 전에 총 앞에 피해자를 고정시키는 것이 단연코 가장 많이 보고된 방법이지만, 1596년 이스탄불에서 발생한 사건은 피해자가 실제로 총에 맞고 그런 식으로 처형되었다고 주장한다.[12] 때때로 사람들이 로켓에 매여 공중으로 날아갔다는 것을 증명하는 보도가 있다. 이것은 하이데르 알리 치세 (1761–1782) 기간 동안 브라만인에 대한 처벌이었고,[13] 또한 1800년 반역 사건에서 마라타 제국에 가해진 형벌이었다고 한다.[14]
방법의 문제
그러한 처형에서는 항상 계획대로 되지 않았다; 1857년 Firozpur에서 대량 집행할 때, 빈 카트리지를 사용해야 한다는 명령이 있었지만, 어떤 총은 대신 그래핀샷을 장착했다. 대포에 맞닥뜨린 관중 중 몇 명이 그래핀샷에 맞아 사지를 절단해야 하는 사람도 있었다. 게다가, 일부 병사들은 제대로 철수하지 않았고 살과 뼈의 조각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15] 또 다른 경우, 총을 맞아야 할 한 병사가 총소리가 나자마자 가까스로 쓰러졌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6]
한 불쌍한 녀석은 폭발 직전에 총에 묶인 밧줄에서 미끄러져 팔이 거의 불붙을 뻔했다. 총 아래 고통 속에 매달려 있는 동안 한 하사가 머리에 권총을 들이댔고, 모자가 세 번이나 부러졌고, 그 남자는 매번 예상된 총에 맞장구를 쳤다. 마침내 뒤통수에 소총이 발사되고, 활발히 다루는 펌프에서 코와 입에서 피가 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이것은 가장 끔찍한 광경이었다. 나는 죽음을 모든 형태로 보아 왔지만, 이 사람의 최후와 같은 것은 본 적이 없다.
또 다른 이들은 어떻게 맹금류가 처형장 위를 빙빙 돌다가 공중에서 인육 조각을 잡으려고 급강하하는가 하면,[17] 다른 이들은 처형장소를 어슬렁거리다가 처형 결과로 주변에 퍼진 '기쁨' 일부를 집어삼키기 위해 현장에 달려오는 개들로 인해 구역질이 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8]
무굴 제국
총에서 발사되는 것은 인도 아대륙에 대한 길고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8세기 중반 이후의 많은 보고들이 총의 다양한 용도를 증명하고 있다. 사형집행방법은 반란 때, 그리고 다양한 범죄에 대한 처벌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같은 아대륙에 있는 영국의 전통과 같은 이전의 지역 전통으로서 총에서 부는 무굴 전통에 초점을 맞춘다.
몇몇 역사학자들은 처형 방법으로 총에서 사람을 날려 보낸 것이 인도 아대륙에 대한 "오래된 무굴의 처벌"이었다고 지적한다.[19] 초대 무굴 황제 바부르의 집권 직전인 1526년 3월 6일 아들 후마윤은 아버지가 로디 왕조를 상대로 숱한 투쟁을 벌인 한 사건으로 아프간 포로 100명을 총기로부터 날려버렸다고 한다.[20] 17세기 후반에 북인도 자트족의 일원들이 반란을 일으켜 무굴제국에 대항하여 급습하였고, 황제 아우랑제브는 한 가지 계정으로 그들의 지도자 중 한 명을 총에서 날려 보내도록 명령했다고 한다.[21] 푸르베엘 싱은 오늘날 비하르 주의 오랑가바드와 가까운 엄가의 마지막 힌두교 족장이었다고 전해지는 데, 이름 없는 무굴 황제에 의해 오룽가바드로 끌려가 총에서 날아간 것으로 알려졌다.[22] 시크 반군 반다 싱 바하두르는 1716년 마침내 황제 파루크시야르에 의해 패배했고, 그의 처형 이후 반다의 아들은 "대포에 맞아 산산조각이 난다"[23]는 명령을 받았다.
앞선 사건들이 반군이나 군사적 적들이 총에서 날아온 예들이지만, 무굴 시대에는 다른 형태의 인지 범죄에 이런 형태의 사형제도를 사용한 사례도 몇 가지 들어 있었다. 예를 들어, 자한기르 시대(재위 1605년 – 1627년)의 다소 일화적인 이야기에서, 황제는 힌두교 소녀의 무슬림 장교에 대한 강제 납치와 결혼에 동의하고 승인한 것에 대해 총에서 여섯 마리의 물라를 날렸다.[24] 1714년, 도둑은 행진하는 군대의 심한 골칫거리였다. 덫이 만들어졌고, 은닉한 경비병들에게 붙잡힌 두 명의 도둑은 나중에 총에서 날려졌다. 1719년 포위 공격 중에 무굴군 사령관의 탈영 문제는 결국 무굴군 지휘관의 부대 앞에서 탈영병 4명을 총기로부터 날려버림으로써 해결되었다.[25]
포르투갈 제국
포르투갈 식민주의자들은, 여러 가지 설명에 따르면, 그들의 식민지에서 많은 사형 집행의 한 형태로 총에서 부는 바람을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짧은 검토는 다음과 같다.
