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어(인도)

Boro language (India)
보로
보도
बर'/बड़
Bodo Rao in Devanagari script.svg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여진 보로 라오(보로어)라는 단어
네이티브:인도 북동부
민족성보로족
원어민
140만(2011년 인구조사)[1]
데바나가리(공식)
나가리(동부)
라틴어(연관)
공식현황
공용어:
인도
언어 코드
ISO 639-3brx
글로톨로지bodo1269
Bodoland Territorial Area Districts.svg

보로[2](Boro, ड़'/ɔo][bɔo]) 역시 동북인도, 네팔, 벵골보로족이 주로 사용하는 중국-티베탄어다.[3] 보돌란드 자치구의 공용어와 인도 아삼 주의 공용어다.[4] 인도 헌법 제8차 표에 기재된 22개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5] 1975년 이후 이 언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여졌다. 이전에는 라틴어벵골아세아세아세어 문자로 쓰여졌다. 일부 학자들은 그 언어가 현재 Dodhai라고 알려진 잃어버린 대본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역사

1913년 이후 서로 다른 보로 조직들이 시작한 사회정치적 각성과 운동의 결과, 1963년 보로 지배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이 언어가 교육 수단으로 도입되었다. 보로스는 공식적으로 인도 헌법에 따라 "보로, 보로카차리" 예정 종족으로 확인된다.[6] 오늘날, 보로어는 2차 레벨까지의 지시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아삼 주에서 연관된 공용어다. 보로 언어와 문학은 1996년부터 구와하티 대학 졸업 후 과정으로 제공되어 왔다. 시, 드라마, 단편, 소설, 전기, 여행기, 아동문학, 문학평론 등에 관한 보로 서적들이 대거 소장되어 있다. 비록 다른 방언들이 존재하지만, 서양 보로 방언 {(스나바리)코크라하르 지구 주변에서 사용되는 WBD} 형태가 표준으로 간주된다.[7]

쓰기 시스템 및 스크립트 이동

보로와 디마사어는 더 이상 증명되지 않는 더다이(Dodhai)라는 대본을 사용했다고 한다.[8] 라틴어 대본은 먼저 그 언어를 적는데 사용되었고, 1843년에 기도서가 출판되었다가 1884년부터 1904년에 Endle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고, 그 대본은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사메세지/벵갈리 대본은 1915년(보로니 피사 아이엔)에 처음 사용되었고, 첫 번째 잡지 비바르(1924~1940)는 보로, 아사메세지, 벵갈리에서 3개 국어로 쓰였으며, 보로는 아사메세지/벵갈리 대본으로 쓰였다. 1952년 보도사히타 사바(Bodo Sahita Sabha)는 이 언어 전용으로 아사메어 문자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9] 1963년, 보로는 아사메스의 대본이 사용된 수업 매체로 학교에 도입되었다.[10] 1960년대까지 보로어는 주로 아사메세어/벵갈어 문자로 쓰여졌지만 기독교 공동체는 보로를 위해 라틴어를 계속 사용했다.[11][12]

보로스크립트 운동

1960년대 아사메어 운동이 최고조에 달하자 보로 공동체는 위협을 느꼈고 아사메어 대본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3] 일련의 제안과 전문가 위원회를 거쳐 1970년 보도사히타 사바(Bodo Sahita Sabha)는 스스로를 뒤집고 11번째 연례 회의에서 라틴어 대본을 채택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14] BSS는 1971년 이 요구를 아삼 정부에 제출했는데, 라틴어 원문이 외국산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이로 인해 라틴어 대본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후 아삼 평원 부족 협의회(PTCA)가 주도하여 독립국 우다야찰 운동의 일부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보로 지도자들은 인디라 간디 총리로부터 라틴어 이외의 어떤 인도 문자도 선택하라는 조언을 받았다.[15] 아삼정부를 무시하고 1974년 4월 BSS가 나서서 보로 교과서인 비토라이를 라틴어 대본으로 출판하고 학교 교사들에게 이를 따르도록 했다.[16]

일방적인 결정에 대한 보복으로, 아삼 정부는 라틴어 대본을 사용하는 학교에 대한 보조금을 보류했다. 이는 올보도학생연합(ABSU)과 PTCA가 동참한 적극적인 움직임의 국면을 촉발시켰다. 이로 인해 1974년 11월 경찰의 발포로 15명의 운동 자원봉사자가 사망하고, 그 외 많은 사람들이 다치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 아삼 정부는 이 문제를 연방정부에 회부했다.[17] 이 논의에서 정부는 문제의 해결책으로 데바나가리 스크립트를 제안했는데, BSS는 1975년 4월 양해각서에서 이를 받아들여 연차총회에서 채택했다.[18] 이로써 보로 각본운동은 막을 내렸다.

