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동음이의)

Ding (surname)
丁.png
한자
로마자화중국어: 딩, 팅
한국어: 정, 정
베트남어: 딘
기원
단어/이름중국

(중국어: ; 핀인: Dīng; Wade-Giles: Ting1)은 중국의 성씨다. 단 2획으로 구성된다. 더 간단한 두 글자는 「一」과 「一」이다.

분배

2019년에는 중국 본토에서 48번째로 흔한 성이었다.[1]

오리진스

딩의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다.[citation needed]

  • 역사상 이 성의 초기 기록은 상나라 때의 딩공이었다.
  • 장 성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제나라의 공작제나라의 두 번째로 기록된 통치자였다. 그의 사후 후손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시호인 딩(Ding)을 그들의 씨족 이름으로 채택하였다.
  • 춘추전국시대에는 송의 공작의 후손도 딩(딩)을 성으로 삼았다.
  • 삼국시대에 우나라의 장군인 순광은 실수로 식량을 불태웠으며, 에 대한 벌로서 순취안왕은 이 장군에게 성을 딩으로 바꾸라고 명령하였다. 왕은 장군님과 같은 성을 가지기를 원하지 않았다.

딩 고향은 산둥성 딩타오(딩타오)의 북서쪽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후이족

링산 이슬람묘지에 있는 취안저우 딩씨 조상 중 한 명(장씨, 첸씨 등)의 무덤이다.

Among the Hui Muslims, the surname Ding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the last syllable of the Arabic honorific "ud-Din" or "al-Din" (as in, for example, the name of the Bukharan Muslim Sayyid Ajjal Shams ud-Din (1210–1279; also spelled al-Din), who was appointed Governor of Yunnan by the Mongol Yuan dynasty).[3]

특히 푸젠성 취안저우 인근 첸다이 딩기족에서는 중국어로 사이디안치 샨시딩(赛典赤赡丁)으로 알려진 세이이드 아잘 샴스 ud-din의 하강이 증명되고 있다.[3][4]

콴저우 링산 이슬람 묘지에 있는 딩스 묘지와 그들의 친척인 장스, 첸스. 몇몇 무덤은 기독교의 상징을 가지고 있다.

비록 일부는 이슬람교를 실천하지 않지만, 딩족은 여전히 이슬람교도라고 알려진 푸젠성 취안저우 주변의 더 잘 알려진 후이 가문 중 하나로 남아 있다.[5][6] 이 후이족들은 아랍인, 페르시아인 또는 다른 이슬람교 선비들의 후손만을 필요로 하며, 그들은 이슬람교도가 될 필요가 없다.[7] 그들의 역사적인 조상들의 종교 때문에, 그것은 딩 가문의 조상들에게 돼지고기를 제공하는 금기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딩 가족들 스스로가 돼지고기를 소비한다.[8]

세이이드 아잘 샴스 알 딘 오마르의 후손인 딩(팅) 가문의 한 지부가 대만 윈린타이시 타운쉽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은 푸젠성 취안저우에서 온 딩 가문을 통해 그의 혈통을 추적한다. 푸젠성에 있는 동안 한족으로 위장했지만, 그들은 1800년대에 대만에 처음 도착했을 때 이슬람교를 실천했고, 곧 이슬람 사원을 건설했다. 때마침 그들의 후손들은 모두 결국 불교나 도교로 개종했고 딩 가문이 지은 사원은 현재 도교 사원이 되어 있다.[9]

딩 가문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도 중국 내 지부를 두고 있지만 이슬람을 더 이상 실천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는 후이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닝샤의 후이 전설은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 수, 라, 딩 등 4개의 성을 샴스 알딘의 아들 나스루딘의 후손과 연결시켜 주고 있는데, 나스루딘은 그들 사이에 (중국어, 나술라이딩) 조상의 이름을 "분할"했다.[10]

기타 로마자 표기법

저명인사

허구의 등장인물

참조

  1. ^ "新京报 - 好新闻,无止境".
  2. ^ "Origin of the surname Ding".
  3. ^ a b Kühner, Hans (2001). "The barbarians' writing is like worms, and their speech is like the screeching of owls": Exclusion and acculturation in the early Ming period".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Vol. 151, no. 2. pp. 407–429. ISSN 0341-0137.; 페이지 414
  4. ^ Angela Schottenhammer (2008). Angela Schottenhammer (ed.).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Otto Harrassowitz Verlag. p. 123. ISBN 978-3-447-05809-4. Retrieved 2010-06-28.
  5. ^ Gladney, Dru C. (2004). Dislocating China: reflections on Muslims, minorities and other subaltern subjects. C. Hurst & Co. Publishers. p. 294. ISBN 1-85065-324-0.
  6. ^ Robert W. Hefner (1998). Market cultures: society and morality in the new Asian capitalisms. Westview Press. p. 113. ISBN 0-8133-3360-1. Retrieved 2010-06-28.
  7. ^ Dru C. Gladney (1996). Muslim Chinese: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 Asia Center. p. 286. ISBN 0-674-59497-5. Retrieved 2010-06-28.
  8. ^ Dru C. Gladney (1996). Muslim Chinese: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 Asia Center. pp. 271–272. ISBN 0-674-59497-5. Retrieved 2010-06-28.
  9. ^ Loa Iok-Sin / STAFF REPORTER (Aug 31, 2008). "FEATURE : Taisi Township re-engages its Muslim roots". Taipei Times. p. 4. Retrieved May 29, 2011.
  10. ^ Dillon, Michael (1999).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Routledge. p. 22. ISBN 0-7007-10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