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의 영화
Cinema of Madagascar마다가스카르의 시네마는 마다가스카르의 영화 산업을 가리킨다.
가장 주목받는 감독은 레이먼드 라자오나리벨로 퀀드 레스 에토일스 렌콘트렌트 라메르(별들이 바다를 만났을 때), 타바타바(소문의 확산) 등 영화감독이다.[1]
마다가스카르에서 완전히 말라가시가 제작한 가장 오래된 영화 작품은 22분짜리 흑백영화 라살라마 마르티오라(라살라마, 순교자)이다. 1937년 집정관 필리프 라베로가 연출한 이 작품은 개신교 순교자인 라파라바비 라살라마의 사망 100주년을 기념했다. 필리프 라베로조는 말라가시 출신 프랑스 시민 연합의 회장이었는데, 그곳에서 그는 9,5mm 카메라를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영화를 실감할 수 있었다. 완판이 분실되었다.[2]
그 후 몇 년 동안 마다가스카르는 몇몇 정치적 과로로 위기를 맞았다. 1960년 마다가스카르는 독립을 되찾았지만 여전히 정치적 불안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 복잡한 식민지 이후의 시대는 그 나라의 영화관이 폐쇄되거나 종교적인 예배의 장소로 변모하는 결과를 낳았을 뿐만이 아니다. 또한 거의 모든 영화산업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오늘날까지 마다가스카르에는 공공영화가 없다.
영화산업도 2006년을 전후해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한 것은 RFC(Rencontres du Film Court Madagascar)의 설립 덕분이다. 오늘날까지 RFC는 마다가스카르의 유일한 영화제다.
대부분의 Malagasy 프로덕션들은 공적 자금 지원을 받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약 60편의 단편 영화와 1, 2편의 장편 영화가 만들어진다.[2]
말라가시어에서는 '시네마'라는 단어가 글자 그대로 '움직이는 이미지'[2]라는 뜻의 '사리미헤티카'로 번역된다.
영화들
연도 | 제목 | 감독 | 장르. | 메모들 | |
---|---|---|---|---|---|
1973 | 사고 | 베누아트 라맘피 | 단편 드라마 | 최우수 단편 영화상 수상 (FESPACO, 1973년) | |
1974 | 아주 렘비 | 솔로 랜드라사나 | 드라마 | 원 진 사우터상 (Festival de Dinard, 1974년 프랑스 축제) | |
1980 | 피탐파 | ||||
1984 | 달로, 달로 | 베누아트 라맘피 | 드라마 | ||
1987 | Ilo Tsy Very [영원한 축복] | 이그나이스 솔로 랜드라사나 | 드라마 | 1947년 말라가시 봉기를 그렸다 | |
1989 | 르포르 드 라 파익스 [평화의 가격] | 아벨 라코토자니와 베누아트 라맘피 | 단편 드라마 | 1988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아프리카 영화제에서 상영됨 | |
1991 | 치아/유니콘 | 돈 블루트 | 가족 | ||
1996 | 퀀드 레 에톨레스는 la mer [별들이 바다를 만났을 때] | 레이먼드 라호나리벨로 | 드라마 | 말라가시 해방투쟁 묘사, 이스탄불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수상(1998) | |
2001 | 마키베포 | 알렉산더 아벨라 | 드라마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원작 | |
2004 | 술리 | 알렉산더 아벨라 | 드라마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오델로를 바탕으로 한 작품 | |
2004 | 수르레무르 드 라빌 | 파브리스 마미니리나 라자핀드라람보 | 단편 애니메이션 | 200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공식 경쟁부문 최초의 말라리아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 |
2005 | 마할레오 | 마리-클레망스 파이스와 레이먼드 라호나리벨로 | 다큐멘터리 | 마다가스카르의 가장 인기 있는 밴드인 마할로의 역사를 추적하여 최우수 다큐멘터리상(Regards sur le cinema du Sud, Rouen, 2006), 공공상 및 준우승(Festival du film insular de Groix, 2005)을 수상했다. | |
2006 | 해가 뜨다...그 다음이 되다 | 지바 에릭 라자핀드라람보 | 단편 애니메이션 | 2006년 마다가스카르 렌컨트리즈 영화 코트 최우수 작품상 수상 | |
2007 | 라케타메나 | 헤리 A. 라솔로 | 다큐멘터리 | Ciné Sud de Cozes에서 상 수상 | |
2007 | 타파시리 | 토키 랜드리하마호소아 | 짧다 | 2007년 마다가스카르 렌컨트리즈 영화관 최우수 작품상 수상 | |
2010 | 바라바랑켈리 | 시트라라카 랜드리아마할리 | 짧다 | [2010년 영화제] 최우수 애니메이션상 수상 | |
2011 | 다오말라자 외 르 사피르 블뢰 | 안드리아미나사 라도니아와 마미하시나 라미노소아 | |||
2012 | 말라가시 맨카니 | 하미니나이나 라토보아리보니보니 | 로드 무비 | Won Diaspora Award (Hollywood Black Film Festival 2013, USA), won Audience Award (Festival Cine Africano Cordoba 2013, Spain), won Youth Jury Award (Cinémas d'Afrique 2013, France), won Africa Connexion Award (Vues d'Afrique film Festival 2014, Canada), won Best feature film and best actress (Iarivo film festival 2014, Madagascar), Jury special men티온 (Kouribga 2013, 모로코) | |
2012 | 라포테이 | 데이비드 랜드리아마나나 | 짧다 | 원 2위(페스파코, 와가두구 2013) | |
2013 | 마담 에스더 | 행운의 라자나호나 | 짧다 | 2등(카르타주, 튀니지 2014), 2등(페스파코, 와가두구 2015) | |
2015 | 루즈 파네르 드 라울 루즈 | 마리 카밀 | 로드 무비 | 2015년 국제영화제 파나프리카 드 칸 영화제 공식선정 | |
2014 | 아디 가시 | 로바 난테나이나 | 도큐메어 | Fétenét Ocean Indien (Fifai, La Réunion), 그랑프리 에덴 돔쿠멘테어(Lumiéres d'Afrique, Besansson), Speciale du Jury documentaire(Festival Quintessence, Bénin) | |
2014 | 오다이나 | 라자 | 다큐멘터리 | 몇몇 악질 음악 치료사의 일을 통해 음악과 정신병의 관계를 보여준다. | |
2015 | 파사 | 라자 | 짧다 | 우리는 파사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처하고 있는 것을 관찰한다. | |
2019 | 마다가스카르 1947년 화발로 | 마리-클레망스 안드리아몬타-페스 | 다큐멘터리 | Doc of the World Award(몬트리올 세계 영화제), Special Essential(카르타고 영화제) 등. | |
파라 | 레이먼드 라호나리벨로 | 아직 발매되지 않음 |
참조
- ^ Heale, Jay; Latif, Zawiah Abdul (2008). Madagascar. Marshall Cavendish. p. 111. ISBN 978-0-7614-3036-0.
- ^ Jump up to: a b c Kolosary Cinéma Malagasy – Madagascar en 11 Films. Madagascar: Institut Français, Ile de Franc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