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라세티

Daewoo Lacetti
대우라세티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2009
개요
제조자대우(제너럴모터스)
생산.2002~2011 (대한민국)
2003-현재 (지엠 우즈베키스탄)
차체 및 섀시
학급소형차 (C)
배치도전륜구동, 전륜구동
연표
선대대우누비라
후계자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쉐보레 크루즈
뷰익 엑셀 (2세대) (중국)

대우 라세티는 한국GM이 2002년부터 세계적으로 생산, 판매하고 있는 소형차입니다.1세대 라세티는 피닌파리나디자인한 4도어 세단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으로 출시되었으며, 5도어 해치백조르제토 주기아로가 디자인했습니다.세단과 마차는 유럽 시장에서는 대우 누비라로, 북미에서는 스즈키 포렌자로 판매되었습니다.해치백은 2004년에 출시되어 한국에서는 대우 라세티5, 미국에서는 스즈키 리노로 판매되었습니다.2004년 모델 이후 유럽에서는 쉐보레 누비라와 라세티, 캐나다,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인도, 일본, 동남아시아에서는 쉐보레 옵트라,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홀든 비바로 시판되었습니다.

2008년, 2세대 라세티는 GM대우, 홀든, 제너럴 모터스가 공동 개발한 쉐보레 크루즈배지 엔진 버전인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로 출시되었습니다.2011년 초까지 대우라는 브랜드로 판매되었으며 이후 쉐보레와 홀든 브랜드로 판매되었습니다.

라세티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젊음"을 뜻하는 라세투스(Lacertus)에서 유래했습니다.[1]

1세대(J200; 2002)

1세대(J200)
개요
라고도 합니다.
  • 뷰익 엑셀 (중국)
  • 쉐보레 옵트라
  • 대우 누비라 (유럽, 스테이션 왜건 및 세단, 2002-2005)
  • Chevrolet Nubira (유럽, 스테이션 왜건 및 세단, 2005-2009)
  • 쉐보레 라세티 (유럽, 해치백, 2005-2009; 우즈베키스탄)
  • 대우 젠트라 (우즈베키스탄, 2013~2015)
  • 라본 젠트라 (러시아, 2015~2020)
  • 쉐보레 에스테이트 (인도네시아, 왜건)
  • 홀든 비바 (호주)
  • 스즈키 리노 (미국, 해치백)
  • 스즈키 포렌자(미국, 세단)
생산.2002~2009 (대한민국)
2004~2013 (콜롬비아)
2003~2016 (중국)
2003-2012 (인도)
2007~2012 (러시아)
2008-현재 (우즈베키스탄)
어셈블
디자이너피닌파리나의 고란 포포비치(세단, 역마차)
이탈리아 디자인조르제토 주기아로 (해치백)
차체 및 섀시
바디스타일4도어 세단
5도어 해치백
5도어 스테이션 웨건
플랫폼대우제이
관련된바오쥔 630
파워트레인
엔진 1.4 LE-TECI4 (휘발유)
1.5 LE-TEC I4(휘발유)
1.6 LE-TEC I4(휘발유)
1.6 LE-TEC I4 (휘발유/CNG, Optra CNG)
1.8L 패밀리 II I4(휘발유)
2.0L 패밀리 II I4(휘발유)
2.0L RA 420 I4 (디젤)
변속기4단 자동
5단 수동
치수
휠베이스102.4인치(2,601mm)
길이177.2인치(4,501mm)(sedan)
169.1인치(4,295mm) (hatch백)
179.7in (4,564mm) (역마차, 스즈키)
180.3in (4,580mm) (역마차,쉐보레)
67.9인치(1,725mm)
높이56.9인치(1,445mm) (sedan&해치백)
59.1in (1,501mm) (역마차)
연석중량2,756–2,855 lb (1,250–1,295 kg)
연표
후계자쉐보레 크루즈
스즈키 SX4 (미국)

라세티는 GM에 인수되기 전 대우 산하의 전임 누비라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3]피닌파리나가 설계한 4도어 세단은 2년 6개월의 개발 기간을 [4]거쳐 2002년 11월 25일 대한민국에 출시되었습니다.

