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로얄
Daewoo Royale대우 로얄 | |
---|---|
![]() 2세대 대우 로얄 살롱(1978~1993) | |
개요 | |
제조사 | 제너럴모터스 코리아(1972~1976) 새한 (1976–1983) 대우(1983~1993) |
생산 | 1972–1993 |
연식 |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4도어 세단 |
플랫폼 | GM V |
연대기 | |
후계자 | 대우 아카디아(임페리얼 교체) 대우 프린스(교체 로얄) |
대우 로얄은 국내에서도 1983년부터 대우차가 생산한 중형차 시리즈로, 최고급 대우 임페리얼의 생산이 1993년까지 이어졌지만 1991년 대우 프린스로 대체됐다. 로얄의 전임자는 1972년 제너럴모터스코리아(GMK)가 레코드로 출범해 1976년 새한모터스가 GMK를 대체하면서 1978년 생산이 종료될 때까지 새한레코드가 됐다. 이 차는 독일 오펠 레코드 D의 버전이었다.
2세대 새한 레코드는 1978년 새한 로얄과 함께 시작된 오펠 레코드 E. 프로덕션의 발전이었다. 로얄은 오펠 상원의원 A로부터 앞부분이 접이식된 레코드 E의 몸통이었다. 새한 로얄은 1983년 대우 로얄이 되었고, 새한 레코드는 단종되어 대우 로얄 XQ로 로얄 라인업에 편입되었다. 1989년 표준 로얄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대우 임페리얼이 도입되었다. 1991년 로얄 생산이 종료된 가운데 임페리얼즈는 1993년까지 계속되어 대우 아카디아로 대체되었다.
1세대(1972~1978)
외부 이미지 | |
---|---|
![]() | |
![]() |
1세대 | |
---|---|
![]() 1975년 한국GM 레코드 로얄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레코드: 오펠 레코드 D 레코드 로얄: 오펠 코모도어 B |
생산 | 1972–1978 |
제너럴모터스 코리아(GMK)는 1972년 8월 레코드를 출시했다.[1] GMK 레코드는 독일인이 설계한 오펠 레코드 D를 기반으로 했다.[2] 1975년 8월 GMK에 의해 레코드 로얄로 알려진 레코드의 버전이 출시되었다.[1] 로얄 버전은 기본적으로 엔진 베이가 길어진 오펠 레코드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1만2,005개의 루아얄이 1975년과 1978년 사이에 생산되었다.[2] 1976년 11월 GMK는 새한 모터스로 명칭을 변경하였고,[1] 그 결과 레코드와 레코드 로얄은 새한 레코드와 새한 레코드 로얄이 되었다.
2세대(1978~1993)
2세대 | |
---|---|
![]()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대우제국 |
생산 | 1978–1993 |
차체 및 섀시 | |
관련 | 레코드: 오펠 레코드 E 로얄(초기): 홀든 코모도어(VB–)VH) Opel Rekord E1/상원 A1(Commodore C) Royale(중간): 오펠 레코드 E2/상원 A2 Royale(늦은 시간: 오펠 상원의원 A2 |
제2세대 새한 레코드는 오펠 레코르드 E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1978년 새한 로얄(Saehan Royale)과 함께 도입되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레코드 E(Rekord E)로서 더 큰 상원의원 A의 앞쪽 끝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983년 1월 대우조선이 지배권을 획득한 후 새한자동차는 대우조선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동시에 새한 로얄은 대우 로얄로 개명되었고,[4] 새한 레코드는 로얄레인지에 흡수되어 로얄 XQ로 알려지게 되었다.[5] XQ의 생산은 1987년에 끝났다.[6]