스리랑카
포르투갈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알메이다는 1509년경 실론에서 많은 사람들을 총에서 날려 보냈다고 보고되었다.[2] 1656년 네덜란드의 콜롬보 포위전 동안 도시 인구는 극심한 기근을 견뎌냈다. 한 수유 어머니는 너무 굶주려서 우유 생산이 중단되었고, 그녀의 아기는 죽어 가고 있었다. 그녀는 그것을 죽이고, 그것을 먹기로 선택했다. 포르투갈 장군은 일단 그녀의 식인 풍습에 대해 알게 되자 총에서 날려 보내라고 명령했지만, 이 경우 성직자와 주요 시민들은 그가 그 행위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만류했다.[26]
모잠비크
탐험가 프란시스코 바레토가 모노모타파에서 1569–73년에 활동하던 중, 그는 한때 50여 명의 이슬람교도들을 감금했고, 그들을 박격포에서 날려 보내고, 나무 주걱에 찢기고, 도끼에 맞아 죽이거나, 총에 맞아 죽였다.[3] 18세기 중엽 포르투갈 북서부의 모잠비크에서는 노예에 대한 사형이 총에서 날아오르도록 되어 있었다고 전해지며,[27] 19세기 초 10년 동안 상습적인 레이더 추장이 포르투갈인에게 붙잡혀 총에서 날아온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28]
브라질
1618년 브라질에서는 포르투갈의 지도자 아마로가 포로로 잡혀 총에서 날아오르긴 했지만 포르투갈인에 대한 원주민들의 저항은 흔들리지 않았다.[29]
영국령 인도
1857년 이전
영국인들은 인도 반란이 일어나기 전에 이런 식으로 반란을 일으키거나 탈영한 것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한 역사학자에 따르면, 영국의 전통은 1760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사용 중인 사형제도를 조사하면서 시작되었다. 페르가나 24개 지구에서는 사형이라는 공통적인 군사 방식이 채찍질하여 죽어 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총에서 부는 것을 오래된 무굴의 형벌로 간주하는 것에 대해, 동인도 회사는 이 기술을, 채찍질, 억제력, 공공성, 인간성 등에 의한 죽음에 비례하는 것으로 선택했다. 이미 1761년 라키푸르에서는 "포로가 된 도둑들의 우두머리인 대포를 발사하여 다른 사람들이 단념하도록 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30] 엄밀히 말하면, 군법회의의 경우, 1857년까지 법정은 영국 장교보다는 인도인 장교로 구성되었지만, "이들은 단지 증거를 필사하는 것이고, 원주민의 장교들을 조언과 협찬으로 보좌하고, 일반적으로 지휘하고, 판결한다."라고 덧붙인다.굴레를 [31]벗기다
1764년 3월, 한 부관(토종 장교)이 부하들에게 적군으로 망명하도록 비밀리에 설득할 계획을 세웠는데,[32] 그의 계획이 발각되어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부대 앞에서 총살되었다.[33] 같은 해 9월, 헥터 문로 소령은 한 대대를 사막으로 몰아넣은 24~25명의 '링 리더'를 처형했다('포상 부족', '양식 부족', 기후·질병 문제 등으로 탈영했다). 사형 집행을 승인한 한 논평자는 "그 후 폭동에 대한 어떠한 처분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1775년 마드라스 군 제9대대대의 특공대장인 막툼 사이브는 봄베이를 위한 수송선에 승선하라는 명령을 거부했다. 사히브는 또한 자신의 지휘하에 있는 부하들에게 승선하기를 거부하도록 설득했다. 그는 이후 체포되어 자신의 지휘하에 있는 부하들을 흥분시켜 폭동을 일으킨 혐의로 기소되었다. 1775년 2월, 사히브는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법원은 사히브를 대대 앞에서 총에서 날려 보내도록 선고했다. 그 후, 이전에 그의 휘하에 있던 사람들은 마드라스 군대에서 "명령"의 계급이 폐지되는 동안 조용히 봄베이로 향했다.