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소련 관계

Cuba–Soviet Union relations
쿠바-소련 관계
Map indicating locations of Cuba and Soviet Union

쿠바

소비에트 연방
1930년대 쿠바와 소련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녹색의 쿠바, 주황색의 소련

쿠바는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소련과 수교한 이후 소련의 시장과 군사 원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 냉전 시기 소련의 동맹국이었습니다. 1972년 쿠바는 가장 큰 경제인 소련이 지배하고 있던 공산주의 계획 경제 간의 협력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국가들의 경제 조직인 상호 경제 지원 협의회(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Comecon)에 가입했습니다. 모스크바아바나와 정기적인 접촉을 유지했으며 1991년 소련이 끝날 때까지 다양한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그 후 쿠바는 심각한 경제난의 시대인 특별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역사

아바나 미라마르 주재 소련 대사관

쿠바 혁명 이전의 관계

소련쿠바 사이의 첫 외교 관계는 2차 세계 대전 중에 발전했습니다. 1943년 막심 리트비노프 주미 소련 대사가 아바나에 첫 소련 대사관을 설치했고, 같은 해 풀겐시오 바티스타 대통령의 후원으로 쿠바 외교관들이 모스크바를 방문했습니다.[1] 그 후 소련은 바티스타의 집권 민주사회당에 기반을 둔 공산주의 대중사회당과 여러 차례 접촉했습니다. 리트비노프의 후임자인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미국과 쿠바 양국의 대사가 되었지만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후자를 방문한 적이 없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라몬 그라우카를루스 프리오 소카라스 정부는 쿠바 공산당을 고립시키려 했고, 소련과의 관계는 중단되었습니다. 1952년 쿠데타로 바티스타가 정권을 되찾으면서 대사관은 폐쇄되었습니다.[2]

혁명이후

쿠바 혁명은 1959년 1월 1일 피델 카스트로를 권좌에 앉혔지만, 처음에는 모스크바에서 거의 관심을 끌지 못했습니다. 서반구에 대한 미국의 지배에 체념한 소련의 계획가들은 이 지역에서 미래의 동맹국이 될 가능성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총리의 증언에 따르면,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KGB 정보기관은 카스트로가 누구인지,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흐루쇼프는 그들에게 쿠바 공산주의자들에게 자문을 구하라고 조언했고, 그들은 카스트로가 "오트 부르주아지"의 대표이며 중앙정보국에서 일한다고 보고했습니다.[3]

1960년 2월 흐루쇼프는 자신의 부관인 아나스타스 미코얀을 쿠바로 보내 실패한 워싱턴 DC 여행에서 돌아온 카스트로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거부당한 동기를 밝혀냈습니다.[4] 보도에 따르면 흐루쇼프의 측근들은 처음부터 카스트로를 신뢰할 수 없는 미국 요원으로 묘사하려 했다고 합니다.[3]

미코얀은 카스트로 새 행정부가 경제적, 정치적으로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쿠바에서 돌아왔지만, 군사적 지원에 대한 이야기는 여전했습니다.

미국의 경제 금수 조치로 쿠바는 경제적 재앙을 피하기 위해 서둘러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쿠바와 소련은 1960년에 첫 무역 협정을 맺었는데, 이 협정에서 쿠바는 연료의 대가로 소련에 설탕을 거래했습니다.[5]: 2 이 거래는 쿠바 경제를 앞으로 수년 동안 유지하는 데 역할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또한 다른 식품이 자주 부족해지는 동안에도 쿠바 설탕을 널리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소련 경제에서 역할을 할 것입니다.[6] 1961년 피그스 침공 실패 후, 카스트로는 쿠바가 사회주의 공화국이 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표했습니다. 흐루쇼프는 카스트로에게 침공을 격퇴한 것에 대해 축하를 보냈지만, 개인적으로 미국인들이 곧 정규군의 무게를 견뎌낼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쿠바의 방어는 소련의 위신의 문제가 되었고 흐루쇼프는 미국인들이 해상이나 항공으로 섬에 접근하는 모든 것을 차단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citation needed]

