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회학

Catholic ecclesiology
가톨릭 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성인을 묘사하고 있다. 마태복음 16장 18절에 언급된 "이 바위 위에" 자리한 로마의 베드로 대성당.오늘날 대부분의 가톨릭 신자들은 예수가 사도 베드로와 그에게서 사도승계를 주장하는 교황들의 반석 위에 교회를 짓고 있다고 해석한다.
17세기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7조 '하나의 성스러운 교회는 영원히 지속된다'는 내용의 삽화.교회는 성인들의 모임이다.그곳에서는 복음이 바르게 가르치고 성찬이 바르게 행해진다.여기서 마태복음 16장 18절의 바위는 예수의 설교와 사역을 그리스도로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1537년 [1]경전에서 상세히 논의된 견해입니다.

가톨릭 교회학계시나 철학에서 묘사된 가톨릭 교회의 본질과 조직에 대한 신학 연구이다.이러한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인 발전을 보여준다.여기서 초점은 제2차 바티칸 평의회(1962–1965)로 이어지는 시기에 맞춰져 있다.

Communitas Perfecta

Communitas Perfecta ("완벽한 공동체") 또는 Societas Perfecta ("완벽한 사회")의 교리는 교회가 모든 민족의 보편적 구원의 전체적인 목표(최종적 목적)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자원과 조건을 이미 가지고 있는 자급자족하거나 독립적인 사회라고 가르친다.그것은 역사적으로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가장 잘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그것의 기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2]철학에 있지만, 교회학에 대한 적응은 스콜라체학에 의해 이루어졌다.이 교리는 제2차 바티칸 [3]공의회 이전 신콜라스틱 학계에서 널리 쓰였다.

그리스도의 몸.

비오 12세의 이러한 접근은 "완벽한 사회" 모델을 넘어 "예수의 신비로운 몸"으로 옮겨갔다. 이 문서에서는 그리스도의 을 제2차 바티칸 [4]평의회에 의해 반복되는 방식으로 가톨릭 교회와 동일시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었다.루멘 젠티움은 "그리스도여, 우리에게 선물하소서, 그것은 교회입니다"(14)를 언급한 후, (14), 결합(15) 및 (16) 교회와 관련된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한다.교회에 대한 이 보다 광범위한 사상은 [5]"의 사람들"에 관한 루멘 젠티움의 두 번째 장에서 개발되었습니다.그리고 에큐메니즘에 관한 의회의 법령인 유니타티스 적통합은 "그리스도의 영은 구원의 수단으로 [분리된 교회와 공동체]를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지 않았다"고 선언하고 있다(3단).[6]이것은 "무의식적인 욕망과 갈망에 의해 그들이 구원자의 신비로운 신체와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비 가톨릭 신자들에 대해 말하는 Mystici corposis Christi의 진술을 넘어선다.비오 12세는 이미 [7]신약성서 바오로 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교회의 개념을 대중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신의 사람들

루멘 젠티움의 두 번째 장은 "하느님의 사람들에 대하여"라는 제목이다."사람"은 회원권 분쟁을 피한다: 다양한 연상 방법이 있다; 이 장에서 나온 위의 "그리스도의 몸"을 참조하라.루멘 젠티움의 이 장은 제3장 "교회의 위계구조, 특히 성공회에 대하여"보다 앞서 나왔기 때문에, 해설자들은 성령이 "모든 계급의 신자들에게 특별한 은총을 분배한다"고 선언하면서 위계질서에서 평신도로 초점을 돌린다는 것에 주목한다.이러한 선물에 의해서, 교회의 갱신과 건설에 공헌하는 다양한 임무와 직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그들을 적합하고 준비시키십니다」(12).이것은 "인정을 요구하는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실험의 거대한 덩어리에 대한 환영할 만한 판단"으로 묘사된다.교회의 삶은 교황을 통해 BB와 성직자들로부터 수동적인 평신도로 흘러내리지 않는다.이는 신의 인민의 풀뿌리에서 비롯되며 권위의 기능은 조정, 인증, [8]예외적인 경우 통제입니다.

서바이벌

자급자족이란 그리스도 교회가 가톨릭 교회를 "지지"하는 교리다.

서바이빗 인(Survivit in)은 루멘 젠티움(Lumen gentium) 8항에서 따온 용어로 가톨릭 교회의 교회적 요소가 다른 [9]곳에서도 발견된다는 것을 인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교회는 비록 많은 신성화와 진실의 요소들이 눈에 보이는 구조 밖에서 발견되기는 하지만, 베드로의 후계자와 주교들에 의해 통치되는 가톨릭 교회 안에서 구성되고 조직되었다.

신학 위원회는 "이러한 요소들은 개인뿐만 아니라 그들의 지역사회와 관련이 있다; 이 사실은 정확하게 에큐메니컬 운동의 [9]토대가 된다"고 말했다.