1984년 11월까지 로얄 차체 패널은 호주의 홀덴에 의해 찍혔고, 그곳에서 레코드와 세네이터 하이브리드는 홀덴 코모도어로 제조되었다.[7] 1984년 11월 이후 대우차는 새로 설치된 생산라인에서 자체 패널을 누르기 시작했다.[7] E1 바디스타일은 계속해서 로얄 XQ와 디젤로 제작되었고, 프린스는 상원의원 A2의 프런트 엔드를 받았다. 그러나 모든 국산 포탄은 크고 다소 경사진 직사각형 미등이 달린 독특한 후면 프레스를 받아 길이가 약 5cm(2인치) 늘어났다.[8] 로얄 살롱은 1987년에 완전히 새로운 전선을 받을 때까지 상원의원 A1의 프런트 엔드로 계속되었다. 로얄 살롱 슈퍼는 1986년에 도입되었다. 다만 살롱 슈퍼는 오펠 레코드 E2/세네이터 A2 하이브리드를 4창 유리집 디자인에 활용했던 다른 로열티와는 달리 A 상원의원의 6창 디자인을 활용했다.[9] 두 번째 설계 개정은 1987년에 새로운 프런트 엔드 설계와 함께 약간의 트림 변경과 함께 수정된 그릴과 헤드램프를 특징으로 했다. 로얄 살롱과 같은 저사양 버전은 4창 디자인을 유지했지만, 로얄 슈퍼 살롱은 현재 단종된 살롱 슈퍼의 6창 디자인을 계속 사용했다.[10] 구식 XQ와 디젤은 매끄럽고 직립하며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부가 완전히 새로워졌다. 1989년은 또 다른 디자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Royale Prince는 새로운 그릴 삽입물을 물려받았고 6개의 창으로 된 유리집을 채택했다.[11] 1989년부터 대우조선은 로얄 레인지와는 별도로 시판된 최고급 임페리얼을 선보였다.[12] 황실 생산은 1993년에 끝났고, 대우 아카디아로 대체되었다.[13]
사양 레벨
외부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대우 로얄 엔진은 4기통 오펠 유닛으로,[14] 대우차는 디젤, 살롱, 듀크, XQ, 프린스:[15]
- Royale Diesel(1980년[16] 5월 ~ 1989년 4월): 1987년 초순부터 로얄 듀크 디젤로, 오펠의 2.0L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 Royale Salon(1980년 9월 – 1991년 9월): 1979년형 cc 엔진과 3단 자동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이 파워트레인 조합은 100PS (74 kW) (DIN)과 156 N⋅m (115 ft⋅lb) (DIN)을 생성하였다. 최고 속도는 170km/h(110mph)로 결정되었다.[17]
- 로얄 살롱 슈퍼: (1986년 3월 - 1987년 3월):[16] 이 완비된 모델(디지털 대시보드, 트립 컴퓨터, EFI 등)은 상원의원의 6창 유리 집을 사용한다.
- 로얄 슈퍼 살롱: (1987–1991):
- Royale Duke (1987년 2월 – 1989년 3월): 보다 현대적인 1498 cc 엔진을 장착한 새로운 하급 모델.
- Royale XQ(1983년 8월 – 1987년): 1492cc 엔진과 4단 수동 변속기가 장착됨. 이 파워트레인 조합은 44 kW(60 PS; 59 hp)와 100 N⋅m(74 ft⋅lb)을 생산했다. 최고 속도는 135km/h(84mph)로 결정되었다.[18]
- Royale Prince(1983년 7월– 1991년 6월): 1897년식 cc 엔진과 4단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E2 차체를 사용했다. 이 파워트레인 조합은 63 kW(86 PS; 84 hp)와 142 N⋅m(105 ft⋅lb)을 생산했다. 최고 속도는 168km/h(104mph)로 결정되었다.[19]
- 대우제국(1989년 2월 ~ 1993년 중반): 임페리얼은 현대 소나타와 그랜저에 대응하여 개발된 로얄의 궁극적인 발전이었다.[20] 임페리얼 스타일링은 현대식 크라이슬러 임페리얼과 뉴요커 뿐만 아니라 일부 일본 고급 세단을 연상시켰다. 그것의 공식적인 지붕 선과 전면과 후면 스타일링이 차의 오펠 상원의원 뿌리를 덮는 데 도움이 되었다.[13] 임페리얼은 비닐 지붕, Bosch ABS, 디지털 계기, 크루즈 컨트롤, 자동 실내 온도 조절 에어컨, 파워 윈도우, 파워 도어 잠금 장치, 파워 스티어링, 트립 컴퓨터, 가죽 장식물로 지정되었다.[21] 2969cc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도 장착됐다.[20] 이 파워트레인 조합은 135 kW(181 hp)와 230 Nmm(170 ftlb)을 생산했다.[20] 최고 속도는 195km/h(121mph)로 결정되었다.[20]
참조
- ^ a b c "1970~1979" (in Korean).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November 2014.
