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의 교육
Education in Toronto토론토는 캐나다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온타리오 주의 주도다. 이 도시에는 많은 초, 중, 후기 기관들이 있다. 그 기관들 외에도, 그 도시에는 또한 특정 공예품을 위한 학교 교육을 제공하거나 추가적인 교육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몇몇 특수 학교와 보충 학교들이 있다.
4개의 공립학교 이사회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학교에서 12학년까지 도시의 주민들에게 제공한다. 4개의 학교 이사회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 제1외국어 학교 이사회, 그리고 세속적이거나 별도의 학교 이사회로 운영된다. 공립학교 외에도 사립 종교학교 이사회나 독립 종교학교, 또는 대학 예비학교와 같은 독립적인 세속적 기관에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론토에는 중등 후기 기관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다. 토론토에는 학위배정권한이 있는 대학이 7개 있는데 이 중 5개가 공립대인 반면 나머지 2개는 사립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그 도시에 기반을 둔 4개의 학위와 졸업장을 수여하는 대학들이 있다. 시 외곽에 본부를 둔 다른 중등 후기 기관들도 위성 캠퍼스를 설립하거나 토론토에 본부를 둔 기관과 시설을 공유했다. 토론토에 있는 다른 중등 후기 교육기관에는 사립 직업학교가 있다.
초·중등교육
공교육
토론토의 4개 학교 이사회는 공립 초등, 중등, 성인 교육을 제공한다. 4개의 학교 이사회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 제1외국어 학교 이사회, 그리고 세속적이거나 별도의 학교 이사회로 운영된다.
토론토에 기반을 둔 학교 이사회의 수와 그들이 운영하는 기관의 종류는 캐나다 헌법에서 발견된 헌법상의 준비의 결과물이다. 온타리오 주의 개별 학교는 1867년 헌법 93조에 따라 헌법적으로 보호되며, 캐나다 권리 및 자유헌장 29조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토론토에 있는 프랑스어 학교들은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23조에 따라 헌법적으로 보호된다.
1980년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에는 7개의 프랑스 학교(세컨더리 및 별도)가 있었다. 에티엔느 브루글스 학교의 모리스 버게빈 교감은 1971년 몬트리올의 한 연구에서 토론토의 프랑코폰이 몬트리올에 있는 학교와 같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면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에는 31개의 프랑코폰 학교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1971년 캐나다 연방 인구 조사에 따르면, 토론토는 16만 프랑의 프랑코폰이 있었다.[1] 이후 토론토에 있는 프랑스어 제1언어학교의 수는 26개(세컨더리 및 별도)로 늘어났다. 여기에는 모국어가 프랑스어가 아닌 학생들을 위한 영어 교육 위원회의 프랑스어 몰입 프로그램은 포함되지 않는다.[2]
토론토에 있는 몇몇 대안학교도 토론토 공립학교 이사회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3] 가장 오래된 학교는 1972년에 개교한 알파 얼터너티브 스쿨이다.[4] 대토론토 지역의 공립 대안 학교들을 위한 첫 번째 회의는 2012년 11월에 열렸다.[5] 온타리오 교육부 원격교육 프로그램인 독립학습센터도 토론토에 본부를 두고 있다.
세속적인
토론토에는 두 개의 공립 세속주의 학교 이사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콘세일 스콜라레 비아몽드(CSV), 토론토 지방 교육 위원회(TDSB)가 운영되고 있다. 전자는 토론토에서 프랑스어 제1언어학교를 운영하고, 후자는 토론토에서 영어 제1언어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TDSB는 토론토에서만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CSV는 토론토와 더 큰 황금 말발굽 지역, 온타리오 반도의 학교 이사회로 운영되고 있다.
두 학교 이사회는 1997년 학교 이사 감소법의 결과로 1998년에 만들어졌다. 1998년 이전에,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의 각 자치단체에는 공립 영어 학교 게시판이 있었다. 6개 학교 이사회, 요크시 교육 위원회, 이스트 요크 교육 위원회, 에토비오케 교육 위원회, 노스 요크 교육 위원회, 스카버러 교육 위원회, 토론토 교육 위원회는 모두 메트로폴리탄 토론토 교육 위원회 산하에서 운영되었다. 메트로폴리탄 토론토 학교 위원회는 1953년부터 1998년까지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의 자치 단체 학교 이사회의 하부 조직으로 활동했다. 소수의 학교 이사회 법률과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의 합병 결과, 6개의 자치단체에 기반을 둔 학교 이사회가 통합되어 TDSB를 결성하게 되었다. 구 메트로폴리탄 토론토 교육위원회의 자산도 TDSB로 통합되었다.
1998년 이전에는 프랑스어 공립학교가 콘세일 데 에콜레스 프랑수아즈 드 라 코뮌하우테 우르바인 드 토론토(CEFCUT)에 의해 운영되었다. CEFCUT는 Limple School Boards Act의 일환으로 1998년에 Great Golden Horshoe와 온타리오 반도의 다른 학교 이사회와 합병되어 CSV를 형성하였다.
