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타인
Danta people역사적으로나 흔히 두바모라고 알려진 단타족은 에티오피아의 한 민족이다. 단타의 고향은 남방 국가, 국적 및 인민 지역(SNNPR), 특히 하디야 지역(KT)에 있으며, 켐바타 템바로 지역(KT)에는 덜 그렇다.
기원, 언어, 종교
역사적으로 그리고 흔히 두바모라고 알려진 단타는 에티오피아의 작은 민족이다. 이들의 상징적인 정착의 중심지는 단타의 고원지대인데, 그 후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단타는 원래 캄바타의 키진야 사투리를 사용했다. 그러나 단타는 19세기 초 하디야족이 고국으로 이주한 이후 상당한 언어적 전환을 이루었다. 본래의 집에 살고 있는 상당수의 단타들은 지금까지도 하디야에 의한 동화작용을 거부하고 여전히 본래의 키진야 사투리를 구사하고 있다.[1][2]
역사적으로 단타는 '1550~1570년경 캄바타에 형성된 국가'로 생각되며, '두바모족'은 1923년 반노예 선언 이후에도 짐마와 노예 무역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단타는 "곤다르의 '솔로몬 왕' 즉, 암하라 귀족의 후손이라고 통치자들이 주장하는 작은 왕좌에 조직되어 있다"고 말했다.[2] 단타는 여전히 "15세대 전 곤다르에서 유래한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 때 원주민의 기질에 중첩되었던 지층인 북부 에티오피아 기독교 지역으로의 기원을 추적하는 상부 지층으로서 탁월한 의식을 유지했다.[1]
현재까지 평균 단타가 20여 세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버지 계보를 이름 짓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다. 브라우켐퍼는 단타에 대한 그의 다른 기사 중 하나에서 솔로몬 왕과 암하라 귀족들에게 그들의 출신을 암시하는 것은 북한과의 실질적인 세습 관계의 증거라기보다는 지위와 권력의 정당화를 위한 기민한 전략일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평신도들의 족보(예: 부족명, 개인의 먼 조상명)에 대한 분석은 약하지만 가끔 북쪽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이름들을 산출한다.[citation needed]
Hawzula는 과거에 모든 단타들이 숭배했던 초자연적인 신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몇몇이 숭배했다. 호줄라 정신은 호줄라 정신이 내려앉아 연연하는 세습 두바모 사람 호줄만초를 통해 '말씀'과 '일'을 한다. 호줄라는 단타뿐 아니라 하디야, 동아, 캄바타, 팀바로 등 주변 민족을 위한 모든 문제에 대한 중재자, 자문위원, 판사였다. 1880년대 메넬리크 2세가 정복한 뒤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고백한 단타가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 복음주의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가 됐다.[2]
단타두바모 땅
단타국적은 KT의 인접한 도요제나워다에도 많은 단타가 거주하고 있지만, 하디야 구 소로, 두나, 미샤워라스 등의 시원한 고지대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 실트와 월라이타 구역에는 일부 단타 부족의 비교적 작은 군집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엔제트와 보리를 집중적으로 재배하고 말을 사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단티히 파라쇼는 말 그대로 '단타의 날으는 말'이라는 뜻으로, 찬미용으로 흔히 쓰이는 구절이다.
현재 정치조직 및 대표성
1990년대 에티오피아 주의 연방 재정비 이후 "두바모족은 점점 더 그들의 비하디야 출신을 알게 되었고 그들 자신의 행정구역을 요구하기 시작했다"[4]고 말했다. 이때부터 단타족은 정부에 민족으로서 인정과 대표성을 거듭 청원했다. 1990년대에 두바모는 하디야를 지배하는 지방 행정관들을 합법적인 통치자로 인정하지 않고 저항의 표시로 세금 납부를 중단했다.[4] 단타당이 지역, 지역, 지역, 전국 단위 인민대표 및 연방의회 등 모든 행정적 차원에서 대표성을 위한 평화적 정치투쟁을 전개하고 있다. 아직까지 결정적인 해답은 나오지 않았고 사건은 여전히 활동 중이며 계류 중이다. 현지 언론은 두바모의 요구를 여러 차례 보도했고 도이체벨레 라디오 암하릭 서비스는 2009년 5월 12일 이 사건에 대한 장문의 보도를 했다.[5]
현재의 정치적 구성에서 대부분의 단타는 중립적이거나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에 소속되어 있다. 이것은 차치하고 지역의 독특한 역사적 문화적 정체의 증가하는 의식 때문에, 몇 Danta의 엘리트들은 이 지역에 사는 법적으로 등록된 인종 따라 정치적 당사자는"Danta, Dubamo Kinchichila 사람들 민주 기구"라고 불리는 확립하기 위해서,, 2005년 총선 감독 후보로 두명이라는 선택했다.[6][7]
참조
- ^ Jump up to: a b 미국 브루켐퍼(Braukemper) "이티오피아 남부의 구전 전통과 역사 기록의 상관관계: 하디야-시다모 과거의 사례 연구"(1973년), 이티오피아 연구 제11권(1973년), 29-50년.
- ^ Jump up to: a b c d S. Uhlig(에드)에 있는 U.S. "Dubamo"의 Braukaemper. Aethiopica 백과사전, 제2권, 페이지 202
- ^ "Local History of Ethiopia"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7-06-16. Retrieved 2009-06-22.
- ^ Jump up to: a b 브라우켐퍼(Braukaemper, 미국) "지역 전통과 국가적인 에티오피아 컨텍스트에 대한 논쟁: 하디야"의 사례 연구, in: 아프리카스 혼: 애크텐 더 에르스텐 인터내셔널엔 리트만-콘퍼런스츠, 2. bis 5. 뮌헨의 마이 2002(위스바덴: 하라소위츠 베를라크, 2005), 페이지 363-376.
- ^ 도이체벨레스토리 카피(암하릭)
- ^ 1999년 11월 13일 월타정보센터 웨이백머신에 2000-12-09 보관(2009년 6월 22일 최종 접속)
- ^ 5월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정당/독립후보, 외교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