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M. 오스본
John M. Osborn![]() 항해중인 존 M. 오스본. | |
역사 | |
---|---|
이름 | 존 M. 오스본 |
소유자 | 조지 F.클리블랜드와 클리블랜드 철광업 회사 |
등록항 | 미국 디트로이트 |
빌더 | 미시간 주 마린시티의 몰리 & 힐 |
완료된 | 1882 |
운명 | 1884년 7월 27일 화이트피쉬 만에서 앨버타 강에 맞아 침몰 |
메모들 | 미국 등록 번호 76307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프로펠러, 나무 증기 바지선 |
톤수 | 891.02 총 레지스터 톤수 710.95 순 레지스터 톤수 |
길이 | 178피트(54m) |
빔 | 32피트(9.8m) |
깊이 | 14피트(4.3m) |
추진 | 프로펠러 |
존 M. 오스본은 1884년 5명의 인명 피해로 슈페리어 호에서 침몰한 나무 증기 바지선이었다.'철강 괴물'과 '호수의 테러'로 불렸던 더 크고 강철 같은 알버타가 그녀를 덮쳤을 때 오스본은 겨우 2살이었다.오스본의 난파선은 그녀가 침몰한 지 100년 만에 발견되었다.그 난파선은 1980년대에 불법적으로 인양되었다.오스본의 많은 유물들은 그레이트 레이크 난파선 박물관에서 압수한 후 미시간 주의 소유물이 되었다.국가는 박물관이 그 유물들을 대출로 전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오스본의 난파선은 현재 수중 박물관의 일부로 화이트피쉬 포인트 수중 보호구역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건설
존 M. 오스본은 1882년 미시간주 마린시티에 몰리와 힐이 건설한 프로펠러 나무 증기 바지선이다.그 후 그녀는 1884년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톤수를 늘리기 위해 재건되었다.[1]그녀는 조지 F의 소유였다.클리블랜드와 클리블랜드 광석 회사.[2]
마지막 항해
1884년 7월 27일 오스본호의 마지막 날에 토마스 윌포드 선장의 아내 패니와 그의 두 딸인 코라와 애들레이드가 타고 있었다.그들은 갑판을 걷고, 주일 학교 예배에 참석하고, 항해사 조지 F를 포함한 선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화창한 하루를 즐겼다.Osborn도 소유했던 클리블랜드.아이들은 밤이 되어 안개가 짙어지자 잠자리에 들게 되어 있었다.패니 윌포드 부인은 불안해서 뱃머리 근처 갑판에 있는 남편 곁 근처에 머물렀다.[3]나무 오스본은 1120톤의 철광석을 싣고 수 록을 향해 내려갔고 두 개의 스쿠너 바지선인 조지 W. 데이비스와 토마스 곤을 견인했다.[4][5]알버타는 온타리오주 오웬 사운드와 온타리오주 포트 아서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승객과 화물의 수를 늘렸다.[1][4]오스본은 조심스럽게 그녀의 접근을 휘파람으로 불었지만 한 배는 우현 항로를 위해 한 번 휘파람을 불었고 다른 배는 좌현 항로를 위해 두 번 휘파람을 불었다.[3]난파선의 역사학자 프레드릭 스톤하우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
현지 신문에 보도된 바와 같이, '바지선은 세 번의 휘파람을 불었고, 알버타는 대답했으며, 시속 7마일까지 체크했으나, 순간적으로 오스본이 알버타의 활 아래 나타났고, 후자는 우현 쪽의 메인 돛대와 미스젠 돛대 사이의 중간에서 그녀를 쳐서 거의 두 동강으로 절단했다.'[2]
263피트(80m), 2282톤, 강철 기선 알버타가 178피트(54m), 891톤, 나무 오스본 등을 들이받았을 때, 그녀는 거의 두 동강으로 자르는 배의 중앙까지 16피트(5m)를 관통했다.[4]오스본의 선체에 큰 상처로 인해 물이 그녀의 뜨거운 보일러에 부딪혔고, 폭발했고, 즉시 두 명의 선원이 사망했다.[3][5]앨버타는 윌포드 선장 부부가 그녀에게 전근갈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오스본과 함께 갇혀 있었다.알버타의 승객 중 한 명이 윌포드 선장의 아이들을 포함한 세 명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오스본 호로 뛰어들었다.알버타에서 온 이 구조대원이 아직 갑판 아래에 있는 동안 오스본은 탈출하여 침몰하여 두 명의 선원의 목숨을 앗아갔다.[2]
그 충돌 후에 언론은 앨버타를 비방했다.복무 첫 해에 그녀는 네 번의 사소한 충돌과 다섯 번째 큰 충돌에 연루되어 오스본호를 침몰시켰다.[4]클리블랜드 뉴스 리더는 알버타에 대해 "이 거대한 강철 괴물은 그녀가 몇 달 동안 떠다니며 호수의 공포가 되었다.민물에서 가장 빠른 사이드휠 증기선 중 하나라는 평판을 자랑스럽게 여긴 그녀는 유난히 무모하게 달려왔다."[3]버팔로 데일리 택배는 "이번 충돌로 인해 앨버타 호가 불편하고 다루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사고 원인도 일부 있었다"고 전했다.[4]