Giorgetto Giugiaro가 디자인한 5도어 해치백의 사전 생산 프로토타입은 2003년 9월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선보였으며 12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었습니다.[5]해치백은 세단과는 다른 외관과 내부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2004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대우차는 핀파리나가 디자인한 스테이션 왜건 차체에 해치백의 최신 인테리어와 세단의 전면부 스타일을 페이스 리프트한 파생 모델을 선보였습니다.페이스리프트는 3슬롯 그릴을 단일 품목으로 대체하여 회사 로고가 중앙에 씌워져 있는 대담한 가로 바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전장 품목을 선보였습니다.왜건의 도어 손잡이는 세단에서 리프트업된 다양한 차량을 버리고 해치백 버전으로 인출됩니다.[6]3월 25일, 새로운 도어 핸들, 프론트 엔드 스타일링 및 인테리어 변화를 통합한 세단용 페이스 리프트가 출시되었습니다.해치백은 또한 이 무렵에 새로운 문 손잡이를 받았습니다.

세단은 2007년부터 일부 시장을 대상으로 페이스리프트되어 출시된 이래로 해치백과 동일한 프론트 엔드를 받았습니다.이 버전은 콜롬비아, 인도, 태국 등 특정 국가에서만 생산되었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2013~2016년 대우 젠트라로 생산되었습니다.[7]

마케팅 및 생산

대한민국.

한국에서, 4도어 대우 라세티는 2002년에 출시되었습니다.5도어 해치백은 2004년 새로운 전면 그릴을 주로 포함한 세단의 페이스리프트 후에야 선보였는데, 3부로 구성된 대우 그릴에서 더 단순한 쉐보레 스타일의 그릴로 바뀌었습니다.해치백 이름은 Lacetti5로, 전면, 후면, 대시보드에 대한 특정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라세티 왜건(Lacetti Wagon)이라고 불리는 왜건 버전은 2007년 말에 출시되었지만, 이미 많은 다른 나라에서 판매되었습니다.해치백과 동일한 계기판을 가지고 있었고, 세단 프론트 엔드가 있었습니다.이와 함께 GM대우는 라세티 제품군에 VM 모토리 디젤 엔진을 출시했습니다.

2008년 11월에 라세티 프리미어가 출시되었을 때, 세단과 왜건 버전의 판매가 중단되어 라세티 EX로 이름이 변경된 유일한 해치백이 되었습니다.라세티 EX는 2009년 10월에 단종되었습니다.

같은 해, 쉐보레 옵트라는 1.6리터 엔진과 수동변속기로 이라크 시장에 진출했고, 몇 년 후 이라크 정부는 LS 버전을 교통경찰 차량으로 사용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대우 라세티는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2003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4도어 세단으로 잠시 판매되었습니다.[8]이때 대우는 호주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9]90kW(120hp) 및 165N ⋅m(122lb ⋅ft)의 1.8리터 엔진을 장착한 라세티는 표준 5단 수동 변속기 또는 옵션인 4단 자동 변속기를 제공했습니다.SX라고 불리는 단일 트림 레벨에는 듀얼 프론트 에어백, 에어컨, 파워 스티어링, 키리스 엔트리, 파워 윈도우, CD 플레이어 및 알람이 포함됩니다.[10]2003년 10월에 출시된 SX 리미티드 스페셜 에디션에는 잠금 방지 브레이크, 사이드 임팩트 에어백, 알로이 휠, 실내 온도 조절 에어컨, 6스택커 CD 플레이어, 틸트/텔레스코픽 스티어링 휠, 조수석 허리 지지대, 가죽 트림이 추가되었습니다.[11]

2005년부터 라세티(세단과 마차)와 라세티 해치백은 JF 시리즈 홀든 비바로 함께 판매되었습니다.대우 젠트라에 본사를 둔 홀든 바리나와 비슷한 시기에 선보였습니다.그러나 바리나와는 달리, 비바는 예산 대안으로 프리미엄급인 홀든 아스트라보다 낮아야 했습니다.

