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젤레 자아이
Deep Jwele JaaiDeep Jwele jai[1](transl.램프에 불을 붙이기 위해)는 아시트 센 감독이 연출한 1959년 인도 벵골어 영화다. 이 영화는 아슈토시 무케르지의 미트라 간호사라는 벵골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센 자신이 하모시로 1969년 힌디어로 리메이크되었다.[2][3] 그전까지는 1960년 텔루구(Telugu)에서 시바라쿠 미가일디(Migiledi)로 리메이크된 바 있다.
플롯
수키트라 센이 연기하는 정신과 병원의 간호사의 이야기다. 센의 캐릭터는 감정적인 트라우마를 겪은 환자들을 위해 새로운 치료법을 탐구하는 팀의 한 부분이다. 이 팀이 취하는 접근법은 이 개인들에게 센의 캐릭터가 그녀의 역할을 하는 감정적인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녀의 역할은 환자의 친구이자 애인으로서 행동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녀의 역할은 순전히 환자의 회복을 돕고 있는 간호사의 역할이기 때문에 그녀 자신의 입장에서 어떠한 감정적인 개입도 자제해야 한다. 그녀는 간호사로서 치료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그녀가 경험하는 감정적 애착을 반복적으로 깨야 한다.
영화는 치료의 전 과정에서 단지 도구로 이용되는 이 간호사의 방치된 정서적 트라우마를 살펴본다. 영화는 센씨가 간호사였던 같은 병동에 입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영화의 마지막 말은 "나는 연기자가 아니었어, 할 수 없었어"라고 속삭이는 센의 말로, 그녀가 정말로 그녀의 환자와 사랑에 빠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른 사람들 사이에 캐스팅되었는데, 파하리 산얄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자 열심이지만 인적 비용을 주저하는 베테랑 의사 역을 맡았다. 바산타 차우두리는 예술가, 연인 스콜라로 분한다.
이 음악은 헤만타 무케르지가 지휘했으며, 그 중 하나인 "에이 라아트 토마르 아마르"(이 밤은 너와 나를 위한 노래)는 벵갈리에서 부른 가장 위대하고 감각적인 사랑 노래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캐스트
- Souchitra Souchitra Sen... 라다
- 바산타 처드허리..타파시
- 파하리 산얄..정신과 의사
- 툴시 차크라보르티
- 아닐 채터지..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
- 나미타신하
- 가자리구하
- 찬드라바티 데비..마트론
- 딜립 처드허리
- 샤이암 라하
사운드트랙
모든 가사는 Gauriprasanna Mazumder가 쓰고, 모든 음악은 Hemant Kumar가 작곡한다.
리메이크
그 영화는 특히 도시 중심가에서 큰 히트를 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줄거리에 감동한 제작자 부푸누툴라 푸루쇼담 레디와 감독 구타 라미네두는 사비트리가 주연한 텔루구의 시바라쿠 미가레디로 벵골 영화를 리메이크했는데, 이 영화는 흥행에 실패했다.[4] 아싯 센 감독은 이후 와헤에다 레흐만, 라제쉬 칸나, 다멘드라 등이 주연한 힌두어로 이 영화를 하모시(실런스)(1969년)로 리메이크했다.
1986년 프리야다르산은 영국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원'과 위의 3편의 영화에서 영감을 얻어 말라얄람 영화 '탈라바탐'을 만들었다. 2005년 살만 칸, 카리에나 카푸어, 리미센, 재키 슈로프, 옴 푸리 주연의 힌디어로 리메이크되었다.[5]
참조
- ^ "DEEP JWELEY JAI - Film Database - Movie Database". citwf.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2. Retrieved 23 October 2008.
- ^ 6 Old Gold Bengali Movies Impressed Bolly Removie - Part II. noisebreak.com
- ^ 벵골 영화의 리메이크 이 경향의 새로운 점. 인도의 시간.
- ^ Narasimhan, M. L. (28 January 2016). "Chivaraku Migiledi (1960)". The Hindu.
- ^ "::Latest Bollywood Movie Kyunki :: Movie Review of Kyunki Movie :: story, cast and crew, stills of Kyunki Movie ::". www.salmankhan.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08. Retrieved 200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