이것이 교회 교리의 발전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종종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그리스도의 교회가 "천주교 교회"[10]라고 말하지 않았다고 말한다.그러나 루멘 젠티움과 같은 날(1964년 11월 21일) 발표된 또 다른 문서에서 평의회는 사실상 "그리스도의 신비로운 몸인 신성 가톨릭 교회"(Decree Orientalium eclesiarum, 2)라고 언급하였다.여기서 "is"라는 전통적인 표현은 "subsists in"이라는 문구의 잠재적 모호성을 해석하기 위해 그 명확성을 사용할 수 있다.한편, 에큐메니즘에 관한 위원회의 법령은 "세례에 대한 믿음으로 정당화된 모든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신체에 속한다"[11]고 명시했지만, 아마도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가르친 것처럼 선의로 분열이나 이단으로 인해 성찬의 실체에 장애물이 되지 않는 사람들(오벡스)제2차 바티칸 평의회는 또한 동방교회에 대한 포고문에서 유일한 진정한 교회는 가톨릭 교회라고 명시하고 있다.따라서 평의회는 "있다"와 "서방주의자"라는 용어가 본질적인 차이점이나 적어도 양립할 수 있는 견해는 없다고 본다.가톨릭 교회의 정체성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주장하는 것은 이브 콩가, 조지 타바드, 요셉 A와 같은 보다 진보적인 교회학자들이 제시한 이해에 반한다. 코몬차크, 프란시스 에이 설리번.[12]

교회의 호전적, 고통과 승리

이 용어들은 1885년의 볼티모어 교리문답이나 1992년의 가톨릭 교리문답에서는 교회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그러나 후자는 "현재 그의 제자 중 일부는 지상의 순례자들이다.다른 사람들은 죽어서 정화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영광에 [13]싸여 있다.후자는 만인의 날(11월 2일)과 만인의 날(11월 1일)에 기념된다.

가톨릭 교회론에 대한 비판

동방 정교회

로저 하이트는 교회학의 차이를 보편적 관할권을 가진 교황과 가부장적 상부구조와 [14]사이프리아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한 주교 및 시노다 교회학의 조합으로 특징짓는다.

성공회

분기 이론에 따르면, 현재 하나의 그리스도 교회 지부가 있으며, 각각 원래의 분리되지 않은 교회의 신앙을 가지고 있고 [15]주교들의 사도 승계를 유지하고 있다.일부는 이것을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성공회 등 세 개의 분파로 제한하지만, 다른 분파로는 동양 정교회, 동방 교회, 구 가톨릭, 루터 교회 등이 [16]있다.카톨릭 교회는 분가 이론을 구체적으로 비난했다.

개신교

많은 기독교 교회들은 가톨릭의 주일 미사를 제물로 삼는 것과 비슷한 것이 없다.이는 이들 교회 내에서 목사의 역할에 대한 다른 이해로 이어진다.동시에, 희생에 대한 이해는 발전을 [18][19][20]향하지만, 가톨릭 교회 [17]내에서는 사제라는 개념이 진화하고 있다.

레퍼런스

  1. ^ 교황의 권력과 우선권에 관한 논문, 22항 2008-09-24 웨이백 머신 및 그 이후의 아카이브
  2.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BkI, Ch.1
  3. ^ 레오 13세, "불멸의 데이", 인간과 공동체 기독교인 리뷰, 프라이부르크(1945), 571~602, 857항.
  4. ^ Duffy, Eamon (1997). Saints and Sinners. New Haven: Yale. ISBN 978-0300073324.
  5. ^ Gaillardetz, Richard R. (2006). The Church in the Making: Lumen Gentium, Christus Dominus, Orientalium Ecclesiarum (Rediscovering Vatican II). ISBN 0809142767.
  6. ^ Pelotte, Donald E (1976). John Courtney Murray: Theologian in conflict. Paulist. ISBN 978-0809102129.
  7. ^ Stefon, Matt. "Mystical body of Christ". Encyclopedia Britannica.
  8. ^ Butler, Basil Christopher (1981). The Theology of Vatican II. Christian Classics. pp. 71, 76. ISBN 978-0870610622.
  9. ^ a b Gaillardetz, Richard R. (August 27, 2007). "The Church of Christ and the Churches: Is the Vatican retreating from ecumenism?". America Magazine.
  10. ^ Hebblethwaite, Peter (July 1, 1993). Paul VI: The First Modern Pope. ISBN 080910461X.
  11. ^ "Unitatis redintegratio (3)". www.vatican.va. Retrieved 2019-09-27.
  12. ^ "The Church of Christ and the Churches: Is the Vatican retreating from ecumenism?". America Magazine. 2007-08-27. Retrieved 2019-09-27.
  13.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nd ed.).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9. Paragraph 954.
  14. ^ 인용 오류입니다.수정 [verification needed]방법은 인라인 코멘트를 참조해 주세요.
  15. ^ "Branch theory of the Church".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978-0-19-280290-3.
  16. ^ Claude Beaufort Moss, SPCK, 1943, 페이지 279의 The Christian Faith: The Indroduction to Dogmatic 신학 입문 참조: CS1 maint: 아카이브 카피 as title (링크)
  17. ^ "Text of Pope's Letter to Pontifical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Zenit. 2016-04-27. Retrieved 2018-04-14.
  18. ^ Daly, Robert J. (February 2003). "Sacrifice Unveiled or Sacrifice Revisited: Trinitarian and Liturgical Perspectives". Theological Studies. 64 (1): 24–42. doi:10.1177/004056390306400130. ISSN 0040-5639. S2CID 170816180.
  19. ^ Brown, Raymond E. (1990). "Pauline Theology, 82, #73".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Pearson. p. 1399. ISBN 0136149340.
  20. ^ 를 클릭합니다Kilmartin, Edward J. (1999). The Eucharist in the West, History and Theology.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 1999. pp. 381f. ISBN 081466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