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덴스 님
Dear Prudence"친애하는 프루덴스" | |
---|---|
북송 악보 표지 | |
비틀즈의 노래 | |
비틀즈 앨범에서 | |
방출된 | 1968년 11월 22일( |
녹음된 | 1968년 8월 28~30일 |
스튜디오 | 트라이던트, 런던 |
장르. | 바위[1] |
길이 | 3:56 |
라벨. | 사과 |
송라이터 | 레논-매카트니 |
프로듀서 | 조지 마틴 |
"Dear Prudence"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1968년 더블 앨범인 "The White Album"에 수록된 곡이다.이 곡은 존 레논이 작곡했고 레논-매카트니 파트너십에 공로를 돌렸다.1968년 초 인도 여행 중 리시케쉬어로 쓰인 이 곡은 배우 미아 패로의 여동생 프루덴스 패로가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와 [2]연습하면서 명상에 집착한 것에 영감을 받았다.명상 코스에서 그녀의 파트너로 지명된 레넌과 조지 해리슨은 패로를 은둔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시도했고, 이는 레넌이 곡을 쓰게 만들었다.
레논은 싱어송라이터 도노반으로부터 배운 손가락 고르기 기타 기법을 사용하여 "Dear Prudence"를 작곡했다.가사는 단순하고 순수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양한다.비틀즈는 링고 스타가 매카트니의 "Back in the USR" 드럼 연주에 대한 비판과 화이트 앨범 세션의 특징인 긴장에 대한 항의로 그룹을 일시적으로 떠난 후 1968년 8월 말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이 곡을 3곡으로 녹음했다.마지막 녹음에는 말 에반스, 재키 로맥스, 존 매카트니의 기고가 포함되어 있다.앨범 세션 전에 조지 해리슨의 집에서 녹음된 이 노래의 데모는 나중에 화이트 앨범의 2018 슈퍼 디럭스 에디션에 공개되었다.
"Dear Prudence"는 많은 사람들이 가사와 밴드의 공연을 칭찬하며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레논은 나중에 비틀즈가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로 이 곡을 선정했어요.이 노래는 제리 가르시아 밴드, 램지 루이스, 수시와 밴시스를 포함한 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었는데, 이 버전은 1983년 영국에서 5위권 안에 들었다.
배경과 영감
이 노래의 영감과 표면적인 주제는 여배우 미아 [3]패로의 여동생인 프루덴스 패로이다. 두 사람 모두 비틀즈가 [4]히말라야 산기슭 리시케시에 있는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그의 아슈람에 갔을 때 함께 있었다.패로는 환각제 LSD에 [5]대한 매우 불안한 경험으로 인해 초월 명상과 마하리시의 가르침에 도달했다.1968년 초 리시케시에 있는 동안 패로는 며칠 동안 [6]방갈로를 떠나는 모험을 거부하며 명상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했다.모든 비틀즈 중에서 패로는 마하리시에 의해 그녀의 "팀 친구"[8]로 임명된 존 레논과 조지 [7]해리슨을 가장 가깝게 느꼈다.
레논과 해리슨은 명상을 [9]발견하기 전에 LSD로 비슷한 실험을 하면서 책임을 진지하게 받아들였습니다.그 두 음악가는 패로가 코스에서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도록 하기 위해 그녀의 은둔지에서 벗어나도록 설득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그 결과, 레넌은 "Dear Prudence"[6]라는 곡을 작곡했다.그의 가사에서 레넌은 패로우에게 "눈을 뜨게 해달라" "햇볕이 드는 하늘을 보라"고 부탁하며 그녀가 "모든 [10]것의 일부"임을 상기시킨다.싱어송라이터 도노반은 "우리는 아침저녁으로 20분 동안만 잠수하는 것이 아니라 며칠 동안 잠수를 했다"고 기억했다.그래서 프루덴스는 깊이 빠져들었고, 이 노래는 존이 말하는 방식이었다. "너 괜찮니?"[11]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페이트레스에 따르면, 레논은 마하리시와 초월 [8]명상에 불만을 품게 된 후 이 노래에 대해 언급할 때 "자선한 마음"이 덜했다고 한다.1980년 인터뷰에서 그는 "친애하는 프루덴스"에 대해 말했다.