[34] 1782년 바르다만과 바락포레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바르다만에서 세 명의 돌연변이들이 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고, 그들 중 두 명은 총에서 발사되었고, 마지막으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바락포어 재판에서는 재판을 받고 있는 5명 중 4명이 총살형을 선고받았고, 마지막은 천 번의 채찍질을 받고 "목에다 밧줄을 두른 채 통조림에서 북을 쳐내라"는 것이었다.[35] 제3차 영국-마이소어 전쟁(1789–1792) 동안 6개 연대가 임금 체불 문제로 반란을 일으켜 장교들을 감금했다. 명령이 회복되자, 가장 활동적인 두 명의 돌연변이들이 총에서 날아왔다.[36] 1781년과 1783년의 몇몇 사례에서 보듯이, 돌연변이들은 총에서 날렸을 뿐만 아니라 탈영죄가 인정된 병사들도 있었다.[37]
세포이만이 총에서 날아와 처형된 것은 아니다. 1798년 마드라스 발포병 제1대대에서 영국군들 사이에 폭동이 일어났다. 한 영국 군인은 총에서 발사된 것으로 비난받았다.[38] 그러나 이것은 예외적인 것으로 보이며, 한 역사학자는 Forster라는 병사가 기록에 남아 있는 유일한 유럽인으로 영국에 의해 총에서 발사되었다고 말한다.[39]
1804년, 군사적인 교전 중에 버치 중위의 휘하에 있던 부대는 진영의 터전을 그만두기를 거부했다. 번 대령은 가혹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군법회의를 소집했으며, 관련 장교 2명은 총기에서, 나머지 9명은 "심각하게 매질을 당했다"고 말했다. 그 행동을 전적으로 승인하면서, 작가는 "군단이 가장 안정적이고 예의 바르게 다음 포위 공격 때 행동했기 때문에, 믿을 만한 모든 이유가 있는 조치"라고 관찰한다.[40]
1806년 벨로레 반티니에서는 영국 장교와 군인들의 야간 학살을 시작으로 진압 과정에서 많은 세포이들이 살해되었고, 6명의 반체제 인사들은 총에서 폭파되는 판결을 받았다.[41] 1812년 트라반코르에서 유럽 장교들을 죽이려는 음모가 발견되었는데, 두 명의 반지의 우두머리가 총에서 발사되었고, 다른 몇 명은 교수형에 처해졌다.[42] 1819년, 병합된 나그푸르 왕국의 쫓겨난 라자에 가담했던 탈영병 6명이 영국군에게 체포되어 2월 7일 총에서 폭파되었다.[43] 1832년 방갈로르에서는 모든 유럽인을 몰살하기 위한 음모가 발각되었다. 관련자 100여 명 가운데 4명은 총기를 맞고 2명은 총기를 맞고 2명은 총기를 맞고 있다.[44]
때로는 사형을 선고받기도 했지만, 사면을 바라거나 형벌을 출퇴근하기를 바랄 수도 있다. 1784년, 한 연대가 급여 부족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랑[45] 중장은 반란군을 진압하고 12명을 총에서 날려 보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12명 중 마지막은 매우 운이 좋았다: 대포의 입에 묶인 그는 퓨즈가 끊어지는 것을 세 번이나 견뎌야 했다. 이어 라잉 중장에게 정말 이런 식으로 죽을 운명이냐고 물었고, 라잉 중위는 그를 사면하는 쪽을 택했다.[46] 1795년, 싱가포르 중부에서는 5명의 세포이가 폭동으로 인해 총에서 발사되었고, 3명은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그들의 소송은 항소되었고, 그들의 형량은 대신 면직된 것으로 감형되었다.[47] 1824년 제1차 앵글로-버마 전쟁에서 전선으로 수송된 세포이들의 원성에 의해 일어난 바락포레 반란에서는, 47연대 대표 중 한 명인 빈디 티와리가 FAQir로 위장한 채 숨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어진 궁정에서 그는 총에 맞아 죽임을 당했지만, 대신 쇠사슬에 매달렸고, 죽은 뒤 몇 달 동안 그의 몸은 기브베트에 안치되었다.[48] 1836년, 적 앞에서 도망쳐 유럽 장교들을 버린 죄로 세포이 한 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룽기쉬는 총에서 발사될 것을 선고받았으나, 형량은 "바다 너머의 이동"으로 감형되었다.[49]
대반란
이 처형 방법은 1857년 인도 반란의 진압 당시 영국인들이 사용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857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영국인들이 저지른 사형집행의 규모와 빈도에 대한 감각은 1857년 알렌스 인디안 메일지에 실린 사건보고서에 나타나 있다.
