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릿 페미니즘

Dalit feminism
Aathi Thamilar Peravai women's empowerment conference in Salem, Tamil Nadu, 2009.
2009년 타밀 나두의 살렘에서 열린 아티 타밀라 페라바이 여성 권한 부여 컨퍼런스.

달릿 페미니즘달릿 인구 중 카스트와 성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페미니즘과 더 큰 여성 운동을 포함한 페미니즘 관점이다. 달리트 여성들은 주로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파키스탄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에 산다. 달릿 여성들은 이 나라들에서 더 높은 계급의 여성들과 다른 도전에 직면한다. 그들은 가난하고, 교육받지 못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될 가능성이 더 높다. 달리트 페미니스트들은 성별, 카스트, 그리고 다른 이슈들에 근거한 달리트 여성들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옹호하고 주장해왔다. 그들은 회의 연설을 하고, 조직을 만들었으며, 다른 달릿 여성들을 정치직에 선출하는 것을 도왔다.

배경

네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에도 달리트 여성들이 있지만 달리트 여성들은 인도에서 공식적으로 '예정된 카스트'로 알려진 것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외된 사람들의 일부분이다.[1][2] 네팔의 달릿 여성은 인구의 13.2%이다.[3] 1998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달릿 여성들은 대부분 펀자브 지역에 살고 있다.[4] 전체적으로 달리트 여성은 세계 인구의 2%로 세계에서 "사회적으로 가장 큰" 인종 차별 집단을 이루고 있다.[5] 달리트 여성들도 가난하게 사는 경향이 있고, 많은 여성들이 문맹이다.[6][7] 달릿 여성은 높은 카스트의 남성들뿐만 아니라 다른 달릿 남성들로부터도 억압에 직면해 있다.[8] 또한 달릿 집단들 사이에는 계급이 있는데, 어떤 달릿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사회적 규모에서 더 높다.[9]

달리트 여성들은 달리트 여성들에게 특별히 행해지는 폭력의 종류를 포함하여 더 높은 비율로 폭력에 직면한다.[5] 데바다시나 조기니제도와 같은 특정 유형의 강제 성매매는 달리트 여성을 위해 특별히 보호된다.[10] 또 폭력 피해자인 달리트와 그 가족들은 자신의 권리를 모르거나 자신의 권리를 알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1] 달릿 여성이 폭력적인 공격을 신고하면 경찰이 모습을 드러낼 수도 있지만,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수사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도 있다.[12] 키란 쿠마르 보두와 시바 나가야 볼레두 등에 따르면 달릿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억압 현상"으로 간주된다.[13] 달릿의 성별은 달릿 여성의 낮은 카스트 지위 때문에 더 높은 카스트들에 의해 오랫동안 "이탈로 구성"되어 왔다.[14] 그들의 몸은 영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성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15] 네팔에서 2013년에 실시된 한 연구에서 달리트 여성의 50.6%가 신체적, 성적 학대를 포함한 일상적 형태의 폭력에 직면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게다가 많은 네팔 달리트 여성들은 차우파디의 관행을 고수해야 한다.[17] 파키스탄에서 달릿 여성들은 납치와 이슬람으로의 강제 개종에 직면해 있다.[18]

역사적으로 달릿권리운동은 달릿남성에 더욱 집중되어 왔으며 달릿 여성 문제는 인도의 주류 페미니즘에 의해 종종 무시되어 왔다.[8][1] 주로 중산층과 상류층 여성들이 운영하는 더 큰 인도 여성 운동은 달리트 여성들로부터 그들이 독특하게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9] 인도의 페미니스트 학자들도 달리트 여성들이 직면한 카스트 문제를 무시해왔다.[20] 스와루파 라니(Swarupa Rani)가 표현한 대로 인도 여성주의자들은 모든 여성이 동일하다고 보고, 따라서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보았다.[21] 달릿 페미니스트들은 이 생각에 도전한다.[21] 달릿 페미니즘은 '카스트'와 '젠더'가 서로 배타적인 두 범주로 보여지는 대신 교차되는 것으로 그려져야 한다고 주장한다.[22]

역사

인도

1942년 7월 8일 Nagpur에서 열린 연방 회의 동안 예정된 카스트 연방의 여성 대표단과 함께 바바셰프 암베드카르 박사.

