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소나임)

Wang (surname)
王-order.gif
로마자 표기법완 ([와̌]) (만다린)
웡 (성명)(홍콩, 마카오, 광둥어, 하카)
와안 (상하이네스)
, 봉(호키)
(Teochu)
우엉 (간)
(한국인)
O(일본어)
Vang, Vaj, Vaaj (Hmong)
Vưng, Vong(베트남어)
(타이)
발음웡 (광동어)
언어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기원
언어고대 중국어
의미"킹"[1]
기타 이름
파생상품뷔옹
인기통속적인 이름을 보다.
汪姓 - 楷体.svg
발음완 ([wa]) (만다린)
(광동어)
와안 (상하이네스)
옹, 앙 (호키)
(한국인)
우엉 (베트남어)
언어중국어, 한국어, 베트남어
기원
언어중국어
의미"바스트"

(/wɑŋ/)중국 공통의 성 (wang)과 (wang)의 핀인 로마자화다. 현재 중국 본토에서 가장 흔한 성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1억 개 이상의 성씨로 세계에서 가장 흔한 성씨 중 하나이다.[2][3]

()은 송나라의 유명한 백가 성씨 목록에 8위에 올랐다.

()은 백가성 중 104번째였으며, 현재 중국 본토에서 58번째로 흔한 이다.

왕씨는 몇몇 유럽 국가들에서도 성이다.

로마자 표기법

is also romanized as Wong in Hong Kong, Macau, Cantonese, Hakka and Hainanese; Waan or Waon in Shanghainese; Ong or Bong in Hokkien; Heng in Teochew; Uōng in Gan; Vang, Vaj, or Vaaj in Hmong; Vương or Vong in Vietnamese; Wang () in Korean; and Ō or Oh in Japanese.

인구 및 분포

완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성 중 하나로 2007년 4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신분증정보시스템에 의해 중국 본토에서 가장 흔한 성으로 등재된 성씨는 9288만 명으로 일반 인구의 7.25%를 차지하고 있다.[4][5]

2018년 조사 결과 중국에 1억 명이 넘는 왕이 있어 1위를 차지했다.[3]

완은 2019년에도 중국 본토에서 가장 흔한 성이었다.[6]

2013년 한 연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 이름을 공유하고 있는 지방이 헤난이라고 한다. 전반적으로 중국 북부에 그 이름이 더 널리 퍼져 있다.[7] 2019년에는 신장, 간쑤, 내몽골, 산시, 산시, 허난, 허난, 허베이, 장쑤, 산둥, 베이징, 톈진,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등 거의 모든 북부 지방이나 지방급 부서에서 가장 흔한 성이었다.[6]

2005년 대만에서 6번째로 흔한 성으로 일반 인구의 4.12%를 차지했다.[8]

옹은 중국 싱가포르인과 왕씨 6위 중 5번째로 흔한 성이지만, 왕씨 역시 성(중국어로는 후앙)을 포함하고 있다.[9] 싱가포르 왕씨는 싱가포르 인구의 1.5%와 7만8000명이다.

미국에는 2014년 현재 14만3000명의 왕씨가 녹음돼 있다.[10] 이는 2000년 6만3800명의 왕스가 아시아계 미국인 중 10위, 전체 미국인 중 440위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두 배 증가한 것이다.[11] 캘리포니아에는 5만1000명의 왕스, 1만7000명의 뉴욕, 1만400명의 텍사스, 5900명의 뉴저지, 5700명의 일리노이주가 있다. 캘리포니아 왕스는 주 55위로 어떤 주에서도 순위가 가장 높다. 왕과 웡은 왕에 기반을 둔 다른 성들뿐만 아니라 때때로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왕(한글: )은 한국에서 상당히 드문 성이다. 2000년 한국 인구 조사에서는 2만3447명의 왕만 등록했다.[12]