미아 패로우의 여동생에 대한 노래인데, 그는 약간 구린내 나는 것 같았고, 너무 오래 명상했고, 우리가 살고 있는 작은 오두막에서 나오지 못했다.그들은 나와 조지가 그녀를 데리고 나오도록 선택했어요 그녀가 우리를 믿을 것이기 때문이죠만약 그녀가 서부에 있었다면, 그들은 그녀를 감옥에 넣었을거야...그녀는 3주 동안 갇혀있었고 누구보다 빨리 신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했다.그것이 마하리시 진영의 경쟁이었다. 누가 먼저 우주선을 탈 것인가?제가 몰랐던 건 제가 이미 우주인이라는 거예요.[12]
패로우에 따르면, "저는 명상을 할 수 있도록 강의와 식사 후에 항상 제 방으로 바로 돌아가곤 했습니다.존, 조지, 폴 (매카트니) 모두 앉아서 잼을 피우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어할 것이고, 저는 제 방으로 날아갈 것입니다.다들 자기 일에 진지하게 임했지만 [13]저처럼 광신적이진 않았어요.패로는 비틀즈가 트랙을 녹음하기 전에 "Dear Prudence"를 듣지 못했지만, 그녀가 리시케시를 떠나기 전에 해리슨은 그녀에 [14]대한 노래를 썼다고 그녀에게 말했다.
구성.
레논은 초월 [16]명상을 공부하기 위해 비틀즈를 따라 리시케쉬로 간 [15]도노반에게 배운 기타 손가락 피킹 기법을 사용해 "Dear Prudence"를 작곡했다.Clawhammer [17]picking으로 알려진 이 기술은 후에 도노반에 의해 "카터 가족의 손가락 스타일"[11]로 묘사되었다.도노반은 어느 날 아침 레넌이 자카란다 [18]나무 아래서 기타를 치며 그에게 이 기술을 시연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회상했다. 레넌은 "빠른 학습자"로서 이틀 [19]만에 그 기술을 익혔다.작가 스티브 터너는 "새, 꽃, 구름, 태양, 바람"[20]이라는 가사가 자주 언급되는 등 비틀즈의 작곡은 환경의 단순함을 반영한다고 말하는 반면 페이트리스는 레논의 노래가 특히 "애쉬람에서의 삶의 '느린 움직임' 감성을 떠올리게 한다"[21]고 말한다.
"Dear Prudence"는 1967년 레넌의 작곡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22][23]와 비슷한 내림차순 베이스 라인을 특징으로 한다.이 곡은 D장조이며, 6번째 현의 디튠을 통해 기타에서 아르페지오 효과를 낮은 [24]D장조까지 달성하고 있다.비틀즈의 녹음에서 곡은 [25]조용히 시작되며 리듬 섹션의 미묘한 도입으로 강렬함을 더한다.음악학자 월터 에버렛은 "Across the Universe"와 함께 이 곡의 "평화로운 아우라"와 "링잉 드로넬리케 기타"가 레넌의 가장 "인디언"처럼 들리는 [26]곡이라고 말한다.
가사는 단순하고[27] 순수하며 [28]자연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특히 "해가 떴다, 하늘은 파랗다/아름답다, 그리고 [29]너도 마찬가지야."라는 대사가 있다.작가 마크 허츠고드는 '친애하는 프루덴스'가 더 넓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기원을 초월한다'는 점에서 레넌의 전형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한다.그는 이 가사가 1965년 "Nowhere Man"에서 레논이 처음 지지한 아이디어, 즉 "삶에서 숨지 말고, 당신은 웃고, 깨어나고,[30] 위대한 계획에서 당신의 역할을 할 이유가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음악평론가 케네스 워맥에 따르면, "Prudence"는 리시케시 시절 작곡한 곡의 제목에 이름을 올린 Sexy Sadie, Bungalow Bill, Rocky Rucky Ruckin 등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비틀즈가 화이트 앨범을 위해 만든 많은 문학 인물들 중 한 명이다.그는 이중첩의 맥락에서 이러한 인물들의 컬렉션을 인상주의 예술에 비유하며, 다양한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하나의 노래 사이클을 [31]형성한다.음악평론가 팀 라일리는 레넌의 가사에 담긴 패로의 영감을 인정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성적 각성에 관한 노래, 숭고한 음악적 [28]호가 구애하는 자연적 쾌락의 헤드한 행복감에 대한 노래"라고 말한다.
