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Eastern Europe동유럽은 유럽 대륙의 하위 지역입니다. 대체로 모호한 용어로 지정학적, 지리적, 민족적, 문화적, 사회경제적 의미가 광범위합니다. 동쪽 경계는 우랄 산맥으로 표시되어 있고 서쪽 경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1] 대부분의 정의에는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루마니아가 포함되며, 덜 제한적인 정의에는 비셰그라드 그룹, 발트해 국가, 발칸 반도 및 코카서스도 일부 또는 전부 포함될 수 있습니다.[2][3]
이 지역은 유럽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동유럽의 주요 사회문화적 특성은 역사적으로 슬라브족과 그리스인의 전통과 동로마 제국과 오스만 제국을 거쳐 발전한 동방 기독교의 영향으로 정의되었습니다.[4][5] 또 다른 정의는 냉전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유럽은 철의 장막에 의해 이념적으로 나뉘었고, "동유럽"은 소련의 영향 아래 동구권을 구성하는 공산주의 국가들과 동의어입니다.[5][6][7][8][9][4][10][11]
동유럽이 서유럽에 비해 열등하다는 고정관념을 통해 이 용어는 때때로 경멸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12][13][14][15][16]
정의들
동유럽에 대한 몇 가지 정의는 21세기 초에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종종 정확성이 부족하고 시대착오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의는 지정학적, 지리적, 문화적 및 사회경제적 의미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문화 전반에 걸쳐 그리고 전문가들, 심지어 정치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의되고 있습니다.[18] 또한 동유럽의 아이디어 자체가 지속적으로 재정의되기 때문에 "퍼지" 용어로 설명되었습니다.[19] "동유럽"에 대한 생각의 공고화는 주로 (프랑스) 계몽주의로 거슬러 올라갑니다.[19]
동유럽에 대한 정의는 "동유럽의 학자들이 있는 만큼 거의 많은 것"입니다.[6] 관련 유엔 보고서는 "공간 정체성에 대한 모든 평가는 본질적으로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구성"이라고 덧붙였습니다.[20]
지리적
유럽의 동쪽 지리적 경계는 잘 정의되어 있지만, 동유럽과 서유럽의 경계는 지리적이 아니라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으로 지정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우랄 산맥, 우랄 강, 캅카스 산맥은 유럽 동쪽 끝의 지리적 육지 경계입니다. 예를 들어, 카자흐스탄은 주로 중앙 아시아에 위치하며 우랄 강 서쪽에 위치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서쪽에서는 "동유럽"의 역사적, 문화적 경계가 일부 중첩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적 변동을 겪었기 때문에 동유럽의 서부 지리적 경계와 유럽의 지리적 중간 지점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다소 어렵습니다.
종교적 문화적 영향
1054년 동서분열 이후 동유럽의 상당 부분은 동방 정교회, 교회 슬라브어, 키릴 문자의 틀 안에서 가톨릭 서유럽과 중앙유럽에 대한 문화적 통합과 저항을 발전시켰습니다.[21][22][23][24]
예를 들어, 벨라루스, 불가리아, 키프로스, 조지아, 그리스, 몰도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와 같은 정교회가 지배적인 국가들은 동유럽의 상당 부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25][26] 동방정교회는 동유럽과 동남유럽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27] 그보다 덜하지만, 동방 개신교와 동방 가톨릭의 형태도 동유럽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습니다. 동방 개신교나 동방 가톨릭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나라로는 벨라루스, 크로아티아, 그리스, 헝가리,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우크라이나 등이 있습니다.[28][29][30]
이 분열은 동방(정통)과 서방(천주교) 교회 간의 교감과 신학의 역사적 단절을 말합니다. 나중의 발전은 분열이 더 이상 가톨릭과 정교회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6세기부터 유럽에서 서양과 동양의 개신교 형태가 모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31][32] 또한 1596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가 설립된 이후 16~17세기 유럽에서 동방 가톨릭교회가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32][33][34][35] 그러나 이에 앞서 동방 가톨릭이라는 개념 자체가 있습니다.[35]
1054년 대분열 이후, 유럽은 서방의 로마 가톨릭 교회(그리고 나중에 추가적으로 개신교)와 동방 정교회(종종 "그리스 정교회"로 잘못 분류됨)로 나뉘었습니다. 이러한 종교적 균열로 인해 동방 정교회 국가들은 종종 동유럽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열은 종종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그리스는 압도적으로 정교하지만 "동유럽"에 거의 포함되지 않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리스의 역사가 대부분 지중해 문화와 역학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았다는 것입니다.[38]
냉전 (1947~1991)
철의 장막이 무너지면서 유럽에서 냉전의 동서 분단이 종식되었지만,[39] 이 지정학적 개념은 때때로 언론에 의해 빠르게 언급되기 위해 사용됩니다.[40] 또 다른 정의는 1947년에서 1989년 사이의 냉전 40년 동안 사용되었으며 동구권과 바르샤바 조약이라는 용어와 다소 동의어였습니다. 이와 유사한 정의는 소련 밖의 과거 공산주의 유럽 국가들을 동유럽이라고 명명합니다.[5]
역사학자들과 사회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정의를 구식 또는 강등된 것으로 봅니다.[7][6][8][9][10][4][11]
유로보크
유럽연합 출판국이 관리하는 다국어 시소러스인 EuroVoc은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와 후보국인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를 중유럽과 동유럽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41]
동시대의 발전상
발트해 연안국
UNESCO,[42] EuroVoc, National Geographic Society, Committee for National Research in Demography, 그리고 STW Thesaurus for Economics는 발트해 국가들을 북유럽에 위치시키는 반면, CIA World Factbook은 그 지역을 북유럽에 강한 동화를 가지고 동유럽에 위치시킵니다. 그들은 북유럽-발틱 에이트 지역 협력 포럼의 회원국들이고 중앙 유럽 국가들은 비셰그라드 그룹이라고 불리는 그들만의 동맹을 형성했습니다.[43] 발트 3국을 포괄하는 북유럽 협력의 또 다른 예로는 북유럽 미래포럼, 북유럽 투자은행, 북유럽 전투그룹, 북유럽-발트 8개국, 뉴한세틱 리그 등이 있습니다.
