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의 봄
Prague Spring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의 일부 그리고 1968년 시위 | |
![]() 체코슬로바키아는 프라하의 불타는 소련 전차를 지나 태극기를 들고 있다. | |
날짜 | 1968년 1월 5일 – 8월 21일 (7개월, 2주, 2일) |
---|---|
위치 | 체코슬로바키아 |
참가자 | 체코슬로바키아의 국민과 정부 바르샤바 조약 |
결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상화 |
체코슬로바키아의 역사 | ||||||||||||||||||||||||||||
---|---|---|---|---|---|---|---|---|---|---|---|---|---|---|---|---|---|---|---|---|---|---|---|---|---|---|---|---|
![]() | ||||||||||||||||||||||||||||
| ||||||||||||||||||||||||||||
프라하 봄(체코:Pražské jaro, 슬로바키아:Pražska jar)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정치적 자유화와 집단 항의의 시기였다.1968년 1월 5일 개혁파 알렉산더 더블체크가 체코슬로바키아(KSCH) 공산당 제1서기에 선출되면서 시작되었고, 1968년 8월 21일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때 소련을 비롯한 바르샤바 조약 회원들이 개혁을 진압하기 위해 침공하였다.
프라하 봄 개혁은 두브체크가 경제의 부분적 분산과 민주화의 행위로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에게 추가적인 권리를 부여하려는 강력한 시도였다.부여된 자유에는 언론, 언론, 여행에 대한 규제가 느슨해진 것이 포함되어 있다.더블체크는 보헤미아, 모라비아-실레시아, 슬로바키아 등 3개 공화국의 연방으로 분할하는 국가적 논의를 거쳐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과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할하는 결정을 감독했다.[1]이 이중 연방은 침략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공식적인 변화였다.
개혁, 특히 행정권한의 분산은 소련에 의해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소련은 협상에 실패한 후 50만 명의 바르샤바 조약 군대와 탱크를 파견하여 점령했다.뉴욕타임스는 소련 군사목록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정교한 무기를 갖춘 65만 명의 남자들에 대한 보도를 인용했다.[2]대규모 이민의 물결이 전국을 휩쓸었다.전국 곳곳에서 친목 시도, 도로표지판 파괴, 야간 통행금지의 무시 등 반발이 거세졌다.소련군은 나라를 제압하는 데 나흘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마침내 외교 기동훈련이 이를 우회할 때까지 저항은 8개월 동안 계속되었다.그것은 민간인을 기반으로 한 방어의 중요한 예가 되었다; 산발적인 폭력 행위와 자기희생에 의한 몇 번의 항의 자살이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 저항은 없었다.체코슬로바키아는 벨벳 혁명이 공산정권을 평화적으로 종식시켰던 1989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마지막 소련군은 1991년에 그 나라를 떠났다.
침공 후 체코슬로바키아는 두브체크가 KSCH를 장악하기 전에 지배했던 정치적 경제적 가치의 회복을 새로운 지도자들이 시도했던 정상화(체코: 노말리자체, 슬로바키아: 노말리자시아)로 알려진 시대로 접어들었다.두브체크를 제1비서관으로 교체하고 또한 대통령이 된 구스타프 후사크는 거의 모든 개혁을 번복했다.프라하의 봄은 바클라프 하벨, 카렐 후사, 카렐 크릴, 밀라노 쿤데라의 소설 '불가역한 존재의 가벼움'을 포함한 음악과 문학에 영감을 주었다.
배경
동부 블록 |
---|
![]() |
체코슬로바키아의 탈스탈린화 과정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에 안토니 노보트니치 밑에서 시작되었지만, 동구권의 대부분의 다른 주들보다 더 느리게 진행되어 왔다.[3]니키타 흐루쇼프의 주도로 노보트니는 사회주의 완성을 선언했고, 이에 따라 새 헌법은[4]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채택했다.그러나 변화의 속도는 느렸다; 슬란스키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과 같은 스탈린주의 시대의 희생자들의 재활은 빠르면 1963년에 고려되었을지 모르지만, 1967년까지 일어나지 않았다.[5]
1960년대 초 체코슬로바키아는 경기 침체를 겪었다.[6]소련의 산업화 모델은 체코슬로바키아가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상당히 산업화되어 있었고 소련 모델은 주로 덜 발달된 경제를 고려했기 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의 산업화에 좋지 않게 적용되었다.노보트니츠의 1965년 신경제 모델인 경제 구조 조정 시도는 정치 개혁에 대한 수요도 증가시켰다.[7]
1963년 리블리스 회의
1963년 5월 일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들이 프란츠 카프카의 삶을 논하는 리블리스 회의를 조직하여 체코슬로바키아의 문화민주화의 시작을 알렸고, 이는 결국 정치적 자유화의 시대인 1968년 프라하 봄으로 이어졌다.이번 회의는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동구권 내 카프카의 회생을 상징했고, 부분적인 정권 개방으로 이어져 검열 완화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특이했다.그것은 또한 모든 동구권 국가들의 대표가 총회에 초대되어 국제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소련만이 대표를 보내지 않았다.이 회의는 카프카를 체코슬로바키아의 예술적, 지적 자유의 르네상스의 상징으로 만들면서 혁명적 효과를 발휘하고 개혁의 길을 닦았다.[8]
1967년 작가 대회
엄격한 정권이 규정을 완화하자 체코슬로바키아 작가연합(cs: Svaz Cheskoslovenských spisovatell)은 조심스럽게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다.이전에 강경 공산주의자 주간지였던 리터러니에서 회원들은 문학이 당 교리에서 독립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9]
1967년 6월, 소수 노조원들이 급진적인 사회주의자들, 특히 루드비크 바쿨리크, 밀라노 쿤데라, 얀 프로차즈카, 안토닌 야로슬라프 리움, 파벨 코우트, 이반 클리마에게 동조했다.[9]
몇 달 뒤 당 지도부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개혁 지지 의사를 밝힌 작가들에 대한 행정처분이 결정됐다.소수의 노조만이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남은 조합원들은 동료들을 훈육하는데 의존했다.[9]리터나니 초보를 비롯한 여러 출판사에 대한 통제는 문화부로 넘어갔고,[9] 후에 더블체크를 포함한 주요 개혁자가 된 당의 일부 지도자들조차 이러한 움직임을 지지했다.[9]
두브체크의 집권
안토닌 노보트니 대통령이 지지를 잃고 있는 가운데 알렉산더 더블체크 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와 경제학자 오타 시크가 당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그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그 후 노보트니는 그해 12월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프라하로 초청하여 지지를 구했으나 브레즈네프는 노보트네에 대한 반대파의 정도에 놀라 오히려 그의 해임을 지지했다.[10]더브체크는 1968년 1월 5일 노보트니 총리를 제1장관으로 교체했다.[11]3월 22일 노보트니는 사임하고 루드비크 스보보바다에 의해 교체되었는데, 그는 나중에 개혁에 동의하였다.[12]
리터나니 목록
