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티소
Cotiso코티소 | |
---|---|
다키아 왕 | |
![]() 데이키안 왕국의 상징들 | |
군림하다 | 기원전 40년 - 기원전 9년 |
전임자 | 뷰레비스타 |
후계자 | 코모시쿠스 |
죽은 | 기원전 9년 |
코티소, 코티시 또는 코티손(기원전 30년)은 바나트와 올테니아(현대 루마니아) 사이의 산을 지배한 것으로 보이는 데이키아의 왕이었다. 호레이스는 그를 데이키아의 왕이라고 부른다.[1] 수에토니우스는 그를 게태의 왕이라고 부른다.[1] 그는 다뉴브강이 얼어붙을 때 코티소와 그의 군대가 남쪽을 향해 공격하곤 했다고 쓴 플로루스의 언급도 있다.
몇몇 학자들은 그가 트란실바니아에서 발견된 많은 금괴에 이름이 등장하는 데이키안 왕 코손과 동일하다고 믿는다.[citation needed]
배경
부레비스타의 죽음 이후, 데이키안 왕국은 순유와 내분 속에 무너졌다. 코티소는 이 시기에 다키아에서 지배적인 인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배경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새로운 왕은 옥타비아누스와 마크 안토니우스라는 두 로마의 적대 세력에게 구애를 받는 자신을 발견했다. 코티소는 대립하는 두 정당에게 어떤 동맹의 조건도 지시할 수 있는 강한 위치에 있었다.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는 마크 안토니우스와 데이키족의 국경과 가능한 동맹에 대해 걱정했고, 기원전 35년경에 탐험을 계획했다. 몇 차례의 작은 충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캠페인은 전개되지 않았다. 코티소는 안토니우스와 동맹을 맺었다. 올반 드웨스 윈스파르와 레노레 크램프 게웨케에 따르면 그는 "이피루스보다는 마케도니아에서 전쟁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전했다.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면 안토니우스의 굴종은 덜 쉽게 이루어졌을지도 모르오."[2]
청혼
애피안에 따르면 안토니우스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에게 딸을 줌으로써 게테(다키아인)의 왕 코티소의 친선을 확보하려 했고, 자신도 코티소의 딸과 결혼했다는 진술에 책임이 있다고 한다.[3]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코티소는 동맹을 거부하고 안토니우스의 당에 합류했다.[4] 스에토니우스(LXII, 아우구스투스의 삶)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딸 줄리아를 코티소(M. Antonius writte primum filio suo despontises Iuliam, dein Cotisoni Getarum regi)와 결혼시키기 위해 약혼했다고 썼다고 말한다. 이것은 코티소가 아우구스투스를 배신했을 때 실패했다. 줄리아는 결국 사촌인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첼루스와 결혼하게 되었다.
디오에 따르면, 제안된 결혼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신빙성이 없으며, 마크 안토니우스에 의해 클레오파트라와의 동맹을 상쇄하기 위한 선전용으로 발명되었을지도 모른다.[4]
갈등과 죽음
내전에서 아우구스투스가 승리한 후 로마인들은 다키안 통치자를 처벌했는데, 이 통치자는 기원전 25년경 전투에서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5] 호레이스는 보호자에게 바치는 송장에서 코티소의 군대가 격파되었기 때문에 로마의 안전을 걱정하지 말라고 충고한다.[6] 아우구스투스는 황제 레 게슈타인으로서의 업적에 대한 설명에서 데이키안들이 진압되었다고 주장했다. 다키안군이 다뉴브 강을 자주 건너 판노니아와 모시아의 일부를 황폐화시켰기 때문에 이것은 완전히 사실이 아니었다.[7] 그는 기원전 C.9년 데이키안 지역의 마르쿠스 비니시우스의 선거 운동 때까지 살아남았을지도 모른다. 비니시우스는 다뉴브를 건너 다키아 자체를 침공한 최초의 로마군 사령관이었다. 이오아나 A. 올테안은 코티소가 이 캠페인 기간 중 어느 시점에 사망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전쟁에서 죽었을지도 모른다.[8] 조단스 코티소는 코모시쿠스에 의해 계승되었는데, 코모시쿠스는 그 이름 외에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8]
코티소와 코손
16세기에 루마니아의 호그에서 많은 금화가 발견되었다. 그들은 로마 동전을 본떠 만든 것으로, 마커스 쥬니우스 브루투스가 발행한 동전을 모방하여 리터러스를 동반한 로마 집정관의 그림을 그렸다. 이 동전에는 그리스 문자로 쓰여진 "코손" 또는 "코손"이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테오도르 맘센은 그 이미지가 브루투스의 동전에서 찍혔기 때문에 아마도 코손은 브루투스의 데이키안 동맹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학자들은 '코티소[n]'은 코손에게 쉬운 표기 오류이기 때문에 코티소와 동일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해 왔다. 호레이스는 항상 끝에 "n"으로 이름의 철자를 쓴다.[9] 이오아나 A. 그러나 올테안은 코손과 코티소가 다른 민족이라고 주장하면서 코티소가 코슨의 후계자임을 시사하고 있다.[8]
메모들
- ^ a b 존 T. 화이트, D.D. 옥손, 호레이스 오데스의 제1권(-4권)은 어휘와 약간의 호레이시아 계량기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 1875년 런던, 70페이지에 이른다.
- ^ Alban Dewes Winspear, Lenore Kramp Geweke, Augustus and Reconstruction of Roman Government and Societ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35 페이지 252.
- ^ 역사 원본인 펜실베니아 출판사의 1898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번역 및 재인쇄. 역사학부
- ^ a b 기념비적 안시라눔: 아우구스투스의 행적 제5권 제2호 아우구스투스 (로마 제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역사학과, 1898년, 73페이지
- ^ 윌리엄 밀러, 발칸: 루마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푸트남, 1972, 페이지 5
- ^ Carina Williamson, The Works of Horace, Translated to Porse, Clarendon Press, Oxford, 1996, p.402.
- ^ 매튜 번슨(1995): 로마 제국의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24쪽 ISBN0-19-510233-9ISBN978-0195102338
- ^ a b c 이오아나 A. Oltean, Dacia: 풍경화, 식민지화 및 로마화, Routrege, 2007년 8월 7일, p49.
- ^ Numismatist: 동전, 메달, 지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삽화 월간지, 제25권, 1912권, 페이지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