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브라도오리
Labrador duck래브라도오리 | |
---|---|
![]() | |
스미스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 암컷 표본 | |
![]() | |
남성, 필드 자연사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아베스 |
주문: | 안세리아목 |
패밀리: | 아나티스과 |
서브패밀리: | 머지아과 |
속: | †캄토린쿠스 보나파르트, 1838 |
종류: | § 래브라도리우스 |
이항명 | |
†캄토린쿠스라브라도리우스 1789년 그멜린 | |
![]() |
래브라도 오리(Camptorhynchus labradorius)는 북미의 [3]조류로, 1878년 뉴욕 엘미라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콜럼비아 교환 이후 멸종된 최초의 고유 조류 종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유럽 정착민들이 도착하기 전에 이미 희귀한 오리였고, 희귀성 때문에 래브라도 오리의 서식지, 특징, 식습관, 멸종 이유와 같은 일부 정보는 풍부하지 않다.전 [4]세계 박물관 소장품에는 55점의 래브라도 오리의 표본이 보존되어 있다.
분류법
래브라도 오리는 바다 오리로 여겨진다.중수골 I의 과정의 기본적인 형태 차이는 바다 오리를 두 그룹으로 나눈다.
타르소메타르수스의 영양공의 위치 또한 두 무리의 바다오리를 분리한다.첫 번째 그룹에서는 공구는 빗방울의 가로 홈의 장축에 대하여 측방이며, 두 번째 그룹에서는 공구가 그 [5]홈의 축에 대하여 위 또는 안쪽에 있다.
래브라도 오리는 파이드 오리와 스컹크 오리로도 알려져 있는데, 전자는 서프 스코어, 일반적인 골데니아이(그리고 심지어 미국 굴잡이)와 공유한 토속적인 이름으로, 이러한 종에 대한 오래된 기록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두 이름 모두 수컷의 두드러진 흰색/검은색 파이발드의 색깔을 가리킨다.그러나 다른 흔한 이름은 얕은 물에서 먹이를 먹는 습성을 의미하는 모래톱 오리였다.래브라도 오리의 가장 가까운 진화적 친척은 보아하니 스코어(Melanitta.[6]
래브라도 오리의 위치에 대한 유사 유전학 연구는 [7]이 오리가 아래와 같이 스텔러 오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메르기니 |
| ||||||||||||||||||||||||||||||||||||||||||||||||||||||||||||||||||||||||||||||||||||||||||||||||||||||||||||||||||||||||
묘사

암컷 깃털은 회색이었다.무늬는 약하지만, 무늬는 좀 더 섬세했다.수컷의 깃털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아이더 무늬를 만들었지만 날개는 흰색을 띠고 있었다.남성의 기관지는 더 험상궂었다.기관 튜브의 확장이 앞쪽 끝에서 일어났고, 두 개의 확대(스코어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확대와는 대조적으로)가 튜브의 중간 근처에 있었다.불라는 뼈와 동그랗게 생겼고 왼쪽에서 부풀어올랐다.이 비대칭적이고 오세우스 불라는 스코어들의 그것과 달랐다; 이 불라는 이더와 할레퀸 오리의 불라와 비슷했다.래브라도 오리는 북미의 모든 [8]새들 중에서 가장 수수께끼 같은 것으로 여겨져 왔다.
래브라도 오리는 작고 구슬 같은 눈을 가진 장방형의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그것의 부리는 거의 머리만큼 길었다.몸은 짧고 우울했으며, 짧고 강한 발은 몸 뒤로 멀리 떨어져 있었다.깃털은 작고 꼬리는 짧고 둥글었다.래브라도 오리는 단형속에 [9]속한다.