변화의 초기 징후는 거의 없었다.그는 이날 당 기관지 루데 프라보(Rudé Prahvo)에 '무엇이 앞에 놓여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조제프 스므르코프스키 KSCH 상임위원과의 인터뷰에서 더블체크가 1월 플레넘에 임명되면 사회주의 목표를 더욱 높이고 당의 서민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3]
그러나 더블체크가 정권을 잡은 직후 학자 에두아르트 골드슈튀커는 체코슬로바키아 작가동맹의 의장이 되어 노보트니 휘하의 당 충성파들로 채워져 있던 리터러니 노비니 편집장이 되었다.[14][15][15]골드슈테커는 지난 2월 4일 두브체크가 새 조합장으로 텔레비전 인터뷰에 출연했을 때 언론의 자유에 대한 그의 헌신의 경계를 시험했다.인터뷰 도중 그는 노보트니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이전에 보도되지 않았던 노보트니의 모든 정책을 폭로하고 이들이 체코슬로바키아의 발전을 어떻게 막고 있는지 설명했다.[16]
골드슈테커는 아무런 반향을 일으키지 않았고, 대신 더블체크는 언론과 정부, 시민들 사이에 신뢰감을 쌓기 시작했다.[15]이 저널의 이름이 리터어니 리스트리로 바뀐 것은 골드슈튀커 휘하에 있었고, 2월 29일 유니온은 검열기 없는 저널의 첫 번째 사본을 발행했다.[14]8월까지 리터러니 리스트리의 발행 부수는 30만 부로 유럽에서 가장 많이 발행된 정기 간행물이 되었다.[17]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더 프로그램
두브체크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승리한 2월' 20주년을 맞아 사회주의 승리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연설을 했다.그는, Dubček liberalizations의 언론의 소비재에 대한 경제적인 강조와 다당화 정부의 가능성으로 점점 증가한 자유, speech,[19][20]과 이동의 자유의 자유, 포함한"액션 계획", 발사에 필요 4월"보다 효과적으로 파티의 선도적 역할을 강화"[18][19][20]하다고 강조했다..이 프로그램은 "사회주의는 계급관계를 착취하는 지배로부터 노동자들을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어떤 부르주아 민주주의보다 인격의 완전한 삶을 위한 더 많은 조항을 만들어야 한다"[21]는 견해에 근거했다.그것은 비밀경찰의[22] 권력을 제한하고 FCSR의 연방화를 두 개의 동등한 국가로 규정할 것이다.[23]이 프로그램은 또한 서방 국가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와 소련과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의 협력을 포함한 외교 정책도 다루었다.[24]그것은 민주적 선거가 가능하게 되고 새로운 형태의 민주적 사회주의가 현상을 대신하게 될 10년의 과도기를 언급했다.[25]행동 프로그램을 초안한 사람들은 전후 공산정권의 행동을 비판하지 않으려고 조심했지만, 다만 그 유용성보다 오래되었다고 느끼는 정책들을 지적할 뿐이었다.[26]개혁은 KSCH의 지시에 따라 진행돼야 한다고 규정됐지만 당장 개혁을 추진하라는 여론의 압박이 거세졌다.[27]급진적인 요소들은 더욱 목소리를 높여 1968년 6월 26일 반소련 장구파들이 언론에 등장했고,[25] 새로운 비계열 정치 클럽들이 만들어졌다.당 보수주의자들은 억압적인 조치를 촉구했지만 더블체크는 절제를 촉구하고 KSCH 지도부를 다시 강조했다.[28]두브체크는 지난 4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총회에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는 정치 프로그램을 발표했다.[29]프라하 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수출은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었고, 더블체크의 개혁은 계획경제와 시장경제를 혼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계획을 세웠다.두브체크는 공산당 통치하에서 경제 개혁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했다.[30]
언론의 반응
언론의 자유는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이 체코슬로바키아의 과거를 처음으로 정직하게 바라볼 수 있는 문을 열었다.많은 조사들은 공산주의 하에서 특히 스탈린주의 시대의 국가 역사에 초점을 맞췄다.[14]또 다른 텔레비전 출연에서 골드슈테커는 숙청, 수감 또는 처형되어 공산주의 역사에서 지워진 전 공산당 지도자들의 조작되지 않은 사진과 조작되지 않은 사진을 모두 선보였다.[15]문학인연합도 1968년 4월 시인 야로슬라프 세이퍼트를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1948년 2월 공산주의 정권 인수 이후 작가 박해를 조사하고 문인들을 연합, 서점, 도서관, 문학계로 재탄생시켰다.[31][32]공산주의의 현주소와 자유와 정체성과 같은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논의도 점점 더 흔해지고 있었고, 곧 노동조합 일간지 프레이스(Labour)와 같은 비당권 출판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이는 1968년 3월까지 이미 정부의 검열관인 중앙출판위원회(Central Publishing Board)를 설득하여 편집자들이 외국 신문에 대한 검열되지 않은 구독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뉴스를 중심으로 더 국제적인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언론인 연합의 도움도 받았다.[33]
언론과 라디오, 텔레비전도 골드슈튀커, 파벨 코우트, 얀 프로차즈카 등의 작가와 요제프 스므르코프스키, 즈데넥 헤즐러, 구스타프 후사크 등 정치 피해자들의 질문을 할 수 있는 모임을 개최함으로써 이러한 논의에 기여했다.[16]텔레비전은 또한 전직 정치범들과 그들이 수감된 비밀경찰이나 감옥에서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만남을 방송한다.[15]가장 중요한 것은 이 새로운 자유와 일상적인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의 삶에 텔레비전이 도입되면서 정치적 대화가 지식인에서 대중적 영역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소련의 반응
공산당 내부의 초기 반응은 엇갈렸다.헝가리의 야노스 카다르는 지난 1월 두브체크의 임명을 적극 지지했지만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와 강경파는 냉전시대 블록의 입지가 약화될 것을 우려한 개혁안을 우려했다.[34][35][36]
3월 23일 동독 드레스덴에서 열린 회의에서 '워사우 파이브'(USSR·헝가리·폴란드·불가리아·동독) 지도자들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을 상대로 계획된 개혁안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민주화'에 대한 어떤 언급도 소련 모델에 대한 베일에 싸인 비판이었음을 시사했다.[37]폴란드의 우와디스와프 고무우카와 야노스 카다르 당수는 체코슬로바키아 언론이 비난하고 있는 것보다 개혁 자체에 대해 덜 신경을 썼으며 상황이 "비슷한 것"이라고 우려했다."헝가리 반혁명"[37]액션 프로그램의 언어 중 일부는 "반혁명"이 계획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 위해 선택되었을 수도 있지만, 키에런 윌리엄스는 더블체크가 아마도 소련의 제안에 놀랐지만 원망하지는 않았다고 제안한다.[38]
지난 5월 KGB는 소련 요원들이 사회당과 기독교 민주당 등 체코슬로바키아 친민주단체에 침투하는 작전을 전개했다.[39]
소련 지도부는 일련의 협상을 통해 FCSR의 변화를 중단시키거나 최소한 제한하려 했다.소련은 지난 7월 소련 국경 인근 치에나나드 티수우에서 체코슬로바키아와 양자협상에 합의했다.반면에 바르샤바 조약과 경제 상호 원조 회의에 대한 의지를 다짐하고 29일 7월 1일부터 8월까지 브레즈네프,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미하일 수슬로프는 소련 쪽에 다른 사람들과 Dubček, Svoboda, Oldřich Černík, Smrkovský과 체코 슬로바키아 쪽에 다른 사람들의 출석과 출석 회의에는, Dubček은 KSČ의 개혁 날개의 제안들을 옹호했다.[24]그러나 KSCH 지도부는 반개혁 노선을 채택한 강경파(Smrkovsksk, 체르니크, 프란티셰크 크리겔)와 강경파(바실 비약, 드로미르 카이오데, 올드치 슈베스트카)로 나뉘어 있었다.[40]