1920년대에 달릿 여성들은 반 카스트와 반건전성 운동에 적극적이었다.[5] 달릿 여성들은 1930년대에 비브라만 운동에 참여하였다.[23] 이러한 초기 단체들은 자녀 결혼, 결혼 지참금, 강제 미망인과 같은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24]

1942년, Nagpur에서 열린 All India Pressed Class Women Conference에 2만 5천 명의 달릿 여성들이 참석했다.[25] 이 회의의 회장인 술로차나바이 둥어산아제한을 주장했다.[26] 회의 기간 동안, 여성의 이혼 권리, 일부다처제, 노동 조건 개선, 여성의 정치 참여 개선, 하층 계급 여성에 대한 교육 향상을 주장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26]

달리트 여성들은 1970년대와 80년대 초반의 사회 운동에도 관여했다.[24] 1970년대에는 달릿 여성의 삶과 경험에 대한 자서전이 출간되기 시작했다.[25] 이 여성들 중 많은 수가 바바사헵 암베드카르에게서 영감을 받았다.[25] 1980년대와 1990년대 인도에서 주류 페미니스트 사상은 카스트를 둘러싼 이슈를 인식하기 시작했다.[27] 이는 카스트 문제를 다루지 않았던 70~80년대 각종 페미니스트 운동과는 확연한 변화였다.[19]

1987년 방갈로르에서 달릿여성의 첫 전국회의가 열렸다.[28] 1990년대에는 전국 달릿여성연맹, 올인도 달릿여성포럼 등 달릿여성들이 만든 여러 단체가 여러 국가 차원의 단체와 함께 결성되었다.[29] 달리트 여성들은 달리트 여성들을 위한 이런 종류의 조직들이 분열이나 분리주의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달리트 남성들과 비 달리트 여성들과의 지속적인 동맹의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조심스러웠다.[5] 하지만 달릿 여자들 역시 자신을 대변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30]

달릿 여성들은 1993년 인종차별 반대 세계회의와 1995년 세계여성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31]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여성회의에 앞서 달릿 여성들은 데흘리에서 전국대회를 열었었다.[32] 2001년 세계 인종차별 반대 회의를 위해 달릿 여성들은 카스트에 기초한 차별이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언어에 추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이런 종류의 언어를 추가하는 것은 인도 정부에 세계적인 압력을 가할 것이다.[33] 그러나 미국과 연대해 2001년 달리트 여성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한 조항이 삭제됐다.[34] 이 조항이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보도는 카스트에 기반한 차별이 마침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했다.[34]

2002년 달릿 여성들을 위해 쓴 최초의 신문인 하바르 라하리야(뉴스 웨이브)가 창간되었다.[35] 하바르 라하리야는 달리트 공동체의 이슈를 그들만의 언어로 집중한다.[35] 이 신문은 2009년에 유네스코 문학상을 수상했다.[35]

달릿 여성들은 2003년 아시아사회포럼과 2004년 세계사회포럼(WSF)에서 신경제정책(NEP) 비판에 참여했다.[36] 2007년 WSF에서는 아프리카남아시아 여성들로 구성된 '카스트와 하강을 기반으로 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차별' 패널이 논의됐다.[37]

2006년 3월, 뉴델리에서 제1회 달릿 여성에 대한 전국 폭력 회의가 열렸다.[38] 이번 콘퍼런스는 달릿 여성들이 어떻게 '폭력, 빈곤, 질병의 만연'에 직면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한 '델리 선언'을 통과했고, 지배적인 카스트들이 이러한 불균형에 어떻게 책임이 있는지를 설명했다.[39] 2006년 11월 헤이그에서 달릿 여성의 인권에 관한 국제회의가 열렸다.[38] 헤이그 회의는 달릿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다루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토론하고 집단 결속감을 조성했다.[38] 헤이그 회의는 달릿 여성들의 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을 제정할 것을 촉구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법률들이 적법하게 시행되거나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8][40] 또한 2006년에는 "달릿 여성주의"라는 개념이 만들어졌다.[8]

