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타 주의 교육

Education in Utah

유타 주의 교육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주 전역에 걸쳐 더욱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을 가져왔다.

교육 체계는 모르몬 개척자들이 유타 주에 도착한 1847년에 형성되기 시작했다. 최초의 학교는 주로 모르몬교 공동체에 의해 운영되었는데, 교회 지도자들이 모르몬교 교리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교과과정과 시설을 조직하였다.[1][2] 1896년 유타주가 주가 되었을 때, 학교는 정부 지원금이 되었고, 주 전역에서 무료 공립학교 교육이 가능해졌다.[3] 오늘날, 이 교육 시스템은 다양한 공립, 헌장, 사립 K-12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주 전역에 걸쳐 사립 및 공립 고등교육기관이 혼재되어 있다.

역사

개척자 도착 및 LDS 영향

초기 모르몬교도들은 종교적 박해와 미주리 주지사말살 명령을 피해 당시 멕시코 영토였던 오늘날의 유타주로 도망쳐 1847년 솔트레이크 계곡에 도착했다.[3]

정착 후 처음 20년간 대부분의 학교는 교회 기관을 통해 운영되었다.[1] 수업은 일반적으로 후일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LDS Church of Last-day Saints, LDS Church)의 회의장에서 이루어졌으며 학교 경계는 LDS 병동의 경계를 반영했다.[2] 학교들은 각 구청의 주교가 임명한 지역 수탁자에 의해 각각 통제되었다. 학교는 거의 전적으로 학교에 다니는 가족들에 의해 재정 지원을 받았는데, 이는 그들이 지역 경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2]

각 학교의 독립적인 성격과 지역간 기금의 변동은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육과 커리큘럼의 질이 주 전역에 걸쳐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했다.[2] 주로 교회가 지원하고 후원하는 만큼 교육과정에서는 모르몬의 도덕적 가치를 다루기도 했고 LDS 경전까지 지원 과정 내용에 포함시켰다.[2] 1851년, 새 학교 자치 교육감을 통해 교과과정과 학교 정책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중앙집권화의 영향은 즉각적이지 않았다.[2]

19세기

Functional Grove의 Schoolhouse, 원래 1852-53년에 지어졌고 1864년에 추가 날개가 지어졌다. 현재 유타 개척자의 딸로 인정받고 있다.

1860년대 동안, 유타주에 개신교천주교 신자들이 몰려들었고, 이로 인해 학교들은 교회적 통제에서 정부 통제로 전환하게 되었다.[3] 카운티 교육감들이 자리를 잡았고, 학교 운영에 대한 법적 책임이 주교에서 시의회로 넘어갔다. 지방자치단체들이 교사 월급과 학용품 마련을 위해 세금 징수에 나섰다.[3] 유타 모르몬스는 비교적 고립되어 있었지만, 1869년 대륙횡단철도가 완공되면서 다수의 비 LDS 집단을 가진 인구가 늘어났다.[3] 모르몬교도들이 스스로를 기독교 교파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소수 집단들 중 많은 수가 LDS 인구의 대다수를 "기독교화"하려고 했다.[2][4][5] 개신교 신자들은 유타 주의 아이들을 개종시킬 수 있다는 희망으로 교육함으로써 학교에서 모르몬교 가르침을 없애려 했다.[4] 이 목적에 봉사하기 위해 미션스쿨이 설립되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세인트였다. 마크의 학교는 1867년에 지어졌다. 그 학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 학교들은 또한 몰몬 교리와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사교육을 제공했다.[3]

1870년까지 대부분의 공립학교들은 여전히 급여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비를 요구했고, 이로 인해 공공화된 교육이 추진되었다. 입법부는 이러한 자금을 제공하기 위해 영토 영수증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 비 LDS 공동체는 이 시점에서 인구의 20%를 차지했고, 여전히 본질적으로 모르몬이 지배하고 있는 공립학교에 지역적으로 자금을 지원한다는 생각에 저항했다.[3] 소수 종교는 정교 분리를 요구했는데, 당시 영토 학교장이 진보 성향의 첫 후보인 M.W. 애쉬브룩을 물리친 존 테일러 LDS교회 세 번째 총회장이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깊어졌다.[3][4]

1887년 연방정부가 개입하여 에드먼즈-를 발행하였다.Tucker Act는 LDS Church의 많은 정치 및 사회적 관행을 변경하도록 요구하였다.[3][4] 여기에는 일부다처제를 폐지하라는 요구와 영토적 학교교육감 폐지 요구가 포함됐다. 영토 대법원은 그 후 학교에서 사용되는 콘텐츠를 승인하고 모르몬교 학생, 비 모르몬교 학생, 교사들을 통합할 수 있는 "학교 감독관"의 임명권을 부여받았다.[3] 곧이어, 법은 1890년의 학교법을 통과시켰고, 이 법은 이 지역 전체에서 공교육을 자유롭게 했다. 1896년 유타주가 주(州)를 이루었을 때, 이 법은 그 학교들을 정부 자금으로 만들고 종파적 통제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해 확대되었다.[3]