브레즈네프는 타협을 결심했다.KSCH 대표단은 바르샤바 협약에 대한 충성심을 재확인하고 반사회주의 성향을 억제하고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의 부활을 막고 언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겠다고 약속했다.소련은 지난 6월 기동훈련 후 체코슬로바키아에 남아 있는 자국군을 철수시키고 9월 당대회를 허용하기로 합의했다.[40]
8월 3일 "와르사우 파이브"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들은 브라티슬라바에서 만나 브라티슬라바 선언에 서명했다.이 선언은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대한 확고한 충성심을 확인했고, "부르주아" 이념과 모든 "반사회주의" 세력에 대항하는 불굴의 투쟁을 선언했다.[41]소련은 만약 "자본주의 계급"의 다른 파벌을 대표하는 여러 정당들의 다원주의적 체제인 "부르주아" 체제가 구축된다면 어떤 바르샤바 조약 국가에도 개입할 의사를 표명했다.회의가 끝난 후 소련군은 체코슬로바키아 영토를 떠났지만 국경을 따라 남아 있었다.[42]
침공작

이 회담들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자 소련은 군사적 대안을 고려하기 시작했다.(필요하다면 군사력을 통해) 소련이 자국의 위성국가의 사회주의 정부들에게 자국의 국익을 동구권의 정부에 종속시키도록 강요하는 정책은 브레즈네프 독트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3]8월 20-21일 밤, 소련, 불가리아, 폴란드, 헝가리 등 4개 바르샤바 협정의 동구권 군대가 FCSSR에 진입했다.[44][45]
그날 밤, 20만 명의 병력과 2천 대의 탱크가 국내에 들어왔다.[46]그들은 먼저 더 많은 병력의 항공배치가 마련된 루즈니악 국제공항을 점령했다.체코슬로바키아군은 반격 위협이 진정될 때까지 포위되어 있던 막사에 갇혀 있었다.8월 21일 아침이 되자 체코슬로바키아가 점령되었다.[45]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는 침략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다.[47]소련군 사령부는 1938년 나치 침공에 대한 기억을 되살릴 것을 우려해 동독군을 끌어들이는 것을 자제했다.[48]침공 중 체코인과 슬로바키아는 72명(슬로바키아인 19명)이 사망하고 266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436명이 경상을 입었다.[49][50]알렉산더 더블체크는 그의 백성들에게 저항하지 말라고 요구했다.[50]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리에는 산발적인 저항이 있었다.모스크바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표지판만 제외하고, 마을의 도로 표지판이 제거되거나 도색되었다.[51]많은 작은 마을들이 자신들을 "Dubcek" 또는 "Svoboda"라고 이름 지었고, 따라서 항해 장비가 없으면 침략자들은 종종 혼란스러워 했다.[52]
침공 당일 밤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은 바르샤바 조약군이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를 모른 채 국경을 넘어왔다고 선언했으나 소련 언론은 체코슬로바키아 당과 국가 지도자들이 "무장군 지원 등 즉각적인 지원"[53]을 요청하는 서명되지 않은 요청을 인쇄했다.제14차 KSCH당대회(간섭 직후 비밀리에 진행)에서는 지도부 중 누구도 개입을 초청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54]보다 최근의 증거는 보수적인 KSCH 회원들(비작, 슈베스트카, 코오더, 인드라, 카펙 포함)이 소련에 개입 요청을 보냈다는 것을 시사한다.[55]침략에 이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이민의 물결이 일어났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중단되었다.약 7만 명의 시민들이 결국 총 30만 명의 시민들과 함께 즉시 그 나라를 떠났다.[56]
최근까지 어떤 도발이 일어나 바르샤바 조약군이 침공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었다.침략 이전에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별다른 사건이 일어나지 않은 다소 평온한 시기였다.[57]
침략에 대한 반응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특히 침략 다음 주에 대중의 반대는 비폭력 저항의 수많은 자발적인 행동으로 표출되었다.[58]민간인들은 의도적으로 침입한 군인들에게 잘못된 지시를 내렸고, 다른 사람들은 비밀경찰 소속의 차를 확인하고 따라갔다.[59]1969년 1월 16일, 학생 얀 팔라크는 프라하의 웨슬라스 광장에서 언론의 자유를 다시 억압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스스로 불을 질렀다.[60]
일반화된 저항으로 소련은 제1비서를 축출하려던 당초 계획을 포기하게 되었다.8월 20일 밤 체포되었던 두브체크는 협상을 위해 모스크바로 끌려갔다.그곳에서 그와 다른 여러 지도자들(모든 최고위급 관료들, 스보보다 대통령, 체르니크 총리, 스므르코프스키 국회의장 포함)은 소련 정치인들의 심한 심리적 압박에 시달려 모스크바 의정서에 서명했고, 더블체크가 유임되고 온건한 개혁 문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계속하다
8월 25일 소비에트 연방의 8월 시민들이 붉은 광장에서 시위를 벌였고, 7명의 시위자들은 반침략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열었다.시위대는 보안군에 의해 무자비하게 구타당하고 체포되었으며, 나중에 비밀 재판소에 의해 처벌되었다; 이 시위는 "반소련"으로 불렸고 몇몇 사람들은 정신병원에 감금되었다.[61]
루마니아에서는 더욱 두드러진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미 소련 영향력의 완강한 반대자이자 자칭 더블체크 지지자로 알려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공산당 총서기가 침략 당일 부쿠레슈티에서 공개 연설을 하면서 소련 정책을 냉혹한 용어로 묘사했다.[47]알바니아는 반대에 부딪쳐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하면서 침략을 '사회 제국주의'의 행위라고 규정했다.소련의 정치적 영향력을 일부 받고 있는 핀란드에서, 그 점령은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62]
이탈리아와 프랑스[63] 공산당과 마찬가지로 핀란드 공산당의 대다수는 점령을 비난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핀란드 대통령 우르호 케코넨은 1968년 8월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를 공식적으로 방문한 최초의 서양 정치인이었다; 그는 1969년 10월 4일 루드비크 스보보보다 대통령의 손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최고 훈장을 받았다.[62]알바로 쿤할 포르투갈 공산당 서기장은 룩셈부르크 당[63], 그리스 당 보수파와 함께 반혁명적이라는 이유로 침공을 지지한 서유럽 출신의 몇 안 되는 정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64][63]
대부분의 나라들은 침략 이후 목소리를 높이는 비판만 내놓았다.침략의 밤,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파라과이, 영국,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요청했다.[65]이 회의에서 체코슬로바키아 대사 얀 무히크는 침략을 비난했다.소련 대사 제이콥 말릭은 바르샤바 조약의 조치가 "반사회적 세력"[65]에 대한 "추악한 지원"이라고 주장했다.