서식지
래브라도 오리는 매년 이주하여 미국 동부 뉴저지 및 뉴잉글랜드 해안에서 겨울을 나며 남부 모래 해안, 보호만, 항구 및 입구를 선호하고 여름에는 래브라도와 북부[10][11] 퀘벡에서 번식한다.존 제임스 오듀본의 아들은 래브라도에서 이 종의 둥지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세인트로렌스 만의 섬에 알을 낳았을 수도 있다고 믿는다.래브라도 오리의 번식 생물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다이어트
래브라도 오리는 작은 연체동물을 먹이로 삼았고, 일부 어부들은 홍합으로 [10]미끼를 물린 낚싯줄에서 그것을 잡았다고 보고했다.부리의 구조는 대부분의 오리들에 비해 매우 변형되었으며, 그 안에 수많은 층층이 있는 넓고 평평한 끝부분을 가지고 있다.이와 같이 북태평양/북아시아 스텔러 사이다의 생태학적 대응물로 간주됩니다.부리는 또한 특히 부드러웠으며 먹이를 [10]찾기 위해 침전물을 탐색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도 있다.
전혀 관련이 없는 또 다른 오리는 플랑크톤을 주로 먹지만 연체동물을 먹이로 하는 호주산 핑크귀오리다. 래브라도 오리의 상태는 아마도 겉모습이 파란색 오리와 가장 비슷했을 것이다.그것의 독특한 부리는 그들이 진흙과 얕은 물에서 조개류와 갑각류를 먹었다는 것을 암시한다.래브라도 오리는 달팽이를 먹음으로써 살아남았을지도 모른다.
멸종
래브라도 오리는 항상 희귀했다고 생각되지만, 1850년과 1870년 사이에 개체수가 [10]더 줄어들었다.그것의 [12]멸종은 아직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이 오리는 비록 식용으로 사냥되었지만 맛이 없고, 빨리 썩고, 싼 값에 팔렸다.결과적으로, 그것은 사냥꾼들이 많이 찾지 못했다.그러나 알이 과잉 수확되었을 수도 있고, 번식지에서의 깃털 장사에 의해 파괴되었을 수도 있다.이 새가 멸종한 또 다른 가능한 요인은 동부 해안 지역의 개체수와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그들이 겨울 분기에 먹이로 삼았던 것으로 여겨지는 홍합과 다른 조개류의 감소였다.비록 모든 바다 오리가 얕은 물에 사는 연체동물을 쉽게 먹지만, 서부 대서양 조류 종들은 래브라도 [13]오리만큼 이러한 먹이에 의존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멸종으로 이어진 또 다른 이론은 북미 해안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하여 새들이 틈새를 벗어나 다른 [14][15]서식지를 찾게 만들었다는 것이다.이 오리들은 북대서양의 미국 해안에만 서식할 수 있는 유일한 새였기 때문에 틈새를 바꾸는 [16]것은 어려운 일이었다.래브라도 오리는 19세기 말에 멸종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Camptorhynchus labradori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680418A92862623. doi:10.2305/IUCN.UK.2016-3.RLTS.T22680418A92862623.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 ^ "NatureServe Explorer 2.0". explorer.natureserve.org. Retrieved 31 March 2022.
- ^ Renko, Amanda. "EXTINCT: Seeking a bird last seen in 1878". Star Gazette. Star Gazette. Retrieved 23 June 2017.
- ^ 칠튼, 글렌래브라도 오리의 저주: 멸종 직전의 나의 강박적인 탐험.뉴욕: Simon & Schuster, 2009.인쇄.
- ^ Zusi, Richard (1978). "The Appendicular Myology of the Labrador Duck (Camptorhynchus labradorius)". The Condor. 80 (4): 407–418. doi:10.2307/1367191. JSTOR 1367191.
- ^ Livezey, Bradley C. (1995). "Phylogeny and Evolutionary Ecology of Modern Seaducks (Anatidae: Mergini)" (PDF). Condor. 97 (1): 233–255. doi:10.2307/1368999. JSTOR 1368999.