녹음
에셔 데모
"Dear Prudence"는 1968년 5월 말 비틀즈가 화이트 [33][34]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시연했던 27곡[32] 중 하나였다.레넌이 어쿠스틱 기타로 솔로로 연주한 이 곡은 [35][36]서리주 에셔에 있는 해리슨의 집 킨펀스에서 녹음되었다.레넌은 이 노래가 [30][38]리시케쉬에서 열린 명상 강좌에 참석한 한 소녀에 대한 것이라는[37] 짧은 논평으로 공연을 마무리했다.매카트니가 "Cuckoo!"를 삽입한 후, Hertsgaard의 녹음에 대한 설명에서 Lennon은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의 보살핌 아래 그녀가 완전히 미쳐버릴 줄 누가 알았습니까?"라고 비꼬았다.[39]그의 저서 혁명: The Making of the Beatles' White Album, David Quantick은 레넌의 출산에 있어서의 "비꼬는"은 그들의 스승이 미아 패로에게 성적인 접근을 했다는 루머에 비추어 볼 때 마하리시에 대한 환멸을 반영한다고 쓰고 있다.그는 이제 레논이 프루던스의 에피소드를 "반 마하리시 빛으로" 재해석했고 "Dear Prudence"는 "원래의 [40][nb 1]목적과 상당히 동떨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튜디오 녹음
비틀즈는 8월 [42][43]28일부터 30일까지 런던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이 노래를 정식으로 녹음했다.이 기간은 링고 스타가 일시적으로 최근 회의에서 매카트니의 노래" 돌아와서 소련에"[45][46]을 28일 8월에 밴드를 떠나게 만들었던 group,[44]내에 긴장과 적대감이 특징이었다, 3 남아 있는 비틀즈"친애하는 상책", 레논과 해리슨이 다양한 기타 부품으로 구성된 기본적인 트랙을 완성했다.포함 ,[47]레넌이 손가락으로 고른 일렉트릭 리듬 파트와 [42][46]스타 대신 드럼을 탄 매카트니.EMI Studios에서 통상 작업하던 4트랙 장비보다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하는 8트랙 녹음 장비를 사용하여 이 밴드는 [42]곡을 개발하면서 자신들의 파트를 완성하고 다시 녹음할 수 있었다.에버렛은 이러한 자유로움이 "점점 두꺼워지는 보컬과 악기 편곡에서 더 깔끔한 가법적 레이어링을 가능하게 했다"며, 이 녹음은 레논의 새로운 펜더 트윈 리버브 기타 앰프와 해리슨이 최근에 인수한 펜더 텔레캐스터의 음향 [26]효과도 얻었다고 썼다.
8월 29일, 매카트니는 베이스 기타를 오버더빙했고 레논은 그의 리드 보컬을 두 배로 불렀고,[48] 매카트니와 해리슨은 이 보컬에 [47]하모니 보컬을 추가했다.다른 기여는 손뼉과[47] 타악기였고, 해리슨과 [42]매카트니는 탬버린을 연주했고,[48] 더 많은 백보컬을 했다.이러한 추가 작업을 위해, 비틀즈는 말 에반스, 애플 레코드 아티스트 재키 로맥스, 그리고 매카트니의 사촌 존 [26][42]매카트니와 함께 했다.비록 공개된 녹음에서 제외되었지만, 공연은 원래 뒷바라지 가수들이 모두 환호하고 박수를 [42][nb 2]치면서 끝났다.다음 날, 매카트니는 곡의[26] 끝에 피아노를 추가했고, 비틀즈의 역사학자 마크 루이스온에 따르면 플루겔호른의 [42]짧은 조각이 있었다.음악 저널리스트 로버트 폰테노에 따르면 일부 해설자들은 이 소리를 플루겔호른으로 나열하지만, 사실은 그의 깁슨 [47][nb 3]레스폴에서 연주된 해리슨의 리드 기타라고 한다.4절과 결말에 걸쳐, 이 곡의 편곡은 작가 조나단 굴드가 "10마디 드럼 솔로"[52]라고 표현한 [27]매카트니의 확장 드럼 [26]필과 해리슨이 2옥타브로 연주하는 상승[53] 반멜로디를 포함한다.작가 이안 맥도널드가 보기에 편곡에서 가장 풍부한 재료는 해리슨의 인디언 스타일의 기타 [27]부품이다.
