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

Chrysler by Chrysler
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
Chrysler CH Sedan (white).JPG
크라이슬러 CH 세단별 크라이슬러
개요
제조사크라이슬러 오스트레일리아
부르기도 한다.
생산1971년 11월 1976년 10월
차체 및 섀시
클래스풀사이즈
보디 스타일4도어 세단
투 도어 하드톱
배치FR 배치도
관련크라이슬러 발리안트
파워트레인
엔진
전송3단 자동
치수
휠베이스115.0인치(2,921 mm)
길이196.7인치(4,996 mm)
74.2인치(1,885 mm)
높이세단: 56.2인치(1,427mm)
하드톱: 55.2인치(1,402mm)
연석 중량세단(V8): 3,570lb(1,620kg)
연대기
전임자크라이슬러 VG VIP
후계자크라이슬러 CL 리갈 SE

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Cliriser by Cliriser)는 1971년부터 1976년까지 크라이슬러 호주에서 생산한 자동차다. 호주에서 개발된 크라이슬러 발리안트의 럭셔리 변형인 확장된 휠베이스다.[2]

CH 시리즈

오리지널 CH 시리즈 크라이슬러는 1971년 11월 크라이슬러 VIP[3] 대체하여 포드 페어레인, 호주 프레스티지 자동차 시장에서의 정치가로서의 크라이슬러 VIP를 대체하였다.[3] 4도어 세단과 2도어 하드톱 모델로 제공됐다.[3] 크라이슬러는 VH 시리즈인 크라이슬러 발리안트를 기반으로 양도어 하드톱 버전의 바닥판을 활용했다.[3] 크라이슬러의 115인치(2,900mm)의 휠베이스는 발리안트 하드톱과 동일하고 발리안트 세단보다 4인치(100mm) 더 길었다.[3] 크라이슬러도 외부 외관상으로는 발리안트와 큰 차이가 있어 크롬 서라운으로 둘러싸인 네 개의 헤드라이트 그릴과 독특한 랩어라운드 수평 테일라이트 어셈블리가 특징이다.[3] 프런트 스타일링과 랩어라운드 범퍼는 1969-1971년 크라이슬러 뉴요커와 비슷했다. 크라이슬러를 발리언트로부터 더 멀리 떨어뜨리는 표준 사치품 목록에는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 어시스턴스 스티어링, 파워 안테나가 달린 푸시 버튼 라디오, 카펫이 깔린 부트, 색조 파워 작동식 창문, 그리고 뒷좌석 승객을 위한 조절식 독서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 방음재를 추가로 적용하여 소음, 진동 및 가혹성(NVH)을 줄이는 데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였다.[3]

크라이슬러 CH 세단별 크라이슬러

표준 장비로는 265 cu in (4.3 L) Hemi 6기통 엔진을 장착했으며, 옵션으로는 미국제 설계의 오스트레일리아제 360 cu in (5.9 L) V8을 사용할 수 있다.[3] 수입된 "TorqueFlite" 3단 자동 변속기가 모든 차종에 사용되었다.[3]

크라이슬러 CH 하드톱별 크라이슬러

CJ 시리즈

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CJ)

크라이슬러의 CJ 시리즈 업데이트 버전은 발리안트의 VJ 시리즈 업데이트 한 달 [4]후인 1973년 5월에 출시되었다.[5] 크라이슬러의 이 모델은 이전 모델과는 약간의 화장품 스타일 변화로 구별할 수 있었다.[6] 투 도어 하드톱 바디스타일이 이번 시리즈로 넘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 4도어 세단이 유일한 모델이었다.[7]

이 모델은 '크라이슬러 318 CA'로 시판된 일본을 비롯한 일부 수출 시장에서도 판매되었으며 1976년까지 호주 시장 자동차에서는 제공되지 않았던 소형 5.2리터 V8에 3단 자동변속기가 결합되어 150PS(148마력, 110kW)로 출시되었다. 일본 시장 모델의 최고 속도는 170km/h(106mph)이다.[8]

CK 시리즈

크라이슬러의 CK 시리즈 업데이트 버전은 VK 발리안트 레인지의 출시와 맞물려 1975년 10월에 출시되었다.[9] 변화는 다시 미미했다.[10] 360 cu in (5.9 L) V8 엔진은 경제성과 성능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해 개조되었지만,[11] 1976년 7월 1일부터 새로운 배출 규제로 이 유닛은 (5.2 L) V8에서 318 cu in (5.2 L) V8로 대체되었다.[12]

CK 크라이슬러는 1976년 10월 발리안트와 리갈 모델의 CL 시리즈가 도입되면서 단종되었다. 이 제품군에는 고급 크라이슬러 리갈 SE 세단이 포함되어 있어 크라이슬러를 효과적으로 대체했지만,[13] 외향 모델의 휠베이스가 더 길거나 독특한 스타일링을 특징으로 하지는 않았다.

국제시장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 4도어 모델은 다른 호주 발리안트 모델과 함께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더지 SE'로 현지 제작, 판매됐다.[14]

뉴질랜드

뉴질랜드도 웰링턴에 있는 토드 모터스가 현지에서 조립한 다른 호주 발레안츠와 함께 판매한 크라이슬러에 의해 크라이슬러를 수입했다.

일본.

크라이슬러의 VH발리안트차저와 CJ크라이슬러는 미쓰비시를 거쳐 일본으로 수출됐다. 이것들은 일본의 구불구불한 좁은 도로들, 그리고 1973년 석유 위기 동안 일본이 목표 국가들 중 하나로서 겪고 있던 급상승하는 연료 비용 때문에 성공적이지 못했다.

영국

호주의 발레리앙스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6년까지 크라이슬러 바이 크라이슬러를 포함하여 영국에 수출되었다.[15]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www.valiant.org 2011년 4월 16일 검색됨
  2.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11.
  3. ^ a b c d e f g h i j 크라이슬러별 크라이슬러 CH 2010년 8월 10일 회수
  4.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29.
  5. ^ Tuckey & Kennedy 1996,
  6.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29–130.
  7. ^ Tuckey & Kennedy 1996,
  8. ^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ese motor vehicles guide book (in Japanese). Japan: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20: 1. 30 October 1973. {{cite journal}}: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9.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35 및 145.
  10.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48.
  11. ^ Tuckey & Kennedy 1996, 페이지 147.
  12. ^ 2010년 8월 10일에 검색된 VK/CK 기술 사양
  13. ^ Davis, Tony (1987). Aussie Cars. Hurstville, NSW: Marque Publishing Company. p. 147. ISBN 0947079017.
  14. ^ "CC Global: Aussie Chrysler Valiants in South Africa – with Added Local Attitude". 17 May 2020.
  15. ^ "Chrysler UK - United Kingdom: A History of Chrysler in".

참고 문헌 목록

  • Kenwright, Joe. 1971-73 CH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 360 하드톱, 호주 머슬카, 이슈 42, 86-90쪽.
  • Tuckey, Elisabeth; Kennedy, Ewan (1996). Chrysler Valiant: including an extensive motor racing section. Blakehurst, N.S.W.: Marque Publishing Company. ISBN 0947079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