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토닐코아
Crotonyl-CoA![]() | |
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2R,3S,4R,5R)-5-(6-Amino-9H-purin-9-yl)-4-hydroxy-3-(phosphonooxy)oxolan-2-yl]methyl (3R)-4-({3-[(2-{[(2E)-but-2-enoyl]sulfanyl}ethyl)amino]-3-oxopropyl}amino)-3-hydroxy-2,2-dimethyl-4-oxobutyl dihydrogen diphosphate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12.360 ![]() |
메슈 | 크로토닐코엔자임+a |
펍켐 CID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25H40N7O17P3S | |
어금질량 | 835.609 g/190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Infobox 참조 자료 | |
크로토닐-코엔자임 A는 부티르산의 발효와 리신과 트립토판의 신진대사의 중간이다.[1]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신진대사에 중요하다.[2]
크로토닐-coA 및 환원제
알버와 동료들의 2007년 보고서 이전에 크로토닐-coA 카복실라제 및 환원제(CCRs)는 크로토닐-coA를 부티릴-coA로 환원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3] 알버와 동료들의 보고서는 특정 CCR 호몰로로그가 크로토닐-coA를 (2S)-에틸-말론-coA로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는 긍정적인 반응이었다.[3] 구체적인 CCR 호몰로그는 로도박터 스파이로이드 박테리아에서 나왔다.[3]
크로토닐-coA의 전사적 역할
아세틸화 또는 크로토닐화에 의한 히스톤의 변환 후 수정은 유전자의 능동적 전사에 중요하다.[4] 히스톤 크로토닐화는 환경 세포 상태나 유전적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는 크로토닐-coA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4]
참조
- ^ Ray, Lauren; Valentic, Timothy R; Miyazawa, Takeshi; Withall, David M; Song, Lijiang; Milligan, Jacob C; Osada, Hiroyuki; Takahashi, Shunji; Tsai, Shiou-Chuan; Challis, Gregory L (2016). "A crotonyl-CoA reductase-carboxylase independent pathway for assembly of unusual alkylmalonyl-CoA polyketide synthase extender units". Nature Communications. 7: 13609. Bibcode:2016NatCo...713609R. doi:10.1038/ncomms13609. PMC 5187497. PMID 28000660.
- ^ "Crotonyl-CoA".
- ^ a b c Wilson, Micheal C.; Moore, Bradley S. (2012). "Beyond ethylmalonyl-CoA: The functional role of crotonyl-CoAcarboxylase/reductase homologs in expanding polyketide diversity". Nat. Prod. Rep. 29 (1): 72–86. doi:10.1039/c1np00082a. ISSN 0265-0568. PMID 22124767.
- ^ a b Sabari, Benjamin R.; Tang, Zhanyun; Huang, He; Yong-Gonzalez, Vladimir; Molina, Henrik; Kong, Ha Eun; Dai, Lunzhi; Shimada, Miho; Cross, Justin R.; Zhao, Yingming; Roeder, Robert G. (2015-04-16). "Intracellular Crotonyl-CoA Stimulates Transcription through p300-Catalyzed Histone Crotonylation". Molecular Cell. 58 (2): 203–215. doi:10.1016/j.molcel.2015.02.029. ISSN 1097-2765. PMC 4501262. PMID 25818647.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