코카서스 주
남캅카스 국가인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는[44] 동유럽의 정의나 역사에 포함됩니다. 그들은 동유럽과 서아시아의 전환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들은 유럽 연합의 동방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유럽 연합 의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유럽 평의회 회원국이며, 이 세 곳 모두 유럽과 정치적, 문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2002년 1월, 유럽 의회는 아르메니아와 조지아가 미래에 EU에 가입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45][46] 그러나 현재 남캅카스 국가 중 NATO와 EU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는 조지아가 유일합니다.
남캅카스 지역에는 러시아군의 존재 아래 존재하는 사실상의 공화국이 두 개 있습니다. 두 국가는 민주주의 및 권리 공동체에 참여합니다.
인정 범위가 제한된 구 공화국:
- 이케리아 체첸 공화국 (1991년 ~ 2000년) - 제2차 체첸 전쟁 중 망명으로 내몰릴 때까지 구소련 영토에 존재했습니다.
- 아르차흐 공화국 (1991년–2023년) – 2024년[47] 1월 1일까지 존재하지 않게 된 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의 분리 국가
구소련 국가
구소련의 일부 유럽 공화국은 동유럽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중앙유럽
중부 유럽이라는 용어는 역사학자들이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했던 국가들을 지정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일부 언론에서 "중부 유럽"은 냉전 시대의 "동유럽"과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습니다. 다음 국가들은 일부 논평가들에 의해 중부 유럽으로 분류되지만, 다른 국가들은 여전히 동유럽으로 간주합니다.[49][50][51]
- 체코
- 크로아티아(동남유럽[52] 또는 중유럽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음)[53]
- 헝가리(대부분 중앙유럽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동남유럽에 위치하기도 함)[54]
- 리투아니아(동북유럽 또는 중유럽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음)
- 폴란드
- 루마니아(동유럽에[55] 포함되거나 중앙유럽에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음)[56]
- 세르비아(대부분 남동 유럽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부분적으로 중앙 유럽에 포함됨)[57]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대부분 중앙 유럽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동남 유럽에 위치함)[58]
동남유럽
동남 유럽의 일부 국가는 동유럽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 중 일부는 드물기는 하지만 때로는 남유럽에 속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4] 일부는 중유럽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동남유럽"은 따라서 냉전 시대의 "동유럽"과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습니다. 다음 국가들은 일부 논평가들에 의해 동남유럽 국가로 분류되지만, 다른 국가들은 여전히 그들을 동유럽 국가로 간주합니다.[59]
- 알바니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키프로스 (지리적으로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남동 유럽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 크로아티아(동남유럽[52] 또는 중유럽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음)[53]
- 그리스 (때로는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과 같은 나라들과 함께 남유럽에 묶이기도 합니다.)
- 헝가리(대부분 중앙유럽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동남유럽에 위치하기도 함)[60][61]
- 몰도바(일반적으로 발트족이 아닌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들과 그룹을 이루지만 때로는 남동 유럽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함)[62]
- 몬테네그로
- 북마케도니아
- 루마니아(동남유럽[55] 또는 중유럽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음)[56]
- 세르비아(대부분 남동부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중부 유럽에 위치함)[57]
- 슬로베니아(대부분 중앙 유럽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동남 유럽에 위치함)[58][61]
- 튀르키예 (터키 해협 서쪽에 위치한 동트라세)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 국가로 자주 분류되지만, 카자흐스탄 영토의 약 4%는 지리적으로 우랄강 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대륙횡단을 이루고 있습니다.[63][64]
역사
고전적인 고대와 중세의 기원
이 지역의 고대 왕국은 오론티드 아르메니아, 캅카스 알바니아, 콜키스, 이베리아 (서유럽의 이베리아 반도와 혼동하지 않기 위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전자의 두 나라는 각각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전신이었고, 후자의 두 나라는 현대 조지아의 전신이었습니다. 이들 주변 왕국은 처음부터 또는 나중에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파르티아,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 등 다양한 이란 제국에 편입되었습니다.[65] 발칸반도의 일부와 일부 더 많은 북부 지역들도 트라키아, 페이오니아, 마케도니아를 포함한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지배되었고, 대부분의 흑해 연안 지역인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가 지배했습니다.[66][67] 파르티아 제국과 로마, 그리고 나중에 비잔티움과 사산조 페르시아 사이의 경쟁 때문에 파르티아인들은 이 지역을 여러 번 침공했지만, 전체 통치 기간 동안 코카서스의 대부분을 지배했던 사산조와는 달리 이 지역을 결코 점령할 수 없었습니다.[68]