이 침략을 가장 격렬하게 비난한 국가 중 하나는 중국이었는데, 중국은 소련만이 어떤 국가가 제대로 공산주의자인지 결정할 권리가 있고 공산주의가 크렘린의 승인을 받지 못한 공산주의 국가들을 침공할 수 있다고 선언한 소위 "브레즈네프 독트린"에 격렬하게 반대했다.[66]마오쩌둥은 브레즈네프 교리를 소련의 중국 침략에 대한 이념적 근거로 보고, 일찍이 프라하 스프링에 대한 자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규탄하는 대대적인 선전전에 나섰다.[66]저우언라이 중국 총리는 1968년 8월 23일 베이징의 루마니아 대사관에서 열린 연회에서 "파시스트 정치, 대권력우월주의, 국가 이기주의, 사회 제국주의"라며 소련을 비난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침공을 베트남에서의 미국 전쟁에 비유하고 아돌프 H의 정책을 더욱 날카롭게 지적했다.1938-39년에 체코슬로바키아 쪽으로 기울었다.[66]저우는 체코슬로바키아 사람들에게 붉은 군대와 게릴라전을 벌여야 한다는 겨우 베일에 싸인 요구로 연설을 마쳤다.[66]
다음날, 몇몇 국가들은 유엔의 개입을 비난하고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제안했다.결국, 10명의 회원국이 이 동의안을 지지하면서 유엔의 투표가 이루어졌다; 알제리, 인도, 파키스탄은 기권했고, 소련과 헝가리는 반대했다.캐나다 대표단은 즉각 유엔대표부가 프라하로 가서 수감된 체코슬로바키아 지도자들의 석방을 위해 노력할 것을 요청하는 또 다른 동의안을 제출했다.[65]
8월 26일까지 새로운 체코슬로바키아 대표가 안보리 의제에서 모든 문제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셜리 템플 블랙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무료대사가 되기 위해 1968년 8월 프라하를 방문했다.그러나 8월 21일 침략 이후 그녀는 미국 대사관이 조직한 차량 행렬의 일부가 되어 미국 시민들을 대피시켰다.[67]1989년 8월, 그녀는 41년간의 공산당 통치를 종식시킨 벨벳 혁명을 3개월 앞두고 미국 대사로 프라하로 돌아왔다.[68]
여파

1969년 4월, 두브체크는 구스타프 후사크에 의해 초대 비서로 교체되었고, '정상화'의 시기가 시작되었다.[69]두브체크는 KSCH에서 제명되어 임업 관리직을 부여받았다.[23][70]
후사크는 두브체크의 개혁을 번복하고, 진보당원들을 숙청하고, 정치 변혁에 공개적으로 이견을 표명한 공직 전문직과 지적 엘리트들을 해임했다.[71]후사크는 경찰의 권력을 회복하고 나머지 공산권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그는 또한 프라하 봄 기간 동안 산업계에 상당한 자유가 주어졌으므로 경제 재집중화를 꾀했다.[71]주류 언론에서는 정치에 대한 논평이 금지되었고, '전적인 정치적 신뢰'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지 않는 사람의 정치적 발언도 금지되었다.[72]살아남은 유일한 중요한 변화는 1969년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과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만든 이 나라의 연방화였다.1987년, 소련의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의 자유화 정책이 더블체크의 "인간의 얼굴을 가진 사회주의"에 크게 기여했음을 인정했다.[73]프라하 봄과 고르바초프의 자체 개혁이 어떤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외교부 대변인은 "니네틴 해"라고 답했다.[74]
두브체크는 1989년 12월 벨벳 혁명에 지지를 보냈다.그해 달 공산당 정권이 붕괴된 뒤 더브체크는 하벨 정권하의 연방의회 의장이 되었다.[75]이후 슬로바키아의 사회민주당을 이끌었고, 1992년 11월 사망하기 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산에 반대하는 발언을 했다.[76]
정상화 및 검열
바르샤바 조약의 침공에는 1968년 8월 21일 초기 탱크가 프라하로 굴러 들어온 직후에 라디오 프라하나 체코슬로바키아 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 시설에 대한 공격이 포함되었다.[77]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방송국 모두 적어도 침략의 초기 방송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버틸 수 있었지만, 소련군이 정당 검열을 재연하여 공격한 것은 무력으로 공격하지 않았다.침략에 대한 반응으로 1968년 8월 28일, 모든 체코슬로바키아 출판사들은 편집진들에게 "반성의 날"을 허락하기 위해 신문의 생산을 그날로 중단하기로 합의했다.[78]작가들과 기자들은 두브섹이 겨우 3개월만 지속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검열소 재편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79]마침내 1968년 9월까지 새로운 검열법을 도입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개최되었다.모스크바가 승인한 결의안의 말로, "언론, 라디오, 텔레비전은 당과 국가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도구들 중 우선이다."[80]
이것이 프라하 봄 이후 언론의 자유가 아직 끝이 아니었지만, 그것은 종말의 시작이었다.11월 동안 후삭 산하의 프레시엄은 체코슬로바키아 언론이 소련 침략자들에 대해 부정적인 발언을 할 수 없거나 8월 말에 그들이 도달한 협정을 위반할 위험을 무릅쓸 것이라고 선언했다.주간지 리포터와 폴리티카가 폴리티카에서 대통령 자체를 미묘하게 비난하지 않으려고까지 하면서 이 위협에 거칠게 대응했을 때, 정부는 리포터를 한 달 동안 금지하고 폴리티카를 무기한 중단시켰으며 라디오나 텔레비전에 어떤 정치 프로그램도 출연하지 못하게 했다.[81]
지식인들은 교착상태에 빠져 있었다; 그들은 정부의 증가하는 정상화를 인정했지만, 그들은 그 조치가 일시적인 것일 뿐인지 아니면 더 많은 것을 요구할 것인지에 대해 신뢰해야 할 지 확신할 수 없었다.예를 들어, 아직도 더블체크의 개혁 약속을 믿고 있는 밀라노 쿤데라는 12월 19일 리터니 리스트리에 "세스키 우델"(우리의 체코 운명)이라는 기사를 실었다.[32][82]그는 "오늘날 우울증과 패배주의에 빠지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한 보장이 없고, 모든 것이 나쁘게 끝날 수도 있고, 검열과 재판의 마스무스에 빠질 수도 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일어날 수 있다는, 그저 확신에 대한 환상 속에서만 살 수 있는, 나약한 사람들"[83]이라고 썼다.
