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렌부르크 역
Eilenburg station분기점 | ||||||||||||||||||||||||||
![]() 버스 정류장에서 본 역 건물 | ||||||||||||||||||||||||||
일반 정보 | ||||||||||||||||||||||||||
위치 | 작센 주, 아일렌부르크 주, 반호프스트르 21번지 독일. | |||||||||||||||||||||||||
좌표 | 51°27006nN 12°38°12°E/51.45167°N 12.63667°E좌표: 51°27°06°N 12°38°E / 51.45167°N 12.63667°E / | |||||||||||||||||||||||||
회선 |
| |||||||||||||||||||||||||
플랫폼 | 4 | |||||||||||||||||||||||||
건설 | ||||||||||||||||||||||||||
건축 양식 | 역사주의 | |||||||||||||||||||||||||
다른 정보 | ||||||||||||||||||||||||||
스테이션 코드 | 1512년[1] | |||||||||||||||||||||||||
DS100 코드 | 다리[2] | |||||||||||||||||||||||||
IBNR | 8010095 | |||||||||||||||||||||||||
카테고리 | 4개[1] | |||||||||||||||||||||||||
요금 구역 | MDV: 167[3] | |||||||||||||||||||||||||
웹 사이트 | www.bahnhof.de | |||||||||||||||||||||||||
역사 | ||||||||||||||||||||||||||
열린 | 1871 | |||||||||||||||||||||||||
승객 | ||||||||||||||||||||||||||
1340 | ||||||||||||||||||||||||||
서비스 | ||||||||||||||||||||||||||
| ||||||||||||||||||||||||||
위치 | ||||||||||||||||||||||||||
아일렌부르크 역은 독일 작센주 아일렌부르크 구에 있는 두 개의 기차역 중 하나이다.도이치 반에 의해 카테고리 4 [1]역으로 분류된다.그 역은 마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1871년에 개업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객과 화물 수송의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많은 직장이 그것과 연관되어 있었다.오늘날, 지역 열차는 라이프치히, 할레(살레), 호이어스베르다, 코트부스까지 운행된다.라이프치히 시티 터널이 개통된 이후, 미텔도이츠클란트 S반 열차는 아일렌부르크에 정차하고 있습니다.
역사
아일렌부르크는 빈 회의에서 작센 왕국에 의해 양도된 프로이센의 주변 지역에 있었다.1868년에 이르러서야 할레-소라우-구벤 철도 회사는 이미 조밀한 철도망이 형성되었습니다.Halle-Sorau-Gubener Eisenbahn-Geselschaft)는 [4]철도 건설을 위한 양허와 허가를 받았습니다.역 건물은 1871년에 지어졌으며, 서비스 구역, 매표소, 수하물 취급소, 직원용 주택, 4개의 대기실이 [4]있었다.팔켄버그(엘스터)에서 아일렌버그(Eilenburg)를 거쳐 할레(Saale)까지 이어지는 노선은 1년 후인 [5]1872년 4월에 개통되었다.1874년 [5]11월 라이프치히의 색슨 대학과 무역 박람회 도시로 가는 지부가 문을 열었다.라이프치히 노선의 종점은 라이프치히 아일렌버거 반호프(Eilenburger Bannhof, 아일렌부르크 선 역)로, 종점으로서 건설되었다.아일렌부르크-루터스타트-비텐베르크 선은 1895년 [5]2월 20일에 개통되었다.1914년경, 그 아이디어는 또한 떠오르는 산업 지역들과 함께 아일렌부르크에서 비터펠트까지 노선을 건설하는 것을 발전시켰다.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계획 [5]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아일렌부르크-부르젠 철도의 마지막 구간은 1927년에 개통되었다.그것의 건설 또한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거의 포기되었다.