유럽에서 동과 서의 가장 초기의 차이점은 로마 공화국의 역사에서 비롯됩니다. 로마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문화적, 언어적 구분이 나타났습니다.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부 지방은 고도로 도시화된 헬레니즘 문명을 형성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서양 영토는 대체로 라틴어를 채택했습니다. 이 문화적, 언어적 구분은 나중에 로마 제국의 정치적 동서 구분에 의해 결국 강화되었습니다. 고대 후기와 중세 시대에는 여러 가지 사건들로 인해 이 두 영역 사이의 분열이 심화되었습니다. 서로마 제국은 5세기에 무너졌고, 중세 초기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에 반해 동로마제국, 비잔틴제국은 1,000년 더 존속할 수 있는 생존 전략을 갖고 있었습니다.[69]
서부의 프랑크 제국, 특히 1054년에 공식적으로 동서 기독교를 갈라놓은 대분열은 동유럽과 서유럽 사이의 문화적, 종교적 특수성을 높였습니다. 동유럽의 많은 부분이 몽골에 의해 침략당하고 점령당했습니다.[70]
오스티들룽 시대에 마그데부르크의 권리 아래 설립된 마을들은 경제 발전의 중심지가 되었고 동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던 독일인 정착촌들이 세워졌습니다.[71] 독일 도시법의 도입은 종종 1, 2천년의 전환기에 기독교를 도입한 후 두 번째 위대한 단계로 여겨집니다. 사회와 경제의 뒤이은 근대화는 폴란드, 보헤미아, 헝가리의 통치자들의 역할 증가를 가능하게 했습니다.[72]
1453년부터 1918년까지
15세기 오스만 제국에 의한 동방 정교회의 중심지인 비잔틴 제국의 정복과 (프랑크 제국을 대체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점진적인 분열은 로마 가톨릭/프로테스탄트 대 의 중요성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유럽의 동방 정교회 개념. 아머는 키릴 문자 사용이 크로아티아에서 폴란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곳에서 라틴 문자가 사용되는 동유럽에서 엄격한 결정 요인이 아니라고 지적합니다.[73] 그리스는 서구 문명의 요람이자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영역에서 서구 세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그리스의 지위로 인해 거의 항상 동유럽이 아닌 남부 또는 서유럽에 속하게 되었습니다.[74]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동안 동유럽은 비교적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렸습니다. 이 시기는 1600년경의 동중부 유럽 황금기라고도 불립니다.[75] 17세기 초 동유럽의 수리력 수준은 지역적 차이가 존재했지만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18세기 동안, 그 지역들은 서유럽을 따라잡기 시작했지만, 그만큼 빠르게 발전하지는 못했습니다. 여성의 자율성이 강한 지역일수록 수리력 측면에서 더 빠르게 발달했습니다.[76]
농노
농노는 19세기까지 농업 노동자들의 일반적인 지위였습니다. 토지 소유자들이 영구적으로 붙어 있는 토지의 특정 구획과 별도로 농노를 사고팔 수 없다는 점에서 자유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노예제와 유사했습니다. 이 제도는 서유럽에서 쇠퇴하던 시기인 14세기와 15세기에 등장했습니다.[77] 절정은 17세기와 18세기에 찾아왔습니다. 19세기 초는 특히 1861년 러시아에서 농노제가 폐지되면서 쇠퇴했습니다. 노예해방은 전직 노동자들이 수십 년 동안 그들의 전직 주인들에게 매년 현금을 지불함으로써 그들의 자유를 위해 지불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 체계는 나라마다 매우 다양했고, 서유럽처럼 표준화되지 않았습니다. 20세기까지 역사가들은 농노를 노예처럼, 수동적이고 고립된 것으로 묘사하면서 주종의 경제 및 노동 관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20세기 학자들은 그 폐해를 경시하고 복잡성을 강조했습니다.[78][79]
전간기(1919~1939)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결과는 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의 붕괴와 독일 제국에 부분적인 손실이었습니다. 민족 민족주의의 급증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입증된 동유럽의 일련의 새로운 국가들을 만들었습니다. 폴란드는 1790년대의 분할로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가 분할된 후 재건되었습니다. 새로운 국가에는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곧 소련에 흡수됨),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가 포함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국경이 훨씬 줄었습니다. 새로운 주에는 국제 연맹 소수자 보호 체제에 따라 보호되어야 할 상당한 소수 민족이 포함되었습니다.[80] 동유럽 전체에서 독일계가 가장 큰 단일 소수 민족을 구성했습니다.[81] 수데텐란트와 같은 일부 지역, 폴란드의 지역, 슬로베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독일어 사용자가 지역 대다수를 차지하여 자결권 요구와 관련하여 격변을 일으켰습니다.
루마니아, 불가리아, 알바니아도 마찬가지로 독립적이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여전히 대부분 농촌 지역이었고, 산업은 거의 없었고 도시 중심지는 소수에 불과했습니다. 민족주의가 지배적인 세력이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는 다수의 요소에 의해 위협을 느끼는 소수 민족이나 종교적인 소수 민족이 있었습니다. 1920년대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민주화되었지만, 1930년대의 대공황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와 핀란드를 제외한) 독재자, 강자 또는 단일 정당 국가를 선호하여 민주주의를 포기했습니다. 새로운 국가들은 안정적인 군사 동맹을 형성할 수 없었고, 1938년에서 1945년 사이에 그들을 인수한 나치 독일이나 소련에 대항하기에는 너무 약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의 시작
러시아는 1918년 3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을 끝내고 발트해 국가들과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영토를 잃었습니다. 이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1939-45)의 주요 전장으로, 독일군과 소련군이 앞뒤로 휩쓸었고, 수백만 명의 유대인이 나치에 의해 사망했고, 수백만 명의 다른 유대인들이 질병, 기아, 군사 행동으로 죽거나 정치적으로 위험하다고 여겨져 처형되었습니다.[82]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단계 동안 동유럽의 미래는 소련 붉은 군대의 압도적인 힘에 의해 결정되었고, 독일군을 제쳐 놓았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에는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핀란드는 자유롭지만 다가오는 냉전에서 중립을 지킬 수 밖에 없었습니다.