오스본과 그녀의 화물의 소유주들이 제기한 소송은 거의 3년 동안 계속되었다.미국 지방법원은 두 선박 모두 과도한 속도 조건에 대해 잘못이 있다고 판결했다.오스본의 손실은 약 8만 8천 달러였고 알버타의 손해는 약 2만 달러였다.두 배의 과실이 있는 선박에 대한 병역 규정에 따라, 오스본의 손실로부터 알버타의 손실을 공제하고, 나머지 손해는 알버타의 소유주가 오스본의 소유주에게 지불한 금전적 결과와 똑같이 나누어서, 그녀의 화물은 3만 3천 달러였다.[4]몇 년 후 스톤하우스는 짙은 안개와 두 배가 너무 빨리 항해하는 것이 이 재앙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2]
파괴된 역사
존 M. 오스본의 난파선은 침몰 100년 후인 1984년에 발견되었다; 발견자들은 그레이트 레이크 난파선 역사 협회[GLSS]와 미시건 랜싱의 오드세이 재단이다.[2]1985년, 난파선 역사가 프레데릭 스톤하우스는 "오즈본은 거의 온전하고 오대호 해양사의 초기 시대의 타임캡슐"이라고 썼다.[2]그러나 그레이트 레이크 잠수부 스티브 해링턴은 1990년대까지 "J.M. 오스본의 유해는 1980년대 중반에 발견되어 지역 박물관의 이익을 위해 신속하게 벗겨졌다.국가 공무원들이 인양 작업을 외면했다고 말했다.[6]
1980년 미시간 고대유물법은 그레이트 레이크 해저의 난파선에서 유물을 제거하는 것을 금지했다.미시간 천연자원환경부는 1992년 GLSHS 사무소를 급습했으며 그레이트 레이크 난파선 박물관에는 존 M 오스본에서 불법으로 제거된 유물에 대한 압류가 포함되어 있었다.[7]
오늘 엉망진창이다.
오즈본의 난파선에서 나온 유물들은 1992년 DNR의 박물관 습격 이후 GLSHS와의 1993년 합의 합의에 의해 미시간 주로부터 빌려온 것으로 오대호 난파선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7]오스본은 50m의 물속에 있다.46°51.974′N 85°05.210′W / 46.866233°N 85.086833°W/ Superior 호수 화이트피시 만의 경우.[8]
오스본 난파선까지 스쿠버 다이빙은 고도의 기술 다이빙 기술이 필요하다.그레이트 레이크 잠수부 스티브 해링턴은 "오늘날 J.M. 오스본호는 직립형이고 대부분 온전하다.잠수부들은 선체, 화물칸, 선실 등을 탐사하는 것을 즐긴다.명판 등 주요 유물들은 박물관이 되찾았다고 말했다.[6]오스본 난파선은 수중 박물관의 일부로 화이트피쉬 포인트 수중 보호구역에 의해 미래 세대를 위해 보호된다.
참조
- ^ a b "Great Lakes Vessels Online Index".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Retrieved 11 January 2009.
- ^ a b c d e f Stonehouse, Frederick (1998) [1985]. Lake Superior's Shipwreck Coast: Maritime accidents from Whitefish Bay to Grand Marais, Michigan. Gwinn, MI: Avery Color Studios. ISBN 0-932212-43-3.
- ^ a b c d "Captain Wilford - a Hero of the Inland Seas". Word Press That Woman's Weblog. Retrieved 18 February 2009.
- ^ a b c d e f "Alberta, (St.S.), 1884, Official No. C85768". Maritime History of the Great Lakes. Retrieved 18 February 2009.
- ^ a b 스톤 하우스, 프레드릭(1973년)."위대한 호수의 난파선: 슈페리어 호수의 난파선의 디렉토리" 53페이지.The Book Concern, Printers, Printers, Printers, Hancock, 미국 미시간주, LCCN 73-75623.
- ^ a b 해링턴, 스티브(1990, 1998), 페이지 321 - 333.미시간행 다이버 가이드, 321페이지, 미시간 주 세인트 이그나이스, 주식회사, 미시간주 ISBN 0-9624629-8-5
- ^ a b Storey, Jack (1992-12-04). "Shipwreck artifact dispute simmers". The Evening News. Sault Ste. Marie, MI. p. A1.
- ^ "Michigan Preserve". Michigan Underwater Preserves Council. Retrieved 11 Januar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