그 역은 개업 때부터 큰 고용주였다.1910년에는 총 233명의 직원이 있었고 1933년에는 570명으로 증가했다.이들은 다음과 같이 분배되었습니다: 철도 근로자 (250명), 철도 작업장 (40명), 철도 차량 유지보수 (6명), 차량 청소 (4명), 신호 유지 및 장인 (220명), 화물 및 수하물 취급 및 발권 (50명).[6]그 역은 도시 전체의 경제 발전을 위한 강력한 힘이었다.
Combined Delivery Nebelwerfer 박격포 발사체에 불이 붙었습니다.충전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된 목재 양털에 불이 붙었기 때문입니다.폭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영향을 받은 마차는 분리되었고 역에서 서쪽으로 웨델비츠 쪽으로 밀려났다.13시경, 폭발이 있었고, 그 사이 마을 곳곳에서 충격파가 느껴졌다.폭발 당시 40명이 숨졌으며 소방작업은 다음날 [6]오전까지 계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일렌부르크 역은 1994년에 해체된 할레(살레)의 라이히스반디렉션(철도 부문)의 영토에 있었습니다.1980년대에 화물 창고는 만원이었다.매달 약 1,000대의 차량이 적재되었고 그 두 배나 많은 차량이 하역되었다.매일 30대의 화물열차가 편성되거나 [6]해체되었다.여객 서비스에서는 크라쿠프-에르푸르트, 프랑크푸르트(오데르)를 운행하는 급행 열차(두르치강수그)– 뫼헨글라트바흐와 코트부스-아이제나흐 노선 및 코트부스의 준고속 열차-라이프치히 항로는 아일렌부르크에서 [6]멈췄다.1995년에는 뤼벡에서 슈베린, 마그데부르크, 라이프치히를 거쳐 코트부스까지 운행하는 인터레지오 서비스가 급행열차를 대체했다.장거리 서비스는 2000년까지 중단되었고 두 개의 지역 특급 서비스로 대체되었다.
1978년 [5]승객 서비스는 아일렌부르크에서 뷔르젠으로 중단되었다.20년 후, 작센 주는 아일렌부르크 역과 바트 뒤벤 사이의 비텐베르크 행 노선의 예정된 승객 교통을 중단했다.
2010년 라이프치히 지방 교통 당국인 Zweckverband für den Nahverkehrsraum Leipzig와 DB Station&Service에 의해 마을 외관이 개선되었다.역 건물에 대한 반달리즘은 제거되었고 1번 승강장은 약 200,000유로의 비용으로 재건되었다.역의 서쪽 지역에서는 2011년 6월부터 현수막, 철도 선로 및 신호등이 재건되고 있습니다.이것에 의해, 화물 열차의 형성을 위한 보다 좋은 조건을 만들어, 라이프치히와 할레로부터 역에의 보다 빠른 진입이 가능하게 됩니다.비용은 [7]약 700만유로입니다.
묘사
여객역
여객역의 인프라는 서쪽에 타워가 있는 붉은 벽돌 출입구 건물을 포함한다.1870년대에 지어졌고 1990년대에 대대적으로 보수되었다.그것은 이제 유산에 등재되었다.도이치반이 소유한 레스토랑은 리노베이션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문을 닫았다.두 개의 작은 소매 공간 또한 최근에 임대되지 않았다.뉴스 에이전시를 포함한 나머지 DB 여행사는 2011년 말에 문을 닫았습니다.대기실도 폐쇄된 채로 있습니다.2012년 5월 DB가 이 건물을 Eilenburg 통신 회사에 매각했다고 발표했습니다.2012년 가을까지 이 빌딩을 [8]본사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선로는 출입구 건물 남쪽에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연방 고속도로 87호선이 있다.이 역은 4개의 가장자리를 가진 두 개의 승강장이 있으며, 1번 승강장의 길이는 470m이고 2번 승강장은 325m이며 보행자 지하도로 연결됩니다.둘 다 플랫폼 높이가 38cm이다.[9]2번 플랫폼에는 아직 대기실과 플랫폼슈퍼바이저의 사무실이 있으며, 이 두 곳 모두 사용되지 않습니다.주 승강장과 2번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150m 길이의 외부 승강장은 더 이상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역 건물은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지만, 승강장은 계단으로만 갈 수 있습니다.
