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드리크 피닝

Didrik Pining
현대(20세기) 피닝과 그의 파트너인 포토르스트의 인물들은 브레멘보트체르스트라에서 베른하르트 호에거그린켄스피엘스에서 찍은 것이다. 이 이미지는 그들이 미국에 도달했고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과 마주쳤다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1]

디드릭 피닝 (Didrik Pinning,c. 1430년– 1491년)[2]은 독일의 민간인이자 귀족이며 아이슬란드바드뢰후스의 주지사였다.[3]

역사학자 소퍼스 라슨과 토마스 P. 휴즈콜럼버스가 발견하기 거의 20년 전인 1470년대에 북아메리카에 착륙했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4] 피닝에 관한 일부 주장은 일반적으로 피닝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희박하고 부분적으로 모순되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3]

전기

초년기

디드릭 피닝은 독일의 현대 족보학자에 의해 독일힐데스하임 출신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한 보고서에 따르면 "깜짝이고 결정적으로 증명되었다"[5]고 한다. 1930년대까지 데인이나 노르웨이어인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6]

1468년까지의 한세아틱 기록에서 그는 북대서양에서 영국 상선을 사냥한 혐의로 함부르크의 군대에서 사역자 또는 선장으로 언급된다.[5][6] 1468년부터 1478년까지 는 덴마크의 기독교 1세(재위 1448–1481), 이후 그의 아들인 덴마크의 존(재위 1481–1513) 밑에서 덴마크(재위 1470년)[7]를 섬겼다.[3] 댄스에 고용되기 전 피닝과 그의 파트너 한스 포토르스트한세동맹으로부터 "한세도시에 큰 피해를 준 해적"으로 간주되어 왔다.[8] 크리스천 1세의 말년에 피닝과 포토르스트는 "비할 데 없는 프리부츠 선수들 못지 않게 유능한 선원들"[9]로 두각을 나타낸다고 한다.

미국 여행 혐의

소푸스 라르센 이론

미국에 도착하는 피닝 항해의 이론은 코펜하겐 대학소푸스 라르센 박사가 1925년 콜럼버스보다 20년 앞선 북아메리카의 발견이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발표하였다.[5] 라르센은 그의 주장을 다양한 출처(주로 3가지)에 근거를 두었는데, 그것은 즉각적으로 명백한 연관성이 없었다.[10] 피닝은 라르센이 1470년대 초반 그린란드 북쪽 탐험의 지도자로 임명한 것에 따른 것이다.[5] 그는 한스 포토르스트(힐데스하임 출신)와 함께 포르투갈 탐험가 조앙 바즈 코르테-레알, 알바로 마르틴스와 함께 원정대의 주동자였다고 한다. 네비게이터는 아마도스콜버스라는 반신체적인 인물이었을 것이다. 라르센에 따르면, 이 임무는 버겐에서 시작되어 아이슬란드그린란드를 거쳐, 마침내 뉴펀들랜드래브라도로 추정되는 "코다피쉬의 땅"인 테라 도 바칼하우(Terra do Bacalhau)를 발견했다고 한다.[3][5] 피닝과 코르테-레알이 각각 아이슬란드(1478)와 아조레스(1474)의 주지사로 임명됐다는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이들 임명은 라르센에 따른 것으로, 코르테-레알이 대구 땅을 발견한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5]

일반연구

라르센의 주장은 스칸디나비아포르투갈에서 학문과 대중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반면, 독일 학자들 사이에서는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역사학자들이 이 계정을 받아들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조롱에서 최소한 그것의 일부의 타당성을 받아들이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5] 일반적으로 이론이 "증명이 되지 않았다"(또는 충분히 "실증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지만, 가능한 "최종적 증거"가 결여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더 많은 정황들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닝과 포토스트가 코르테-레알의 여행과 어떤 연관성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북아메리카(그린란드 제외)[12]에 도달했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지지하는 소식통도 없다. 그러나 알려진 것은, 아이슬란드 무역과 관련하여 가능한 몇 가지 정책 중 어떤 것이 개발되어야 하는지, 어떤 정착지와 항만들을 개발해야 하는지를 찾기 위해 덴마크 왕실의 명령에 의해 피닝과 포토르스트가 파견되었다는 것이다. 피닝의 명령에는 이전에 11세기에 피니티메라고 불렸던 지역(즉, "아직 기억되고 있지만 오래된 그린란드의 정착지 반대쪽 해안")[8]에 대한 조사도 포함되었다. 1476년, 그들은 이 여행을 했는데, 아마도 그린란드로 갔을 것이다. 그곳에서 그들은 적대적인 이누이트와 마주쳤다는 보고를 받았고, 노르웨이의 사람들은 없었다.[13] 이들이 방문한 장소는 앙마살릭 주변으로 추정된다.[13] 이것보다 더 서쪽으로 [14]갔다는 건 특별한 건 없어