Devanagari 스크립트의 최종 수락

데바나가리 대본으로 쓰여진 중학교용 보로어 교과서

보로의 데바나가리 대본은 예기치 못한 전개였고 더 넓은 보로 공동체에서는 즉각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9] BSS는 데바나가리 대본의 사용을 이행하지 못했으며, 작가들은 아사메세/벵갈리와 라틴어 대본을 계속 사용하였다.[20] 1982년 ABSU는 요구헌장에 보로 학교의 라틴어 대본 요구를 포함시켰다. BSS가 구성한 전문 위원회 보고서에 따라 보돌랜드 자치회는 라틴어 대본을 자국 영토에 사용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아삼 정부도 이를 수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도 해방 호랑이와의 논의에서, 연합 정부는 인도 헌법 제8차 표에 보로어가 포함되도록 할 경우 데바나가리 문자 사용에 관한 BSS와의 이전의 합의의 이행을 요구했다. 이에 뒤이어 ABSU와 BSS는 데바나가리 대본을 독점적으로 사용하기로 합의했고, 마침내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음운론

보로어는 모음 6개, 자음 16개, diphthong 8개 등 총 30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등받이 비원순 모음 /ɯ/의 유행이 높다. 보로어는 단어를 구별하기 위해 톤을 사용한다. 고음, 중음, 저음의 세 가지 음색이 있다. 높은 톤과 낮은 톤의 차이는 분명하고 꽤 흔하다.

모음.

보로에는 6개의 모음이 있다.

  • 모든 모음은 음절의 시작, 중간, 끝에 나타난다.

디프통스

디프통스
i o u
i 아이유
e oe
a ai ao
o oi
u ui
ɯ ii uu

자음

보로는 16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자음
라비알 치조류 도르살 글로탈
IPA 스크립트 IPA 스크립트 IPA 스크립트 IPA 스크립트
콧물 m m n n ŋ ng
멈추다 흡인된 p ph t th kh
목소리 있는 b b d d ɡ g
프리커티브 무성음의 s s
목소리 있는 z z ɦ h
플랩/트릴 목소리 있는 ɾ r
근사치 무성음의 w w
목소리 있는 j y
측면의 l l
  • /pʰ, tʰ, kʰ/라는 무성 흡인된 세 개의 정지점은 음절 최종 위치로 공개되지 않는다. 그들의 자극받지 않은 목소리 상대는 풀려나며 단어의 최종 위치가 될 수 없다.
  • 때때로 /pʰ, tʰ, kʰ, s/는 각각 /b, d, g, z/로 발음된다.
  • 자음 /b, d, m, n, ɾ, l/는 모든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자음 /pʰ, tʰ, kʰ, g, s, ɦ/는 고유 보로어의 끝에 나타날 수 없고 외래어로 발생한다.
  • 자음 /ŋ,j,w/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나타날 수 없다.

톤즈

보로는 톤 언어이기 때문에 톤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21]

높은 톤과 낮은 톤의 예 및 의미 차이
높은 의미 낮음 의미
Buh 이기다 BU 부풀다
할 수 있다 자르다
날씬해지다 몸이 좋아지다
귀드화 가라앉다 그와드 과거의
먹다 네. 되려고
말리다 나누다

문법

문장 구조

보로의 문장은 "제목 + 동사" 또는 "제목 + 오브젝트 + 동사"로 구성된다.

보로의[7] 문장 예
제목 + 동사 제목 + 객체 + 동사
앙몽티야 라이먼 아 애플 재던그
Nijwm ah undudwng Nwng Wngkham Jabai?

어휘

숫자

보도는 십진법을 가지고 있으며 고유한 단어로 10까지 세고, 그 후에 숫자 단어들이 합쳐져서 아래 차트에 나온 것처럼 더 큰 숫자에 더해진다.[22]

보로어의 숫자
숫자 보로어로 영어에서
0 라티호
1 SE 하나
2 Nwi 두 개
3
4 브뤼 4개
5 BA 다섯
6 하다 여섯
7 스니 일곱
8 여덟
9 Gu 아홉
10
11 지세 열한 개
12 쯔위 열두명
13 쯔탐 십삼
14 쯔브르위 열네
15 쯔바 열다섯
16 쯔도 열여섯
17 지 스니 세븐틴
18 쯔다엔 열여덟
19 쯔구 열아홉
20 누이쯔 스무살
100 즈위즈 원 백
200 누이쯔와우 투 백
300 탐즈워우 삼백
1,000 세 르완자 천원
2,000 니 르완자 투 오천
10,000 지 르완자

교육

보로는 아사메세지를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삼 부족 지역의 10학년까지 필수 과목이다. 이 과목은 중앙 중등교육위원회(CBSE)와 Kendriya Vidyalaya Sangathan(KVS) 산하 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에서 필수 과목이다. 이 법안은 2017년 8월 국회에서 통과되었다.[23]