수신 및 레거시
1968년 [54]11월 22일, 애플 레코드는 더블 [55]LP의 두 번째 트랙으로 "Dear Prudence"를 발매했다.레코드 미러의 작가는 이 앨범의 동시 리뷰에서 "Back in the US.R."[56][57]라는 곡의 첫 곡에 제트기가 착륙하는 소리가 교차했다. "내 마음에 충격은 오픈 튜닝된 전기 기타로 선곡한 오래된 포크 클래머의 두 번째 곡 오프닝이었다.존이 'Dear Prudence'를 부르면서 악기가 애잔한 고요함에서 활기찬 [58]강도로 점점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더 최근에 비틀즈 다이어리에 쓴 피터 도겟은 비틀즈가 스타 없이 녹음한 두 곡으로 앨범을 시작하는 것을 선택한 것이 "이상하다"고 말했다.그는 또한 "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팬티즘적 비전"을 포함하도록 서사를 확장하면서, 레논의 노래는 그가 [59]리시케쉬를 방문했을 때 "몇 안 되는 긍정적인 발언들 중 하나"로 작용했다고 말했다.팀 라일리는 이 곡을 "자연에 대한 비틀즈의 핵심 곡"으로 보고 이 밴드의 앙상블 [60]연주를 칭찬한다.그는 레넌이 어린 시절과 자연에 대해 정기적으로 글을 썼지만, "여기서는 그가 노래하고 있는 순수함에 빠져있는 것처럼 그가 여기처럼 차분하게 들리고 있다"고 말했다.레넌의 명곡 [28]중 하나죠.데이비드 콴틱은 1968년 4월 레논이 마하리시와 결별한 것을 감안할 때, "Dear Prudence"의 가사는 대신 "채널을 맞추거나 하차하기 위한 초대"가 되었다고 쓰고 있다.그는 트랙에서 [61]비틀즈의 의도된 제목이었던 인형의 집이라는 구절에서 명백하게 함축된 의미와 일치하는 섬뜩함을 감지한다.
줄리안 레논은 아버지가 [62]작곡한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로 "Dear Prudence"를 꼽았다.레논은 이 곡을 [29]비틀즈가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로 선정했다고 한다.1987년, 14줄과 [63]여백에 "두들"이 들어 있는 그의 자필 가사가 경매에서 19,[62][64]500달러에 팔렸다.1978년 러틀즈가 비틀즈의 역사를 패러디한 "All You Need Is Cash"에서 이 곡은 "Let's Be Natural"[62]로 패러디되었다.2010년 롤링 스톤은 "Dear Prudence"를 잡지의 "The Beatles's 100 Greatest Songs"[62] 목록에서 63위에 랭크했다.2006년 Mojo가 집계한 비슷한 목록에서는 [11][nb 4]44위에 올랐다.
패로는 자신을 위해 "Dear Prudence"를 만든 비틀즈의 제스처에 "아첨을 받았다"며 "[10]그것은 아름다운 일이었다"고 덧붙였다.2013년 인터뷰에서 그녀는 화이트 앨범 트랙 "섹시 새디"와 "방갈로 빌의 계속적인 이야기"에서 리시케쉬의 경험에 대해 레논이 "부정적"이라고 느낀 것과 달리 이 노래는 마음이 [14]너그럽다는 것을 알게 되어 안도했다고 말했다.패로는 트랙을[7] 따라 2015년 자서전에 제목을 붙였고 2013년 현재 Dear Prudence Foundation을 운영하며 사람들에게 [14]명상을 교육하는 데 기금을 모금했습니다.2015년 롤링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친애하는 프루덴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패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것은 60년대의 모습을 여러 면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그 말은 매우 아름답고 긍정적입니다.중요한 노래인 것 같아요.나는 그것이 그들의 가장 인기 없고 알려지지 않은 노래들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침묵과 [7]명상을 통해 인도에서의 약간 이국적인 모습을 담아낸 것 같습니다.