쿠바 미사일 위기

흐루쇼프는 1962년 5월 미국의 또 다른 침공에 대한 카스트로의 두려움에 대응하여 배치 계획에 합의했고, 소련-쿠바 우호, 협력 및 상호 방어 조약에 서명한 후 7월 말까지 60척 이상의 소련 선박이 쿠바로 향했고, 그 중 일부는 군사 자료를 운반했습니다. 흐루쇼프와 카스트로는 비밀리에 섬에 소련군을 주둔시킨 뒤 미국을 겨냥한 핵무장 탄도미사일이 설치되면 방위조약을 발표할 계획이었습니다.[6] 10월 14일 아침, U-2 비행기는 일련의 지대공 미사일 기지들이 건설되고 있는 것을 촬영했습니다. 10월 22일 TV 연설에서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이 시설들의 발견을 발표하고 쿠바로부터의 핵 미사일 공격은 소련의 공격으로 간주될 것이며 그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는 소련과 쿠바의 외교적 우호와 군사 협력의 정점이 되었습니다. 카스트로 형제와 체 게바라는 그들이 러시아 혁명의 지도자들을 연상시킨다고 믿었던 소련 대중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카스트로는 위기에 대한 호전적인 태도로 소련 정치국을 불안하게 하며, 미국을 전멸시키기 위해 소련이 선제적인 핵 공격을 할 것을 촉구했습니다.[6]

흐루쇼프는 10월 23일과 24일에 케네디에게 쿠바 미사일의 억지력과 소련의 평화적 의도를 주장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10월 26일, 소련은 미국이 쿠바 침공을 감행하거나 지원하는 것을 피하고 이탈리아 남부튀르키예의 모든 미사일을 제거하는 대가로 미사일을 철수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 거래는 받아들여졌고, 위기는 완화되었습니다.

쿠바 미사일 위기는 관련 국가들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것은 미국과 소련의 관계를 해빙으로 이끌었지만 쿠바와 소련의 관계를 긴장시켰습니다. 카스트로는 케네디-크루쇼프 협상 내내 협의를 받지 못했고, 소련의 일방적인 미사일과 폭격기 철수에 분노했습니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은 그 결과를 공개적으로 비판했습니다.[7]

루르드 SIGINT 역

1962년, 소련은 아바나 바로 남쪽에 있는 루르드SIGINT 시설을 만들었습니다. Lourdes의 SIGINT 시설은 미국을 겨냥한 가장 중요한 정보 수집 능력 중 하나였습니다. 이를 통해 소련은 모든 미군 및 민간 지구 동기 통신 위성을 감시할 수 있었습니다.[citation needed]

이 역은 2002년에 폐역되었습니다.

카스트로의 모스크바 행.

위기 이후 1963년 6월 카스트로는 쿠바에서 돌아와 자신이 본 건설 프로젝트, 특히 시베리아 수력 발전소를 회상하는 역사적인 소련 방문을 했습니다. 카스트로 의장은 또 소련의 농업 발전에 대해 언급하며 쿠바 사회주의 건설의 내부 과제 해결에 소련의 경험을 활용할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카스트로는 소련 국민들이 "쿠바에 대한 그들의 사랑과 연대를 그들의 행위로 표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여행에서 카스트로와 흐루쇼프는 설탕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설탕 수출 거래와 농업 방법을 협상했습니다.[8]

소련이 카스트로를 달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쿠바-소련 관계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으로 얼룩졌습니다. 카스트로는 중국과의 접촉을 확대하고, 증가하는 중소 분열을 이용했으며, 중립을 유지하고 모든 사회주의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의사를 표명했습니다.[9] 또한 소련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의 이념 대립 이후 보다 마오주의적인 입장을 취했던 체 게바라와 카스트로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1966년, 게바라는 르네 바리엔토스의 미국 지원 군사정권에 대항하여 혁명을 일으키려는 불운한 시도로 볼리비아로 떠났습니다.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8년 8월 23일, 카스트로는 소련에 공개적으로 자신의 지지를 재확인하는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바르샤바 조약기구프라하의 봄을 진압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한 지 이틀 만에 카스트로는 공중파에 나와 체코슬로바키아의 "반란"을 공개적으로 비난했습니다. 카스트로는 쿠바 국민들에게 "체코슬로바키아를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자들의 품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반혁명가들"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그는 반란의 지도자들을 "서독파시스트 반동분자들의 대리인들"이라고 불렀습니다.[10] 소련의 많은 동맹국들이 침공을 체코슬로바키아 주권 침해로 간주하는 동안, 소련은 추가 대출과 즉각적인 석유 수출 증가로 쿠바 경제를 구제했습니다.[citation needed]

