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의 범죄
Crime in Albania알바니아의 범죄는 온건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일어난다. 범죄는 처벌이나 벌금과 같은 사법적 결과가 있는 알바니아 형법에 위배되는 행위로 묘사된다.[1] 형법은 알바니아 공화국 헌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알바니아 국가가 승인한 국제 형법의 일반 원칙이 있다. 알바니아에서의 범죄는 알바니아 공화국의 영토, 육지 공간, 해양 수역, 항공 공간 내에서만 알바니아 국가의 주권에 따라 자행될 수 있다. 알바니아 법은 또한 알바니아 국가를 상대로 또는 알바니아 국가 내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외국인 시민들에게도 적용된다. 독립적 헌법질서를 위반하는 반인륜적 범죄는 처벌할 수 있다. 알바니아법칙에 명시되지 않은 법률위반으로 범죄에 대한 처벌은 불가능하다.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민간인은 알바니아인 보호체계에 포함되며 국제협약에 따라 인도될 수 있다.
인과 요인 및 속성
알바니아와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범죄 문화와 통계와 관련된 많은 사회 문화 및 사회 정치적인 요소들이 있는데, 이 요소들은 가족 관계와 이전의 공산주의 체제와 같은 종교적, 문화적 요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알바니아 명예폭력의 복잡성에 대한 연구는 관련된 가족 구성원들이 종종 문화적 가치를 열정적으로 고수할 것이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분야로, 단 하나의 요소도 설명될 수 없다.[2] 역사적 요인, 부족주의, 전쟁, 낮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혈전적 갈등의 역사와 결합되어 범죄 통계에 전체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이것은 혈통에 갇힌 가족들 사이의 고립과 현대 사법 제도의 믿음의 감소를 초래한다. 알바니아 혈전 현상에 대한 연구는 열악한 생활환경과 산악지대의 서식지, 낮은 교육 등이 고립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3] 저소득 지역의 빈곤은 또한 매춘과 조직적인 범죄로 이어졌고, 아이들은 대부분 피해자였다. 일반적으로 명예와 남성성과 관련된 범죄는 알바니아와 같은 지중해 국가에서 북유럽보다 더 강한 경향이 있다. 알바니아계 가정은 사법체계에 대한 신뢰가 다소 낮기 때문에 개인적인 문제를 자기 손으로 떠안아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4]
기원
오늘날 알바니아 지역의 코드 체계 안에서 범죄행위가 처리된 최초의 흔적은 15세기 알바니아 산악인들 사이에서 카눈법이 행해진 때였다. 비록 원시적인 시스템이 잘 작동했지만, 다른 유럽 상대들과 비교해 볼 때, 종종 빠르고, 값싸고, 미해결된 범죄는 거의 없었다.[5]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관습법이 서면법보다 더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6]
오스만과 중세 시대의 범죄
스쿠타리, 야니나, 베라트, 모나스티르의 파샬릭족이 모두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분권화된 권력체제를 위해 노력하자 중앙권력이 부재하면서 무법천지가 터져 나왔다. 대부분의 알바니아 지방 영주들은 여전히 술탄의 관할하에 있었지만, 알바니아 파샬릭들은 그들의 지역에 책임이 있고 시민들을 위한 형벌을 개인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일정 기간 동안, 알바니아 비들은 수블라임 포르테를 향해 유리한 협상을 했고, 이로 인해 토지 소유권이 확대되어 소수의 권력가정의 손에 권력을 집중하게 되었다. 이것은 알바니아 지방에 광범위한 무법 상태가 부과되는 결과를 낳았고, 알바니아 지방에서는 비들이 서로 싸웠다. 포르테는 통제력 상실을 피하기 위해 "Divide et impera"로 응답했다. 1847년 알바니아 남부 반란이 일어나는 동안, 지역 비들은 상인들과 장인들의 봉건적 관계를 위태롭게 하는 포르테의 과세 체계(탄지마트)에 저항했다. 알바니아 고지대 사람들은 1843년 니잠법의 양심적 규범을 받아들이지 않았다.[7]
20세기 범죄
알바니아 법은 알바니아 독립 선언 이후 1912년 알바니아 시민들에게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적용되었다. 정부는 1913년 5월 10일 "정의의 새로운 기구"의 결정을 승인했다. 런던 주재 대사회의 결정과 함께 1914년 4월 10일 빌헬름 주 웨이드 왕자가 알바니아의 왕자가 되면서 '알바니아 유기법령'이 브이로르에서 선포되었다. 노인 협의회, 평화 판사, 제1 판례 법원, 상고 법원 등이 있었다.[8] 알바니아 형사 사법 제도는 1946년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의 모델이 구소련에서 탈취되는 등 다른 유럽 사회주의 국가들과 동일했다. 129년에는 옛 알바니아 왕국의 형법이 시행되었다. 1945년에서 1952년 사이에 형법은 다른 법령과 형사 절차로 분리되었다. 1952년에 새로운 코드가 채택되었다. 1977년 헌법개정으로 형법이 개정되어 그 때부터 실천되어 왔다. 1990년 말에 완전히 새로운 코드가 실행되었다. 형사소송법은 1953년에 처음 채택되었고 1968년에 옹호자 제도가 제정되었다. 1991년, 1991년 3월 31일의 선거 이후, 새로운 다원주의 의회에서 헌법이 변경되었다.[9] 공산주의가 몰락한 후 당국과 인구의 격차는 증가하여 종교관행과 민족주의를 증가시켰다. 1990년대에는 범죄 파동의 해독제로서 알바니아에 종교적 원조가 보내졌다. 고립이 끝나자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해외에 정착했고, 다른 집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후 조직범죄의 독립된 알바니아 인맥이 생겨났다.[10]
오늘