분리된

토론토에는 두 개의 공립 별개의 학교 이사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콘세일 스콜라이어 카톨리크 모나베니르와 토론토 카톨릭 지역 교육 위원회(TCDSB)가 운영되고 있다. 전자는 토론토에서 프랑스어 제1언어학교를 운영하고, 후자는 토론토에서 영어 제1언어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TDSB는 토론토에서만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반면, 모나베니르는 토론토와 더 큰 황금 말발굽 지역의 학교 이사회로 운영되고 있다.
1998년 토론토가 합병되기 전에는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의 영어와 프랑스어 별개의 학교가 메트로폴리탄 별개의 학교 위원회(MSSB; Les Conseil des écolles catholique du Grand Toronto)에 의해 관리되었다. 메트로폴리탄 토론토의 프랑스어 별학교는 MSSB의 프랑스어 단위인 섹션 드 랭구 프랑세즈에 의해 운영되었다. 1998년 MSSB는 영어와 프랑스어 부품이 분리되어 개편되었다. MSSB의 영어 구성요소는 TCDSB를 형성한 반면, 그것의 프랑스 구성요소는 Great Golden Horshoe에 있는 몇몇 다른 프랑스 별개의 학교 위원회와 합병하여 Conseil Scolarique MonAvenir를 형성했다.
사교육
토론토에는 또한 다수의 사립/독립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 예비학교가 있으며, 비파민적 기관 또는 신앙에 기반을 둔 학교로서 운영되고 있다.
비부정적
신앙기반
토론토에 본부를 둔 몇몇 사립 초등 및 중등 종교 기관이 있다. 또한 토론토에는 학교를 운영하는 두 개의 사립 관리 종교 학교 위원회, 즉 유대인 교육 센터와 토론토 어드벤티스트 지역 교육 위원회도 있다.
크리스천
힌두교
- 캐나다의[6] 사티아 사이 학교
이슬람교
유대인
- 연합 히브리 학교
- 베이스 야코프 초등학교
- 비알릭 히브리 데이 스쿨
- 토론토의 Bnei Akiva 학교
- 바노스 바이스 야코프 고등학교
- 에이츠 차임 학교
- 레오 백 데이 스쿨
- 네티봇 하토라 데이 스쿨
- 로빈스 히브리 아카데미
- 토론토 타넨바움 커뮤니티 히브리어 아카데미(CAT)
- 토론토 체더
- 타이페레스 바이스 야아코프
- 예시바 다르체이 토라
- 예시바 예소디 하토라
- 예시바스 나찰라스 츠즈비 (카플란스)
- 예시바스 네르 이스로엘
- 예시바스 지크론 슈마리아후 (메시바)
폐지된 기관
토론토 아카데미는 베이와 요크 스트리트[8] 사이의 프런트 스트리트에 위치한 예전 중등학교로 토론토 녹스 칼리지와 인연이 있었다. 1846년 지방학교에 대한 대안으로 설립되었으며, 1849년 녹스 칼리지와 단교하였으며, 1852년 잠시 후 폐교되었다.[9] 윌리엄 라이온 매켄지의 아들, 토마스 모스 미래의 대법원장, 그리고 최초의 아프리카계 캐나다인 의사 앤더슨 러핀 애벗.
1987년 이전에는 토론토 전역의 여러 종교 명령에 의해 다수의 사립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가 운영되었다. 1987년, 1985년부터 기금이 발표된 후 이들 학교 중 많은 수가 공립 도시별 분리 학교 이사회에 가입했다. 그들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 Brebeuf College School (North York, 1963 - Society of Jesus (1963-1984)과 Presentation Brothers (1984-1987)
- 신부 헨리 카 가톨릭 중등학교(에토비오케, 1974년 - 바실리안 아버지)
- 프란치스코 리버만 가톨릭 고등학교(Scarborough, 1977 - 성령회)
- 존 J. 린치 고등학교(북요크, 1963 - 기독교 형제와 지혜의 딸 모임)
- 로레토 애비 가톨릭 중등학교(North York, 1847년 - 로레토의 자매)
- 로레토 대학교 (토론토, 1915 - 로레토의 자매)
- 마이클 파워 고등학교 (에토비오케, 1957 - 바실리안 파더스)
- 닐 맥닐 고등학교 (Scarborough, 1958 - 성령회)
- 노트르담 고등학교 (토론토, 1949 - 노트르담 성도)
- 성 바실 더 그레이트 칼리지 스쿨 (북요크, 1962 - 바실리안 파더스)
- 세인트 조셉 대학교 (토론토, 1850년 - 성 자매들 요셉)
- 성 요셉 상업 학교(토론토, 1880년 - 성 수녀회) 요셉)[10]
- 세인트 조셉 고등학교(에토비요크, 1949 - 성 자매 요셉)
- 성 요셉 모로 공원 가톨릭 중등학교(토론토, 1960년 - 성 자매 요셉)
중등 후 교육
토론토는 대학, 대학, 직업 학교를 포함한 많은 중등 후기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대학

토론토에 본사를 둔 5개의 공립대학이 있다. 시내에는 OCAD 대학교, 라이어슨 대학교, 유니버시아드 드 론타리오 프랑수아즈, 토론토 대학교 등 4개의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토론토 대학도 시의 동부에 위치한 토론토 스카버러 대학과 인접 도시 미시소가에 위치한 토론토 미시소가 대학 등 2개의 위성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요크 대학은 노스요크에 본부를 둔 이 도시의 유일한 공립 대학이다. 요크 대학은 노스요크에 두 개의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웃 도시인 마크햄에 또 다른 캠퍼스를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토론토에는 틴데일 대학교와 요크빌 대학교 두 개의 사립 대학이 있다. 틴데일은 노스요크에 본부를 둔 사립대학이자 개신교 신학교다. 요크빌 대학은 토론토 시내와 인근 도시 본에 시설을 갖춘 영리 대학이다. 요크빌 대학은 여러 지방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뉴브런즈윅에 처음 설립된 프레데릭턴과 밴쿠버에 추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두 사립대는 모두 도의 장관 동의를 거쳐 특정 학위 수여 권한을 부여받았다.[11]
토론토 외곽에 본부를 둔 몇몇 대학들도 이 도시에 위성 캠퍼스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Guelph-Humber 대학교는 Guelph 대학교(온타리오주 Guelph에 본사를 두고 있음)와 Humber College(토론토에 본사를 둔 대학)에서 운영하는 북요크에 있는 협업 후기 기관이다. Guelph-Humber는 모 기관의 위성 캠퍼스 역할을 하며, 졸업생들은 Guelph 대학교 또는 Humber College에서 학위를 수여 받는다.
