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스누아르
Ives noir이브스누아르 | |
---|---|
포도(비티스) | |
![]() 율리시스 프렌티스 헤드릭의 1908년 뉴욕 포도책의 이브스 포도 사진판 | |
베리피부 배색 | 빨간색 |
종 | 잡종 포도 |
기원 | 1844년 오하이오 주 |
이브누아르는 미국 전역에서 재배되는 레드 하이브리드 포도 품종이다.전파자인 코네티컷 와인 재배자인 헨리 아이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이 포도의 혈통과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미국에서 금지령 이후, 이베스는 달콤한 포트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인기 있는 포도였지만, 20세기 내내 대기 오염에 대한 포도나무의 민감성이 타격을 받으면서 재배가 꾸준히 줄어들었다.[1]
역사와 혈통
비티스 인터내셔널 버라이어티 카탈로그(VIVC)에 따르면 포도는 1844년 오하이오 주에서 최초로 미지의 비티스 종과 하트포드 프롤릭(그것은 코네티컷에서 개발된 알려지지 않은 비티스 라브루스카 포도나무와 이사벨라의 교차)의 교차로부터 개발되었다.[2][3]데이비스 캘리포니아 대학교가 관리하는 국립 포도 등록부는 1850년을 발매일로 명시하고 있다.[4]헨리 아이브스 자신이 쓴 글은 건널목을 1840년으로 연대를 하고 있다.그러나 하트포드 다작의 초기 경작 기록은 1846년으로[1] 거슬러 올라가며 VIVC는 심지어 18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이 모순은 이브누아르의 혈통을 문제 삼는다.다른 글에서, 헨리 아이브스는 "말라가"나 "마데이라"라고 불리는 비티스 비니페라 품종의 묘목에서 포도를 재배했다고 주장했지만, 19세기 후반에 이르면 비니페라 포도주 페드로 시메네즈와 모스카텔 또는 전통적인 마데리엘과의 관계를 뒷받침할 증거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말바시아, 부알, 베르델호, 세르소셜, 테란테즈, 바스타르도 포도주이브누아르의 DNA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오늘날 강제학자들은 이 포도가 알려지지 않은 비티스 라브루스카와 비티스 미학 덩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고 있다.[1]
이브누아르(Ives nuir)는 1930년대 금주령이 끝날 무렵 미국 동부에 널리 정착되었는데, 그 당시 포도주는 달콤한 강화 와인을 만드는 와이너리로 인기를 끌었다.그러나 20세기 말까지 미국의 대기오염으로 민감한 덩굴의 작황이 나빠지면서 포도 재배가 크게 감소하고 있었다.[1]
바이티컬쳐
이브누아르(Ives nuir)는 보통 콩코드 이전에 익는 중간 익는 품종이다.덩굴은 대기 오염, 오존 손상뿐만 아니라 유황에 기초한 스프레이(예: 분말성 곰팡이와 다운성 곰팡이를 퇴치하는 데 사용되는 보르도 혼합물)에도 매우 민감하다.이브누아르는 좀 더 왕성한 뿌리 원료를 접붙이지 않을 때 얕고 약한 뿌리 체계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이것은 또한 덩굴이 가뭄 상황에서 관개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 물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게 만든다.[1]
와인 지역
오늘날 Ives nuir는 주로 미국 동부와 브라질 남부 주에 심어져 있으며, 이 품종은 보르두 또는 테르치라고 알려져 있다.[5]뉴욕 주의 플랜테이션은 미시간과 오하이오 주의 역풍 대기 오염으로 상당한 영향을 받았으나, 미국 환경 보호국에 의해 시행된 청정 공기법 표준이 발효되면서 1996년 현재 아이브스 누아르 50에이커(20헥타르)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했다.[1]
뉴욕 이외의 지역에서는 50년 이상 된 일부 오래된 덩굴식물을 비롯해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소규모 농장을 포함해 아칸소 주에서는 15에이커(6에이커)의 이브누아르 생산지가 있었다.[1]
스타일 및 용도
이브누아르는 와인 제조 외에도 포도즙과 젤리 생산에도 사용된다.와인 마스터 얀시스 로빈슨에 따르면, 이 포도는 비티스 라브루스카 포도의 특징적인 "폭시" 음표를 포함하여 콩코드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만, 보통 약간 밝은 색상을 가지고 있다.이브누아르(Ives noir)는 드라이 블러셔 와인부터 세미 스위트 블러셔 와인, 스위트 강화 와인에 이르는 다양한 단맛 스타일 와인을 만드는 혼합 포도주 겸 변종 포도주로 사용된다.[1]
동의어
수년간 이브누아르는 블랙 이브스, 보르두 또는 테르시(브라질), 이브스 마데이라, 이브스의 마데이라 씨들링, 이브 씨들링, 키트레지 등 다양한 동의어로 알려져 왔다.[1][2]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Robinson, J. Harding 및 J. Vuillamoz 와인 포도주 - 원산지 및 향신료 477, Allen Lane 2012를 포함하여 1,368종의 포도주에 대한 완벽한 안내서 ISBN978-1-846-14446-2
- ^ a b VIVC(Vitis International Variet Catalogue) Ives nuir Archived 2014-11-03 Wayback Machine Accessed:2013년 4월 20일
- ^ a b VIVC(Vitis International Variet Catalogue) Hartford Archived 2014-11-03 Wayback Machine Accessed:2013년 4월 20일
- ^ 국가 포도 레지스트리 "Ives noir" 액세스:2013년 4월 20일
- ^ a b Embrapa - 공식 사이트 액세스:2014년 12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