커버 버전
수시와 밴시즈 버전
"친애하는 프루덴스" | ||||
---|---|---|---|---|
![]() | ||||
Sioussie and the Banshees 싱글 | ||||
양면 |
| |||
방출된 |
| |||
녹음된 | 1983년 7월 | |||
스튜디오 | 스톡홀름 [65]유로파필름, 런던 엔젤 | |||
길이 | 3:48 | |||
라벨. | 폴리도르(영국), 게펜(미국) | |||
송라이터 | 레논-매카트니 | |||
프로듀서 | 수시와 밴시, 마이크 헤지스 | |||
수시와 밴시의 싱글 연대기 | ||||
| ||||
뮤직비디오 | ||||
YouTube의 "Dear Prudence" | ||||
수시 싱글 연대기 | ||||
|
영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 수시와 밴시는 1983년 [62]싱글로 "Dear Prudence"의 커버 버전을 발매했다.이 싱글은 밴드를 위해 떠들썩한 시기에 녹음되었다; 기타리스트 존 맥거치는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밴드를 떠났고 일시적으로 큐어의 리더인 로버트 [66]스미스로 대체되었다.수시 수우는 "우리에게는 정신나간 시기였고, 매우 바빴습니다.우린 그냥 너무 적극적이었어아마 1년 정도 후에 피해를 본 것 같아요.존은 스트레스와 과로로 병원에 입원해 있었기 때문에 조금 괴로워하고 있었다.로버트는 79년에 했던 것처럼 두 번째로 끼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쇼는 여전히 진행 중이었고 투어는 매우 치열하고 열광적이었습니다.같이 히에나를 녹음했는데 그도 폭발했어도저히 [66]감당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 밴드는 이미 1978년 앨범 The [66]Scream에서 "Helter Skelter" 버전을 녹음했다.수시는 그들이 스칸디나비아를 여행하고 비틀즈의 음악을 듣고 있을 때 [67]또 다른 비틀즈의 커버를 만들 생각을 떠올렸다.드러머 버디에 따르면, 스미스를 제외하고 그들은 모두 화이트 앨범의 열렬한 팬이었고, 그가 [68]아는 유일한 곡이었기 때문에 "Dear Prudence"로 결정했다.베이시스트 스티븐 세베린은 "존 레논의 버전이 약간 [69][nb 5]미완성처럼 들리기 때문에" 이 곡이 특히 그에게 어필했다고 회상했다.그들은 1983년 7월 스톡홀름의 스튜디오에서 이 노래를 녹음했고, 스미스의 여동생 자넷이 하프시코드 파트를 [68]추가한 런던 북부의 엔젤 스튜디오에서 완성했다.
이 버전의 노래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29]3위를 정점으로 밴드의 가장 큰 영국 히트곡이 되었다.이 성공은 수시에겐 놀라움으로 다가왔다.수시는 나중에 이렇게 말했다. "그것은 뜻밖이었지만, 우리는 투어를 마치고 겨울 동안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잘 적응하지 못했다.그리고 우리는 생각했다, "빌어먹을!3번까지 가야 돼!"[66]이 싱글곡은 컬처 클럽의 "카르마 카멜레온"에 의해 차트 1위를 차지했는데,[69] 이 곡은 밴드를 매우 안타깝게 했다.싱글의 성공에 힘입어, 그 밴드는 크리스마스 탑 오브 더 팝스 쇼에서 트랙을 선보였다.수시는 이 공연에 대해 "친구가 만들어준 새 가죽 드레스와 줄무늬 [66]타이즈를 입고 있었다는 것 외에는 그것을 한 기억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라일리는 수시와 밴시가 비틀즈의 곡을 녹음하는 것을 후자의 "침투적인 영향"의 증거로 언급하며, 그는 이 버전을 "비틀즈의 엘레지악 [70]원곡에 대한 놀랍도록 효과적인 왜곡"이라고 묘사한다.콴틱은 1968년 비틀즈의 녹음에서 분명히 드러나는 "멋짐"에 대한 그의 견해와 더 나아가 "그 분위기가 인도의 화려한 히피 분위기와 너무 상충되었다"고 말했고, 이러한 특징은 "1980년대 펑크/사이키델릭/고스 밴드 수시와 밴시스가 노래를 성공적으로 커버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묻혔지만 암묵적인 태양빛의 위협감을 제거한다"[71]고 말했다."Dear Prudence"는 미국의 Geffen Records에서 발매된 그룹의 첫 번째 싱글곡이다.