완의 기원

왕씨(王氏)는 '왕'을 뜻하는 한자어다. William Baxter와 Laurent Sagart는 Wang의 Old Chinese 형식을 *ɢaaŋ, 중한자hjwang으로 재구성했다.[1]

완이라는 이름의 현대식 비어는 여러 가지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식 성의 네 가지 주요 기원이 있는데, , , 구이, 한족 이외의 민족으로부터 그 이름을 채택한 것이다.[13][better source needed]

하우스 오브 지

완( of)의 가장 오래된 성은 지()라는 성에서 유래되었다. 중국의 전설은 상나라 말기에 상왕 비간, 지쯔, 위쯔주왕이 '상왕 3인방'으로 불렸다고 언급하고 있다. 주왕은 그의 통치에 난폭했고, 비간은 그의 행동에 대해 거듭 왕에게 항변했다. 왕은 자신의 발언을 피하고 대신 비간을 죽였다. 비의 후손들은 왕자의 후손인 만큼 완을 성으로 삼았으며, '완씨 가문의 비씨'로 알려져 있다.[14][better source needed] 지씨족은 진나라를 거쳐 당나라까지 약 3100년 동안 존재해왔으며 오늘날에도 존재한다. 완족의 쯔족은 이 시기 현대에 허난[where?](河南)에 주로 거주하면서 지현의 유명한 완( w)[15] 가문으로 발전하였다.

지씨 집

더 많은 완은 주나라의 왕실에서 유래되었다. 주나라 왕실의 원래 성은 지(知)이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전력과 토지의 손실로 가문을 떠나 별거한 상태다. 그들은 한때 왕실에 속했기 때문에 웡을 성으로 삼았다. 이 완씨 가문은 왕쯔차오까지 조상을 추적했다.[16]

고전 기록에 따르면, 주(周) 우왕상나라를 무찌른 후 서주(西州)를 세웠다. 21대 왕인 주왕 링(기원전 571년~545년) 때 수도는 청저우(淸州)에 있었는데, 지금의 허난(河南) 뤄양(뤄양)이다. 링왕의 아들인 왕지차오(王志 q) 또는 왕자차오(王子 prince)는 국왕에 대한 재혼으로 인해 민간인 신분으로 전락했다. 아들 종진은 궁중에 시트로 남아 있었고, 당시 백성들 때문에 그를 왕실의 후손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그의 가문을 '완씨 가문'이라고 불렀다.[17]

또 다른 유래는 이 성이 동주(東州)의 주(周) 링왕의 아들인 진태자(陳太子)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진씨는 구강과 뤄강을 우회하려는 계획을 비판했고 아버지로부터 상속권을 빼앗겼다. 그의 후손들은 왕명을 기념하여 왕씨 성을 채택했다.[18]

또 다른 경우, 그 이름은 기원전 391년에 제나라의 왕위를 빼앗은 톈허(天河)에서 유래한 것으로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기원전 221년 진에 의해 제를 멸망시킨 후, 제 귀족의 일부 후손들은 왕명을 기념하여 왕씨 성을 채택하였다.

왕씨는 또한 전쟁 기간 동안 와 같은 특정한 다른 주에서 왕실의 후손들에 의해 성으로 사용되었다.

이 성은 또한 북위 시대 시안베이(西安北)의 게이(可颐) 가문 같은 소수민족의 일부 가문에서도 채택되었다.

어떤 집안에서는 이 성을 황제로부터 물려받았거나 원래 성을 바꾼 조상들이 왕실의 지위를 주장하면서 거슬러 올라간다.[which?]