6월 8일, 35경보병대의 세포이 2발이 총에서 발사되었다. 6월 10일, 페샤와르의 루디아나에서는 54연대 소속 40여 명이 총에서 발사되었다. 6월 13일, 피로즈푸르에 있는 45연대 소속의 소포이 10명이[50] 총에 맞아 두 명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같은 날 암발라에서는 54연대 소속 세포이 10명이 같은 운명을 겪었다. 같은 달 26일 오룽가바드에서는 총에서 1발이 날리고, 1발이 교수형, 3발이 총에 맞았다. 7월 8일, 젤럼에서는 붙잡힌 반군이 날아갈 것으로 추측된다. 지난 19일 아룽가바드에서는 1발이 날아가고 2발이 발사됐다. 9월 5일, 세타라, 6명이 날아갔다. 9월 17일, 1명이 날아가고 121명이 약식 처형되었다. 9월 23일 카라치에서는 1명이 날아가고 7명이 교수형에 처해지고 20명이 추방되었다. (이후 군법회의에 회부된 개인에 대한 지역 사망자 수는 4명, 교수형 14명, 추방 22명, 참수 3명으로 집계됐다.) 10월 말에 아그라 근처의 로힐칸드에서는 1이 날아갔다. 11월 16일 봄베이, 10연대 소속의 세포이 2대가 날아갔다.[51]
신문 보도의 한 예로서, 펀자브에 있는 페샤와르 계곡의 반란에 관한 1859년 논문에서, 523명이 처형되었는데, 이 중 459명이 머스킷총에 의해 사살되고, 20명이 교수형에 처해지고(탈영 13명), 마지막 44명이 총에 의해 폭파되었다. 44명 중 4명은 폭동이 아닌 탈영 혐의로 처형됐다.[52] 아그라 지역에 대한 공식 7~11월 통계에 따르면 사형선고를 받은 78명 중 2명은 징역형으로 감형된 반면 4명은 총기로부터 풀려났다.[53] 다른 공식 통계는 인도르에서 이번에 공식적으로 처벌받은 393명의 세포이 중 32명이 처형됐고, 그 중 21명은 총기로부터 발사됐다고 밝혔다.[54] 몇몇 영국인들은 또한 인도 저항세력이 반란 기간 동안 영국 민간인들을 총에서 날려 보냈다고 주장했다.[55] 몇몇 소식통에 의해 언급된 특정한 사건은 버치 부부, 에크포드 부인 그리고 미세스에 관한 것이다. 데폰테인,[56] 그들 모두는 파테가르에서 총에서 발사되었다고 한다.[57]
총에서 날아온 인도인 세포이 알룸 베그의 두개골은 영국의 한 펍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책의 주제인 "알룸 베그의 두개골: 1857년의 반란군의 삶과 [58]죽음
1857년 이후
1857년의 반란은 영국 식민지 정부가 처형 방법으로 대포에서 부는 것을 마지막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1871년에 시크교파 쿠카스나 남다하리의 65명이 영국인에 의해 총기로부터 폭파되어 처형되었다.[59]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내에서는 19세기 초부터 1930년까지 총에서 불어 사형을 집행하는 전통이 입증되고 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초기 사례
1802년 마흐무드 샤 두라니의 군대가 질자이 부족에게 참패를 가했고, 더 이상의 침략을 저지하기 위해 그는 지도자 1명과 그의 두 아들을 총에서 날려 보내도록 명령했으며, 질자이 두개골로 미나레를 만들기도 했다.[60] In 1803, when Shah Shujah Durrani ousted his half-brother Mahmud from power, he revenged himself on an ally of Mahmud, Ashik, by blowing him from a gun for having captured by means of treachery Shujah's and Mahmud's half-brother Zaman Shah Durrani, who had been king of the Durrani Empire prior to having been ousted by Mahmud in 1800.[61]
철기왕, 1880-1901
1880년 압두르 라흐만 칸은 아프가니스탄의 국왕이 되었고, 그는 야만성과 강한 통치를 인정받아 재빨리 "철왕국"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예를 들어, 한 소식통은 왕위에 오른 지 20년 동안, 총에서 몇 번을 날려, 일년에 평균 5,000건의 사형이 집행되었다고 추정한다.[62] 예를 들어 1889년 12월에만 24명이 총에서 날아온 것으로 기록되고, 그 외 많은 사람들이 다른 방법으로 처형된다.[63]
타지크 공포 통치, 1929년
1929년 1월, 타지크 하비불라흐 칼라카니족이 국왕이 되면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새로운 극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영국 관리 험프리스는 "아무도 안전하지 않았고, 집들이 무차별적으로 약탈당했으며, 여성들은 참혹했으며, 유혈 아프간 역사에서 유례없는 공포의 통치가 이루어졌다"고 썼다. 정적들은 종종 총에서 날아오르거나 다른 방법으로 처형되었다.[64] 하비불라의 정권은 1929년 10월 붕괴되었고, 그 후 쿠에스타니 타지크족은 박해를 받았다. 1930년 4월 6일자 뉴욕타임스의 기사에 "카불에서 총에서 날아온 일레븐 아프간스"라는 기사가 실렸다.[10]