참고 항목

메모들

  1. ^ [1]
  2. ^ "명목상으로는 보도와 보로 모두 똑같이 널리 퍼져 있다. 영향력 있는 보도 사히타 사바(보도 문학회)는 보로와 보도가 모두 이 언어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 버턴 페이지(1955년), 바트(1968년), 바타차랴(1977년), 요셉과 벌링(2001년, 2006년), 바스마타리(2005년), 보로(2007년), 디란시(2010년, 2011년)와 같은 언어에 대한 많은 과거와 최근의 연구들은 이 언어를 보로라고 묘사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칭을 보로(Boro)에 따르며, 따라서 보로를 사용한다.(Das & Mahanta 2019:1f)
  3. ^ "표 1 - LSI: Bodo, 현대식 이름: 보로" (자퀘슨 2017:101)
  4. ^ "THE ASSAM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0" (PDF).
  5. ^ "Languages Included in the Eighth Schedule of the Indian Constitution".
  6. ^ "List of notified Scheduled Tribes" (PDF).
  7. ^ Jump up to: a b "Boro language, RCILTS, IIT Guwahat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September 2005. Retrieved 7 July 2021.
  8. ^ "아삼의 유명한 예술가인 비슈누 프라사드 라바는 고대에는 카차리스(보로스와 디마사스) 사이에 일종의 디다이 대본이 있었다고 내게 말했다. 스리 라바는 디마푸르에서 정보원으로부터 수집된 Deodhai 알파벳을 글로 써서 대표했는데, 이는 카차리 왕조로 유명하고 예술과 건축을 대표하는 유적이다. 더다이 대본의 이 형식이 더 이상 유행하지 않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를 더 이상의 깨달음을 위해 남겨 둔다.(바타차랴 1964:15–16)
  9. ^ (사르마 2014:1335–1336)
  10. ^ (사르마 2014:1336)
  11. ^ (Bhattacharya 1964:16)
  12. ^ (사르마 2014:1336)
  13. ^ "1960년 아사메어 운동은 아사메어 이외의 다른 대본, 즉 로마 문자보다 더 좋은 대본을 갖고 싶어 예리하게 만들었다."(사르마 2014:1336)
  14. ^ (사르마 2014:1336)
  15. ^ (사르마 2014:1336–1337)
  16. ^ " 1974년 4월 22일, 주 정부의 승인 없이 보도 사히타 사바(Bodo Sahita Sabha)는 로마 문자를 보로어의 유일한 대본으로 채택했다. 사바는 로마 원고에 쓰여진 초등 교과서인 비토라이를 학교 교과과정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사바는 보로 중등학교의 모든 교사들에게 비토라이를 수업시간에 소개할 것을 호소했다. (사마 2014:1337)
  17. ^ (사르마 2014:1337)
  18. ^ "보도 사히타 사바 대표들은 1975년 4월 9일 연합정부와 보도어 데바나가리 문자 채택에 동의하는 각서를 체결했다."(사르마 2014:1337)
  19. ^ (사르마 2014:1338)
  20. ^ "보도 사히타 사바가 엄격한 의미에서의 데바나가리 대본 이행에 성의를 보이지 못한 것은 젊은 세대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그들은 데바나가리 각본의 채택은 일시적인 합의라고 생각했다. 보로 작가 집단은 이점을 살려 자신의 글에서 데바나가리 대본을 연습하는 대신 아사메스와 로마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사르마 2014:1338)
  21. ^ Mochari, Moniram (1985). Bodo-English Dictionary. Bengtol, Kokrajhar: The Bodo Catholic Youth Association.
  22. ^ Brahma, Aleendra (2009). "Sino-Tibetan Languages: Bodo".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3. ^ "Assam to make Assamese mandatory till Class 10; Bodo, Bengali options for some". hindustantimes.com/. 19 April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2017. Retrieved 4 May 2017.

참조

  • Bhattacharya, Pramod Chandra (1964).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Boro language (PhD). hdl:10603/66710.
  • Brahma, Pratima (2014). Phonology and morphology of Bodo and Dimasa: a comparative study (PhD). hdl:10603/21160.
  • Das, Kalyan; Mahanta, Sakuntala (2019). "Intonational phonology of Boro". Glossa: A Journal of General Linguistics. 4 (1). doi:10.5334/gjgl.758.
  • Jaquesson, François (2017). Translated by van Breugel, Seino. "The linguistic reconstruction of the past: The case of the Boro-Garo languages".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40 (1): 90–122. doi:10.1075/ltba.40.1.04van.
  • Perumalsamy, P (2016) Bodo 'Linguistic Survey of India: 서벵골 부피, Part-I' New Delhi: 호적등기소 인도[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