동유럽 전역에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역사상 가장 큰 인종 청소 작전 중 하나로 독일의 국경이 줄어든 곳으로 추방되었습니다.[83] 독일인이 지역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지역은 폴란드어 또는 체코어 사용자로 다시 정착했습니다.
이 지역은 소련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공산당 정부가 부과되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그리고 나중에 루마니아는 모스크바로부터 독립한 그들만의 공산주의 정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47년 냉전이 시작될 당시 동구권은 서유럽 국가들에 비해 경제 재건과 경제 발전에서 크게 뒤졌습니다. 윈스턴 처칠은 1946년 3월 5일 미주리주 풀턴의 웨스트민스터 칼리지에서 한 유명한 "평화의 신" 연설에서 "철의 장막"의 지정학적 영향을 강조했습니다.
발트해의 스테틴에서 아드리아해의 트리에스테까지 철의 장막이 대륙을 가로질러 내려왔습니다. 그 선 뒤에는 중앙유럽과 동유럽의 고대 국가들의 모든 수도가 놓여 있습니다. 바르샤바, 베를린, 프라하, 비엔나, 부다페스트, 베오그라드, 부쿠레슈티, 소피아.
동구권
1945년 이후의 동유럽은 보통 모든 유럽 국가들이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된 후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여기에는 소련의 독일 점령 구역에 의해 형성된 독일 민주 공화국(일명 동독)이 포함되었습니다. 동유럽의 모든 국가들은 1948년까지 공산주의자들의 통제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들 국가는 공식적으로 소련으로부터 독립했지만, 이 독립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는 크렘린으로부터 독립된 공산주의 통치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은 나치 침략자들을 파괴했다는 점에서 인기의 원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84] 그들의 목표는 장기적인 노동자 계층의 연대를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소련의 비밀경찰인 NKVD는 지역 공산주의자들과 협력하여 모스크바에서 훈련된 지도력을 이용하여 비밀경찰을 만들었습니다. 이 새로운 비밀경찰은 준비된 명단에 따라 정치적 적들을 체포하기 위해 도착했습니다.[85] 그 후 국가 공산주의자들은 점진주의적인 방식으로 권력을 잡았고,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소련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한동안 협력적인 비공산주의 정당들은 용인되었습니다.[86] 공산당 정부는 민간 기업을 국유화하여 국가 소유로 두고 언론과 교회를 감시했습니다.[86] 연정 파트너들과 함께 관공서를 나눌 때, 공산당은 지방 경찰을 통제하는 내무부를 장악했습니다.[87] 그들은 또한 교육 시스템뿐만 아니라 대중 매체,[88] 특히 라디오를 장악했습니다.[89] 그들은 농지를 몰수·재분배하고,[90] 교회단체, 체육단체, 청년단체, 노동조합, 농민단체, 시민단체 등 시민사회의 조직을 장악하거나 대체했습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독일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헝가리인과 같은 민족을 이전에 살았던 곳에서 멀리 이동시켜 종종 높은 생명 손실을 입은 민족을 각 국가의 새로운 전후 국경 내로 이주시키는 대규모 인종 청소에 참여했습니다.[91]
이들 국가는 스탈린의 직접적인 지시에 따라 미국 마셜 플랜의 보조금을 거부했습니다. 대신에 그들은 몰로토프 계획에 가입했고, 이 계획은 후에 코메콘(상호경제원조협의회)으로 발전했습니다. 1949년 NATO가 창설되었을 때 동유럽의 대부분 국가들은 바르샤바 조약의 회원국이 되었고, 동유럽으로 알려진 지정학적 개념을 형성했습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 무엇보다도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몰도바의 현대 영토와 불법 점령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포함)이었습니다. 소련이 지배한 다른 나라들은 독일 민주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었습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형성되어 나중에 해체되기 전까지)은 바르샤바 조약의 회원국이 아니었습니다. 이 단체는 비동맹 운동의 창립 멤버였습니다. 이 단체는 나토나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할당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입니다. 이 운동은 냉전 기간의 대부분 동안 소련과 서방 블록으로부터 독립적이었으며, 유고슬라비아와 다른 회원국들이 블록 사이에서 사업적이고 정치적인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92]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은 1960년대 초, 중-소 분열의 결과로 소련과 결별하고 대신 중국과 동맹을 맺었습니다. 알바니아는 1968년 9월 프라하의 봄을 진압한 후 공식적으로 바르샤바 조약을 탈퇴했습니다. 1978년 중국이 미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면서 알바니아도 중국과 결별했습니다. 알바니아와 특히 유고슬라비아는 냉전 시대의 상당 부분 중립국이었기 때문에 만장일치로 동구권에 추가되지 않았습니다.[93]
1989년 이후
1989년 철의 장막이 무너지면서 동구권, 그리고 실제로 세계의 정치 지형이 바뀌었습니다. 독일 통일에서 독일연방공화국은 1990년 독일민주공화국을 평화적으로 흡수했습니다. 1991년에 COMECON, 바르샤바 조약,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었습니다. 소련의 일부였던 많은 유럽 국가들이 독립을 선언하거나 되찾았습니다 (벨라루스, 몰도바, 우크라이나, 그리고 발트해 연안국인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체코슬로바키아는 1993년에 평화적으로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습니다. 이 지역의 많은 국가들, 즉 불가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했습니다. "EU11 국가"란 2004년 이후에 접속한 발트해 국가들을 포함한 중앙 및 동유럽 회원국들을 말합니다. 2004년에는 체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헝가리, 폴란드,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2007년에는 불가리아, 루마니아, 2013년에는 크로아티아가 접속했습니다.