그러나 1969년 3월, 소련의 지원을 받은 새로운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전면 검열을 실시하여 정상화가 프라하 봄 동안 누렸던 자유를 되찾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사실상 종식시켰다.두브체크의 자유화 조치를 지지하는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에 대항하는 공동의 음모자라고 비난한 선언이 대통령측에 제시되었다.마침내 1969년 4월 2일, 정부는 더욱 엄격한 검열을 통해 "평화와 질서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채택하여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은 자유 매체의 반환을 위해 동유럽의 해빙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84]
콘스탄티누스 멩게스 등 프라하 출신 학생들과 위기에서 벗어난 체코 난민들이 서방국가에서 탈출하거나 정착할 수 있었던 이들은 체코 정치범과 반체제 인사들의 인권,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정치적 망명을 계속 옹호했다.많은 이들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모스크바와 동유럽 공산주의가 붕괴되기 전인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소련과 홍군이 체코슬로바키아를 계속 군사 점령한 것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문화적 영향
프라하 봄은 많은 서구 좌익들의 환멸을 소비에트적 시각으로 심화시켰다.그것은 서구 공산당의 유로 공산주의 사상이 성장하는데 기여했는데, 이 사상은 소련과 더 큰 거리를 추구했고 결국 이들 집단들 중 다수가 해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85]10년 후, 중국의 정치 자유화 기간은 베이징의 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그것은 또한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의 크로아티아 봄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86]1993년 체코 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60%가 프라하 봄과 관련된 개인적인 기억을 갖고 있었고, 30%는 다른 형태의 사건에 익숙했다.[87]2010년 12월부터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위와 정권 교체는 흔히 '아랍의 봄'이라고 일컬어 왔다.
이 행사는 카렐 크릴의 음악, 루보쉬 피셰르의 레퀴엠,[88] 그리고 1968년 프라하를 위한 카렐 후사의 음악 등 대중음악에서 언급되어 왔다.[89]샬롬 하노치가 작사하고 아리크 아인슈타인이 1969년 이스라엘 가요제에서 공연한 이스라엘 노래 '쁘라그'는 소비에트 침공 후 도시의 운명을 한탄하며 얀 팔라크의 '자기희생'을 언급하고 있다.[90]아일랜드 언론인 겸 작곡가 존 워터스(John Waters)의 노래 'They Can't Stop The Spring'은 200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아일랜드를 대표했다.워터스"동유럽의 혁명의 켈트 축하의 친절하고 그들의 최종 결과"로, Dubček의 논평 말을 인용해.`그들은 꽃을 짓밟을 수도 있지만 그들은 봄은 막을 수가 없어요 설명했다."[91]"The 노인의 BackAgain(그 Neo-Stalinist 체제에 이바지)", 노래는American-English 가수 겸 작곡가 스콧에 주연했다. 워커의 다섯 번째 솔로 앨범 Scott 4도 침략을 언급하고 있다.
프라하의 봄은 여러 문학 작품에서 볼 수 있다.밀라노 쿤데라는 그의 소설 "프라하의 봄 동안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을 썼다.그것은 소련의 주둔 증가와 독재적인 경찰의 인구 통제가 가져올 파장을 뒤따른다.[92]영화판은 1988년에 개봉되었다.빅토르 수보로프가 쓴 라이베레이터스는 소련군 전차장의 관점에서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목격자로 묘사한 것이다.[93]체코 태생의 영국 극작가 톰 스토파드가 1989년 벨벳 혁명은 물론 프라하 봄을 언급하는 연극 '로큰롤'이다.[94]헤다 마르골리우스 코발리는 또한 프라하 봄과 이후의 침략에 대한 직접적 설명과 이러한 사건들에 대한 그녀의 성찰로 "잔혹한 별 아래"의 회고록을 끝맺는다.[95]
영화에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각색한 작품도 있고, 프라하 봄의 사건들을 그리고 소련과 그 동맹국들의 침략으로 끝나는 얀 호베크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 페트르 자르코프스키의 영화 펠리시스키도 있다.[96]체코의 뮤지컬 영화 '필리핀 렌치'의 '레벨로베'도 사건, 침략, 이후 이민의 파도를 그린다.[96]
68이라는 숫자는 이전의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상징이 되었다.반역 중 할아버지가 감옥에서 사망한 하키 선수 야로미르 야그르는 체코슬로바키아 역사에서 그 해의 중요성 때문에 그 번호를 달고 있다.[97][98]토론토에 본사를 둔 68개의 출판사가 망명 체코와 슬로바키아 작가들에 의해 책을 출판했고, 이 행사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아나키스트 분석
무정부주의자인 콜린 워드는 프라하의 봄 동안 시민들이 점점 더 정부 당국에 반항하고 일터를 점거하기 시작했으며 전화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대학생들 사이에 상호 원조 네트워크를 만들면서 상당히 무정부주의적인 거리 문화가 발달했다고 주장한다.게다가 소련 침공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은 거리로 뛰쳐나와 탱크와 병사들을 돌과 화염병, 즉흥적인 무기로 격투했다.[99]
기억력
장소 및 유적지
이 사진들은 비노흐라드스카 애비뉴에서 찍혔으며, 1968년 침공 당시 사진 보관소에는 웨슬라스 광장이 널리 나타나 있으며, 다른 시위 장소들은 행방불명이다.프라하 봄의 기억은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불쾌한 집단 기억을 피하고 싶은 욕구가 역사적 기억상실증과 서술적 화이트워싱의 과정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요제프 쿠델카가 찍은 사진에는 위스틀라스 광장에 세워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등 침략에 대한 추억이 담겨 있다.프라하에는 소련의 침략을 기념하는 다양한 징후들이 있다.[100]