- ^ a b КАДАКОВ, Максим. Между прошлым и будущим (in Russian). Газета АВТОРЕВЮ.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0. Retrieved 20 March 2008.
- ^ 셰퍼스(1998–2008) "1973 레코드"의 길이는 457cm이고 "1976 레코드 로얄"은 462cm라고 한다. 이 두 길이는 각각 오펠 레코드 D와 오펠 코모도어 B의 길이에 해당한다.
- ^ "Saehan (새한)" (in Korean). Samsung Transportation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ly 2012.
- ^ "Daewoo (대우)" (in Korean). Samsung Transportation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2.
- ^ "Saehan Rekord royale (새한 레코드 로얄)" (in Korean). Samsung Transportation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0. Retrieved 21 September 2009.
- ^ a b 로버슨(1984) 페이지 32. "현재 GM-H가 누르는 코모도어 패널은 다이우[sic] 로얄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계약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내가 그곳에 있는 동안 그들은 11월까지 패널들을 누를 새로운 프레스 라인을 설치하고 있었다.
- ^ 셰퍼스(1998–2008)
- ^ 셰퍼스(1998–2008)
- 1986년 대우 로얄: 살롱 슈퍼
- ^ 셰퍼스(1998–2008)
- ^ "1989 Daewoo Imperial (television commercial)" (in Korean). Daewoo Motors. 1989. Retrieved 10 September 2009.
- ^ "1989 Daewoo Royale Prince (television commercial)" (in Korean). Daewoo Motors. 1989. Retrieved 21 September 2009.
- ^ a b "Daewoo Imperial". Autocade. JY&A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0. Retrieved 17 October 2009.
- ^ 로버트슨(1984), 페이지 31. "...멜버른에서 선적된 홀든 코모도어 차체 패널과 오펠 1.9리터, 2.0리터 4기통 엔진을 이용해 대우가 만든 로얄[sic]이라는 자동차.."
- ^ Aspee, Diego. "Daewoo's 60' 70' y 80'"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0. Retrieved 20 March 2008.
- ^ a b "1980~1989" (in Korean).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November 2014.
- ^ "1985 Daewoo Royale Salon". Carfoli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1. Retrieved 20 March 2008.
- ^ "1985 Daewoo Royale XQ". Carfoli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1. Retrieved 20 March 2008.
- ^ "1985 Daewoo Royale Prince". Carfoli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1. Retrieved 20 March 2008.
- ^ a b c d "1989 Daewoo Imperial (aut. 4) (model since February 1989 for Asia Korea DM) car specifications & performance data review". Automobile-catalog.com. Retrieved 31 December 2021.
- ^ "대우자동차 임페리얼 DAEWOO Imperial - 국산 첫 3000CC 엔진, ABS를 장착한 고급차". 국산 자동차 이것저것 (in Korean). 27 August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0. Retrieved 20 September 2009.
참고 문헌 목록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대우 로얄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Robertson, David (September 1984). "A new contender". Modern Motor.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n Consolidated Press.
- Schaefers, Martin (1998–2008). "Rekord body history". Far East Auto Literature. Retrieved 21 Septemb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