경제적 변화는 헌법 개혁과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공공 재정에 대한 헌법 조항을 확인할 수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별도의 장에서 공공 재정을 다룹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곧 높은 인플레이션, 높은 실업률, 낮은 경제 성장 및 높은 정부 부채와 같은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2000년까지 이러한 경제는 안정화되었고 2004년에서 2013년 사이에 모두 유럽 연합에 가입했습니다. 대부분의 헌법은 1990년대의 민주적 전환과 평행한 국가들의 경제 체제를 직간접적으로 정의합니다: 자유 시장 경제(때로는 사회적으로 [그리고 생태학적으로] 지향적인 부문으로 보완됨), 경제 발전 또는 경제적 권리만이 경제의 기반으로 포함됩니다.[94]
재정정책의 경우 입법부, 행정부 및 기타 국가기관(예산심의회, 경제사회심의회)이 예산을 정의하고 관리합니다. 해당 국가들의 평균 정부 부채는 44%에 육박하지만 가장 낮은 수치는 10%에 가깝지만 가장 높은 수치는 97%이기 때문에 편차가 큽니다. 추세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높은 정부 부채의 영향을 받는 국가는 크로아티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3개국(GDP의 70% 이상)이며 슬로바키아와 폴란드는 마스트리흐트 요건을 충족하지만 임계값보다 10% 낮은 수준에 불과합니다. 공동의 필요를 위한 재정을 충당하기 위한 기여가 선언되고, 정의로운 조세 부담 분담의 원칙이 때때로 특별한 측면으로 보완됩니다. 세수는 일반적으로 GDP의 15~19%를 노출하며, 20% 이상의 비율은 거의 찾을 수 없습니다.[94]
정부 예산과 지출에 대한 국정감사는 공공재정의 필수적인 통제요소이자 견제와 균형 개념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앙은행은 독립적인 국가 기관으로, 국가 또는 연방의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시행하는 데 독점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통화 정책 외에도 일부는 금융 중개 시스템의 감독까지 수행합니다. 물가 안정 함수의 경우 조사 대상 지역의 물가 상승률은 2000년까지 비교적 빠르게 5%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통화 정책의 차이는 유로 존에 따라 다릅니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는 공통 통화를 사용합니다. 이전과 유사한 이 10년의 경제는 완만한 인플레이션을 보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현상으로 이번 10년 동안 몇몇 국가(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약간의 마이너스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이 나타났는데, 이는 국제 발전에 대한 민감성을 보여줍니다. 헌법의 대부분은 국가 통화, 법정 통화 또는 통화 단위를 결정합니다. 미국 달러에 대한 현지 통화 환율은 과감한 개입이 필요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국부(國富) 또는 자산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산이며, 배타적 재산으로서 그 관리와 보호는 공익에 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94]
인구통계
참고 항목
- 민주주의와 국가의 권리를 위한 공동체
- 동유럽 그룹
- 동부 파트너십
- 유럽 연합의 확대
- 유라시아 경제 연합
- 유럽의회
- 유럽 연합
- 유러피언 러시안
- 유로보크
- 유럽연합의 향후 확대
- 소비에트 연방의 지리
- 인터마리움
- 동유럽의 무형유산 목록
- 동유럽의 정당 목록
- 흑해경제협력기구
- 포스트 소비에트 연방
- 유럽의 하위 지역
참고문헌
- ^ "Regions of Europe: Eastern Europe". 10 May 2021. Retrieved 1 June 2023.
- ^ Berglee, Royal (2016). "Traditional Regions of Europe". University of Minnesota. Retrieved 2023-12-15.
- ^ "Geographic Regions". U.N. Statistics Division. Retrieved 2023-10-06.
- ^ a b c d e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Standard Country and Area Codes Classifications (M49)-Geographic Regions".
- ^ a b c Ramet, Sabrina P. (1998). Eastern Europe: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since 1939. Indiana University Press. p. 15. ISBN 978-0253212566. Retrieved 5 October 2011.
- ^ a b c "발칸 반도" 2017년 12월 10일 Wayback Machine, Global Perspectives: 원격 감지 및 세계 이슈 사이트에서 아카이브. 휠링 예수회 대학/교육 기술 센터, 1999-2002.
- ^ a b ""Eastern Europe" Wrongly labelled". The Economist. 7 January 2010.
- ^ a b "A New Journal for Central Europe". www.ce-review.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7. Retrieved 31 August 2009.
- ^ a b Frank H. Aarebrot (14 May 2014). The handbook of political change in Eastern Europe. Edward Elgar Publishing. pp. 1–. ISBN 978-1-78195-429-4.
- ^ a b [1]2015년 4월 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Eurovoc.europa.eu . 2015년 3월 4일에 검색되었습니다.