During the Tang dynasty the Li clan of Zhaojun 赵郡李氏, the Cui clan of Boling 博陵崔氏, the Cui clan of Qinghe 清河崔氏, the Lu clan of Fanyang 范陽盧氏, the Zheng clan of Xingyang 荥阳郑氏, the Wang clan of Taiyuan 太原王氏, and the Li clan of Longxi 隴西李氏 were the seven noble families between whom marriage was banned by law.[19] 모리야 미츠오는 타이위안 왕(太元王) 후한탕(後漢 han) 시대의 역사를 썼다. 가장 강한 가문 중에는 타이위안 왕도 있었다.[20] 659년 가오종 황제가 내린 가족간의 혼인 금지는 볼링추이 여성이 태위안왕(太元王)의 일원과 결혼하여 시인 왕위(王衛)[21]를 낳은 이후 일곱 가문에 의해 불발되었다. 그는 왕철리안의 아들이었고, 차례로 왕주(王州)[22]의 아들이었다.

가오종이 일곱 가문에 대해 금혼을 시행한 후 가오종이 은밀히 혼인신고를 했다.[23] 주나라 링왕의 아들 진 왕자는 대부분 태위안왕의 조상으로 추정된다.[24] 룽먼 왕(龍門王)은 주(周) 왕조의 후예인 태위안 왕(太元王)의 생도선이었고, 왕옌([25]王 wang)과 손자 왕통(王通)은 생도선으로부터 환호를 받았다. 승려와 학자 모두 탄치안 스님과 같은 타이위안 왕씨 집안 출신이다.[26] 태위안의 왕씨 집안에는 왕환이 포함되어 있었다.[27] 가오종이 통치하는 동안 "7대성"이라는 지위가 알려지게 되었다.[28] 태위안 왕가는 진의 화이황제 휘하에서 활동한 왕준을 배출하였다.[29] 태위안 왕(太元王)의 푸저우(福州)에 본부를 둔 구간에서 승려 바이장이 배출되었다.[30]

다른 나라의 성

동아시아

한국

한글
한자
수정 로마자 표기법
매쿠네-라이샤워

왕성(王城)은 고구려 출신이며, 왕건이 세운 고려 왕조의 성씨였다. 고려가 함락되자 후조부터 심한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성을 전()/(前)/옥(玉)으로 바꾼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개성왕씨 혈통은 고려 통치자들에게서 조상을 더듬는다.

일본.

O(일본어: )는 드물게 일본식 이름인데, 주로 중국계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야구선수 오 사다하루(五田ah治)와 같이 왕첸치로도 알려져 있다.

동남아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홋카이도 혈통의 사람들에게는 성을 '행', '봉' 또는 '옹'으로,[citation needed] 중국 페라나칸에 의해 ''으로 더 흔히 로마자로 표기한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이민자 가족이 정착한 지역인 수라자(Suraja)에 더 가까운 이름으로 번역되기도 했는데, 이 경우 라자는 인도네시아어와 자바어로 왕을 의미하고 수자는 자바어 성 내에서 공통 접두어인 것이다.

유럽

스칸디나비아

왕씨는 스웨덴노르웨이에서도 무관한 성이다. 그것은 밭이나 목초지를 뜻하는 옛 노르웨이의 단어 vangr에서 유래된 Vang 이름의 변형된 철자다.

독일과 네덜란드

왕씨는 독일어네덜란드어에서도 성씨다. 그 이름은 중독일 왕/중디네덜란드 랑게에서 유래되었는데, 말 그대로 "치크"이다. 그러나 남부 독일어에서는 '그래시 슬로프' 또는 '풀밭'이라는 의미가 스칸디나비아의 성씨와 유사하다.