Brezhnev era

쿠바가 미국에 근접하면서 카스트로와 그의 정권은 소련의 중요한 냉전 동맹국이 되었습니다. 이 관계는 소련이 쿠바에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대부분 경제적이었습니다. 1972년, 쿠바는 국가 경제 계획 영역에서 강력한 협력을 강화하고 점점 더 많은 쿠바에 대한 모스크바 경제 통제권을 부여한 코메콘에 가입했습니다.[11] Comecon은 쿠바를 후진국의 하나로 여겼고, 따라서 쿠바는 설탕과 직접적인 교환으로 쿠바에 매우 유리한 비율로 석유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5]: 41 쿠바는 석유를 재수출하여 얻은 경화로 인해 비코메콘 국가에서 쿠바의 상품 수입을 촉진하고 사회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촉진했습니다.[5]: 57

1976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은 쿠바 공장과 산업의 건설과 리모델링에 17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1981년에서 1984년 사이에 쿠바는 소련의 군사 지원으로 연간 약 7억 5천만 달러를 받았습니다.[12]

1974년 1월 28일부터 2월 3일까지 소련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총리는 쿠바를 국빈 방문하여 쿠바나 라틴 아메리카의 다른 나라를 방문한 최초의 소련 지도자였습니다.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장관, 이반 아르키포프 외교장관회의 국가위원회 위원장, 타스 레오니드 자마아틴 총국장 이 소련 대표단에 속했습니다. 브레즈네프는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에 도착하여 쿠바 혁명군 예식부대로부터 완전한 군사적 영예를 안은 영접을 받았습니다. 1월 29일, 소련 대표단은 혁명궁전에서 카스트로와 회담을 갖기 에 라 레볼루시온 광장을 방문하여 호세 마르티 기념관에 헌화했습니다. 100만 명이 넘는 쿠바인들이 아바나의 혁명 광장에서 열린 쿠바-소련 우호 집회에 참가했습니다.[13] 이튿날 카스트로 의장과 형 라울,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대통령과 더 많은 대화를 나눴고, 쿠바 동부와 서부의 고압 송전선 설계와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1월 31일, 아바나 교외에서, 둘 다 레닌 중등 특수 기숙학교의 개교에 참여했습니다.[14][15] 방문이 끝난 후, 는 호세 마르티 훈장을 받았습니다.[16]

고르바초프 시대

1985년 3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집권했을 때, 소련은 쿠바를 냉전의 중요한 선전 수단으로 계속 생각했습니다. 쿠바의 경제 투자와 무역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985년, 소련과의 무역은 쿠바 전체 무역의 7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17] 양국은 과학, 기술, 스포츠 및 교육 분야의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을 계속했습니다.[11] 그러나 고르바초프 시대 내내 외교 관계는 1991년 소련이 끝날 때까지 냉각되어 소련과 쿠바의 관계는 종료되었습니다.

고조된 긴장은 고르바초프 시대 내내 쿠바와 소련의 외교 관계를 가장 잘 특징지었습니다.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의 소련 개혁과 외교 정책에 대한 그의 "새로운 생각"의 도입은 소련의 경제 위기를 야기했고, 소련과 그들의 동맹국들은 반체제 인사들의 내부 비판을 증가시켰고, 쿠바 정권과의 이념적 갈등을 촉발시켰습니다.

1985–1989

1985년 콘스탄틴 체르넨코 총서기가 사망한 후 고르바초프가 권력을 잡았을 때 소련은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그러나 고르바초프의 개혁 시도는 개혁 속도에 대해 좌절된 목소리를 내는 반대파의 강화를 자극했을 뿐만 아니라 소련과 쿠바 사이에 갈등을 빚었습니다. 페레스트로이카 기간 동안 시장 개혁으로의 전환은 소련 루블화를 약화시켰고 기본 보조금의 감소와 기본 상품의 광범위한 부족, 일자리 상실, 생산성 감소를 초래했습니다.[18] 경제적 어려움은 동유럽의 다른 지역들과 쿠바와 같은 다른 소련 위성들로 퍼졌습니다. 본질적으로 페레스트로이카는 쿠바에 대한 경제적 약속을 이행하는 소련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약화시켰습니다.[19]