참조
- ^ 하브홀름(2008), 페이지 77
- ^ Jump up to: a b 캘커타 검토(1851), 페이지 395
- ^ Jump up to: a b 알덴(1996), 페이지 55
- ^ 사우스헤이(1822), 페이지 469
- ^ 17세기 사건, 아프소스, 코트(1871년), 페이지 64, 18세기 사건 하자라, 맥체스니, 코라미(2012년), 페이지 54
- ^ Long (1869), 페이지 397–398
- ^ 1781년 2월 팔비(1822), 페이지 188, 1783년 5월 바일리(1788), 페이지 490, 1783년 7월 포브스(1815), 페이지 123, 1783년 10월(1815), 페이지 133 1783년 11월 바일리(1788), 페이지 468
- ^ Long (1869), 페이지 51 페이지 224
- ^ 과거 현재, 제233권, 제1호, 2016년 11월, 185-225페이지, 테러 공격 계산: 김아에 의한 암리차르 학살과 식민지 폭력의 광경. 바그너, https://academic.oup.com/past/article/233/1/185/2915150/Calculated-to-Strike-Terror-The-Amritsar-Massacre
- ^ Jump up to: a b 컬더, 마이어로위츠(2003), 페이지 50
- ^ 앳킨슨(1842), 페이지 189–190
- ^ 보야르, 플리트 (2010), 페이지 112
- ^ 캠벨(1839), 페이지 421
- ^ 더프(1826, 3) 페이지 190과 랄 프린셉(1831), 페이지 127
- ^ 볼(1859, 3) 페이지 411
- ^ 미국 평화 협회 (1858) 페이지 23
- ^ "여러 개의 연(인도에서는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맹금류)이 실제로 처형의 장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우울한 일행과 동행한 다음, 범인들이 날아갈 총들 위를 계속 맴돌면서 위(wi)를 펄럭이고 있다는 것은 기이한 사실이며, 참석한 많은 사람들에게 잘 증명되고 있다.ngs, 그리고 마치 그들의 피비린내 나는 잔치를 기대하는 듯 비명을 지르는, 공중에서 시체 조각들을 흩뿌리는 치명적인 섬광까지; 먹이를 향해 덤벼들 때, 그들은 땅에 닿기도 전에 부들부들 떨리는 살의 많은 조각들을 그들의 발톱에 확실히 잡았다! 이 모습을 본 원주민 부대는 처형 장면을 목격하기 위해 모인 군중들과 함께 이 임무에 동원되어 공포의 함성을 질렀다. 그 설명은 1806년 벨로레 반정부 시위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을 처형한 것이다. 블레이키스톤(1829), 페이지 309.
- ^ 1845년 헤라트 사건에서 "그것은 내가 결코 잊을 수 없는 광경이었다. 끔찍한 광경이었고, 나를 감동시켰다. 불행한 사람의 부러진 팔다리는 사방으로 흩어지고, 그렇게 멀리 던져지지 않은 변은 그 자리를 어슬렁거리는 개들이 순식간에 먹어치웠다." 페리어(1856), 페이지 189.
- ^ 예를 들어 히스코트(1995), 페이지 105 및 프레몬트 반스(2007), 페이지 79를[dead link] 참조한다.
- ^ 사바후딘, 슈클라(2003), 페이지 122
- ^ Afsos(1871), 페이지 64
- ^ 벵골의 아시아 소이체(1847), 페이지 658
- ^ 하지라, 맥체스니, 코라미(2012), 페이지 54
- ^ 카슈미르: S.R. 박시(1997), 페이지 103–104
- ^ 어바인(1922), 도둑, 287페이지, 탈영자, 415페이지.
- ^ 리바이로, 르 그랑(1847), 페이지 138
- ^ 같은 소식통에 따르면, 이 처벌은 반란의 경우에만 가해진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추방은 가장 엄한 처벌이었던 토만(1869), 페이지 111이었다.
- ^ 소금(1814), 페이지 39-40
- ^ 사우스헤이(1822), 페이지 469
- ^ 롱 (1869), 페이지 51페이지 224 1760년 11월 17일 결정, 도둑이 목수 Nayn이라는 이름을 가진 목수라는 각주.
- ^ 앤더슨(1859), 페이지 39
- ^ 당시 수개월 후 북사르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패한 슈자우드둘라가 주도하였다.
- ^ 브룸 (1850), 페이지 435
- ^ 1764년과 1775년 사건의 경우, 부탈리아(1998), 페이지 273. 하원에 처형된 24명에 대한 헥터 문로의 보고서는 여기서 읽을 수 있다: 아돌푸스(1840), 페이지 268. 그러나 몬로는 동인도 회사에 보낸 9월 18일자 서신에서 그들이 처형되기 위해 파견된 장소인 롱(1869), 페이지 397–398을 상세히 기술하며 25일이라고 말한다.