저명인왕

역사적 인물

  • 왕안시(王安時, 王安市) 송나라 정치인
  • 한나라의 시인작가 왕바오(王寶)
  • 왕비( bi, 王 bi), 삼국 도교 철학자
  • 당나라 시인 왕보(王報)
  • 중국 약초차 웡로캣 창업자 왕챗봉(王 chat bong/王泽邦)
  • 한나라 의 중국 철학자 왕충(王忠)
  • 송나라 도학자 겸 취안전학파의 창시자인 왕충양(王忠陽/王重)
  • 왕추지(王秋志·王王·王处)는 5대 왕조와 10대 왕조 시대의 딩저우 지방군수였다.
  • 백련반란의 여성 지도자 왕콘거(王 con兒/ lotus聪儿)
  • 왕도(王道, 王道, 王道, 王道, 王道, 王道), 진나라의 뛰어난 정치가, 수상, 고문
  • 왕둔( dun), 진나라(266–420), 반항적인 진 장군이자 후대의 군벌이다.
  • 중국 당나라의 황후 왕황후(王皇后, 王后)이다.
  • 본명 왕린(王林) 왕팡칭(王 fang慶/王 fangqing)은 당나라와 우제톈(武帝天)의 주나라 때 재상으로 재직했다.
  • 동한(東漢) 간쑤( gansu) 출신의 철학자 왕부(王府)
  • 류베이(劉 be) 휘하의 슈한 장군 왕푸( ()
  • 한나라의 영향력 있는 내시 왕부(王府)
  • 명나라 화가 왕부(王府)
  • 왕후지(王後//王王), 중국의 철학자·역사학자
  • 왕귀( gui) 당나라 재상
  • 왕궈웨이(王國ei/王国), 청나라 말기 및 초기 공화당 중국학자
  • 중국 법학자 왕후이즈(王 hu祖/汪辉祖)이다.
  • 진나라 출신의 위대한 장군 왕젠(王建)
  • 왕젠(王建//), 류송(劉松) 및 남제(南帝) 관료
  • 사후에 가오즈로 알려진 전 슈의 건국 황제 왕젠(王建, 王建, 王建, jian)
  • 명나라 화가 왕젠(王建/王 jian)
  • 중국 무슬림 제독 왕징홍(王慶洪, 王慶洪)
  • 왕지산(王地山, 王之山)은 당나라와 우제톈(武帝天)의 주나라 때 재상을 지냈다.
  • 진나라 장군 왕준(王王, 王 jun)
  • 당나라 재상 왕준(王 wang, 王王)
  • 왕랑(王郞)은 한나라 말기,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였다.
  • 신나라의 시조 왕망(王 mang, mang)
  • 왕멍(王 meng, meng)은 청허의 마퀘스 우(武)로 알려진 진(秦)의 재상이다.
  • 백련반란의 또 다른 여성 지도자 왕낭산(王 wang山, nang山)
  • 제3대 동장군으로 알려진 왕룽(王龍)은 진나라 때 근무했다.
  • 푸젠성 민나라의 건국자 왕선지(王善志/王善之)
  • 수나라 때의 장군 왕시충(王時忠)이다.
  • 사마시의 고문인 왕랑의 아들 왕수(王 su/王王)
  • 왕웨이(王 wei/王维), 당나라 시인
  • 왕셴지(王셴지), 당나라 농군 반란군
  • 서예가 왕셴지(王셴지)
  • 왕샤오지에(王小ie/王孝)는 당나라와 우제톈의 주나라 때 복무한 장군이다.
  • 진나라에 서예가로 알려진 왕시즈(王時志)가 살았다.
  • 왕순(王 zhou)은 우제톈(武帝天)의 주나라 관리로 잠시 재상을 지냈다.
  • 인도에 파견된 외교관으로 당나라 때 근무했던 호위병 왕쉐앙스(王 xuance, xu策)이다.
  • 왕옌한(王延漢)은 민나라의 제2대 왕인 왕선지의 아들로서 925년부터 926년까지 다스렸다.
  • 민나라의 세 번째 왕인 왕옌한의 아들 왕옌쥔(王延jun/王 yan钧)은 926년부터 935년까지 다스렸다.
  • 왕양명(王陽明, 王陽明, 王陽明, 王陽明, 王陽明, 명나라 성리학)
  • 조위(趙衛)의 관리 이( wang//)
  • 왕원지(王元之, 王元之), 사마오(司馬 sima)의 아내, 진나라의 황후(皇后)이다.
  • 고대 중국 4대 미인의 하나인 왕자오쥔(王子jun)
  • 최초의 목조 가동 활자 인쇄술로 유명한 원나라의 관리 겸 발명가 왕젠(王 z/王 z)
  • 명나라 때 권세 있는 내시 왕전(王前)
  • 청나라 '상하이학파'의 화가로 잘 알려진 왕젠(王 z) (王 y一一亭)
  • 명나라 해적의 우두머리 왕지(王志)
  • 당나라의 중국 시인 왕지환(王志hu/王之涣)
  • 중국 무슬림 무술가 왕쯔핑( zi子, 王子平)
  • 왕종옌(王宗yan, 王宗, 王宗, 王宗, 王宗, 王宗, 구 슈)의 2대 왕젠(王建)의 아들.