1986년 카스트로는 "오류 수정" 캠페인이라고 불리는 자신만의 개혁에 착수했습니다. 카스트로는 소련이나 동유럽의 다른 곳에서 급진적인 정치 경제적 개혁에 의해 쿠바에 퍼져있는 개혁 사상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근절하기 위한 개혁을 의도했습니다.[19] 쿠바의 정책과 페레스트로이카는 정반대로 소련과 쿠바의 관계가 풀리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소련의 정치적 비판과 논의에 유리노스트가 미치는 영향은 쿠바-소련 동맹을 더욱 긴장시켰습니다. 카스트로가 1988년 아바나에서 열린 소련-쿠바 합동회의에서 유리노스트를 때린 후, 소련 엘리트들은 쿠바에 대한 소련의 외교 정책에 더 비판적이 되었고, 곧 소련 신문에 비판적인 기사들이 나왔습니다.[20] 아바나는 주요 동맹국인 모스크바를 화나게 할 여유가 없었지만, 1989년 2월 카스트로는 소련 대사관에서 소련 외교관들을 소규모 추방하고, 소련 출판물과 뉴스 매체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그는 "쿠바에서 소련 출판물이 유통되는 것을 주저할 수 없었습니다."[21]라고 말했습니다.

1989년 4월 쿠바와의 관계를 재개하기 위해 방문한 고르바초프는 카스트로가 소련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설득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라틴 아메리카를 방문한 두 번째 소련 지도자였고, 증가하는 양국간의 긴장을 해소하기 보다는, 카스트로가 방문 24시간 전에 소련-쿠바 동맹을 무효로 선언했기 때문에, 그 방문은 대부분 상징적인 제스처였습니다. 소련 외무장관 에두아르 셰바르드나제가 "소련-쿠바 관계의 이정표"라고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르바초프가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22]

1989–1991

1990년까지 모스크바는 아바나에 대한 경제적 책임을 이행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985년에는 쿠바 설탕에 대해 세계 가격의 11배 이상을 지불했지만 1989년에는 세계 가격의 3배만 지불했습니다.[23] 경제가 계속 쇠퇴하면서, 소련 엘리트들은 불평등한 무역 조건에 대해 더 비판적이 되었습니다. 많은 이들에게 "소비에트 경제 개혁을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비효율적인 쿠바 경제를 계속 지탱하는 것은 페레스트로이카의 본질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23] 이로 인해 쿠바 정부는 외국인 투자와 무역을 위해 다른 곳을 물색해야 했습니다. 쿠바 정부는 1990년과 1991년 '제로옵션 접근법'으로 불리던 것을 계기로 수출입 활성화를 위해 무관세 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외국 기업에 더 많은 자율성과 관대한 세제 혜택을 부여했으며, 제약산업과 관광업에 더 집중하는 등 경제 다변화에 나섰습니다.[24]

소련-쿠바 경제 관계의 보다 근본적인 변화는 1990년 말에 체결된 새로운 1년 무역 협정(이전의 5년 무역 협정과는 반대)과 함께 이루어졌습니다.[23] 이 협정은 소련에 대한 쿠바의 의존을 줄이기 위한 의도로 설탕을 세계 시장 가격으로 정했습니다. 1991년 6월, 소련은 동맹의 거대한 기반이었던 Comecon을 해체했습니다. 그것은 쿠바 경제 상황을 더욱 긴장시켰습니다.[23]

고르바초프의 "새로운 사고"는 국제적인 영역에서 동서 관계에서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를 제거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의 새로운 외교 정책은 국제적 독립, 비공세적 방위, 다자간 협력, 그리고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과정의 사용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향을 잡았습니다.[25] 처음에 카스트로는 "새로운 사고"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견해를 취했습니다. 그는 "이런 멋진 대량살상무기가 등장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와 같은 단정적이고 단호하며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26] 그러나 군축에 대한 이념적 차이, 니카라과앙골라의 국제적 갈등, 개발도상국의 부채 위기는 카스트로와 고르바초프 사이에 화해할 수 없는 차이를 빠르게 만들었습니다.