침략 기간 동안 시위자들은 희생자들의 사망 장소를 기록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기념관을 세웠다.얀 팔라크 기념비는 1969년 한 학생의 자살을 기억하는 기념물이다.이곳은 종종 "역사의 벌바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팔라크는 웨슬라스 광장에서 자살한 최초의 사람이었지만 마지막은 아니었다. 그는 저항의 학생 협약에 소속되어 있었다.[101]프라하에는 공산주의 희생자들을 위한 기념관도 마련되어 있는데, 이 계단을 따라 7개의 수컷 청동 실루엣이 내려온다.첫 번째 것, 아래쪽에 있는 것은 완성되어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점차 사라진다.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야기되는 파괴의 다른 단계에서 동일인을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102]
상충된 기억
프라하의 봄은 비록 그 성과가 미미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유럽 공산주의의 역사를 깊게 표시해 왔다.역사 교과서는 문화 민주화와 언론 개방, 그것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주의 출현에 미친 영향을 기억하기보다는 프라하 봄을 소련권 사회주의의[according to whom?] 주요 위기로 간주하고 있다.그 기억은 동유럽 공산주의 내부의 정치적 희망에 대한 환멸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실제로 오랫동안 집단적 기억에서 감춰지고 거부된 1968년의 프라하 봄은 프라하에서 기념되는 일이 드물고 고통스러운 패배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20년간의 '정상화'를 예고하는 실망스러운 희망과 투항의 상징이다.[citation needed]밀란 쿤데라, 체코의 운명(체코의 운명), 바츨라프 하벨, 체스키 우델 등 1968년부터 시작된 문헌이 2007년 주간지 리터니 노비니(52/1)에 게재된 데 이어 2000년대에 들어서야 프라하 봄 논의가 재개됐다.실제로 프라하 봄의 후대는 바르샤바 조약의 군사적 개입은 물론 공산주의 정권 내 개혁 실패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억으로 남아 있는데, 이는 동양의[citation needed] 두브체크식 '개정주의자' 관점을 확실히 깎아내렸다.프라하 봄의 기억은 이렇게 크게 가려지고 종종 개괄된다[by whom?].실제로 프라하의 봄은 체코 사회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영화, 소설, 연극이[specify] 여전히 존재하는 이 운동을 동반하고 묘사한 문화적 모멘텀으로도 기억되어야 한다.프라하 봄은 또한 프라하 예술과 문화계의 재생과 더불어 다음 해를 깊게 장식한 사회의 자유화에 영향을 주었다.1960년대는 서구로부터 오는 문화적 변화와 움직임, 특히 락음악과 하위문화 운동 등 체코슬로바키아의[citation needed] 문화 갱신의 상징인 체코슬로바키아의 대이동 등장을 실제로 보았다.따라서 60년대는 기존의 정치구조의 제약으로부터 문화를 해방시키는 과정이었고 1968년의 격변의 서막이었다.사실 이 정권의 정치적 위기는 1968년 1월 5일 더블체크가 당 대표로 선출되면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1967년 6월 루드비크 바쿨릭, 밀라노 쿤데라, 안토닌 리옴의 작가대회에서 행한 결별 연설로 시작되었다.게다가 사회 활성화도 프라하 봄의 필수 요소였다.실로 프라하 봄의 위대한 업적, 즉 검열 폐지, 개인 및 집단적 자유의 회복...좀 더 자유롭게 표현하기 시작한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비록 프라하 봄은 체코슬로바키아에 30년 전에 존재했던 것을 복원했을 뿐이지만, 1968년의 봄은 사회에 심오하고 오래 지속되는 영향을 끼쳤다.[100][failed verification]
최근 50년 분쟁이 일어난 기념일은 프라하 봄의 기억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슬로바키아 출신인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우리는 국제법 위반을 결코 용납해서는 안 되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들의 정당한 갈망을 짓밟아야 한다"고 당시 우리에게 상기시켰다.비라 주로바 유럽 법무장관도 연설을 했다.그러나 친러 성향의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이 프라하 봄을 기억하는 어떤 기념식에도 참석하지 않고 수많은 사망자를 추모하는 연설을 하지 않음에 따라 그 기억은 여전히 매우 상충되고 있다.[103]
프라하 봄의 기억은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시민들의 증언을 통해서도 전해진다.자유유럽 라디오는 2018년 기사에서 바르샤바 조약군의 침략을 목격하고 용감하게 행동한 여성 4명의 증언을 수집했다.500명의 부상자 중 일부를 돕겠다고 자원한 스타니슬라바 드라하 씨는 이번 침공이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증언한다.이와 함께 베라 호몰로바(Vera Homolova) 라디오 기자는 "소련군이 체코슬로바크 라디오 건물, 창문으로 마구잡이로 총을 쏘는 것을 경험했다"고 증언했다.그 여파로 포스터를 보여주며 점령에 학생으로서 대응한 베라 루발로바는 긴장이 여전했다.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한 나라들137년 8월 20~21일 밤, 체코슬로바키아는 침략 중에 죽었다.[104]
참고 항목
참조
- ^ 체코 라디오 방송 1968년 8월 18~20일
- ^ "New York Times September 2, 1968".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170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7
- ^ 스킬링(1976), 페이지 47
- ^ "Photius.com, (info from CIA world Factbook)". Photius Coutsoukis. Retrieved 20 January 2008.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5
- ^ Bahr, E. (1970). "Kafka and the Prague Spring". Mosaic: A Journal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 3 (4): 15–29. ISSN 0027-1276. JSTOR 24776229.
- ^ a b c d e 윌리엄스(1997), 페이지 55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18-20
- ^ 나바젤스키스 (1990년)
- ^ "Antonin Novotný Biography". Libri publishing house. Retrieved 15 November 2014.
- ^ 나브라틸(2006년), 페이지 46
- ^ a b c 윌리엄스, 페이지 68
- ^ a b c d e Bren, Paulina (2010). The Greengrocer and His TV: The Culture of Communism after the 1968 Prague Spring.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pp. 23ff. ISBN 978-0-8014-4767-9.