중국 본토

  • 중국 스키 산악인 왕빙빙(王빙빙)
  • 컴퓨터 사업가 찰스 왕(Charles Wang)
  • 찰스(의사) (의사/의사
  • 왕창위안(王昌元, 王昌yuan), 중국 구정 연주자 겸 작곡가.
  • 왕치창(王治 wang, 王治王), 중국 화가
  • 왕춘천(王春天), 중국 미술사학자, 큐레이터, 평론가
  • 왕다이유(王大yu/王岱), 중국의 무슬림 학자
  • 학생회장 왕단(王丹) – 천안문 광장 반체제 인사
  • 왕도한(王道漢) 전 대만해협 건너 관계협회장(王道漢, ARATS)
  • 문화대혁명 당시 마오쩌둥의 주요 보디가드였던 왕둥싱(王東興/王東興)
  • 딜런 왕(Dylan Wang, 王鶴棣/王鹤棣), 중국 배우, 가수, 모델
  • 왕판시(王xi市), 트로츠키스트
  • 한국 걸그룹 미쓰에이 소속 중국 가수 왕페이피(王 fei)가 출연한다.
  • 류샤오치 대통령의 부인 왕광메이(王光me)씨.
  • 왕광야(王光ya/王光), 유엔 대사
  • 왕궈웨이(王國ei/王国), 중국의 역사학자 및 시인
  • TV쇼 진행자 왕한(王漢)
  • 왕하오(王河, 王 grand), 체스대장
  • 탁구 선수 왕하오(王河)
  • 중국계 미국인 논리학자, 철학자, 수학자 왕하오( ha)
  • 4대강 막내인 중국 정치인 왕홍원(王洪文文)
  • 중국 배우 왕제시(王濟時)
  • 중국 정치인, 악명 높은 배신자 왕준(王 wang/王精)
  • 왕젠(王建)의 아들 왕준(王 jun/ jun)은 중국 CITIC와 폴리테크놀로지스(Poly Technologies)의 유명한 중국인 사업가 회장이다.
  • PRC 정치인 왕준( jun, 王 jun)
  • 왕춘차이(王春ai/王俊凯), 가수 겸 배우, TFBoys 멤버
  • 왕린(王林) 배드민턴 선수
  • 중국 래퍼 왕린카이(王林ai/王琳凯), 중국 보이그룹 '나인%' 전 멤버
  • 중국 과학사학자 왕링(王 ling/王 ling)
  • 왕리창(王里昌/王立), 망명자
  • 탁구 선수 왕리친(王李q/王励)
  • 초기 중국공산당의 원로인 왕밍(王明, 王明, 王明, 王明 28명의 볼셰비키 그룹의 장본인
  • 중국 여성 물리학자 겸 과학 교육자 왕밍첸(王明첸, 王明첸)
  • 탁구 선수 왕난(王南)
  • 중국 테니스 선수 왕창(王王)
  • 왕치산(王治山)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bl 드라마 역습 웹시리즈에서 맡은 역할로 유명한 배우/가수/기업가 왕칭(王慶)
  • 왕룽(王龍/王龍) 광둥(廣東)·장쑤(江蘇)의 지역 정치인
  • 가수 겸 배우 로이왕(Roy Wang) TFBoys 멤버
  • 중국 언론인이자 문인 작가인 왕시웨이(王時wei/王 shi)
  • 원시코이의 베이양 부하 왕시젠(王時建, 王時 shiz)
  • 왕타오(王太郞/王韬), 개혁가, 정치논술가, 신문출판가, 소설작가
  • 현대 작가 왕샤오보(王小寶, xiaobo xiaobo)
  • 중국 인쇄업계의 혁신가 왕쉰(王 wang//选)
  • 올림픽 체조선수 왕옌(王延)
  • 보아로도 알려진 프로레슬러 왕옌보(王延報)
  • 1924년부터 1948년까지 제국주의 일본군과 중국 공산주의자들과 싸운 KMT의 고위 장군 왕야오우(王야오우, 王야오우)이다.
  • 장쩌민(江澤民) 전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부인 왕위핑(王 wang y, 王王 y)씨.
  • 이(王毅) 중국 국가주석 겸 외교부장
  • 중국 상하이 출신의 성공한 배드민턴 선수 왕이한(王 yihan/王仪). 2011년 세계 챔피언.
  • 한중 그룹 유니크 멤버 겸 배우 왕이보( y一博)
  • 클래식 피아니스트 왕 유자
  • 덩샤오핑(鄧小平) 시대에 두각을 나타낸 푸젠(福建) 중국 정치인 왕자오구오(王子og/王兆国)가 대표적이다.
  • 중국 정계의 인물이자 중국공산당 8대 신선 중 한 명인 왕젠(王建).
  • 중국 체조선수 왕젠(王建)
  • 왕정준(王正jun, 王正jun), 한나라의 황후
  • 정치인이자 전 닝샤 회장인 왕정웨이(王正wei// zheng)
  • 2012년 살인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은 2008년 이순 살인사건의 가해자 왕지안(王之安) 씨.
  • 전 NBA 선수 왕지즈(王志(王之)
  • 왕중수(王中水, 王中水), 고고학자
  • 중국 배우 겸 래퍼인 왕쯔이(王子//子子异)가 중국 보이그룹 나인프리티의 전 멤버다.