만년

1478년 디드릭 피닝은 아이슬란드의 주지사(Höfuðsmaðr)[15]가 되어,[16] 1481년까지 재직하면서 "아이슬란드에서 탈출했다"고 언급되었다.[9] 는 전 주지사 소렐리프 비외른손의 후임으로, 그의 사촌 잉빌드와 결혼하기 위한 투쟁은 피닝의 지지를 받았다. 이듬해 소렐리프는 피닝 바다코끼리 뿔을 주어 왕에게 그의 조합 면허를 지불하게 했다. 이 협정은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운이 좋은 두 왕조를 합병하면서 1484년에 성립되었다. 같은 해, 피닝과 그의 부하들이 여성을 강간하고 농부들로부터 돈을 훔쳤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15] 1481년, 피닝은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1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7] 그는 또한 버겐코펜하겐에 대한 경의를 표하고 노르웨이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의 개인적인 무장을 사용했다.[17] 몇 년 후인 1489년과 1490년에 다시 아이슬란드어 법전이나 칙령(일명 피닝어법전)에서 "아이슬란드 전체의 주지사(이상한 조어)"로 묘사된다. 한 후기 고문은 그에 대해 "그는 여러 면에서 서비스 가능한 사람이었고 잘못된 많은 것들을 바로잡았다"[9]고 말한다. 그의 대자와 조카인 디드릭 피닝은 1490년에 그의 뒤를 이어 2년 동안 총독을 지냈다.[17]

피닝은 한스 포토르스트와 함께 북대서양 해역을 순찰을 돌았으며 영-대서양 해전(1484–90)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8] 1484년경, 그는 영국이나 브리트니 해안과 스페인해에서 코펜하겐에 있는 덴마크의 존 왕에게 가져온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선박 3척을 나포했다.[9] 그는 1486년 왕실 함대의 제독으로 요한과 함께 버겐에 갔다.[19] 1487년 함대를 이끌고 발트해 고틀란트 섬으로 가서 덴마크용으로 확보했다.[3][19] 그러나 1490년 덴마크의 존과 네덜란드인 사이에 체결된 조약에서 디드릭 피닝(그리고 바르톨드 부쉬라는 또 다른 제독)[20]은 평화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 후 그는 아이슬란드의 영주로서도 언급되었다. 같은 해에 피닝은 바드뢰후스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따라서 북쪽 해역의 바다와 육지의 총사령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21]

디드릭 피닝은 1491년 핀마크노스케이프 근처에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17] 스키비 크로니클에서 피닝(그리고 포토르스트)은 비록 일부 현대 역사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되었지만, "친구들에 의해 살해되거나 교수대에 교수형 당하거나 바다의 파도에 익사하는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22]는 많은 해적들 사이에서 언급되고 있다.[18]

이후 참조

1551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3세에게 보낸 서한에서 카스텐 그리엡 키엘 시장은 피닝과 포토르스트의 원정 때 만든 북대서양 지도 2개를 왕에게 보냈는데, "폐하의 왕조부 크리스티안 1세가 포르투갈의 폐하의 요청으로 보내어 새로운 나라를 탐험하기 위해 특정한 배와 함께 보냈다.북쪽의 섬들은 와이츠체르크 바위 위에서 자라서 그린란드 앞바다에 있는 아이슬란드의 스니펠시켈을 향해 있는데, 이것은 그린란드 해적들(아마도 이누이트) 때문에 훌륭한 해상 표식이다."[23][24]