네팔

네팔의 달릿 여성들은 인도의 달릿 여성들과 같은 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7] 1990년 이후의 네팔에서 여성의 운동은 격동의 정치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41] 네팔의 페미니스트 더가 소브는 1994년에 페미니스트 달릿 기구를 만들었다.[7] 2010년까지 FEDO는 약 4만 명의 회원을 두고 달리트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어른들을 위한 훈련과 수업을 제공하는 일을 했다.[7] 여성 정당들은 소외된 반면 네팔의 여성 인권 문제를 추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2] 그러나 이들 정당들은 상류층 여성들이 장악하고 있다.[43] 하층 계급의 여성들은 당의 노력을 비판하고 모든 네팔 여성들이 같은 문제에 직면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43] FEDO는 네팔의 달리트 여성들이 정치에 더 많이 관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관여해왔다.[44] 2014년 FEDO가 주최하고 카트만두에서 열린 컨퍼런스에는 수백 명의 달릿 여성들이 참가했으며 달릿 권리에 대한 주민 조정관인 지아드 셰이크유엔의 연사들이 참여했다.[45]

파키스탄

파키스탄의 달릿 여성들은 카스트 문제에 덜 노출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들이 파키스탄의 소수 종교에 속하기 때문에 종교적 배경 때문에 핍박을 받는다.[46] 하지만, 이것은 여전히 카스트에 기반한 차별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47] 파키스탄 최초의 달릿 여성 상원의원 크리슈나 쿠마리 콜리가 2018년 당선됐다.[48]

오늘

오늘날 루스 마노라마와 같은 운동가들은 달리트 여성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법적, 정치적 행동에 힘쓰고 있다.[49] 마노라마는 '예약된 카스트'와 '예약된 부족'에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법이 어떻게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지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49] 종종 달리트 여성들이 제기한 불만과 보고는 무시된다.[50] 게다가, All India Dalit Mahila Adhikar Manch (AIDMAM)의 Asha Kowtal은 인도가 "카스트에 대한 어떤 논의도 돌로 만들고 있다"고 말한다.[51] AIDMAM은 크란티요티 사비트리바이 프룰레 여성연구센터(KSPWSC)와 연계해 2017년 컨퍼런스 '달리트 여성들이 목소리를 낸다'를 개최해 450여명의 대표단과 참가자들이 참여했다.[52] 에이즈맘은 2018년 제38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성별과 카스트에 기반한 폭력에 대한 증언을 제시했다.[53] 인도 달릿 여성의 내러티브라고 불리며 유엔(UN)에 제시된 이 보고서는 카스트에 기반을 둔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다룬 최초의 보고서였다.[54]

문학

달릿 여성들의 문학은 "듣지도 않고 말하지도 않는 목소리를 표현하기 위한 시도"[55]이다. 달릿 여성의 글은 페미니스트 문학카스트 정체성의 문제를 가져온다.[56] 마찬가지로 달릿 남자들의 글에서도 달릿 여자의 경험에 대한 유효한 묘사가 간과되어 왔다.[20] 달릿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것은 달릿 경험 밖의 개인들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으며, 작가 겸 번역가인 메이나 칸다사미(Meena Kandasamy)는 언어의 중요한 뉘앙스가 종종 간과되기 때문에 이것을 문제로 파악했다.[57] 칸다사미는 또한 이러한 많은 작품들이 정치를 다루기 때문에 어떻게 진정한 문학으로 보여지지 않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해왔다.[58]