타이완

  • 대만 생화학자 앤드루 H. J. 왕(Andrew H. J. Wang)
  • 만도팝 가수 신디왕(神心王, 神道王)
  • 대만계 미국인 싱어송라이터 조안나 왕(趙安王)
  • 대만계 미국인 싱어송라이터, 배우 겸 광고모델 왕 이엄(李hom王)
  • 옹이득택(王 yude, 王育德)은 대만 독립운동의 학자 및 초기 지도자.
  • 왕청퉁(王淸t/王政) 중화민국 농업위원회 부장관
  • 왕치엔파(王治엔파, 王治//王乾发), 펑후군수(2005~2014년)
  • 뉴욕 양키스와 워싱턴 내셔널스의 전 프로야구 투수인 지엔밍 왕(金明王, 王明王, 王民民)이다.
  • 중화민국 정치인 왕치엔시엔(王治天)
  • 왕충이(王忠yi/王崇) 중화민국 해양경찰청장(2014~2016년)
  • 본토에서 유명한 대만 배우 왕 대런(大ren/王大大)
  • 왕긴왕(王 gin王, 王//进进旺) 중화민국 해양경찰청장(2006~2014년)
  • 홍콩에서 쇼브라더스 스튜디오 배우로 활동을 시작한 대만 출신 배우 겸 영화감독 겸 프로듀서 겸 시나리오 작가 지미 왕유(吉林 yu) 씨.
  • 왕주환(王州su玄, 王州su) 중화민국 노동부 장관(2008~2012년)
  •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 허진 청왕(王 chung chung//宪宪)
  • 왕코우타이(王 k材/王国材), 교통통신부 정무차관
  • 왕리링(王里ling/王俪) 중화민국 금융감독위원장(2016년)
  • 왕메이화(王美華) 전 중화민국 경제부 부부장
  • 왕유치(王 yu治, mainland) 전 중화민국 본토담당 국무위원(2012~2015년)
  • 왕유윤(王 yuyun/王玉) 전 가오슝 시장(1973–1981)