- ^ a b c "Population Division, DESA, United Nations: World Population Ageing 1950-2050"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 ^ Mälksoo, Maria (2019-05-04). "The normative threat of subtle subversion: the return of 'Eastern Europe' as an ontological insecurity trope". Cambridge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32 (3): 365–383. doi:10.1080/09557571.2019.1590314. ISSN 0955-7571. S2CID 159184190.
- ^ Twardzisz, Piotr (2018-04-25). Defining 'Eastern Europe': A Semantic Inquiry into Political Terminology. Springer. p. 18. ISBN 978-3-319-77374-2.
- ^ Hall, Derek (July 1999). "Destination branding, niche marketing and national image project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5 (3): 227–237. doi:10.1177/135676679900500303. ISSN 1356-7667. S2CID 154698941.
- ^ Zarycki, Tomasz (2014). Ideologies of Eastnes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doi:10.4324/9781315819006. ISBN 9781317818571. S2CID 129401740.
- ^ "Eastern promise and Western pretension – DW – 09/07/2018". dw.com. Retrieved 2022-11-16.
- ^ Jordan, Peter (2005). "Großgliederung Europas nach kulturräumlichen Kriterien" [The large-scale division of Europe according to cultural-spatial criteria]. Europa Regional. Leipzig: Leibniz-Institut für Länderkunde (IfL). 13 (4): 162–173. Retrieved 21 January 2019 – via Ständiger Ausschuss für geographische Namen (StAGN).
- ^ Drake, Miriam A. (2005) 도서관 및 정보과학 백과사전, CRC Press
- ^ a b Grob, Thomas (February 2015). "The concept of "Eastern Europe" in past and present". UNI NOVA. University of Basel.
- ^ "Jordan Europa Regional". 4 April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pril 2014.
- ^ Magocsi, Paul Robert (2002). "Chapter 11". Historical Atlas of Central Europe (Rev. and expanded e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SBN 978-0-8020-8486-6. OCLC 150672781.
- ^ Kasper von Greyerz (2007). Religion and Culture in Early Moder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pp. 38–. ISBN 978-0-19-804384-3.
- ^ Jean W Sedlar (1994).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p. 161–. ISBN 0-295-97291-2.
- ^ Dumitran, Adriana (2010). "Uspořádání Evropy – duch kulturní jednoty na prahu vzniku novověké Evropy" [The shape of Europe. The spirit of unity through culture in the eve of Modern Europe] (in Czech). Czech Republic: Bibliography of the History of the Czech Lands, The Institute of History,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 ^ "Religious Belief and National Belonging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Pew Research Center. May 10, 2017.
- ^ "The History of Georgian Orthodox Church". www.atlantaserbs.com.
- ^ Ware, Bishop Kallistos (Timothy) (29 April 1993), The Orthodox Church (new ed.), New York: Penguin Books, p. 8, ISBN 978-0-14-014656-1
- ^ "Eastern rite church History, Beliefs & Practices Britannica". www.britannica.com. Retrieved 2024-02-28.
- ^ 페르난데스 로드리게스, 호세 마누엘 (2016년 11월 28일). "동방 개신교 개혁교회 "역사적이고 에큐메니컬한 모습" Theologica Xaveriana. 66 (182): 345–366. doi:10.11144/javeriana.tx66-182.ioproh.
- ^ 밀로바노비치, 알렉산드라 주리치; 라디치, 라드밀라 (2017-10-11). "제1부, 제2부, 제3부" 동유럽의 정통 기독교 부흥 운동. 스프링어. ISBN 978-3-319-63354-1.
- ^ Parushev, Parush; Apollo, Toivo (2004). McGrath, Alister E.; Marks, Darren C.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rotestantism. Blackwell Publishing Ltd. pp. 155–160. doi:10.1002/9780470999196. ISBN 978-0-631-23278-0.
- ^ a b Nichols, Aidan (2010). Rome and the Eastern Churches: A Study in Schism (2nd ed.). Ignatius Press. pp. 13–19. ISBN 9781586172824.
- ^ Galadza, Peter (2007-07-04). Parry, Ken (ed.).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Publishing Ltd. pp. 291–309. doi:10.1002/9780470690208. ISBN 978-0-631-23423-4.
- ^ "Union of Brest-Litovsk Polish-Soviet, Treaty, 1918 Britannica". www.britannica.com. Retrieved 2024-02-28.
- ^ a b "Eastern rite church History, Beliefs & Practices Britannica". www.britannica.com. Retrieved 2024-02-28.
- ^ "Atlas of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Holy Land". Rbedrosia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3.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home.comcast.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13.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Peter John, University of Manchester, 2001, ISBN 9780761956372 서유럽 지역 거버넌스
- ^ V. Martynov, 동서 분단의 끝, 그러나 역사의 끝은 아닙니다, UN Chronicle, 2000 (온라인에서 제공)
- ^ "Migrant workers: What we know". BBC News. 21 August 2007.
- ^ "Concept: 914 Central and Eastern Europe". EuroVoc.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 Retrieved 16 July 2023.
- ^ Division, United Nations Statistics. "UNSD — Methodology". unstats.un.org.
- ^ "About the Visegrad Group". Visgradgroup.eu. 15 August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25. Retrieved 30 July 2021.
- ^ "Department for General Assembly and Conference Management ". www.un.org.
- ^ How Armenia Could Approach the European Union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April 2008, retrieved 27 February 2017
- ^ European Parliament on the European Union's relations with the South Caucasus
- ^ Sauer, Pjotr (28 September 2023). "Nagorno-Karabakh's breakaway government says it will dissolve itself". The Guardian. Retrieved 28 September 2023.