- ^ 디어렛 (1783), 페이지 83–85
- ^ 앨몬(1791), 페이지 637
- ^ 1781년 2월 팔비(1822년), 페이지 188, 1783년 5월 바일리(1788년), 페이지 490, 1783년 7월 포브스(1815년), 1783년 10월 포브스(1815년), 페이지 133, 1783년 11월 바일리(1788년), 페이지 468년
- ^ 부탈리아(1998), 페이지 273–274
- ^ 그레이, 개럿(1996), 페이지 216. 그러나 1784년 아르코트 광장의 한 사례는 감봉에 대한 폭동이 10월에 유럽군들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한 현역 농노병은 총에서 폭파된 것으로 판결되었다고 말한다. 볼드윈(1785), 페이지 390.
- ^ 필리파르트(1823), 페이지 497
- ^ 로셀리(1974년), 페이지 52
- ^ 윌크스(1815), 페이지 310
- ^ 매크레디(1853), 페이지 236
- ^ 1844년 도브톤 선장의 상세 보고, 도브톤(1844년), 페이지 620–624
- ^ 마드라스 주지사 조지 마카트니 먼로(1789), 페이지 344
- ^ 문로1789, 페이지 358
- ^ 세톤카르(1865), 페이지 181–185
- ^ 웰링턴, 웰링턴(1868), 페이지 332 및 포그슨(1833), 페이지 30~31
- ^ 아시아 저널 (1837), 페이지 58
- ^ "정부 기록"(1911), 페이지 132에 명시된 실행 번호
- ^ 앨런의 인도 메일(1857), 페이지 465, 466, 502, 549, 601, 731, 771, 911
- ^ 영국 의회 (1859년), 페이지 80
- ^ 인도 뉴스 (1858), 페이지 125
- ^ 슈리바스타브(1971), 페이지 108
- ^ 예를 들어, Mylne 대령, Russell(1859), 페이지 45의 언급 참조.
- ^ 1857년 8월 30일자 편지에서 정보 장교로 일하는 윌리엄 뮤어가 받은 인물은 브리지스 씨(인디언 플랜터), 아내, 시어머니, 딸 에크포드 부인이었다. 뮤어, 콜드스트림(1902), 페이지 501.
- ^ 인콰이어러 & 커머셜 뉴스, 1858년 4월 7일 수요일, "피닉스", 1857년 9월 10일, 노엘(1859년), 페이지 461
- ^ 영국 펍의 두개골은 인도의 1857년 폭동에 대해 뭐라고 말하는가, BBC 뉴스, 2018년 4월 5일 목요일
- ^ 그러나 이 경우 인도의 총독인 마요의 백작 리처드 버크는 처음 49번의 사형 집행을 주재하고 그 절차를 책임진 장교를 해임한 코완 씨의 행동을 취소했다. 기사(2012), 페이지 13. 그러나, 이것은 코완의 재판이 어떻게 열렸는지에 관한 절차상의 포인트에 근거한 것이었다; 코완의 계급적 상관인 포사이스 또한 얼마 후 총에서 마지막 16개를 날려버렸지만, "공정한 재판"의 요건에 따라. 싱(1995), 페이지 503–507.
- ^ 노엘 (2012), 페이지 290
- ^ 테이트(1911)는 배반 중, 115쪽, 총에서 부는 중, 121쪽.
- ^ 총에서 불어오는 것과는 별개로, 사람들은 총에 맞아 죽거나, 교수형에 처하거나, 십자가에 못박히거나, 옷을 벗기고, 둘로 꿰매어 말 뒤에서 목을 매거나, 끌려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아크바르자데, 맥퀸(2008), 페이지 93. 1894년 카불을 방문한 커존 경은 강간범에 대한 다음과 같은 소름끼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한 여성을 격분시킨 관리 한 명이 발가벗겨져 카불 외곽의 높은 언덕 꼭대기에 있는 목적을 위해 파놓은 구덩이에 처박혔다. 그것은 한겨울이었다. 그리고 나서 그가 고드름으로 변해 산 채로 얼어붙을 때까지 물이 그에게 쏟아졌다. "그는 다시는 그렇게 섹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냉소적으로 말했다. Edwards(1996) 페이지 111.
- ^ 리(1996), 페이지 551. 1891년 헤라트(Herat)에서도 반군지도자 p. 580이 총에서 날아왔다.
- ^ 험프리스가 1929년 1월 20일부터 외무장관에게 보낸 편지, 로버츠(2003년), 페이지 51, 페이지 61에서 인용했다. 1929년 7월 총으로 폭파된 알리 아흐마드 칸의 경우는 리(1996), 페이지 378을 참조한다.
참고 문헌 목록
- Adolphus, John (1840). The history of England. 1. London: John Lee. Retrieved 2 May 2013.
- Afsos, Scher Ali; Court, Henry (1871). The Araish-i-mahfil. Allahabad: G.A. Savielle. Retrieved 2 May 2013.
- Akbarzadeh, Shahram; Macqueen, Benjamin (2008). Islam and Human Rights in Practice. New York: Routledge. ISBN 978-1-134-05926-3. Retrieved 2 May 2013.