홍콩

  • 한국 보이그룹 GOT7의 중국인 멤버 잭슨 왕(Jackson Wang, /嘉爾/王嘉尔)

말레이시아

  • 왕수진(옹석김) (王石金/王树金), 말레이시아 교육학자, 사회복지사, 박애주의자
  • 왕원화(친펑)/(옹분화) (王文華/王文化) 말레이 공산당 당수

싱가포르

한국

  • 고려 왕실의 시조 왕건(王建, 王建, 王建)
  • 유도 세계 챔피언 왕기춘(王基春, ,機chun)
  • 왕빛나( bit나, ,) 배우 겸 모델
  • 전지현(태생 왕지현; 왕地지, 王智賢) 배우 겸 모델
  • 왕지원( ji, ,) 배우 겸 발레 무용수

미국

캐나다

  • 제레미 왕(1991년 출생)은 그의 필명 '위장토스트'와 스트림러머, 인터넷 성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리처드 왕, 체스 선수
  • 중국 태생의 화학자 수닝왕
  • 빈센트 왕, 경쟁력 있는 비디오 게임 선수

허구인

동물

참고 항목

참조

  1. ^ a b 백스터, Wm. H.&Sagart, 로랑..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상속}.mw-parser-output .citation q{인용:")"""\"""'""'"}.mw-parser-output.id-lock-freea,.mw-parser-output .citation{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 center/9px .cs1-lock-free. a,.mw-parser-output .citation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center/9pxno-repeat}.mw..cs1-lock-limited No-repeat}.mw-parser-output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id-lock-limited-parser-output .id-lock-subscription a,.mw-parser-output.citation .cs1-lock-subscription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cs1-subscriptio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색:#555}.mw-parser-output.Cs1-subscription spa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 span{border-bottom:1px에 떠다녀;커서: 도와 주}.mw-parser-output .cs1-ws-icon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center/12pxno-repeat}.mw-parser-output code.cs1-code{.색상:상속을 하다;배경:상속을 하다;국경 아무 것도 없고 패딩:상속을 하다}.mw-parser-output .cs1-hidden-error{디스플레이:아무도, font-size:100%}.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100%font-size}.mw-parser-output .cs1-maint{디스플레이:아무도, 색:#33aa33, 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95%font-size}.mw-parser-output .cs1-kern-left,.mw-parser-output .cs1.-kern-wl-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cs1-kern-right,.mw-parser-output .cs1-kern-wl-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mw-selflinkᆫ"Baxter–Sagart 올드 중국 재건".482011년p.은 2013-09-27에 원래. Archived(193MB),. 2011년 10월 11일에 액세스.
  2. ^ "公安部统:'王'成'成中中 第一大8 人9288 bureau人 [공보국 통계: '왕'이 중국의 #1 '대가족'을 찾았다, 92.88m의 사람을 포함한다]." 2007년 4월 24일. 2012년 3월 27일 액세스(중국어)
  3. ^ a b "公安部发布去年全国姓名报告,"王、李、张"姓排前三".
  4. ^ 신화넷. 公安部统计分析显示:王姓成为我国第一大姓. (in Chinese)
  5. ^ 인민일보. "중국부족은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6. ^ a b "新京报 - 好新闻,无止境".
  7. ^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China's Last Names, in Maps". The Atlantic. 22 October 2013.
  8. ^ 대만 내무부, 인구부. 2005년 2월 Op. cit. 中华百家姓-千字文-国学经典-文化经典."中国湾姓氏[대만(중국) 성 순위]]." 2010년 6월 8일. 2012년 4월 1일에 액세스. (중국어로)
  9. ^ 싱가포르 통계청. "싱가포르에서 인기 있는 중국 성씨"
  10. ^ "Forebears Wang".
  11. ^ 미국 인구 조사국. "Genealogy Data: 2000년 인구조사에서 자주 발생하는 성". 2011년 9월 27일. 2012년 3월 29일에 액세스.