Astra(21,990 호주달러 대비 17,990 호주달러) 대비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Astra는 약 2대 1로 Viva를 계속 앞질렀습니다.[12]

2009년 중반 올 뉴 홀든 크루즈가 출시되면서 비바는 호주에서 판매를 중단했습니다.일본에서 중고로 수입되는 자동차가 많은 뉴질랜드에서는 일본 사양의 쉐보레 옵트라 세단과 마차도 여러 대 팔렸습니다.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4도어 해치백(Optra5)과 옵트라 왜건(Optra Wagon)이라는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모두 LS 또는 LT 트림 수준이었습니다(2005 Wagon은 기본 또는 LS 트림 수준만 있었습니다).이 세단은 2004년과 2005년에 출시되었으나 2006년에 출시되었습니다.모두 5400rpm에서 119hp(89kW), 4000rpm에서 126lb ⋅ft(171N ⋅m)의 토크로 5단 수동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를 통해 앞바퀴를 구동하는 2.0L 인라인 4D-TEC 엔진으로 구동됩니다.소형차와 2.0ℓ 엔진에도 불구하고 시내와 고속도로 주행의 경우 각각 10.7L와 7.4L/100km(22, 32mpg‑US)로 연비가 좋지 않았는데, 옵트라가 소형차인 점을 감안하면 도요타 캠리나 혼다 어코드 같은 중형차보다 나빴습니다.[13]

Optra의 주요 판매 포인트는 $12,000 MSRP의 저렴한 가격이었습니다.[14]이 차는 다재다능하고 운전하기에 재미있지만 저렴한 가격의 소형 패밀리 카로 자리 잡았습니다.옵트라는 코발트강아베오강 사이에 자리잡았고, 대우 누비라를 대체했습니다.

브레이크는 디스크, 앞과 뒤가 있습니다.LS 세단에는 독립 서스펜션, 15인치 휠 및 CD 플레이어가 기본으로 제공되었으며 ABS 및 에어컨이 옵션으로 제공되었습니다. LT에는 표준 에어컨 및 크루즈 컨트롤, LS 및 LT 모두에 표준 안개등 및 선루프가 추가되었습니다.이 세단은 초저배출 차량으로 평가됩니다.

Optra5 해치백은 2004년 라인업에 추가되었으며 프로젝터 타입 헤드라이트와 안개등, 투명 테일라이트 렌즈, 블랙아웃 그릴 등으로 스타일과 장비 면에서 더욱 현대적이었습니다.세단 LS 및 LT 모델에서 동일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옵션 패키지에는 알로이 휠, 선루프, 스포일러, 가죽 스티어링 휠 및 시프트 노브, 8 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을 위한 스티어링 휠 장착 컨트롤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Optra 왜건도 2005년 라인업에 추가되어 세단의 전면 스타일을 공유했습니다.이 왜건에는 표준 알로이 루프 레일, 60/40 접이식 리어 시트, 리어 컴파트먼트에 12볼트 전원 콘센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세단 LS 및 LT 모델에서도 동일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eneral Motors Canada는 2008년 Optra의 수입을 중단하여 2007년이 마지막 연식입니다.[13]

중국

중국에서는 뷰익 엑셀 세단 또는 왜건과 엑셀 HRV(해치백)로 판매되고 있습니다.중국에서도 조립되는 이 세단은 외관이 업데이트된 것이 특징입니다.

대우 라세티 기반의 뷰익 엑셀의 후속 모델은 오펠 아스트라쉐보레 크루즈 등 글로벌 GM 델타 II 플랫폼과 그 파생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독일 뤼셀하임 오펠 공장의 개발센터가 이 플랫폼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2009년 첫 선을 보인 이 2세대 해치백 뷰익 엑셀 XT는 사실 중국 조건에 맞춘 오펠 아스트라 해치백의 복제품입니다.해당 세단(Excellle GT)은 2010년 중국에서 첫 선을 보였습니다.이 북미용 세단의 버전은 2012년식에 Buick Verano로, 그리고 세계 다른 지역에서 Opel Astra 세단으로 소개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하지만 라세티를 기반으로 한 1세대(엑셀) 세단은 2016년까지 중국 시장을 겨냥해 계속 생산됐습니다.[15]

유럽

쉐보레 라세티 해치백 (독일)
쉐보레 누비라 왜건 (독일)

유럽에서는 2003년 9월 제60회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모델을 선보이면서 대우 누비라라는 이름으로 처음 판매되었습니다.하지만, 2004년 말까지, 그것은 대륙 전역에 쉐보레 라세티로 다시 포장되었습니다.국내 시장과 마찬가지로 일부 유럽 시장에서는 동일한 J 시리즈 플랫폼에서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의 전체 범위에 라세티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예를 들어 핀란드와 독일에서는 해치백만 라세티라는 이름으로 팔립니다.

