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즈 (다키아)

Burs (Dacia)

부르스족(라틴 부리족, 부레덴스족, 부리다벤스족, 그리스어 βοῦροιι)은 서기 1, 2세기 다키아에 살고 있는 다키안 부족이며, 수도는 부르이다바에 있었다.[1][2][3]

데이키안 부리 / 로마제국 지도에 부리덴시

이름

According to Wilhelm Tomaschek, the root bur- is well known with the Dacian Thracian names: i.e. Burus (Thrax), Bουρχέντιος (that is to say Bhūri–Kanta, a Bessian from Thrace[4]), Burebista (the king of Dacians that is maybe related to Sanskrit bhūri "abundant, rich" and Iranian vista "possessor" [4]).[5]

사실

데이키안 부족 부레데엔스 / 부리는 프톨레마이오스 지리[2]유럽 제9대 타불라[1], 카시우스 디오와 비문에 의해 증명된다.[6]

다키아 부족의 타패(101) 전투에 (트라잔의 첫 유세에서) 부리는 다키아에서 철수하고 평화로운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트라잔에게 보냈다. 그들이 그에게 보낸 메시지는 매우 큰 버섯의 부드러운 윗부분에 라틴어로 새겨져 있었다.[3][1] 이 메시지는 트라얀스 칼럼의 프리즈의 일부가 될 만큼 이례적이었다.[3]

6세기에 AD 530년 된 저스틴이 발표한 한 증서는 버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7]

"Insuper constituimus, tibique damus hic descripta armorum insignia: videlicet: scutum in septem partes divisum; in medio eius, scutum aureum, cui inest aquila dupplex, alba et nigra, quae significat Emblema Imperiale, cuius capita coronata sunt purpureo Imperiali diademate, ex parte dextra in prima divisione scutum rubrum, in cuius medio videtur turris, significans utramque Daciam, in secunda divisione scutum coeleste, cum tribus Burris, quarum duae e lateribus albae sunt, media vero aurea, quae indicat Albaniam superiorem; in tertia sectione scutum album cum uno Leone, indicante Epyrum; ex parte vero sinistra in sectione scutum coelestis coloris cum dupplici cruce aurea, exprimente secundam Pannoniam; in secunda divisione scutum rubrum, in cuius medio est caper nigri coloris, significans Macedoniam: et in tertia sectione scutum viridis coloris, et in eo duo brachia vestita, stemma aureum septem margaritis gemmatum tenentia, quae indicant Thessaliam: duo quoque emicant astra aurea, unum in media superioris scuti parte, et alterum in 하급, 쿼보충, 심볼성 세테라룸 테라룸, 등각종말기. Super dictis emblematibus apparet crux erecta triformis, significans dignitatem summi sacerdotii, corona Ducali tecta; in dextra eius parte gladius aureus absolutam in temporali authoritatem indicans: e sinistra vero pedum Pastorale, dictans authoritatem in spirituali, quae omnia cooperiuntur Pileo rubro, longo funicolo cum longis nodis et aureis 옴니버스 퍼블릭리스 기능버스의 현업 카푸트 투움 아도르나비스 컴파렌즈."[7]

정체성 및 분포

로마 작전 AD 180–182의 지도에 데이키안 부리가 실려 있다.

슈취킨(1989년)에 따르면, 부리의 부족 연합인 비치르(1976년)는 다키족, 게태족, 카르피족 외에 다키안 부레비스타 주의 일부였다.[8]

그들은 이 지역의 다른 부족들과 연합하여, 데이키안 왕인 데크발의 로마인들을 되돌리려는 노력을 지지했다. There were two Dacian tribes Buri: one in the later Roman Dacia centered on Buridava and other located to the North West of Dacia (South of Slovakian Carpathians) in the Upper Basin of Tisza.[9] (Note: the Germanic Buri were between the Oder and the Vistula, between Cracow and Troppau, in Silesia. 그들은 데이키안과의 전쟁에서 로마 황제 트라얀의 동맹이었고 마르코마니크 전쟁에서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동맹이었다.[10]

부리다바를 중심으로 한 데이키안 부르리/부리다벤시의 사회정치적 형성은 올테니아문테니아(현대 볼체아·아르게아 주)의 북동쪽과 카르파티아, 세베페기그라산 지역의 반대쪽에도 위치하였다.[11] 이 부족의 연합은 고고학적 금전적 발견인 아니노아사 도브레스티에 의해 기록된다.[11] 다른 증거들 중 루마니아 문테니아 오크니차에서 발견된 BUR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꽃병 조각은 부리다벤시 데이키안 부족 또는 부족의 연합인 부리다벤시 데이키안족의 이름을 나타낸다.[6]

티사 상류 분지의 부리는 북서부 쪽으로 이주한 부리다벤시의 일부인데, 그곳에서 게르만족 쿼디족과 인접했다. 이 새로운 위치에서 고대 자료에는 또 다른 데이키안 부족도 나열되어 있다. 피게테, 비에시, 카펜시아, 아르시테, 라카타에.[9]

AD 1세기 초부터 슬로바키아에서 알려진 (예를 들어 젬플린에서) 혼합된 데이키안-게르마니아어 기원의 물질 문화는 역사적 원천에서 부르리라는 이름의 인구를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12]

메모들

  1. ^ a b c Prvan 1928, 페이지 159.
  2. ^ a b Oltean 2007, 페이지 46.
  3. ^ a b c 1998년 오스틴 & 랭코프, 페이지 65.
  4. ^ a b 토마셰크 2007년 페이지 403.
  5. ^ 파반 1928, 페이지 224.
  6. ^ a b 맥켄지 1986 페이지 66.
  7. ^ a b Fejér, György (2012). Codex Diplomaticus Hungariae Ecclesiasticus Ac Civilis, Studio Et Opera G. Fejér. Nabu Press. p. 526. ISBN 978-1278751115.
  8. ^ 테일러 2001, 210-216페이지.
  9. ^ a b 파반 1928, 페이지 336.
  10. ^ 존슨 타키투스 1885 페이지 71.
  11. ^ a b 베르시우 1981 페이지 157.
  12. ^ 팝, 볼로반 & 안데아 2006, 페이지 98.

참고 항목

참조

  • Austin, N. J. E; Rankov, . N. B. (1998). Exploratio: Military and Political Intelligence in the Roman World from the Second Punic War to the Battle of Adrianople. Routledge. ISBN 978-0-415-18301-7.
  • Berciu, Dumitru (1981). Buridava dacică, Volume 1. Academiei RS Romania.
  • Johnson, Henry Clark; Tacitus (1885). The Agricola and Germania of Cornelius Tacitus: with explanatory notes and maps. AS Barnes and Co.
  • MacKenzie, Andrew (1986). Archaeology in Romania: The Mystery of the Roman occupation. Hale. ISBN 978-0-7090-2724-9.
  • Oltean, Ioana Adina (2007). Dacia: landscape, colonisation and romanisation. Routledge. ISBN 978-0-415-41252-0.
  • Pop, Ion Aurel; Bolovan, Ioan; Andea, Susana (2006). History of Romania : compendium. Cluj-Napoca : Romanian Cultural Institute. ISBN 978-973-7784-12-4.
  • Pârvan, Vasile (1928). Dac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aylor, Timothy (2001). Northeastern European Iron Age pages 210-221 and East Central European Iron Age pages 79-90. Springer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Human Relations Area Files. ISBN 978-0-306-46258-0.
  • Tomaschek, W (2007). Les restes de la langue dace. Routledge. ISBN 978-0-415-4125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