  1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5-11. Retrieved 2006-05-11.CS1 maint: 제목(링크)으로 보관된 사본.
  13. ^ 성씨 왕, 왕, 옹, 헝의 유래.
  14. ^ greatchinese.com - 백가족의 성: 왕엔트(제3항에 의하면 왕씨는 비간 왕자의 후손이라고 한다)
  15. ^ "Tracing of the Ancestry: under paragraph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3-12. Retrieved 2007-02-25.
  16. ^ Wang Ziqiao 2007-10-23 웨이백 머신보관
  17. ^ 중국역사: 왕, 제2항에 따른 왕
  18. ^ 옥스퍼드 사전
  19. ^ http://history.berkeley.edu/sites/default/files/slides/Dissertation.pdf 페이지 67.
  20. ^ A Zürcher (Milchfecker): Eine nicht alltägliche Stimme aus der Emmentaler-Käsereipraxis. Brill Archive. 1830. pp. 351–. GGKEY:WD42J45TCZZ.
  21. ^ Wei Wang; Tony Barnstone; Willis Barnstone; Haixin Xu (1991). Laughing Lost in the Mountains: Poems of Wang Wei. UPNE. pp. xxvii–xxviii. ISBN 978-0-87451-564-0.
  22. ^ Jingqing Yang (2007). The Chan Interpretations of Wang Wei's Poetry: A Critical Review. Chinese University Press. pp. 16–. ISBN 978-962-996-232-6.
  23. ^ A Study of Yuan Zhen's Life and Verse 809--810: Two Years that Shaped His Politics and Prosody. 2008. pp. 65–. ISBN 978-0-549-80334-8.
  24. ^ Ding Xiang Warner (2003). A Wild Deer Amid Soaring Phoenixes: The Opposition Poetics of Wang Ji.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156–. ISBN 978-0-8248-2669-7.
  25. ^ Ding Xiang Warner (15 May 2014). Transmitting Authority: Wang Tong (ca. 584–617) and the Zhongshuo in Medieval China's Manuscript Culture. BRILL. pp. 98–. ISBN 978-90-04-27633-8.
  26. ^ Jinhua Chen (2002). Monks and monarchs, kinship and kingship: Tanqian in Sui Buddhism and politics. Scuola italiana di studi sull'Asia orientale. pp. 34, 36. ISBN 978-4-900793-21-7.
  27. ^ Oliver J. Moore (1 January 2004). Rituals Of Recruitment In Tang China: Reading An Annual Programme In The Collected Statements By Wang Dingbao (870-940). BRILL. pp. 35–. ISBN 90-04-13937-0.
  28. ^ William H. Nienhauser (2010). Tang Dynasty Tales: A Guided Reader. World Scientific. pp. 78–. ISBN 978-981-4287-28-9.
  29. ^ David R. Knechtges; Taiping Chang (10 September 2010).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I): A Reference Guide, Part One. BRILL. pp. 544–. ISBN 978-90-04-19127-3.
  30. ^ Steven Heine; Dale Wright (22 April 2010). Zen Masters. Oxford University Press. pp. 4–. ISBN 978-0-19-971008-9.

원천

  • Yuan (), Yida (義達) (2002). Chinese Surnames, Group Heredity and Spread of Population (中国姓氏·群体遗传和人口分布). Huadong Training College Publishing Group (華東師範大學出版社). ISBN 7-5617-2769-0.
  • Zhang (), Lihe (勵和) (1998). The Great Dictionary of Chinese Names (中國人名大辭典), updated by Xu Shitian (許師慎). The Commercial Press (商務印書館). ISBN 7-100-025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