- Alden, Dauril (1996). The Making of an Enterprise.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2271-1. Retrieved 2 May 2013.
- Allen, W.H. (1857). ALLEN'S INDIAN MAIL. London: W.H. Allen Press. Retrieved 2 May 2013.
- Almon, John (1791). The Parliamentary Register. London: J. Debrett. Retrieved 2 May 2013.
- American Peace Society (1858). The Advocate of Peace. Boston: American Peace Society. Retrieved 2 May 2013.
- Anderson, T.C. (1859). "Andersons reply in". Notes and Queries: a medium of enter communication for literary men, artists, antiquaries, genealogists, etc. London: Bell&Daldy. Retrieved 2 May 2013.
- Asiatic Journal (1837). The Asiatic journal and monthly register. London: Allen. Retrieved 2 May 2013.
- Asiatic Society of Bengal (1847).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16. Calcutta: Baptist Mission Press. Retrieved 2 May 2013.
- Atkinson, James (1842). The Expedition into Affghanistan. London: Wm. H. Allen & Company. Retrieved 2 May 2013.
- Baillie, An Officer of Colonel Baillie's Detachment (1788). Memoirs of the late war in Asia. 1. London: Self-published. Retrieved 2 May 2013.
- Bakshi, S.R. (1997). Kashmir Through Ages. New Delhi: Sarup & Sons. ISBN 978-81-85431-71-0. Retrieved 2 May 2013.
- Baldwin, R (1785). The London Magazine Enlarged and Improved. 4. London: R. Baldwin. Retrieved 2 May 2013.
- Ball, Charles (1859). The History of the Indian Mutiny. 3. London: London Printing and Publishing Company. Retrieved 2 May 2013.
- Blakiston, John (1829). Twelve Years' Military Adventure in Three-Quarters of the Globe. 1. London: Henry Colburn. Retrieved 2 May 2013.
- Boyar, Ebru; Fleet, Kate (2010). A Social History of Ottoman Istanbul.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48444-2. Retrieved 2 May 2013.
- Broome, Arthur (1850). History of the Rise and Progress of the Bengal Army. 1. London, Calcutta: Smith, Elder and Company, W. Thacker and Company.
- Butalia, Romesh C. (1998). The Evolution of the Artillery in India. Mumbai etc: Allied Publishers. ISBN 978-81-7023-872-0. Retrieved 2 May 2013.
- Calcutta Review (January–June 1851). The Calcutta Review. xv. Calcutta. Retrieved 2 May 2013.
- Campbell, William (1839). British India in Its Relation to the Decline of Hindooism. London: John Snow. Retrieved 2 May 2013.
- Cullather, Nick; Meyerowitz, Joanne J. (editor) (2003). "Damming Afghanistan". History and September Eleventh.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ISBN 978-1-59213-203-4. Retrieved 2 May 2013.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Deerrett, J. (1783). The Remembrancer. London: J. Deerrett. Retrieved 2 May 2013.
- Doveton, Cpt. (contributor) (November–April 1844). The Asiatic journal and monthly miscellany. 2, Third Series. London: W.H. Allen. Retrieved 2 May 2013. 날짜 값 확인:
date=
(도움말) - Duff, James G. (1826). A history of the Mahrattas. 3. London: Longmans, Rees, Orme, Brown, and Green. Retrieved 2 May 2013.
- Edwards, David B. (1996). Heroes of the Age:Moral Fault Lines on the Afghan Frontier.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91631-9. Retrieved 2 May 2013.
- Ferrier, Joseph P. (1858). History of the Afghans. London: John Murray. Retrieved 2 May 2013.
- Forbes, James (1815). Oriental memoirs. London: White, Cochrane&co. Retrieved 2 May 2013.
- Fremont-Barnes, Gregory (2007). The Indian Mutiny 1857–58.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603-209-7. Retrieved 2 May 2013.
- Government Records (1911). Government Records: Mutiny records. Correspondence and reports. Punjab: Punjab Government Press. Retrieved 2 May 2013.
- Grey, C.; Garrett, N.H.O (1996). European Adventurers of Northern India, 1785 to 1849.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ISBN 978-81-206-0853-5. Retrieved 2 May 2013.
- Havholm, Peter (2008). Politics and Awe in Rudyard Kipling's Fiction. Aldershot, England and Burlington, VT, USA: Ashgate Publishing, Ltd. ISBN 978-0-7546-6164-1. Retrieved 2 May 2013.
- Hazārah, Fayz Muhammad Kātib; McChesney, R.D; Khorrami, M.M. (2012). The History of Afghanistan. 1. Leyden: BRILL. ISBN 978-90-04-23491-8. Retrieved 2 May 2013.