기타 버전
그레이트풀 데드의 멤버인 제리 가르시아는 이 노래를 "그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라고 불렀다고 한다.제리 가르시아 밴드는 1979년부터 1995년 가르시아가 사망할 때까지의 콘서트에서 그것을 연장되고 즉흥적으로 다루었다.이 노래는 그들의 1991년 앨범인 제리 가르시아 [29]밴드를 위해 녹음되었다."Dear Prudence"는 Julie Taymor의 2007년 영화 Across the Universe의 사운드 트랙에서 조 앤더슨, 에반 레이첼 우드, 짐 스터게스, 다나 훅스가 불렀다.이 노래는 2008년 [29]한 TV 광고에서 미국 무선 전화 회사 Cellular South에 의해 상업 광고에 사용되었다.그의 1968년 퉁퉁 부르튼 대자연의 아들;더그 파킨슨 Focus에, 호주의 노래를 부르는 5대로;[72]가보르 Szabó, 5Stairsteps(#66/49 미국에서,#65캐나다에서)에"친애하는 상책" 있램지 루이스 기록한 적이 있는 다른 예술가들이다;Katfish의 버전 번호 53미국 빌보드 핫 100에 달하고, 레슬리 웨스트 i. 중n1976년 [47]숀 레논은 이 곡을 1991년 일본 CD Happy Birthday에 수록했고, 존과 앨라니스 모리셋은 2001년 레논 헌정곡 Come Together: A Night for John Lennon's Words and [73]Music에서 연주했다.기타리스트 톰 갬블은 2021년에 이 곡을 솔로 기타용으로 편곡했는데, 이 곡은 존 레논 공식 웹사이트에서 존 레논 80세 생일 축하 행사의 일부로 소개되었습니다.
인사
특별한[26] 언급이 없는 한 월터 에버렛에 따르면:
비틀즈
- John Lennon – 더블 트랙 리드 보컬,[74] 백킹 보컬, 리듬 기타
- Paul McCartney – 하모니 및 백 보컬,[47] 드럼, 베이스 기타, 피아노, 탬버린,[42] 박수
- 조지 해리슨 – 하모니 및 백 보컬, 리듬 기타,[47] 리드 기타, 탬버린,[42] 박수
추가 기여자
- Mal Evans, Jackie Lomax, John McCartney – 백보컬, 박수,[74] 불특정[10] 타악기
메모들
- ^ 콴틱은 또한 레논이 이 곡의 "엄청난 플립사이드"인 "섹시 새디"[40]를 연주하게 된 중요성을 강조한다.후자는 레논이 마하리시를 향해 "섹시 사디, 무슨 짓을 한 거야?"라고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41] 넌 모두를 바보로 만들었어."
- ^ 이 아이디어는 대신 "The Continuing Story of Bungalow Bill"[47]의 결말에 사용되었는데, 이 곡에서 레넌은 리시케시에 있는 명상가 중 두 명이 [49]정글에서 호랑이 사냥을 하기 위해 코스에서 휴식을 취한 것에 대한 실망감을 전했다.
- ^ 작가 존 윈은 [48]트랙의 악기로 기타, 베이스, 드럼, 피아노, 타악기만을 꼽는다.밀레그 컴필레이션에 이용 가능한 대체 믹스를 언급하면서 그와 작가 리치 언터버거는 플루겔호른과 드럼 롤링은 [50][51]곡의 버려진 결말에서 박수 소리가 난 후에만 들린다고 말한다.
- ^ 도노반은 잡지의 논평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물론 그것은 위로의 질이지만 또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1968년이었고 더 이상 [11]간단해 보이지 않았다.
- ^ 세베린은 버디가 처음에는 "유리 양파"를 다루고 싶었지만 "저에게는 'Dear Prudence'가 그 [68]중 하나라는 것이 너무나 명백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레퍼런스
- ^ Wyman, Bill (7 June 2017). "All 213 Beatles Songs, Ranked from Worst to Best". Vul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ne 2017. Retrieved 7 January 2018.
- ^ 맥도날드 2005, 310-11페이지.
- ^ 셰프 2000, 198페이지
- ^ 에버렛 1999, 페이지 158, 167
- ^ Kirkus Reviews staff (25 August 2015). "Dear Prudence by Prudence Farrow Burns". Kirkus Revi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18. Retrieved 5 April 2018.
- ^ a b 워맥 2014, 페이지 219
- ^ a b c Chiu, David (4 September 2015). "The Real 'Dear Prudence' on Meeting Beatles in India". Rolling St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September 2015. Retrieved 5 April 2018.