- ^ a b 윌리엄스, 페이지 69
- ^ 홀리, 지에이.포위당한 작가들: 체코 문학 1945년 이후.Sussex: Sussex Academic Press, 2011, 페이지 119
- ^ a b Vondrová, Jitka (25 June 2008). "Pražské Jaro 1968". Akademický bulletin (in Czech). Akademie věd ČR. Retrieved 21 March 2018.
- ^ a b Hoppe, Jiří (6 August 2008). "Co je Pražské jaro 1968?". iForum (in Czech). Charles University. Retrieved 21 March 2018.
- ^ 엘로(1968), 페이지 32, 54
- ^ Von Geldern, James; Siegelbaum, Lewis. "The Soviet-led Intervention in Czechoslovakia". Soviethistory.org. Retrieved 7 March 2008.
- ^ a b 호흐만, 더블체크 (1993)
- ^ a b Dubček, Alexander; Kramer, Mark; Moss, Joy; Tosek, Ruth (translation) (10 April 1968). "Akční program Komunistické strany Československa". Action Program (in Czech). Rudé právo. pp. 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08. Retrieved 21 February 2008.
{{cite news}}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b 저트(2005년), 페이지 441
- ^ 엘로(1968), 페이지 7–9, 129–31
- ^ Derasadurain, Beatrice. "Prague Spring". thinkquest.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November 2007. Retrieved 23 January 2008.
- ^ 쿠신(2002년), 페이지 107–22
- ^ "The Prague Spring, 1968". Library of Congress. 1985. Retrieved 5 January 2008.
- ^ 윌리엄스(1997년), 페이지 18-22
- ^ 골란, 갈리아.케임브리지 러시아어, 소련어 및 포스트 소비에트 연구. 체코슬로바키아의 개혁 규칙: 더브체크 시대, 1968-1969. 제11권.영국 케임브리지: CUP 아카이브, 1973년, 페이지 10
- ^ a b 홀리, 페이지 119
- ^ 골란, 페이지 112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37
- ^ "Document #81: Transcript of Leonid Brezhnev's Telephone Conversation with Alexander Dubček, August 13, 1968". The Prague Spring '68. The Prague Spring Foundation. 1998. Retrieved 23 January 2008.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172–81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10–11
- ^ "UK-held Mitrokhin archives reveal details of KGB operation against Prague Spring". Radio Prague International. 19 July 2014. Retrieved 2 May 2021.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326–29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326–27
- ^ 샤페츠(1993) 페이지 10
- ^ 오이멧(2003), 페이지 34-35
- ^ a b "Soviet Invasion of Czechoslovakia". Military. GlobalSecurity.org. 27 April 2005. Retrieved 19 January 2007.
- ^ 워싱턴 포스트, (Final Edition), 1968년 8월 21일 페이지 A11
- ^ a b Curtis, Glenn E. "The Warsaw Pact". Federal Research Division of the Library of Cong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08. Retrieved 19 February 2008.
- ^ "Der 'Prager Frühling'".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 ^ "Springtime for Prague". Prague Life. Lifeboat Limited. Retrieved 30 April 2006.
- ^ a b 윌리엄스(1997), 페이지 158
- ^ 2007년 3월 "무공포 대칭" 아트포룸 국제 제45권, 폴 찬을 참조하라.
- ^ "Civilian Resistance in Czechoslovakia". Fragments. Retrieved 5 January 2009.
- ^ 스킬링(1976년)
- ^ 나브라틸(2006), 페이지 16세
- ^ 포크스(2000), 페이지 64-85
- ^ Čulík, Jan. "Den, kdy tanky zlikvidovaly české sny Pražského jara". Britské Lis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23 January 2008.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156
- ^ 윈저, 필립, 아담 로버츠.체코슬로바키아 1968: 개혁, 억압, 저항.1969년 런던, Chatto & Windus, 페이지 97–143.
- ^ 킨, 존.바클라프 하벨: 6막의 정치적 비극.블룸즈베리 출판, 1999, 페이지 215
- ^ "Jan Palach". Radio Prag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12. Retrieved 19 February 2008.
- ^ 고르바네프스카야 (1972년)
- ^ a b 주티칼라, 피리넨(2001)
- ^ a b c Devlin, Kevin. "Western CPs Condemn Invasion, Hail Prague Spring". Blinken Open Society Archives. Retrieved 8 September 2021.
- ^ 앤드류, 미트로힌(2005년), 페이지 444
- ^ a b c 프랑크 (1985)
- ^ a b c d 리아, (1975) 페이지 22.
- ^ 냉전의 실제 역사: 앨런 액슬로드의 새로운 과거 모습
- ^ Joseph, Lawrence E (2 December 1990). "International; Prague's Spring into Capitalis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 February 2008.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시
- ^ "Alexander Dubcek". Spartacus Educ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08. Retrieved 25 January 2008.
- ^ a b 괴르츠(1995), 페이지 154~57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164
- ^ 고르바초프(2003), 페이지 x
- ^ Kaufman, Michael T. (12 April 1987). "Gorbachev Alludes to Czech Invasio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4 April 2008.
- ^ 요리사(2001), 페이지 320-21
- ^ "Alexander Dubcek, 70, Dies in Prague (New York Times, 8 November 1992)".
- ^ 브렌, 페이지 28
- ^ 윌리엄스, 페이지 147
- ^ 윌리엄스, 페이지 148
- ^ 브렌, 페이지 29
- ^ 윌리엄스, 페이지 175
- ^ 윌리엄스, 182쪽
- ^ 윌리엄스, 페이지 183
- ^ 윌리엄스, 페이지 202
- ^ 아스파투리안(1980), 페이지 174
- ^ 데스팔라토비치(2000), 페이지 91-92
- ^ 윌리엄스(1997), 페이지 29
- ^ "Luboš Fišer". CZMIC. 5 Februar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07. Retrieved 23 January 2008.
- ^ Duffie, Bruce (1 December 2001). "Karel Husa, The Composer in Conversation with Bruce Duffie". New Music Connoisseur Magazine. Retrieved 23 January 2008.
- ^ 아리크 아인슈타인의 전기 – 솔로 해, 무마 (히브리어로)2010년 5월 15일 검색됨
- ^ "John Waters, The Events That Transpired it". Spring: The Events that Transpired it. 11 Februar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21 January 2008.
- ^ 쿤데라(1999), 페이지 1
- ^ 수보로프(1983), 페이지 1
- ^ Mastalir, Linda (28 June 2006). "Tom Stoppard's "Rock 'n' Roll"". Radio Prague. Retrieved 23 January 2008.