유럽 모델은 처음에는 다음과 같은 가솔린 엔진만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

  • 1.4 LE-TEC II—6300rpm에서 93마력(69kW)
  • 1.6L 패밀리 1—5800rpm에서 109hp(81kW), 0–100km/h(0–62mph): 10.9초(4도어) 및 10.6초(5도어), 최고 속도: 186km/h(4도어 수동) 및 184km/h(114mph)(5도어 수동)
  • 1.8L 제품군 II—5800rpm에서 120마력(89kW)
  • 2.0 LD-TEC - 5800rpm에서 132마력(98kW)
  • 2.0 L DOHC—121 bhp(90 kW), 0~100 km/h(0~62 mph): 9초, 최고 속도: 202 km/h(126 mph)(4도어 수동)

디젤 엔진 버전은 나중에 다음과 같은 사양으로 라인업에 추가되었습니다.

  • 2.0리터 SOHC 터보 디젤 엔진, RA 420 SOHC(VM Motori 엔진 목록 참조), 121 bhp(90 kW), 280 N ⋅m(210 lb ⋅ft) 토크, 2000 rpm부터 0–100 km/h(0–62 mph)까지 9초 동안, 200 km/h(120 mph)의 최고 속도.이 엔진은 5단 수동식과 5단 자동식이 있습니다.[16]

유럽에서 세단형은 대우 누비라로 처음 판매되었습니다.그러나 2003년 말, 대우는 유럽 시장에서 쉐보레로 브랜드를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쉐보레 누비라는 2004년 초 동유럽에서만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대우차가 2004년 말까지 유럽 전역에서 쉐보레 브랜드를 변경했을 때, 2005년식 일부 시장에서 쉐보레 누비라의 이름이 쉐보레 라세티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한국에 맞춰 5도어 해치백 버전 외에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버전을 포함하도록 라세티 라인업을 확장한 것입니다.

누비라와 배지 엔진 쌍둥이를 위해 만들어진 엔진은 라세티 해치백과 배지 엔진 버전과 동일합니다.1.8리터 Family II 4기통 엔진은 호주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Holden에서 생산한 것입니다.

인디아

쉐보레 옵트라 매그넘 (인도)

2004년 인도에서 출시된 라세티는 옵트라로 판매되었으며 스포츠백 버전은 옵트라 S-RV(이전에는 쉐보레 SRV로 알려짐)로 판매되었습니다.

1.6 리터 가솔린은 104 bhp (78 kW)를 생산하고 최고 속도는 177 km/h (110 mph)를 허용한 반면, 1.8 리터 가솔린 형제는 114 bhp (85 kW)를 생산하고 191 km/h (119 mph)의 제한된 최고 속도를 낼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1.8리터 자동은 176km/h (109mph)의 속도를 낼 수 있었습니다.

2007년 GM 인디아는 옵트라 매그넘(Optra Magnum)이라 불리는 페이스 리프트 디젤 엔진 옵트라를 선보였습니다.매그넘은 가솔린 버전에 비해 뛰어난 인테리어와 더불어 121bhp(90kW)의 새로운 2.0리터 TCDi 엔진을 자랑합니다.그 후 가솔린 버전은 새로운 노즈 처리(프론트 그릴이 약간 다른 Optra SRV)와 테일 라이트를 적용받아 Optra Magnum 가솔린으로 판매되었습니다.

S-RV는 더 싼 차들과의 경쟁에 굴복했고 결국 2009년에 단종되었습니다.1.6리터 가솔린 엔진을 장착해 최대 출력은 101 bhp(75 kW).