- ^ Simic, Predrag (2001). "Do the Balkans Exist? Visions of the Future of Southeastern Europe: Perspectives from the Region". Medzinárodné otázky. Research Center of the Slovak Foreign Policy Association. 10 (1): 19–39. JSTOR 44963345.
- ^ 월리스, W. 서유럽의 변천과정, 런던, 핀터, 1990
- ^ 헌팅턴, 새뮤얼 문명의 충돌 사이먼 & 슈스터, 1996
- ^ 존슨, 로니 중부 유럽: 적들, 이웃들, 친구들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미국, 2001
- ^ a b "Croatia". The World Factbook.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8 January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 19, 2024.
- ^ a b 중앙유럽 로니 존슨: 적들, 이웃들, 친구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 "Southeast European Cooperative Initiative (SECI)" (PDF).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2003.
- ^ a b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www.ei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5, 2009.
- ^ a b "7 Invitees - Romania". www.nato.int.
- ^ a b Steven Tötösy de Zepetnek; Louise Olga Vasvári (2011). Comparative Hungarian Cultural Studies. Purdue University Press. ISBN 9781557535931.
- ^ a b Armstrong, Werwick; Anderson, James (2007). "Borders in Central Europe: From Conflict to Cooperation". Geopolitics of European Union Enlargement: The Fortress Empire. Routledge. p. 165. ISBN 978-1-134-30132-4.
- ^ Bidleux와 Jeffries (1998) 동유럽의 역사: 위기와 변화
- ^ Hött, Hans; Mihalik, Bella (2016). 동남유럽의 아틀라스. 보스턴: 브릴.
- ^ a b "동남유럽을 위한 경찰협력협약(PCCSEE)" PCC SEE 사무국. 2023년 12월 20일 회수.
- ^ "A List of Countries That Make up the Balkan Peninsula". www.ThoughtCo.com.
- ^ Porter, Malcolm; Lye, Keith (2008). Asia. Cherrytree Books. p. 14. ISBN 978-1-84234-46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22. Retrieved 11 October 2021.
- ^ World Factbook. Washington, D.C.: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9 Septem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anuary 2021. Retrieved 23 January 2021. 카자흐스탄: 지리
- ^ Rap, Stephen H. (2003), 중세 조지아 역사학 연구: 초기 텍스트와 유라시아 맥락, 페이지 292-294. Peeters Bvba ISBN 90-429-1318-5.
- ^ 사이먼 혼블로워와 안토니 스포포스의 옥스포드 고전 사전,ISBN 0-19-860641-9, "1515쪽, "516년까지 트라키아인들이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제압되었습니다."
- ^ Roisman, Joseph; Worthington, Ian (7 July 2011).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John Wiley & Sons. ISBN 9781444351637. Retrieved 22 April 2015.
- ^ Olson, James Stuart; Pappas, Lee Brigance; Pappas, Nicholas Charles; Pappas, Nicholas C. J. (1994).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Bloomsbury Academic. ISBN 9780313274978. Retrieved 22 April 2015.
- ^ Edward Luttwak, 비잔틴 제국의 대전략 (Harbard UP, 2009).
- ^ 데니스 시노르, "서구의 몽골인" 아시아 역사 저널 33.1 (1999): 1-44 온라인.
- ^ 마틴 래디, "고중세 시기 중·동유럽의 독일인 정착" 독일 국토와 동유럽에서의 (팔그레이브 맥밀런, 1999) pp. 11-47.
- ^ Jan M. Pisorski (2008). "Medieval Colonization in East Central Europe". In Ingrao; Szabo (eds.). The Germans and the East. Purdue University Press. p. 31.
- ^ 아머, 이안 D. 2013. 동유럽의 역사 1740-1918: 제국, 국가 그리고 근대화. 런던: 블룸스버리 학술지 23쪽. ISBN 978-1849664882
- ^ 참고, 특히 노먼 데이비스, 유럽: 역사, 2010, 이브 요한슨, 서유럽 공식 간행물, 1984, 토마스 그리어와 개빈 루이스, 서구 세계의 간략한 역사, 2004.
- ^ Baten, Jörg (2016). A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From 150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6. ISBN 9781107507180.
- ^ Baten, Joerg; Szołtysek, Mikołaj (2017). ""Girl Power" in Eastern Europe? The human capital development of Central-Eastern and Eastern Europe in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nd its determinants". European Review of Economic History. 21 (1): 29–63.
- ^ 제롬 블럼, "동유럽 농노의 부상" 미국사평 62#4 (1957), pp. 807-836 온라인
- ^ 보리스 비. Gorshkov, "Serfdom: "동유럽", 피터 스턴스, ed., 유럽 사회사 백과사전 (2001) 2:379-88; 온라인.
- ^ 데이비드 문 "러시아 농노 재평가" 유럽 역사 계간 26(1996): 483–526.
- ^ P. de Azcarate, 국제연맹 및 소수민족 연맹 (1945) 온라인
- ^ R. M. Douglas. Orderly and Humane. The Expulsion of the Germans after the Second World War. Yale University Press. p. 331.
- ^ 티모시 스나이더, 블러드랜드: 히틀러와 스탈린 사이의 유럽 (2011) 발췌 및 텍스트 검색
- ^ Gregor Thum. Uprooted: How Breslau Became Wroclaw during the Century of Expuls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 Applebaum, 페이지 312-33.