대학
캐나다에서 대학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술, 응용 예술 또는 응용 과학 학교를 말한다. 4개의 공립대학은 토론토, 센테니얼 컬리지, 조지 브라운 컬리지, 험버 칼리지, 세네카 칼리지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게다가, 이 도시는 온타리오 주 서드베리에 본사를 둔 대학인 Collége Boréal의 위성 캠퍼스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프랑스 제1언어대학인 Collége des Grands-Lacs가 토론토 시내에서 운영되었다. 2001년 폐업한 이후 콜레지 보레알은 그랜드스락스 프로그램의 통제를 맡았다. 전체적으로 5개 대학은 시내 곳곳에 퍼져 있는 29개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신앙기반
토론토는 지방정부로부터 부분적인 학위수여권을 부여받은 5개의 종교기반 사립대학과 세미나를 보유하고 있다. 기독교연구소, 성 필립스 신학교, 토론토 침례교 신학교와 성서대학이 올드 토론토에 본부를 두고 있는 반면, 선진 유대학연구소와 탈피오트 대학은 노스욕에 본부를 두고 있다.[12]
직업학교
토론토에서 활동하는 사립 중등 과정 이후의 직업 학교나 직업 대학의 아카데미 응용 약학은 국립 보건의 및을 비롯한 번호, 사업, 옥스포드 대학의 예술, 경제와 기술, 랜돌프 대학에 대한 것은 공연 예술, 학교의 토론토 댄스 시어터, 토론토 공업.e 제약 기술, 그리고 트리오스 칼리지. 토론토에 본부를 둔 사립 진로대학의 직업프로그램은 지방 사립 진로대학법을 통해 승인된다.
전문
토론토는 주류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학생들에게 추가적인 교육 지원을 제공하는 다수의 보충 학교가 있다. 이 도시는 또한 제2외국어(ESL) 학교로서 점점 더 많은 수의 공립 영어와 사립 영어를 유치하고 있으며 한 번에 1만 명에 이르는 ESL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라틴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에서 온 비자 학생이거나 새로 도착한 이민자와 캐나다 시민들이다.
토론토에 위치한 특수학교는 다음과 같다.
참고 항목
참조
- ^ "토론토에는 불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을 위한 공립학교가 7개 있다." 몬트리올 가제트의 캐나디안 프레스 (CP) 1980년 5월 21일 수요일. 페이지 66. 2013년 7월 24일 구글 뉴스(141명 중 66명)에서 검색했다.
- ^ "Early French Immersion". Toronto District School Board. 2014. Retrieved 7 September 2019.
- ^ "TDSB alternative schoo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3-27. Retrieved 2013-04-12.
- ^ 토론토 스타 기사: 학교마취 40년
- ^ GTA 대안 공립학교 교육회의
- ^ http://www.sathyasaischool.ca/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19. Retrieved 2014-10-18.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http://www.torontopubliclibrary.ca/detail.jsp?Entt=RDMDC-PICTURES-R-4795&R=DC-PICTURES-R-4795
- ^ Vaudry, Richard W. (1989-10-24). The Free Church in Victorian Canada, 1844-1861. Wilfrid Laurier Univ. Press. p. 81. ISBN 9780889209794.
toronto academy was founded in 1846.
- ^ 1985년 토마스 머튼 아카데미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마로코 주교/토마스 머튼 가톨릭 중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다.
- ^ "Degree Authority in Ontario". www.tcu.gov.on.ca.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 April 2018. Retrieved 15 March 2021.
- ^ "Private postsecondary schools". www.ontario.ca.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21. Retrieved 15 March 2021.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토론토 교육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