화물 야드
여객역 남쪽 끝에 가까운 아일렌부르크에는 험지가 있는 화물 야적장의 선로가 10개 정도 있습니다.또한 출입구 건물과 레일리온 사회 시설 동쪽에 화물차와 기관차를 사용하기 위한 사이드도 있습니다.39번 트랙의 이 영역에는 여전히 전원 공급 지점이 있으며 이전에는 로딩 도크가 있었습니다.오늘 34번 선로 옆에 하역 도로가 있습니다.디스패처 시그널 박스(코드화된 Ew) 외에도 DB Netz 사무실이 있습니다.화물 처리장의 관리자는 더 이상 근무할 수 없습니다.마셜링에는 Voith Gravita 디젤 기관차(DB-261) 시리즈가 사용됩니다.이전에 이 작업에는 등급 V 90 디젤 기관차가 1~2량 필요했습니다.232계 기관차는 연결 화물열차를 끌기 위해 사용된다.
기관차 창고
1926년 아일렌부르크에 기관차 창고(Bannbetriebswerk)가 설립되었습니다.Torgau와 Schildau의 기관차 창고와 1964년 이후에는 뷔르젠의 기관차 창고도 감독했다.38, 52.80, 55.72 및 94급 기관차를 16~18량 운용했다.토르가우에는 6~8량, 쉴다우에는 2량, 뷔르젠에는 3량 기관차가 있었다.
3개 지사를 포함한 아일렌부르크 공장에는 관리, 기관차 파견, 기관차 정비, 기술 시스템 정비, 고정 인력 등 총 35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기관사 직원만 90명이었다.목축 작업에는 무엇보다도 아일렌부르크 오스트 역, 아일렌부르크 화학 공장(아일렌버거 화학 공장) 및 데마노이드 공장에서의 측선 작업이 포함되었다.그 창고에는 12개의 트랙이 있는 원형 주택이 있었고, 그 중 4개는 작업장의 일부였다.
1960년대 중반, DR 클래스 V 100과 V 60의 첫 디젤 기관차가 운행에 들어갔습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DR 클래스 V 200의 기관차 세 대가 그 뒤를 따랐습니다.이것들은 증기기관차로부터 점차 계승되었다.할레(살레)의 대전 후-1980년대 후반의 아일렌부르크 선에서는 211, 242, 243, 250급 전기 기관차도 운행에 들어갔습니다.
아일렌부르크 기지는 1969년에 독립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1995년에는 턴테이블과 슬래그 컨베이어가 철거되고 두 개의 급수탑이 폐쇄되었다.사교공간과 탈의실은 [10][11]1999년까지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수송 서비스
역사
역의 개업으로부터 적어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그것은 오늘날과 달리 할레에서 코트부스로 가는 교통을 처리했다.라이프치히로 가려면 아일렌부르크에서 갈아타야 했다.이것은 아일렌부르크와 할레가 프로이센에 있는 반면 라이프치히는 작센에 있었기 때문이다.1944년에는 라이프치히에서 코트부스로 가는 급행열차뿐만 아니라 할레에서 코트부스로 가는 급행열차(두르치강주그)와 반고속열차(아일주그)가 매일 운행되었다.게다가 할레에서 팔켄버그(엘스터)까지 다섯 대의 여객 열차가 운행되었고, 일부는 코트부스까지 계속 운행되었다.게다가, 라이프치히에서 아일렌부르크까지 매일 7대의 여객 열차가 운행되었다.루터슈타트 비텐베르크에는 매일 4번, 비텐베르크에는 매일 3번 예배식이 있었다.