- ^ 앤 애플바움, 철의 장막: 동유럽의 압살, 1944-1956 (2012) p. xxix.
- ^ a b 애플바움, p. xxx
- ^ 애플바움, 71쪽.
- ^ Applebaum, pp. 174-191.
- ^ 애플바움, 172-173쪽.
- ^ Applebaum, 페이지 223-228.
- ^ Applebaum, 페이지 1162-147
- ^ 제로님 페로비치, "티토-스탈린 분열: 새로운 증거에 비추어 재평가" 냉전 연구 저널 9.2 (2007): 32-63 온라인.
- ^ 스타브로 스켄디, "알바니아와 중소 분쟁" 외사 40.3 (1962) : 471-478
- ^ a b c Vértesy, László (2018). "Macroeconomic Legal Trends in the EU11 Countries" (PDF). Public Governance, Administration and Finances Law Review. 3. No. 1.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August 2019. Retrieved 12 August 2019.
추가읽기
- 애플바움, 앤. 철 커튼: 동유럽의 압살, 1944-1956 (2012)
- 베렌드, 이반 T. 수십 년의 위기: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중동부 유럽(2001)
- Connelly, John (2020). From Peoples Into Nations: A History of Eastern Euro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6712-1.
- 날, 앨런 J. 외. 동유럽 정치경제사전(2007년 제2회)초본
- 도너트, 실리아, 에밀리 그레블, 제시카 워드호. "중동유럽에 대한 새로운 장학금" 유럽 현대사 26.3 (2017): 507-507. DOI: 중·동유럽에 관한 새로운 학문
- 프랭클, 벤자민. 냉전 1945-1991. 2권, 소련, 동유럽, 중국 및 제3세계의 지도자 및 기타 중요 인물(1992), 전기 379pp.
- 프루흐트, 리처드, 에드. 동유럽 백과사전: 빈 회의에서 공산주의 붕괴까지 (2000)
- 푹스sch델른, 니콜라, 마티아스 sch델른. "동유럽 공산주의의 장기적 영향" 경제학 관점 저널 34.2 (2020): 172–91. 온라인
- Gal, Susan and Gail Kligman, The Politics of Gender After Soci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 고르쉬코프, 보리스 B. "세르프돔: 동유럽." 유럽 사회사 백과사전, 피터 N 편집. 스턴스, (vol. 2: 2001), 379-388 페이지. 온라인
- 고드시, 크리스틴 R. 전환 중 손실: 공산주의 이후 일상의 민족지학 (듀크대학교 출판부, 2011).
- 잠깐만, 조셉, 에드. 20세기 동유럽의 콜롬비아사 (1993)
- 제프리스, 이안, 로버트 비들뢰. 발칸반도: 탈공산주의 역사 (2007).
- Jelavich, Barbara (1983a).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4586.
- 젤라비치, 바바라 발칸반도의 역사, 제1권: 18세기와 19세기 (1983)
- Jelavich, Barbara (1983b).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4593.
- Mazower, Mark (2007). The Balkans: A Short History.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ISBN 978-0-307-43196-7.
- Myant, Martin; Drahokoupil, Jan (2010). Transition Economies: Political Economy in Russia,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Wiley-Blackwell. ISBN 978-0-470-59619-7.
- 나흐티갈, 라인하르트.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동유럽에 대한 현재사적 고찰" War & Society 41.4 (2022): 323–339. doi.org/10.1080/07292473.2022.2117908
- 라멧, 사브리나 P. 동유럽: 1939년 이후의 정치, 문화, 사회 (1999)
- 로스킨, 마이클 G. 동유럽의 재탄생 (2001년 제4판); 204pp
- 솅크, 베냐민의 프리스요, 정신지도: 유럽사 연구의 대상으로서 대륙의 인지지도, EGO - 유럽사 온라인, 마인츠: 유럽사연구소, 2013, 회수: 2020년 3월 4일(pdf).
- 셰빌, 페르디난드. 발칸반도의 역사; 가장 이른 시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1966)
- 세튼 왓슨, 휴 1918-1941 전쟁(1945) 사이의 동유럽 온라인
- 시몬스, 전후 세계에서 토마스 W. 동유럽 (1991)
- 스나이더, 티모시. 블러드랜드: 히틀러와 스탈린 사이의 유럽 (2011)
- Stanković, Vlada, ed. (2016). The Balkans and the Byzantine World before and after the Captures of Constantinople, 1204 and 1453. Lexington Books. ISBN 978-1-4985-1326-5.
- Stavrianos, L.S. 발칸반도 1453년(1958년) 이래 주요 학술사; 온라인 무료 대출
- 1945년 이후 동유럽의 스웨인, 제프리와 나이젤 스웨인 (2003년 제3판)
- 버더리, 캐서린. 사회주의는 무엇이었고 다음은 무엇입니까?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 Wachtel, Andrew Baruch (2008). The Balkans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8273-1.
- 월터스, E. 게리슨 기타 유럽: 동유럽에서 1945(1988)까지 430pp; 국가별 커버리지
- Wolchik, Sharon L. and Jane L. Curry, eds. 중앙 및 동유럽 정치: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2010년 2기), 432pp
- 울프, 래리: 동유럽의 발명: 계몽주의 정신에 관한 문명의 지도.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ISBN 0-8047-2702-3
- Eastern Europe Unmapped: Beyond Borders and Peripheries (1 ed.). Berghahn Books. 2020. doi:10.2307/j.ctvw049zd. ISBN 978-1-78533-685-0. JSTOR j.ctvw049z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