1991년 9월 11일 고르바초프가 쿠바에서 소련군을 모두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한 것은 냉전의 긴장과 "새로운 사고"의 냉각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27] 그 움직임은 고르바초프가 소련의 외교 정책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제거하려는 노력을 상징했고, 카스트로는 이를 쿠바의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투쟁을 약화시켰다고 생각했습니다.

1991년 8월 소련의 쿠데타 시도 이후 쿠바 지도자들은 잃을 것이 적다고 느끼고 소련의 개혁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쿠데타 며칠 후 그란마에 실린 사설은 "소비에트 연방에서 정치인들은 민영화 과정과 시장 경제로의 가속화를 선호합니다. 이런 입장들이 이런 사건들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28]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모스크바는 쿠바와의 관계가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개혁되기를 원했고, 아바나는 지속적인 소련의 투자와 무역에 의존했기 때문에, 소련과 쿠바의 관계는 계속되었습니다. 페레스트로이카와 고르바초프의 다른 개혁은 소련이 쿠바와의 무역 약속을 유지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쿠바와 소련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동맹을 빠르게 약화시켰습니다. 1989년 이후 카스트로는 소련의 개혁주의를 공개적으로 비판했지만 소련의 공산주의가 페레스트로이카에서 살아남기를 바랐습니다.

소비에트 연방의 종말

1991년 12월 소련의 종말은 쿠바에 즉각적이고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련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가운데 쿠바는 귀중한 원조와 무역 특권이 끝이 났습니다. 쿠바는 곧 특별 기간으로 알려진 사회적, 재정적 위기에 접어들었습니다.[29]

1990년대 이후 쿠바는 다른 중남미 이웃 국가들과 비동맹 국가들과 관계를 유지하고 시작했지만, 서반구에서 유일한 마르크스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쿠바는 더 이상 정치적 지위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30] 1991년 무역협정에 따라 세계 시장 가격으로 전환되고 한때 쿠바 무역의 거의 85%를 차지했던 코미콘이 해체된 후 소련과의 무역은 90% 이상 감소했습니다. 소련에서만 쿠바 설탕의 80%, 쿠바 감귤의 40%를 수입했습니다. 석유 수입량은 1989년 1,300만 톤에서 1993년 러시아와 함께 약 300만 톤으로 감소했습니다.[31]

1989년 혁명은 유럽의 공산주의를 종식시켰고, 소련의 종말은 쿠바의 큰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이어졌습니다.