- ^ a b Paytress 2003a, 16페이지
- ^ 라일리 2011, 페이지 381
- ^ a b c Spignesi & Lewis 2009, 페이지 252.
- ^ a b c d Alexander, Phil; et al. (July 2006). "The 101 Greatest Beatles Songs". Mojo. p. 90.
- ^ 셰프 2000, 198-99페이지.
- ^ 워맥 2014, 페이지 274
- ^ a b c Ghosh, Palash (13 August 2013). "Dear Prudence: Recollections of the Beatles by the Woman Who Inspired One of Their Most Beautiful Song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18. Retrieved 4 December 2018.
- ^ 맥도날드 2005, 페이지 300
- ^ 터너 2006, 페이지 146
- ^ 바비욱 2002, 페이지 215
- ^ Reitch 2005, 페이지 209-10.
- ^ Paytress 2003a, 페이지 14
- ^ 터너 2006, 페이지 147
- ^ Paytress 2003a, 페이지 15
- ^ 페들러 2003, 페이지 436~37.
- ^ 맥도날드 2005, 페이지 241, 311.
- ^ 맥도날드 2005, 페이지 311, 494.
- ^ 라일리 2002, 페이지 263-64
- ^ a b c d e f 에버렛 1999, 페이지 168
- ^ a b c 맥도날드 2005, 페이지 311
- ^ a b c 라일리 2002, 페이지 265
- ^ a b c d e Doyle, Jack (27 July 2009). "Dear Prudence, 1967–1968". PopHistoryDig.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2. Retrieved 15 May 2010.
- ^ a b 헤르츠고르 1996, 페이지 256
- ^ 워맥 2007, 페이지 220-21.
- ^ 에버렛 1999, 페이지 163
- ^ 마일즈 2001, 페이지 299
- ^ 2009년, 169-70페이지.
- ^ Quantick 2002, 페이지 23
- ^ Hertsgaard 1996, 페이지 252, 256.
- ^ 2009년, 페이지 170
- ^ Unterberger 2006, 199페이지
- ^ Hertsgaard 1996, 페이지 xix, 256.
- ^ a b Quantick 2002, 페이지 74-75.
- ^ 굴드 2007, 518-19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루이스온 2005, 페이지 152
- ^ Quantick 2002, 페이지 76
- ^ 마일즈 2001, 페이지 307, 315
- ^ 2009년, 페이지 205
- ^ a b 바비욱 2002, 페이지 227
- ^ a b c d e f g h Fontenot, Robert. "The Beatles Songs: 'Dear Prudence' – The history of this classic Beatles song". oldies.abou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15. Retrieved 4 December 2018.
- ^ a b c 2009년, 페이지 206
- ^ 셰프 2000, 페이지 199
- ^ 2009년, 페이지 207
- ^ 언터버거 2006, 페이지 212
- ^ 굴드 2007, 페이지 518
- ^ 라일리 2002, 페이지 264
- ^ Lewisohn 2005, 페이지
- ^ 마일즈 2001, 페이지 314
- ^ 워맥 2007, 페이지 221
- ^ 에버렛 1999, 페이지 188
- ^ Uncredited writer (16 November 1968). "The Beatles: The Beatles (White Album) (Apple)". Record Mirror. Rock's Backpages Archived 2018년 12월 5일 Wayback Machine에서 이용 가능합니다(등록 필요).
- ^ 마일즈 2001, 페이지 316
- ^ 라일리 2002, 페이지 261, 264–65.
- ^ Quantick 2002, 페이지 75
- ^ a b c d e 워맥 2014, 페이지 220
- ^ Rimer, Sara (28 June 1987). "The Beatles and Youth at Auction".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09. Retrieved 10 November 2009.
- ^ 에버렛 1999, 344페이지
- ^ Hyæna (LP credits). Siouxsie and the Banshees. Geffen Records. 1984.
{{cite AV media notes}}
: CS1 유지: 기타 인용 AV미디어 (주) (링크) - ^ a b c d e Clark, Carol (15 February 2018). "The story behind the song: Dear Prudence by Siouxsie and the Banshees". Loud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rch 2019. Retrieved 2 August 2019.