- ^ 마르골리우스-코발리(1986년), 178-92페이지.
- ^ a b Čulík, Jan (11 April 2008). "The Prague Spring as reflected in Czech postcommunist cinema". Britské Lis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08. Retrieved 16 April 2008.
- ^ 모리슨(2006), 페이지 158-59
- ^ "Legends of Hockey, Jaromír Jágr". Hockey Hall of Fame and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07. Retrieved 23 January 2008.
- ^ Ward, Colin (1973). Anarchy in Action.
- ^ a b Skovajsa, Marek (2014). "Total and Foreign-Journal Citedness of Sociologický časopis: The Results of a Citation Analysis". Czech Sociological Review. 50 (5): 671–712. doi:10.13060/00380288.2014.50.5.119. ISSN 0038-0288.
- ^ "Jan Palach Memorial". Atlas Obscura. Retrieved 24 August 2019.
- ^ "Memorial to the Victims of Communism Prague Czech Republic AFAR". www.afar.com. 6 June 2019. Retrieved 24 August 2019.
- ^ Mortkowitz, Siegfried (21 August 2018). "Czech president under fire for skipping Prague Spring commemoration". Politico. Retrieved 24 August 2019.
- ^ Foltynova, Kristyna. "The Invasion of Czechoslovakia Through Women's Eyes".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Retrieved 24 August 2019.
참고 문헌 목록
- Aspaturian, Vernon; Valenta, Jiri; Burke, David P. (1980). Eurocommunism Between East and West. Indiana Univ Pr. ISBN 978-0-253-20248-2.
- 비쇼프, 귄터 외 에드(2010년)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 봄과 바르샤바 조약 침공, 510 pp.ISBN 978-0-7391-4304-9
- Chafetz, Glenn (1993). Gorbachev, Reform, and the Brezhnev Doctrine: Soviet Policy Toward Eastern Europe, 1985–1990. Praeger Publishers. ISBN 978-0-275-94484-1.
- Christopher, Andrew; Mitrokhin, Vasili (2005).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Basic Books. ISBN 978-0-465-00311-2. Retrieved 9 October 2009.
- Cook, Bernard (2001).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Routledge. ISBN 978-0-8153-1336-6.
- Despalatović, Elinor.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Penn State Press. ISBN 978-0-271-01979-6. Retrieved 9 October 2009.
- Dubček, Alexander; Hochman, Jiří (1993). Hope Dies Last: The Autobiography of Alexander Dubcek. Kodansha International. ISBN 978-1-56836-000-3.
- 엘로 (에드), 폴 (1968년)두브체크의 자유 청사진을 보면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통제위원회,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행동계획'(Prague, 1968년 4월)은 다음과 같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침공으로 이어진 그의 원본 문서들.윌리엄 킴버 주식회사
- Fowkes, Ben (2000). Eastern Europe 1945–1969: From Stalinism to Stagnation. Longman. ISBN 978-0-582-32693-4. Retrieved 9 October 2009.
- Franck, Thomas M. (1985). Nation Against Nation: What Happened to the UN Dream and What the U.S. Can Do About It.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3587-2.
- Goertz, Gary (1995). Contexts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6972-2.
- Gorbachev, Mikhail; Mlynař, Zdeněk (2003). Conversations with Gorbachev: On Perestroika, the Prague Spring, and the Crossroads of Soci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1865-1.
- Gorbanevskaya, Natalia (1972). Red Square at Noon. Holt, Rinehart and Winston. ISBN 978-0-03-085990-8.
- Grenville, J.A.S. (2005). A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Routledge. ISBN 978-0-415-28955-9.
- Hermann, Konstantin (2008). Sachsen und der "Prager Frühling". Beucha: Sax-Verlag. ISBN 978-0-415-28955-9.
- Judt, Tony (2005). Postwar: A History of Europe Since 1945. Penguin Press. ISBN 978-1-59420-065-6.
- Jutikkala, Eino; Pirinen, Kauko (2001). Suomen historia (History of Finland). ISBN 978-80-7106-406-0.
- Kundera, Milan (1999).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HarperCollins. ISBN 978-0-06-093213-8.
- Kusin, Vladimir (2002). The Intellectual Origins of the Prague Spring: The Development of Reformist Ideas in Czechoslovakia 1956–1967.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2652-4.
- Margolius-Kovály, Heda (1986). Under a Cruel Star: A life in Prague 1941–1968. New York: Holmes & Meier. ISBN 978-0-8419-1377-6.
- Morrison, Scott; Cherry, Don (2006). Hockey Night in Canada: By The Numbers: From 00 to 99. Key Porter Books. ISBN 978-1-55263-984-9.
- Navazelskis, Ina (1990). Alexander Dubcek. Chelsea House Publications. ISBN 978-1-55546-831-6.
- Navrátil, Jaromír (2006). The Prague Spring 1968: A National Security Archive Document Reader (National Security Archive Cold War Reader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7326-67-7.
- Ouimet, Matthew (2003). The Rise and Fall of the Brezhnev Doctrine in Soviet Foreign Policy. Chapel Hill and Lond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Rea, Kenneth (September 1975). "Peking and the Brezhnev Doctrine". Asian Affairs. 3 (1).
- Skilling, Gordon H. (1976). Czechoslovakia's Interrupted Revolu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ISBN 누락]
- Stoneman, Anna J.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프라하 봄의 리더십과 유산"역사 교사 49.1(2015년): 103–125. 온라인
- Suvorov, Viktor (1983). The Liberators. London: New English Library, Sevenoaks. ISBN 978-0-450-05546-1.
- 티스마네슈, 블라디미르.1968년 위기, 환상, 유토피아의 약속 (부다페스트:중앙 유럽 대학 출판부, 2011).
- Williams, Kieran (1997). The Prague Spring and its Aftermath: Czechoslovak Politics, 1968–19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8803-4.
- 잔토프스키, 마이클하벨: A Life (대서양, 201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프라하 봄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아카이브(marxists.org)
-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사건 다큐멘터리
- Think Quest – 1968년 프라하의 봄
- 라디오 프리 유럽 – 1968년 침략으로 이어진 사건 연대기
- 프라하 라이프 – 프라하 봄의 더 많은 정보
- 프라하의 봄, 40년 연속 – 첫 포스트에 의한 슬라이드쇼
- 침략의 희생자 – 사인이 있는 바르샤바 조약 침공 피해자 목록
- 제13차 체코슬로바키아공산당대회 이후 당과 사회의 위기발전에서 얻은 교훈, 공산당의 프라하 봄 설명.
- Praha 1968년 유튜브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