텔루구 언어로 된 달릿 문학의 저명한 여성 작가로는 챌라팔리 스와루파 라니, 주파카 수바드라, 자줄라 고우리, 스와시 마가렛, 고구 샤말라가 있다.[59] 이 작가들은 주로 시, 단편 소설, 에세이 등을 사용해 그들이 마주한 교차적인 형태의 억압에 도전해 왔다.[60] 달릿 여성문학은 카스트와 성별의 체계가 연결되어 있고 달릿 여성에 대한 특별한 불이익이 상층 카스트 여성이나 달릿 남성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억압의 경험을 낳는다는 것을 보여준다.[61] Baby Camble's The Cambles We Breaked(2008)[62]와 P와 같은 Dallitt 여성의 자서전. 시바카미의 <변화[63] 손아귀>는 상류층 카스트들의 달릿 여성 착취에 대한 항의 서사와 달리트 가족 내의 내부 성 계층 구조로 볼 수 있다.[64] 카스트와 성별의 상호와 교차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달릿 여성의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달릿 여성의 자서전은 달릿 페미니즘을 교차 범주로 강화한다.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메타 2017, 231페이지.
  2. ^ 2007년 하이저 13페이지.
  3. ^ FEDO 2017, 페이지 2
  4. ^ "Dalit women in Pakistan". International Dalit Solidarity Network. Retrieved 2018-08-26.
  5. ^ Jump up to: a b c d Manorama, Ruth. "Background Information on Dalit Women in India" (PDF). Right Livelihood Award. Retrieved 12 August 2018.
  6. ^ 헤이저 2007년 6월호
  7. ^ Jump up to: a b c d "Durga Sob: Nepal's trailblazing Dalit feminist". New Internationalist. 2010-05-01. Retrieved 2018-08-26.
  8. ^ Jump up to: a b c Rattanpal, Divyani (8 July 2015). "Indian Feminism Excludes Dalit Women, But the Tide is Turning". The Quint. Retrieved 2018-08-12.
  9. ^ "INDIA: Magida dalit woman hero moves beyond caste and 'untouchability'". Woman News Network (WNN). 2012-05-15. Retrieved 2018-08-18.
  10. ^ 헤이저 2007년 7월호
  11. ^ "Dalit women's collective presents report on caste-based violence against women at UNHRC". The New Indian Express. 22 June 2018. Retrieved 2018-08-13.
  12. ^ Dixit, Neha (15 February 2017). "Bundelkhand's Dalit Women Rally Against Government Negligence". The Wire. Retrieved 2018-08-18.
  13. ^ Boddu & Bolleddu 2016, 페이지 49.
  14. ^ 굽타 2011, 페이지 14.
  15. ^ 굽타 2011, 페이지 23.
  16. ^ FEDO 2017, 페이지 2-3.
  17. ^ FEDO 2017, 페이지 3.
  18. ^ PDSN 2013, 페이지 3
  19. ^ Jump up to: a b 메타 2017, 페이지 238.
  20. ^ Jump up to: a b 케지야&토칼라 2016, 페이지 398.
  21. ^ Jump up to: a b Joythifai & Ramesh 2017, 페이지 141.
  22. ^ Pan, Anandita (2019-04-03). "Embracing Difference: Towards a Standpoint Praxis in Dalit Feminism". South Asian Review. 40 (1–2): 34–50. doi:10.1080/02759527.2019.1593746. ISSN 0275-9527. S2CID 155918437.
  23. ^ 1998년 리지, 페이지 WS-41
  24. ^ Jump up to: a b 1998년 리지, 페이지 WS-42
  25. ^ Jump up to: a b c Kumar, Umang (24 May 2015). "Prof Vimal Thorat delivers lecture on Dalit feminist writing at MIT". TwoCircles.net. Retrieved 2018-08-12.
  26. ^ Jump up to: a b "Forgotten Lessons – The All India Depressed Classes Women's Conference, Nagpur, 1942". Velivada. 24 March 2017. Retrieved 2018-08-12.
  27. ^ 1998년, 페이지 WS-39.
  28. ^ Subramaniam, Mangala (2006). The Power of Women's Organizing: Gender, Caste, and Class in India. Lexington Books. p. 59. ISBN 9780739113288.
  29. ^ 1998년 리지 WS-44
  30. ^ 구루 1995, 페이지 2549.