20세기

1940년 유타주 산타클라라, 학교에서 책을 읽고 있는 유타주 어린이들

20세기에 유타는 주 전체에서 교육을 평등하게 한 최초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6]1919년 유타주에서는 처음으로 의무적인 출석법이 통과되어 학교 등록이 증가하였다.[6] 그러나, 공립학교 시스템에 걸친 학생 등록의 증가는 그 자체로 국가에 도전할 새로운 이슈들을 만들어냈다.

교회와 국가의 갈등

교회와 주 사이의 갈등은 이 시기 동안 유타 주의 공립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했다. 20세기 전환기에 유타는 미국에서 가장 낮은 개인 등록률(0.5%)을 자랑했다.[verification needed] 유타주의 비모먼 가정들은 공립학교가 교육 과정에 대한 LDS교회의 큰 영향 때문에 근본적으로 사립학교라고 생각했다.[7] 교회는 개신교 교육개혁에 대응해 사립학교 제도를 만들려 했으나 공립학교로 전환되면서 사립학교 진학률이 낮아졌다.[8]

재정위기와 개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타주의 관심은 교육 향상으로 되돌아갔다. 재원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이상의 시험 성적을 지속적으로 달성한 것이 눈에 띄었다. 이는 미국의 다른 주들에 비해 유타주의 평균 출산율이 높은 데 일부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verification needed][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사들과 학교들은 정부로부터 더 많은 자금 지원을 받기 시작했다. 는 J. Bracken Lee(1949–1957) 주지사 시절에는 대대적인 예산 개혁과 연방 지원금 수령에 대한 그의 반대 때문에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9] 이 대통령이 퇴임한 후, 주지사들은 교사들과 교육 시스템에 더 나은 자금 지원을 할 방법을 찾았지만, 이러한 노력은 불충분했다.

1960년, 유타주 교사들의 약 12%가 낮은 급여 때문에 직장을 위해 주를 이전했다. 교사 교육을 받은 많은 학생들이 결국 유타 밖에서 일을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유타 주의 교사직의 절반가량이 인증되지 않은 사람들 또는 의심스러운 수단을 통해 인증된 사람들에 의해 채워졌다.[9] 건물 정비도 교사들에게는 난제였다. 학교 수업 시간에 건물 지붕 일부가 무너지는 등 일부 교사는 무너지고 실효성 있는 교습을 막고 있었다.[9] 1964년 5월, 금융위기가 극에 달해, 미국교육협회(NEA)가 유타 주 교육제도를 제재했다. NEA 역사상 처음으로 전체 주에 이런 일이 발생했다.[9] 이 당선인의 뒤를 이어 선출된 민주도지사 칼 램튼이 NEA 제재를 통해 제기된 재정 문제를 일부 해결한 뒤 1965년 제재가 해제됐다. 램튼이 그의 교육 개혁을 수행하고 학교에 더 나은 자금을 제공한 후, 그들은 운영을 재개했다. 학생들의 성적은 더 이상 전국 평균을 상회하지 않았다.

1983년, 국가교육위원회는 전 세계 다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비해 미국 학생들을 평균 이하로 평가하여 유타주와 미국 전역에서 추가적인 교육 개혁을 촉발시켰다.[9] 유타주 주지사 스콧 매테슨은 미국의 트렌드에 따라 유타주의 교육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목표를 채택했다.[9]

인도 배치 프로그램(1953–1996)

인도 배치 프로그램몰몬 회랑의 백인 정착자들이 지배하는 학교에서 북미 원주민 어린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공식적인 LDS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원주민이나 '라만족'을 교회로 초대해 그들과 한 사람이 되고자 하는 교회의 열망에서 비롯됐다.[10]

1950년부터 1984년까지 운영되었던 브리검시의 인터마운틴 인디안 스쿨

교회는 미국 원주민 자녀들을 초청해 학년 내내 도시에서 활동적인 가족과 함께 살도록 해 '포스터' 집과 가까운 지역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했다. 참여는 아이들이 교회의 세례를 받고, 정서적 괴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워지고, 교육을 받고 싶어하며, 좋은 성적을 유지하도록 했다.[11] 그들의 친부모는 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양식에 서명할 것이다. 교회와 "어리석은" 가정은 아이의 남은 필요를 채워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1970년대에 약 5,000명의 학생으로 최대 등록에 도달했다.[10][11]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다. 어떤 참가자들은 이 프로그램이 그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느꼈고, 다른 참가자들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더 이상 확인할 수 없는 그들의 문화로부터 그들을 빼앗아 갔다고 느꼈다. 다른 비평가들은 교회가 아이들을 그들의 신앙과 문화에 세뇌시키기 위해 납치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일부 비평가들은 그들을 친부모와 분리시킴으로써 아이들의 심리적 복지를 해친다고 주장했다.[10]