옵트라 세단은 인도에서 2013년까지 계속 팔렸습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1.6리터 SE와 LS, 1.8리터 CDX 등 3가지 트림으로 출시됐습니다. SE 트림 모델은 수동변속기만 제공됐고 LS와 CDX 모델은 5단 수동변속기나 4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됐습니다.그러나 예상보다 판매가 저조했고 모든 모델이 판매에서 철수했습니다.

일본

일본에서 스즈키는 쉐보레 옵트라 왜건으로 라세티를 잠시 보급했습니다.[17]LS와 LT의 두 가지 트림 레벨로 출시되었습니다.두 모델 모두 5단 수동변속기 또는 콘솔 시프트가 적용된 4단 자동변속기가 함께 제공되었습니다.옵트라 왜건은 1.6리터 혹은 1.8리터 엔진으로 작동되었습니다.2004년과 2005년에는 일본에서 쉐보레 옵트라 LT로 판매되기도 했습니다.옵트라는 외부 치수가 1,700밀리미터(66.9인치)를 초과해 판매가 제한됐고, 이로 인해 일본 치수 규정을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 연간 세금을 내야 했습니다.

멕시코

멕시코에서 라세티는 2006년 쉐보레 캐벌리어를 대체할 옵트라로 시장에 나와 세단으로만 판매됐습니다.옵트라는 쉐보레 크루즈를 위해 2009년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되었지만, 현재 멕시코 크루즈는 한국에서 수입된 모델입니다.

콜롬비아

2004년 콜롬비아에서 쉐보레 Optra라는 브랜드로 출시된 라세티는 다음과 같은 엔진 옵션을 갖추고 있습니다.

  • 1.4L GM 제품군 I 엔진 E-TEC II, 6300rpm에서 94마력(70kW)
  • 1.8L GM 제품군 II 엔진 D-TEC, 5800rpm에서 121마력(90kW)

2006년 해치백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앞서 언급한 1.8리터 엔진만 장착되었습니다.2006년까지 1.4리터 엔진은 5800rpm에서 109마력(81kW)인 1.6L 패밀리 II E-TEC II로 대체되었습니다.또한 제공되는 모든 모델에 대해 휠의 디자인과 그릴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 차량은 LT 및 LTZ 트림으로 판매되었습니다.엘에스 트림은 콜롬비아 시장에서는 구매할 수 없었습니다.

2009년에는 쉐보레 옵트라 어드밴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페이스리프트를 받았는데, 해치백과 유사한 스포티한 인테리어와 전면 스타일로 GM의 1.6 및 1.8 엔진과 5단 수동변속기 및 4단 자동변속기가 함께 판매되었습니다.보고타 GM 공장(GM Colmotores)의 조립은 GM Colmotores 라인업의 현대화로 인해 2013년 중단되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에서는 2004년에 쉐보레 옵트라라는 이름으로 라세티가 출시되었고, 그것은 세단으로만 판매되었습니다.옵트라는 쉐보레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컴백했을 때 처음으로 들여온 모델 중 하나였습니다.옵트라는 쉐보레 크루즈를 위해 2009년식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되었습니다.

동남아

싱가포르에선 GM이 대우를 사들인 뒤 '쉐보레'라는 이름이 대우 명판을 대체했습니다.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에서 옵트라 세단, 옵트라 스테이션 왜건, 옵트라5 해치백 등의 이름을 붙이며 GM대우와 동일한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인도네시아에서 세단은 단순히 페이스 리프트 모델을 뜻하는 Optra 또는 Optra Magnum, 스테이션 왜건을 뜻하는 Estate로 불립니다.해당 차량은 1.6리터 또는 1.8리터 엔진을 사용하며, 일부 모델의 경우 자동 변속기 옵션이 적용됩니다.

미국

2002년 북미 사업이 종료되고 대우 누비라 스테이션 왜건세단이 교체된 이후 2004년부터 미국에서 포렌자와 리노로 포장된 라세티를 출시했습니다.포렌자/르노는 에어리오(이후 SX4)와 현재는 중단된 베로나 사이에 있습니다.북마리아나 제도에서는 쉐보레 옵트라로 판매되었으나 세단으로만 판매되었습니다.

미국 모델라인은 제너럴모터스(GM)가 만든 2.0리터 4기통 D-TEC5600rpm에서 132마력(98kW)의 최대출력을 발휘합니다.