- Heathcote, T.A. (1995). The Military in British India.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ISBN 978-0-7190-3570-8. Retrieved 2 May 2013.
- Indian News, Abraham V.W. (1858). The Indian News and Chronicle of Eastern Affaires. London. Retrieved 2 May 2013.
- Irvine, William (1922). Later Mughals. 1. London: Luzac. Retrieved 2 May 2013.
- Knight, Lionel (2012). Britain in India, 1858–1947. London: Anthem Press. ISBN 978-0-85728-517-1. Retrieved 2 May 2013.
- Lal, Basavan; Prinsep, Henry T. (1832). Memoirs of the Puthan Soldier of Fortune. Calcutta: G. H. Huttmann, military orphan Press. Retrieved 2 May 2013.
- Lee, Jonathan L. (1996). The "Ancient Supremacy". Leyden: Brill. ISBN 978-90-04-10399-3. Retrieved 2 May 2013.
- Long, James (1869). Selections from unpublished records of government for the years 1748–1767. Calcutta: Office of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Retrieved 2 May 2013.
- Macready, Major Edward (1853). "Extracts from the journals of the late Major Edward Macready". Colburn's United Service Magazine. Londonissue=Part 1: Colburn&co. Retrieved 2 May 2013.CS1 maint: 위치(링크)
- Muir, William; Coldstream, William(editor) (1902). Records of the Intelligence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North-west Provinces of India during the mutiny of 1857. Edinburgh: T&T Clark. Retrieved 2 May 2013.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Munro, Innes (1789). A narrative of the military operations of the Coromandel Coast. London: T. Bensley. Retrieved 2 May 2013.
- Noel, Baptist Wriothesley (1859). England and India. London: James Nisbet and Co. Retrieved 2 May 2013.
- Noelle, Christine (2012).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New York: Routledge. ISBN 978-1-136-60317-4. Retrieved 2 May 2013.
- Parlby, Samuel (1822). The British Indian Military Repository. 1. Calcutta: Church mission Press. Retrieved 2 May 2013.
- Parliament of Great Britain, House of Commons (1859). Accounts and papers of the House of Commons. 5-month=Session 3 February-19 April 1859. London: House of Commons, by order. Retrieved 2 May 2013.
- Philippart, John (1823). The East India Military Calendar:Containing the Services of General and Field Officers of the Indian Army. 2. London: Kingsbury, Parbury and Allen. Retrieved 5 May 2013.
- Pogson, Wredenhall R. (1833). Memoir of the mutiny at Barrackpore. Serampore: Self published. Retrieved 5 May 2013.
- Ribeiro, João; Le Grand, Joachim; Lee, George (tr. from French edition) (1847). History of Ceylon. Colombo: Government Press. Retrieved 5 May 2013.
- Roberts, Jeffrey J. (2003). The Origins of Conflict in Afghanistan.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7878-5. Retrieved 5 May 2013.
- Rosselli, John (1974). Lord William Bentinck.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2299-7. Retrieved 5 May 2013.
- Russell, William H. (1860). My Diary in India, in the Year 1858-9. 2. London: Routledge, Warne, and Routledge. Retrieved 5 May 2013.
- Sabahuddin, Abdul; Shukla, Rajshree (2003). The Mughal Strategy of War. Delhi: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ISBN 978-81-87746-99-7. Retrieved 5 May 2013.
- Salt, Henry (1814). A Voyage to Abyssinia, and Travels into the Interior of that Country. London: J. Rivington. Retrieved 5 May 2013.
- Seton-Karr, Walter S. (1865). Selections from Calcutta Gazettes. 2. Calcutta: Government of India.
- Shrivastav, P.N. (1971). Madhya Pradesh District Gazetteers. Madhya Pradesh, Bhopal: District Gazetteers Department.
- Singh, Bhai Nahar; Singh, Bhai Kirpal (1995). Rebels Against the British Rule. New Delhi: Atlantic Publishers & Dist. ISBN 978-81-7156-164-3.
- Southey, Robert (1822). History of Brazil. 1. London: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Retrieved 5 May 2013.
- Tate, George P. (1911). The kingdom of Afghanistan. The Times of India. Calcutta. Retrieved 5 May 2013.
- Thoman, Mauritz (1869). Mauriz Thoman's, ehemaligen Jesuitens und Missionärs in Asien und Afrika, Reise- und Lebensbeschreibung. Lindau: Stettner. Retrieved 5 May 2013.
- Wellington, Arthur Wellesley, Duke of; Wellington, Arthur R. wellesley, 2nd Duke of (ed.) (1868). Despatches, Correspondence, and Memoranda of Field Marshal Arthur, Duke of Wellington, K. G.: 1825–1827. London: John Murray. Retrieved 5 May 2013.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Wilkes, John (editor) (1815). Encyclopaedia Londinensis. 13. London: John Wilkes. Retrieved 5 May 2013.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