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마족
Sidama people![]() 2013년 하와사 구두말레에서 피치 새해를 축하하는 싯다마족 | |
총인구 | |
---|---|
381만 (2007년 인구조사)[1] | |
인구가 많은 지역 | |
에티오피아 | |
언어들 | |
시다무아푸 | |
종교 | |
개신교,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슬람교 | |
관련 민족 | |
오로모, 구라게, 웰레이타, 암하라, 소말리아, 아파르, 티그라얀, 사호, 기타 쿠시족 |
시다마족(Sidama)은 전통적으로 에티오피아 남부 국가, 민족, 인민 지역의 일부였던 시다마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2019년 11월 23일, 시다마 지역은 에티오피아에서 10번째 지역 국가가 되었다.그들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쿠시어족의 언어인 시다마어를 말한다.시다마는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된 시위가 2019년 11월 [2]주민투표에서 이 제안이 표결에 부쳐질 때까지 별도의 민족 지역 국가가 없었다.
역사
싯다마에 관한 역사서에서는 싯다마가 누구였는지, 어느 지역을 싯다마로 규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이 집단은 초기 글에서 Sidamo 성단으로 불렸고, "Sidamo"라는 이름은 에티오피아 [3]남서부의 모든 쿠시족과 오모트족을 위한 집합체로 사용되었다.
시다마족은 16세기 초에 오로모족에 의해 쫓겨나기 전까지 다와강 주변의 역사적 발리 지방에 살았던 것으로 생각된다.그 후 시다마는 아와사 호수 주변의 현대적인 고향을 향해 서쪽으로 탈출을 이끌었다.구전에 따르면, 시다마 정착민들은 호파라는 이름의 다른 부족이 살고 있는 지역을 발견했지만, 나중에 [4]그들을 쫓아냈다.
시다마 역사를 통해 두 씨족의 집단이 정치 권력을 놓고 경쟁했다.첫 번째 집단은 예머리초이며, 예머리초에는 이 지역의 최초 정착민 8명이 포함되어 있다.그들은 인접해 있는 넓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순도(agna)를 가진 것으로 여겨져 왔다.두 번째 집단은 알레타족으로, 12개의 씨족이 함께 다수를 차지한다.시다마의 씨족들은 그들만의 영토와 끊임없이 [5]서로 전쟁을 벌이는 지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시다마족은 아가르 막나트 시대에 에티오피아 제국에 강제로 편입되었다.대부분의 시다마 씨족은 싸우지 않고 메넬릭 2세에게 복종했다.북쪽의 홀로-가르비초와 사월라 씨족과 남쪽의 알레타 씨족 중 일부는 그들의 영토를 지키려고 시도했지만, 그들과 다른 씨족 간의 신뢰 부족으로 그들은 저항을 조정하고 통일 전선을 형성할 수 없었다.야나세 씨 등 다른 씨족은 즉시 천황에게 복종하기로 결정하고 조공을 [6]바치기로 했다.
인구 통계
시다마족은 381만 명(전국 인구의 4.01%)이며, 이 중 149,480명이 도시 주민으로 에티오피아에서 [7]5번째로 인구가 많은 민족 집단이다.이들의 언어는 시다무아푸(Sidaamu-afoo)라고 불리며,[8] 1994년 국세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99.5%가 모국어였다.한 권위자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다마인들은 전통적인 신앙을 실천하고 있으며, 유럽 선교사들이 그들의 지역에 왔을 때인 1960년대에야 그 [9]신앙을 떠났다.그러나 1994년 국세조사에 따르면 전통신앙을 실천하는 사람은 14.9%에 불과하고 개신교 신자(66.8%) 무슬림(7.7%) 가톨릭(4.6%) 에티오피아 정교회 [10]신자(2.3%)다.
정부와 정치
시다마 주
오늘날, Sidama 지역에는 많은 학교가 있고, 비록 초, 중, 준비와 많은 대학과 대학교육이 [11]증가했지만, 충분한 보건 서비스가 있다.에티오피아의 남부 국가, 국적, 인민 지역 내에는 시다마 행정 구역이 있습니다.시다마 지구는 2019년 11월 주민투표를 거쳐 독자적인 지역 국가가 되었다.
경제.
시다마족의 거의 90%는 농업에 중점을 둔 삶을 살고 있다.중요한 주식은 웨세 식물, 즉 가짜 바나나입니다.다른 작물들도 재배되고 종종 소가 사육되는데, 그 소유권에 대한 강한 문화적 전통이 있다.아마도 가장 중요한 수입원은 커피일 것이고, "채팅"이나 "카트 나무" 또한 주요 수입원이다.시다마 지역은 커피 생산의 주역이며, 오로미아 지역에 이어 중앙 정부 수출 커피의 비율이 높다.시다마 농부들은 인기 있는 커피 체인 스타벅스에 커피 제품의 대부분을 이 지역에서 공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커피의 세계 시장 가격 하락으로 인한 기아로 인해 영향을 받아왔다.
종교와 신념
싯다마에서는 혼령이 일어난다.인류학자 아이린과 존 해머는 영혼 소유는 시다마 사회에서 [12]박탈당한 것에 대한 보상의 한 형태라고 가정했다.대다수의 피신자들은 그들의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명품을 요구하는 영혼들이지만, 남성들도 피신할 수 있다.남녀노소 소유자들은 그들의 상태에 따라 치유사가 될 수 있다.Hamer와 Hamer(1966)는 이것이 매우 경쟁적인 Sidama 사회에서 불우한 남성들 사이의 보상 형태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만약 한 사람이 웅변가, 전사, 또는 농부로서 명성을 얻을 수 없다면, 그는 여전히 정신적 치유자로서 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여자들은 가끔 소유물을 속인다는 비난을 받지만, 남자들은 결코 그렇지 않다.[12]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2007년 센서스", 초안, 표 5.
- ^ Allen, Lovaise (22 June 2011).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Ethiopia. BRILL. p. 154. ISBN 978-9004207295. Retrieved 8 December 2016.
- ^ Aalen, Lovise (2011).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Ethiopia.
- ^ Aalen, Lovise (2011).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Ethiopia.
- ^ Aalen, Lovise (2011).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Ethiopia.
- ^ Aalen, Lovise (2011).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Ethiopia.
- ^ "2010년 센서스", 초안, 표 5
- ^ 1994년 에티오피아 인구주택총조사: Southern Nations, Nationals and People's Region, Vol.2 2008-11-20 Wayback Machine, 표 2.16 (2008년 12월 30일 참조)
- ^ S. Y. Hameso, Trevor Trueman, Temesgen M.에레나 1997
- ^ 1994년 에티오피아 인구주택총조사: 남부 국가, 국적 및 인민 지역 결과, 제2권, 표 2.20
- ^ 「에티오피아의 초등 교육」2011-07-13년 Wayback Machine, Jimma Times
- ^ a b 해머, 존, 아이린 해머 1966년에디오피아 남서부의 시다마 지역에서의 영혼 소유와 그 사회심리학적 영향.민족학 5(4): 392-408.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