포렌자와 리노는 2008년에 단종되었고, 리노는 스즈키 SX4 세단으로, 포렌자는 쉐보레 크루즈로 대체되었습니다.

이라크

쉐보레 옵트라는 2004년 1.6리터 엔진으로 이라크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몇 년 후 LS라는 용어는 교통경찰 순찰차로 사용되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2013 대우 젠트라 (페이스리프트)

우즈베키스탄에서는 2008년부터 GM 우즈베키스탄아사카에 위치한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쉐보레 라세티로 판매되고 있습니다.[18]2013년, 파트너 회사인 Uz-Daewoo Avto는 페이스 리프트 세단 버전을 새로운 대우 젠트라로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이것은 CIS 국가들을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19]2015년에는 라본 젠트라(Ravon Gentra)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UzAuto가 2020년에 라본 브랜드를 단계적으로 폐지한 후, 라본 젠트라/R5는 다시 쉐보레 라세티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20]쉐보레 라세티도 대우 젠트라와 같은 페이스리프트를 받았습니다.[21]

러시아

라본 젠트라

쉐보레 라세티로 판매되었으며 5도어 해치백, 세단 및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전 라인의 모델은 칼리닌그라드에 있는 애브토터 공장에서 2012년까지 제조 주기를 모두 마치고 생산되었습니다.

2014년, 우즈베키스탄의 GM 자회사인 우즈대우는 대우 젠트라라는 이름으로 라세티 세단을 수입하기 시작했습니다.우즈대우(현 GM 우즈벡)는 GM과 대우의 라이선스 계약이 종료된 후 러시아에서 대우와 쉐보레 명칭을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전 라인업을 라본(Ravon)으로 브랜드 변경했습니다(쉐보레는 2015년 초 경제 위기로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러시아 모델은 다음과 같은 가솔린 엔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4L: 95마력, 수동, 스테이션 왜건에는 사용할 수 없음
  • 1.6L: 110마력, 자동 및 수동(왜건은 수동만 해당)
  • 1.8L: 122마력, 자동 및 수동(왜건은 수동만 해당)

2020년, 라본 젠트라는 러시아의 라본 브랜드 전체와 함께 단종되었습니다.[22]

판매의

연도 멕시코[23]
2006 10,444
2007 21,798
2008 16,828
2009 10,518
2010 2,954

2세대(J300; 2008)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

GM 델타 II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2세대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쉐보레 크루즈로 판매되고 있습니다.대한민국에서는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Daewoo Lacetti Premiere)라는 브랜드를 사용하다가 2011년에 쉐보레로 브랜드를 변경했습니다.

라세티 기반의 뷰익 엑셀의 중국 후속 모델은 오펠 아스트라 해치백과 세단의 쌍둥이인 뷰익 엑셀 XT와 뷰익 엑셀 GT를 참조하십시오.

중국판에는 중국 광시성 류저우에서 제조된 바오쥔 630이라는 새로운 SAIC-GM-울링 합작법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24]2011년 상하이 오토쇼에서 출시되었으며, 2011년 8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25][26]

모터스포츠

이 차는 2005년부터 2012년까지 FIA의 세계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미디어

쉐보레 라세티는 2006년 생산이 중단된 스즈키 리아나를 대신해 탑기어 '합리적인 가격의 차'[27] 부문에 새로 '합리적인 가격의 차'로 선정됐습니다.쇼의 이 부분에서 유명인사 게스트들은 라세티를 운전하는 탑 기어 테스트 트랙의 시간적인 랩을 설정했습니다.