  31. ^ Bhattacharya, Swarnima (27 August 2016). "The Making and Unmaking of a Dalit Woman Leader". The Wire. Retrieved 2018-08-12.
  32. ^ 구루 1995, 페이지 2548.
  33. ^ Jump up to: a b 스미스 2008 페이지 10.
  34. ^ Jump up to: a b 스미스 2008 페이지 11.
  35. ^ Jump up to: a b c Magnier, Mark (25 October 2009). "News For and By Oppressed Women". The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018-08-18 – via Newspapers.com.
  36. ^ 스미스 2008 페이지 13.
  37. ^ 스미스 2008 페이지 12.
  38. ^ Jump up to: a b c d 스미스 2008 페이지 14.
  39. ^ 메타 2017, 페이지 234.
  40. ^ 스미스 2008 페이지 15.
  41. ^ 타망 2009, 페이지 62.
  42. ^ 타망 2009, 페이지 68.
  43. ^ Jump up to: a b 타망 2009, 페이지 69.
  44. ^ "FEDO: Feminist Dalit Organization". Dalit Nation. 2015-04-13. Retrieved 2018-08-26.
  45. ^ "Hundreds of Dalit women gather at conference in Nepal". International Dalit Solidarity Network. 18 December 2014. Retrieved 2018-08-26.
  46. ^ Babu, Sheshu (2018-07-29). "Dalit women struggle in Pakistan". Countercurrents. Retrieved 2018-08-26.
  47. ^ PDSN 2013, 페이지 2
  48. ^ Ebrahim, Zofeen. "Pakistan's first Dalit woman senator to champion girls' education". Reuters. Retrieved 2018-08-26.
  49. ^ Jump up to: a b "Dalit women should be grouped separately". The Hindu. 2009-09-22. ISSN 0971-751X. Retrieved 2018-08-12.
  50. ^ Banerji, Mahika (2017-11-23). "Interview With Anju Singh From AIDMAM". Feminism In India. Retrieved 2018-08-13.
  51. ^ Nair, Shalini (2018-06-19). "Dalit women's rights activists to present accounts of caste violence at UNHRC". The Indian Express. Retrieved 2018-08-13.
  52. ^ "Dalit Women Speak Out, And How! - Not Just A Conference, But A Celebration". Feminism In India. 2017-12-27. Retrieved 2018-08-13.
  53. ^ Ratnam, Dhamini (2018-06-22). "Dalit women's group bats for rights at United Nations forum". Hindustan Times. Retrieved 2018-08-13.
  54. ^ Chari, Mridula. "Fighting India's official denial, report on caste-based violence against women presented at Geneva". Scroll.in. Retrieved 2018-08-13.
  55. ^ 케지야 & 토칼라 2016, 페이지 401.
  56. ^ 자레 & 모하메드 2013, 78페이지.
  57. ^ 벤카테산 & 제임스 2018, 페이지 146.
  58. ^ 벤카테산 & 제임스 2018, 페이지 147.
  59. ^ Boddu & Bolleddu 2016, 페이지 48.
  60. ^ Joythremai & Ramesh 2017, 페이지 143-144.
  61. ^ Pan, Anandita (2018-01-17). "Dalit Women in Mutation: The Birth of a New Social Organism". Contemporary Voice of Dalit. 10 (1): 67–76. doi:10.1177/2455328x17745171. ISSN 2455-328X.
  62. ^ Kāmbale, Bebī, author. (2018). The prisons we broke. ISBN 978-93-5287-370-8. OCLC 1144948602.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3. ^ Civakāmi. (2006). The grip of change : and, Author's notes. Hyderabad: Orient Longman. ISBN 81-250-3020-4. OCLC 76799274.
  64. ^ Pan, Anandita (2018-01-17). "Dalit Women in Mutation: The Birth of a New Social Organism". Contemporary Voice of Dalit. 10 (1): 67–76. doi:10.1177/2455328x17745171. ISSN 2455-328X.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