- ^ Johnston, Chris (28 May 2015). "The Crate: Siouxsie and the Banshees faithfully cover the Beatles' Dear Prudence". The Sydney Morning H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rch 2019. Retrieved 12 March 2019.
- ^ a b c Paytress 2003b, 137페이지
- ^ a b Webb, Robert (21 June 2002). "Double Take: Dear Prudence – The Beatles/Souxsie and the Banshees". The Independent. Retrieved 12 March 2019.
- ^ 라일리 2002, 페이지 9, 265
- ^ Quantick 2002, 페이지 75-76.
- ^ "Go-Set Australian charts – 2 August 1969". poparchives.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18. Retrieved 4 December 2018.
- ^ 워맥 2014, 페이지 193, 220.
- ^ a b 맥도날드 2005, 310페이지
원천
- Babiuk, Andy (2002). Beatles Gear. San Francisco, CA: Backbeat Books. ISBN 0-87930-731-5.
- Everett, Walter (1999). The Beatles as Musicians: Revolver Through the Ant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2941-5.
- Gould, Jonathan (2007). Can't Buy Me Love: The Beatles, Britain and America. London: Piatkus. ISBN 978-0-7499-2988-6.
- Hertsgaard, Mark (1996). A Day in the Life: The Music and Artistry of the Beatles. London: Pan Books. ISBN 0-330-33891-9.
- Leitch, Donovan (2005). The Autobiography of Donovan: The Hurdy Gurdy Man.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ISBN 978-0-312-35252-3.
- Lewisohn, Mark (2005) [1988]. The Complete Beatles Recording Sessions: The Official Story of the Abbey Road Years 1962–1970. London: Bounty Books. ISBN 978-0-7537-2545-0.
- MacDonald, Ian (2005). Revolution in the Head: The Beatles' Records and the Sixties (2nd rev. edn). Chicago, IL: Chicago Review Press. ISBN 978-1-55652-733-3.
- Miles, Barry (2001). The Beatles Diary Volume 1: The Beatles Years. London: Omnibus Press. ISBN 0-7119-8308-9.
- Paytress, Mark (2003a). "A Passage to India". Mojo Special Limited Edition: 1000 Days of Revolution (The Beatles' Final Years – Jan 1, 1968 to Sept 27, 1970). London: Emap. pp. 10–17.
- Paytress, Mark (2003b). Siouxsie & the Banshees: The Authorised Biography. London: Sanctuary. ISBN 1-86074-375-7.
- Pedler, Dominic (2003). The Songwriting Secrets of the Beatles. London: Omnibus Press. ISBN 978-0-7119-8167-6.
- Quantick, David (2002). Revolution: The Making of the Beatles' White Album. Chicago, IL: A Cappella Books. ISBN 1-55652-470-6.
- Riley, Tim (2002) [1988]. Tell Me Why – The Beatles: Album by Album, Song by Song, the Sixties and After. Cambridge, MA: Da Capo Press. ISBN 978-0-306-81120-3.
- Riley, Tim (2011). Lennon: The Man, the Myth, the Music – The Definitive Life. London: Random House. ISBN 978-0-7535-4020-6.
- Sheff, David (2000) [1981]. All We Are Saying: The Last Major Interview with John Lennon and Yoko Ono.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ISBN 0-312-25464-4.
- Spignesi, Stephen; Lewis, Michael (2009). 100 Best Beatles Songs: A Passionate Fan's Guide. New York, NY: Black Dog & Leventhal. ISBN 978-1-57912-842-5.
- Turner, Steve (2006). The Gospel According to the Beatles.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ISBN 978-0-664-22983-2.
- Unterberger, Richie (2006). The Unreleased Beatles: Music & Film. San Francisco, CA: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892-6.
- Winn, John C. (2009). That Magic Feeling: The Beatles' Recorded Legacy, Volume Two, 1966–1970. New York, NY: Three Rivers Press. ISBN 978-0-307-45239-9.
- Womack, Kenneth (2007). Long and Winding Roads: The Evolving Artistry of the Beatles. New York, NY: Continuum. ISBN 978-0-8264-1746-6.
- Womack, Kenneth (2014). The Beatles Encyclopedia: Everything Fab Four. Santa Barbara, CA: ABC-CLIO. ISBN 978-0-313-39171-2.
외부 링크
- 비틀즈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 곡의 전체 가사
- 앨런 W. 폴락의 "Dear Prudence"에 대한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