오늘날 자행되는 범죄의 상당 부분은 알바니아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알바니아 마피아와 결부되어 있다. 영국의 코카인 시장은 알바니아 마피아가 소유하고 있다.[11] 알바니아 언론들이 살인을 '혈통 불화'로 묘사하는 문제점도 있고, 살인 혐의를 받고 있는 많은 이들이 '혈통 불화 때문에 그랬다'는 문구를 사용해 법의학적 수사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혈전 이야기가 복잡하게 얽힌 유럽 국가에 민간인이 망명을 신청하기 위해 부패 공무원들의 증명서를 구입하는 '혈전증명서'도 등장하고 있다. 알바니아 당국은 그러나 신속한 신고와 기소의견으로 중형을 선고받아 살인율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대략 25년이 걸리는 현상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알바니아인들이 주로 적대자로 묘사되는 등 현대 언론에서 조직적인 범죄가 묘사되는 문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조직범죄는 유엔에 의해 "이 협약에 따라 제정된 하나 이상의 중대한 범죄 또는 범죄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금융적 또는 기타 물질적 이익을 얻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존재하며 공동으로 행동하는 3명 이상의 조직적 집단"으로 정의된다.[12] 알바니아의 조직범죄는 코소보,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이탈리아와 콜롬비아 마피아에서도 유대관계가 있는 초국가적인 현상이 되었다. 조직범죄의 상당 부분은 같은 씨족과 마을에 속한 동족상속을 가진 가족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네트워크는 중퇴자들을 좌절시키는 "마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알바니아에서의 조직범죄는 유럽 헤로인 시장에서도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미디어 기업들은 알바니아 범죄자의 주요 목표인 마약 밀매, 인신 밀매, 자동차 밀매, 돈세탁을 주도하고 있다. 알바니아 당국은 범죄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미 국무부는 2013년 보고서에서 법 시행의 필요성과 피의자의 유죄판결 등을 지적했다. 알바니아 당국은 증거 부족의 결과로 반트래핑법 시행을 줄였다. 가족 유대와 족벌주의, 편애주의 등은 법원 제도에서 알바니아 관료들의 부패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으로 보이며, 부패 인식 지수에 따르면 175개국 중 116위를 차지한 알바니아를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돈세탁은 조직범죄가 정치권에 침투할 수 있게 한 공산주의의 몰락의 결과물인 수익 다변화를 돕는다. 2019년 5월 알바니아 정부는 조직범죄와 연계돼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13]
참고 항목
참조
- ^ CRIMINAL CODE OF THE REPUBLIC OF ALBANIA KODI PENAL I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PDF) (Law No. 7895, dated 27 January 1995 ed.).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Arsovska, Jana (2007). Social Confusion on the Road to Modernity: The Meaning of (PDF). Final results of a 2006 CERGE-EI GDN Project June, 2007. pp. 7, 11.
- ^ Xhaxho, Sokol (2018). The Phenomenon of Blood feud Among Albanians and its impact on Children. Lund University: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Office, Home (2018). Country Policy and Information Note Albania: Blood feuds (PDF). London.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The influence of Ottoman rule on Albanian political sociology :: Center for Islamic Pluralism". www.islamicpluralism.org.
- ^ Crime, Punishment and Forensic Expertise According to the Albanian Tradition - A Commentary on the Native Customary Law (PDF). 2014.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Papageorgiou, Stefanos P. (2014). "The attitude of the Beys of the Albanian Southern Provinces (Toskaria) towards Ali Pasha Tepedelenli and the Sublime Porte (mid-18th-mid-19th centuries). The case of "der 'e madhe" [: Great House] of the Beys of Valona". Cahiers Balkaniques (in French) (42). doi:10.4000/ceb.3520.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History of Albanian Prosecution". www.pp.gov.al.
- ^ Imholz, Kathleen (2000). "Albania's Evolving Socialist Party: Some Comments on Postcommunist Party Development and Pluralism". East European Constitutional Review. 9: 82.
- ^ Knox, George W.; Etter, Gregg; Smith, Carter F. (2018). Gangs and Organized Crime. Taylor & Francis. ISBN 9781351644891.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Weaver, Matthew (29 June 2017). "Albanian gangs have significant control over UK cocaine market, says crime agency". The Guardian.
- ^ Siarhei, Kastrama. The pattern of Albanian organized crime in cinema.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Albania government denies links to organised crime". www.aljazeera.com. Retrieved 10 Nov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