1980년대 내내 예약학교가 개선되면서 1996년 교회가 공식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까지 인도 배치 프로그램 등록이 줄어들었다.[10]

현재

초·중등

유타 주의 공교육은 초중등학교에 다니는 K-12 제도를 따르며, 그 중 공립, 헌장, 사립의 세 종류가 주 전역에 있다.

유타 교육위원회는 주 전체에서 모든 공립 및 차터 스쿨(주를 통해 자금을 지원함)을 포함한 모든 공교육 법규와 기준을 감독한다. 현재 42개 공립 학군이 있으며 총 학생 수는 66만 6,858명이고 학생-교사 비율은 1:21이다.[13] 2020 회계연도 공교육 예산 승인액은 56억 달러, 2019년 국가졸업률은 87.4%로 집계됐다. [14]

공립학교와 차터학교 외에도 주 전역에 약 166개의 사립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15]

고등교육

유타 고등교육 시스템 내에 유타 대학, 유타 주립 대학, 웨버 주립 대학, 서던 유타 대학, 스노우 칼리지, 딕시 주립 대학, 유타 밸리 대학, 솔트 레이크 커뮤니티 칼리지 등 8개의 공립 대학과 대학이 있다. [16] 이 제도는 주정부가 입법한 유타주 섭정위원회의 지배를 받으며, 주지사가 그 회원을 임명한다. [17]

유타 주의 사립학교로는 브리검대학교웨스트민스터 대학교가 있다.

참조

  1. ^ a b c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Education in Utah's Schools". KSL. 23 August 2018. Retrieved 7 November 2019.
  2. ^ a b c d e f g Buchanan, Frederick. "Education in Utah". UEN. Retrieved 7 November 2019.
  3. ^ a b c d e f g h i j k l Buchanan, Frederick (1982). "Education among The Mormons". History of Education Quarterly. 22: 435–459. doi:10.2307/368068. JSTOR 368068.
  4. ^ a b c d Esplin, Scott C.; Randall, E. Vance (2014). "Living in Two Worlds: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Mormon Education in American Society". History of Education. 43: 3–30. doi:10.1080/0046760X.2013.844276. S2CID 144486602.
  5. ^ a b Alexander, Thomas G., 1935- (1995). Utah, the right place : the official centennial history. Utah State Historical Society. (1st ed.). Salt Lake City: Gibbs Smith. ISBN 0879056908. OCLC 32390996.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 ^ a b <path>. "New Educational Laws that Passed". Iron County Records. 21 March 1919. Retrieved 7 November 2019.
  7. ^ Buchanan, Frederick (1993). "Masons, and Mormons". Journal of Mormon History. 19: 67–114.
  8. ^ Esplin, Scott C.; Randall, E. Vance (1 January 2014). "Living in Two Worlds: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Mormon education in American society". History of Education. 43: 3–30. doi:10.1080/0046760X.2013.844276. S2CID 144486602.
  9. ^ a b c d e f Utah in the twentieth century. Cannon, Brian Q., Embry, Jessie L., Charles Redd Center for Western Studies. Logan, Utah: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09. ISBN 9780874217452. OCLC 437415482.CS1 maint: 기타(링크)
  10. ^ a b c d Morgan, Brandon (Fall 2009). "Educating the Lamanites: A Brief History of the LDS Indian Student Placement Program". Journal of Mormon History. 4: 191–217.
  11. ^ a b "Indian placement HBLL". search.lib.byu.edu. Retrieved 29 November 2019.
  12. ^ https://www.schools.utah.gov/, '하락 등록 인구통계 가이드'(pdf)
  13. ^ https://www.schools.utah.gov/file/b4d547ed-ea42-4f4b-9911-44af4505d8ba, 'USBE 스터든-교사 비율'
  14. ^ https://www.schools.utah.gov/file/cf1d9a7b-85f6-46d9-b608-73f166a42ba5, 'USBE 유타 2019 졸업률'
  15. ^ https://www.schools.utah.gov/schoolsdirectory, 'USBE 사립학교 등록부'
  16. ^ https://ushe.edu/, '홈페이지'
  17. ^ https://ushe.edu/board-of-regents/about-the-board, '고등교육 유타 시스템, 이사회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