- ^ Janet C. Buckner; Ryan Ellingson; David A. Gold; Terry L. Jones; David K. Jacobs (2018). "Mitogenomics supports an unexpected taxonomic relationship for the extinct diving duck Chendytes lawi and definitively places the extinct Labrador Duck".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22: 102–109. doi:10.1016/j.ympev.2017.12.008. PMID 29247849.
- ^ Johnsgard, Paul. "Handbook of Waterfowl Behavior: Tribe Mergini (Sea Ducks)". Retrieved 24 October 2014.
- ^ "최근 멸종된 동물 - 종 정보 - 래브라도 오리."최근 멸종된 동물 - 종 정보 - 래브라도 오리.N.p., 2008년 6월 4일Web. 2014년 10월 22일.
- ^ a b c d Flannery, Tim (2001). A Gap in Nature. New York: Atlantic Monthly Press. pp. 60–61. ISBN 0871137976.
- ^ 칠튼, 글렌, 그리고 마이클 D.쏘렌슨.멸종된 래브라도 오리(Camptorhynchus Labradorius)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알의 유전자 확인.Auk (미국 조류학자 연합) 124.3 (2007) : 962-968.아카데믹 서치 프리미어Web. 2014년 10월 23일
- ^ 시블리와 먼로 (세계조류의 분포와 분류, 1990년, 페이지 40)
- ^ Phillips, John C.(1922–1926):오리의 자연사보스턴:Hougton-Mifflin, 제4권, 페이지 57~63.
- ^ 아마돈, 딘"유물 분포의 철새:몇 가지 추측이 있습니다.The Ouk 70.4(1953) : 461-69. JSTOR. Web. 2014년 10월 22일.https://www.jstor.org/stable/10.2307/4081357?ref=no-x-route:956a9a013036c5b67a48060b92a78a49
- ^ 윌슨, E.O. 생물다양성 II: 생물자원의 이해와 보호워싱턴 DC: 존 헨리 프레스, 1996.인쇄. https://books.google.com/books?hl=en&lr=&id=-X5OAgAAQBAJ&oi=fnd&pg=PA139&dq=labrador+duck+extinction&ots=f1QlkA4_cq&sig=k7BgO7drcRl9YZV8DaWFDmmzyz8#v=onepage&q&f=false
- ^ '새의 모든 것'래브라도 덕.코넬 대학교, 2007년.웹, 2014년 10월 22일http://www.birds.cornell.edu/AllAboutBirds/conservation/extinctions/labrador_duck/document_view 를 참조해 주세요.
추가 정보
- Chilton, Glen (2009) :래브라도 오리의 저주: 멸종 직전의 나의 강박적인 탐험.사이먼과 슈스터, ISBN 1-43910247-3.
- Cokinos, Christopher(2000):희망은 깃털이 달린 것이다.뉴욕: 푸트남, 페이지 281-304.ISBN 1-58542-006-9
- Ducher, William (1894). "The Labrador Duck – another specimen, with additional data respecting extant specimens" (PDF). Auk. 11 (1): 4–12. doi:10.2307/4067622. JSTOR 4067622.
- 포부시, 에드워드 하우(1912년): 매사추세츠와 인접 주의 사냥새, 들소, 쇼어버드의 역사.보스턴:매사추세츠주 농업위원회, 페이지 411-416.
- Fuller, Errol (2001) :멸종 조류, 컴스톡 출판사, ISBN 0-8014-3954-X, 85-87페이지.
- Madge, Steve & Burn, Hilary (1988) :물새. 세계의 오리, 거위, 백조들을 위한 식별 안내서입니다.보스턴:호튼 미플린, 페이지 265~266ISBN 0-395-46727-6
외부 링크
- BirdLife 종에 관한 자료표
- 존 제임스 오듀본의 새 오브 아메리카에 나오는 래브라도 오리
- 캐나다 환경
- 캐나다의 백조, 거위, 오리
-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해양멸종 데이터베이스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