오라우스 마그누스의 설명은 그의 목판화 중 하나(위 그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비데르크가 보이는 남부 그린란드 해안과 에스키모인들과 싸우는 탐험가들과 흡사하다.[25]

Olaus Magnus는 1555년, 피닝과 포토르스트가 해적행위로 인해 "북유럽 왕들에 의해 모든 인간 접촉에서 배제되고 무법자로 선언되었는데, 이는 북유럽 왕들이 그들의 극도로 폭력적인 강도와 그들이 가까이 있든 멀리 있든 잡을 수 있는 모든 선원들에 대한 수많은 잔인한 행동의 결과였다"고 썼다. 그 후 그들은 Hvidserken이라는 절벽으로 피신했는데, 그것은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 사이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마그누스는 "1494년"에 해적들이 절벽 꼭대기에 있는 상당한 원형 공간에서 거대한 나침반을 만들어 냈는데, 어떤 방향에서 큰 전리품을 찾을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고 덧붙였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그들이 덴마크 왕을 위해 그것을 되찾기 위해 그린란드 해안에 사실 어떤 표시를 했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10]

1625년, 런던의 한 보고서는 피닝과 포토르스트(Punnus and Potharge)에 대해 이야기하고, 피닝이 나중에 아이슬란드어로 쓰여진 피닝의 법칙으로 언급된 "섬사람들의 법칙은 피닝의 법칙이다.[21]

참고 항목

각주

  1. ^ 휴즈, 2004년 513페이지.
  2. ^ 휴즈, 2004, 페이지 504와 506.
  3. ^ a b c d e "Didrik Pining".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6 October 2010.
  4. ^ "Expedition to Newfoundland 1472". Medieval Histories. 2016-04-07. Retrieved 18 May 2021.
  5. ^ a b c d e f g 휴즈, 2003년
  6. ^ a b 휴즈, 2004년 페이지 504.
  7. ^ 휴즈, 2004, 페이지 504-05.
  8. ^ a b 1984년 프리드랜드 541페이지
  9. ^ a b c d 난센과 채터, 1911, 페이지 125.
  10. ^ a b 2007년 옌센, 페이지 186.
  11. ^ 휴즈, 2004년 523페이지.
  12. ^ 시버, 1997, 페이지 199.
  13. ^ a b 밀스, 2003, 페이지 273.
  14. ^ 디피, 1977년, 페이지 449.
  15. ^ a b 시버, 1997, 페이지 200.
  16. ^ 휴즈, 2004년 페이지 505.
  17. ^ a b c d 휴즈, 2004, 페이지 506.
  18. ^ a b 젠슨, 2007년, 페이지 185.
  19. ^ a b 젠슨, 2007년, 페이지 185-86.
  20. ^ 다애, 1887, 페이지 240.
  21. ^ a b 난센과 채터, 1911, 페이지 126.
  22. ^ 난센과 채터, 1911, 페이지 129.
  23. ^ 난센과 채터, 1911, 페이지 127.
  24. ^ Stefansson, 2005, 페이지 84.
  25. ^ 휴즈, 2004년 515페이지.
  26. ^ 다애, 1887, 페이지 244.

참조

추가 읽기

  • Berdichevsky, Norman (1991), The role of 'sibling rivalry' in the '(Re)discovery' of America controversy, 3, Journal of Cultural Geography, pp. 59–68
  • Enterline, James Robert (2002). Erikson, Eskimos & Columbus. Center for American Places (illustrated ed.). JHU Press. p. 195. ISBN 0-8018-6660-X. Retrieved 07-02-2009. 날짜 값 확인: access-date= (도움말)
  • Kiedel, Klaus-Peter (1980), Eine Expedition nach Grönland im Jahre 1473, 3, Deutsches Schiffahrtsarchiv, pp. 115–140
  • McGhee, Robert (1992), Northern Approaches. Before Columbus: Early European Visitors to the Shores of the "New World", 72, Beaver, pp. 6–23
  • Pini, Paul (1971), Der Hildesheimer Didrik Pining als Entdecker Amerikas, als Admiral und als Gouverneur von Island im Dienste der Könige von Dänemark, Norwegen und Schweden, Hildeshe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