2010년 6월 27일 BBC2에서 방송된 탑기어 시리즈 15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파워 랩에 사용되었던 라세티는 발표자 리처드 해먼드에 의해 "바이킹 매몰"을 받았습니다.산업용 굴뚝이 철거돼 무너져 내려 차량이 거의 완전히 잔해에 매몰됐습니다.곧이어 합리적인 가격의 새로운 차인 기아 Ce'd가 시청자들에게 공개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 Newton, Bruce. "Daewoo looks for Lacetti boost". GoAuto. Retrieved 5 September 2016.
  2. ^ "UzAuto Motors started assembling cars of 5 models in Azerbaijan" (in Uzbek). 29 December 2021.
  3. ^ "Daewoo Lacetti 1.6 SX". Autocar. Retrieved 6 February 2014.
  4. ^ Newton, Bruce (13 November 2002). "First look: GM's first Daewoo". GoAuto. Retrieved 2015-10-14.
  5. ^ Mathioudakis, Bryon (15 September 2003). "Lacetti hatch delayed". GoAuto. Retrieved 2015-10-14.
  6. ^ Mathioudakis, Bryon (16 March 2004). "First look: New Lacetti wagon waits in the wings". GoAuto. Retrieved 2015-10-14.
  7. ^ "Daewoo Gentra". Wroom.ru. Retrieved 29 March 2017.
  8. ^ "Daewoo Lacetti – Used Car Research". GoAuto. Retrieved 2015-10-16.
  9. ^ a b "Daewoo Lacetti (J200 Lacetti)". GoAuto. Retrieved 2015-10-16.
  10. ^ Knowling, Michael (5 December 2003). "New Car Test – Daewoo Lacetti SX". AutoSpeed. Retrieved 2015-10-16.
  11. ^ "Limited Edition Release of Kalos and Lacetti". AutoWeb. 16 Octo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15. Retrieved 2015-10-16.
  12. ^ "New Car Comparison". drive.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11. Retrieved 2008-06-14.
  13. ^ a b "Chevrolet » Used Vehicle Review: Chevrolet Optra, 2004–2007". CanadianDriver. 2008-08-21. Retrieved 2009-10-14.
  14. ^ "Road test: 2005 Chevrolet Optra".
  15. ^ "GM China Retires The Buick Excelle After 13 Years Of Stellar Sales". Forbes.
  16. ^ "2010 Chevrolet Lacetti 2.0 D CDX Hatchback specs, photo & performance data (up to late-year 2010 for Europe )". Automobile-Catalog. Retrieved 2012-04-03.
  17. ^ GhostarchiveWayback Machine에 보관:
  18. ^ "Описание – Lacetti". ЗАО "ДжиЭм Узбекистан".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November 2013. Retrieved 10 December 2013.
  19. ^ "Uz-Daewoo Gentra – комплектации" [Uz-Daewoo Gentra – configuration] (in Russian). Za Rulem. 30 May 2013. Retrieved 10 December 2013.
  20. ^ ""UZAUTO MOTORS" ЭКСПОРТ БОЗОРЛАРИДА АВТОМОБИЛЛАРНИ CHEVROLET БРЕНДИ ОСТИДА СОТИШНИ БОШЛАМОҚДА" [UZAUTO MOTORS STARTS SALE OF CARS UNDER CHEVROLET BRAND IN EXPORT MARKETS]. 16 February 2020.(우즈벡어)
  21. ^ "Chevrolet Lacetti". 15 August 2022.
  22. ^ ""UZAUTO MOTORS" ЭКСПОРТ БОЗОРЛАРИДА АВТОМОБИЛЛАРНИ CHEVROLET БРЕНДИ ОСТИДА СОТИШНИ БОШЛАМОҚДА" [UZAUTO MOTORS STARTS SALE OF CARS UNDER CHEVROLET BRAND IN EXPORT MARKETS]. 16 February 2020.(우즈벡어)
  23. ^ "Venta al público y producción de vehículos ligeros por marca, modelo, segmento y país origen".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Geografía e Informática (INEGI) (in Mexican Spanish). Retrieved 2021-11-06.
  24. ^ "Giving Birth: GM Launches Chinese Baojun Brand, Unveils 630 Sedan". Motor Trend. 23 Nov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3. Retrieved 23 July 2013.
  25. ^ "Baojun 630 Sedan to Make Its Global Motor Show Debut at Auto Shanghai 2011". General Motors. 18 April 2010. Retrieved 24 July 2013.
  26. ^ "GM Launches New Baojun Auto Brand in China". Motor Trend. 9 August 2011. Retrieved 23 July 2013.
  27. ^ "Star in a Reasonably-Priced Car". bbc.co.uk. 2008-10-16. Retrieved 2010-1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