쿠바 주재 소련 대사 목록

러시아 대사관 사이트에 의하면요.[32]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휴 토마스: 쿠바: 자유의 추구 731쪽
  2. ^ Richard Gott: 쿠바의 새로운 역사 181쪽
  3. ^ a b 2006-06-18 Wayback Machine American Heritage에 보관크렘린에서 본 쿠바 미사일 위기
  4. ^ 카스트로: 위대한 생존자 BBC 뉴스
  5. ^ a b c Cederlöf, Gustav (2023). The Low-Carbon Contradiction: Energy Transition, Geopolitics, and the Infrastructural State in Cuba. Critical environments: nature, science, and politics. Oakland,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39313-4.
  6. ^ a b c Dobbs, Michael (2008). One Minute to Midnight: Kennedy, Khrushchev and Castro on the Brink of Nuclear War (1 ed.). New York: Alfred A. Knopf. ISBN 978-0-307-26936-2. OCLC 608213334.
  7. ^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가 끝나면서 세계가 안도했습니다 BBC
  8. ^ 소련-쿠바 관계에 관한 자료 공개 문서
  9. ^ 쿠바: 선거와 사건 1960-1970 샌디에고 대학교 Wayback Machine 공식 웹사이트에 보관된 2007-03-11
  10. ^ Castro, Fidel (August 24, 1968). "Castro comments on Czechoslovakia crisis". FB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5, 2011.
  11. ^ a b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72.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12. ^ Binns, Leroy A. (March 1996).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and its Effects on Cuba". Caribbean Quarterly. 42 (1): 41–43. doi:10.1080/00086495.1996.11672082. JSTOR 40653962.
  13. ^ Визит Леонида Ильича Брежнева в Республику Куба… С. 14.
  14. ^ Чигирь Н. Н. СССР-Куба в едином строю к общей цели. М.: Международные отношения, 1974. С. 53.
  15. ^ Советский Союз — Куба: Новый этап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 Огонёк, 1974. № 7. С. 1.
  16. ^ "Brezhnev Hailed by Castro in Cuba". The New York Times. 30 January 1974.
  17. ^ Bain, Mervyn J. (March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74.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18. ^ Binns, Leroy A. (March 1996).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and its Effects on Cuba". Caribbean Quarterly. 42 (1): 47. doi:10.1080/00086495.1996.11672082. JSTOR 40653962.
  19. ^ a b Pavlov, Yuri (1994). "Movement in Opposite Directions". Soviet-Cuban Alliance 1959-1991.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 112.
  20. ^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79.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21. ^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84.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22. ^ Pavlov, Yuri A. (1994). "Movement in Opposite Directions". Soviet-Cuban Alliance 1959-1991.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 139.
  23. ^ a b c d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77.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24. ^ Binns, Leroy A. (March 1996).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and its Effects on Cuba". Caribbean Quarterly. 42 (1): 48–49. doi:10.1080/00086495.1996.11672082. JSTOR 40653962.
  25. ^ Marantz, Paul (1989). Carl G. Jacobsen (ed.). Soviet Foreign Policy. p. 20.
  26. ^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80.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27. ^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78. doi:10.1017/s0022216x05009867. JSTOR 3875352. S2CID 145545339.
  28. ^ Bain, Mervyn J. (November 2005). "Cuba-Soviet Relations in the Gorbachev Era".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7 (4): 786. doi:10.1017/s0022216x05009867. S2CID 145545339.
  29. ^ Binns, Leroy A. (March 1996).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and its Effects on Cuba". Caribbean Quarterly. 42 (1): 53. doi:10.1080/00086495.1996.11672082. JSTOR 40653962.
  30. ^ Binns, Leroy A. (March 1996). "The Demise of the Soviet Empire and its Effects on Cuba". Caribbean Quarterly. 42 (1): 49. doi:10.1080/00086495.1996.11672082. JSTOR 40653962.
  31. ^ "U.S. DEPARTMENT OF STATE BACKGROUND NOTES: CUBA". THE BUREAU OF PUBLIC AFFAIRS. November 19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21. Retrieved 2010-11-30.
  32. ^ "List of Soviet and Russian ambassadors in Cub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Retrieved 2012-06-28.

더보기

  • 베인, 머빈. "1970년대 하바나와 모스크바." 에밀리 J. 커크와 애나 클레이필드 에즈, 쿠바의 잊혀진 10년: 1970년대가 혁명을 형성한 방법(2018): 23–40.
  • 베인, 머빈 J. "하바나, 모스크바, 베이징: 과거의 그늘 속에서 미래를 바라봅니다." 사회조사: 국제 분기 84.2 (2017): 507–526. 온라인
  • 클레이필드, 애나. "모스크바가 군사화?" 에밀리 J. 커크와 애나 클레이필드의 '쿠바의 잊혀진 10년'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1970년대 혁명의 모습(2018): 71-86.
  • 글리제스, 피에로. "모스크바의 대리? 쿠바와 아프리카 1975-1988." 냉전 연구 저널 8.4 (2006): 98-146. 온라인
  • 글리제스, 피에로. 상반된 임무: 아바나, 워싱턴, 그리고 아프리카, 1959-1976 (U of North Carolina Press, 2002). 웨이백 기계에서[ISBN missing] 온라인 보관 2019-02-07
  • 글리제스, 피에로. 자유의 비전: 아바나, 워싱턴, 프리토리아와 남아프리카를 위한 투쟁, 1976-1991 (U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웨이백 기계에서[ISBN missing] 온라인 보관 2019-02-07
  • 니더스트래서, R.O. "아프리카의 쿠바 유산" Washington Report on the 반구, (2017.11.30) . [1] Wayback Machine에서[ISBN missing] 아카이브된 2019-04-03
  • 천천히, 수. "쿠이토 쿠아나발레 전투: 아르테미 M. 칼리노프스키, 세르게이 라드첸코, 에드의 "남아프리카의 냉전 종식과 미디어 공간", 냉전의 종식과 제3세계: 지역갈등에 대한 새로운 관점 (2011) pp 277-96 in the wayback Machine[ISBN missing] 2019-02-07
  • 사네이, 아이작, "아프리카 스탈린그라드: 쿠바 혁명, 국제주의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라틴 아메리카의 관점 33#5 (2006): 81-117쪽.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