동독이 존재하던 시절에는 아침과 오후에 통근열차가 많았다.1970년에는 라이프치히에서 코트부스까지 주로 직통열차가 운행되어 현재는 아일렌부르크에서 환승해야 했다.라이프치히와 코트부스 사이를 매일 급행열차 3대와 준고속열차 3대가 운행했는데, 이 열차는 아일렌부르크에 정차했다.그 후 라이프치히 또는 타우차(b 라이프치히)를 경유하는 노선의 일부를 오가는 13개의 승객 서비스가 있었다.할레-아일렌부르크 선에서는 매일 한 쌍의 급행열차를 제외하고 지역 운행만 했습니다.그래서 각 방향마다 13개의 여객열차가 있었다.1970년에는 아일렌부르크와 비텐베르크 사이에 각각 7개의 연속적인 연결이 있었다.1978년에 여객 서비스가 종료된 아일렌부르크-부르젠 지선에서는 1970년에 [12][13]하루에 4쌍의 열차가 운행되었습니다.
여객 서비스
2000년 이후 아일렌부르크까지 연결되는 장거리 노선은 운행되지 않았다.시간표의 섹션 209.43, 218.1, 501.4 및 501.9에 열거된 아일렌부르크 역은 DB Regio가 운영하는 다음과 같은 지역 교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선 | 경로 | 간격 | 교환입니다. |
---|---|---|---|
RE 10 | 라이프치히 Hbf – 아일렌부르크 – 토르가우 – 팔켄베르크 (엘스터) – 도벨루그-키르하인 – 칼라우 – 코트부스 | 120 | DB Regio Nordost |
RB 55 | 하이데반 Eilenburg – Bad Düben (Mulde) – Bad Schmiedeberg – Pretzch – Lutherstadt Vittenberg Hbf (경우에 따라 개인 서비스) | ~ | DB 레지오 |
S 4 | 뷔르젠 - 라이프치히슈테리츠 - 라이프치히 Hbf (낮음) - 아일렌부르크 - 토르가우 - 팔켄베르크 (엘스터) - 룰란트 - 호이어스베르다 | 30 | DB Regio Südost |
S9 | 아일렌부르크 – 델리츠히 – 할레 (살레) | 060(월~금) 120(토~일) | DB Regio Südost |
Regional-Express 서비스는 매일 120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Mitteldeutschland S-Bahn 서비스가 추가됨에 따라, Eilenburg-Falkenberg(엘스터) 구간은 60분마다 운행됩니다.5:00(토요일 7:00, 일요일 9:00)부터 21.30까지 라이프치히행 S-반 서비스는 30분마다 운행됩니다.
Mitteldeutschland S-Bahn의 새로운 S9 노선은 2017년 12월 시간표 변경으로 도입되었다.그것은 아일렌부르크와 할레 사이의 이전의 지역 철도 서비스를 대체했다.
지역 버스 서비스
아일렌부르크 역은 도시의 남쪽 끝에 있으며 중앙과 반호프스트라셰("역 거리")로 연결되어 있다.이 역은 SaxBus와 다른 회사들에 의해 운영되는 지역 철도 서비스와 도시 및 지역 버스 서비스 사이의 환승역입니다.5개의 버스 플랫폼이 있는 Eilenburger Busverkehr(Eilenburg Bus Transport)의 주요 환승 지점은 역입니다.여기서부터 15개의 지역 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시간마다 운행됩니다.또한 반호프 버스 정류장은 30분마다 에일렌부르크-오스트와 에일렌부르크-베르크까지 운행되는 두 시내 버스 노선의 합류 지점입니다.두 노선의 환승이 용이하도록 역 건물 앞에 또 다른 버스 승강장을 만들었다.통근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역으로서, 아일렌부르크 역에는 50대의 자동차와 80대의 자전거 주차 공간이 설치되지 않았다.역 건물 앞에 택시 승강장도 있습니다.
레퍼런스
- ^ a b c "Stationspreisliste 2022" [Station price list 2022] (PDF) (in German). DB Station&Service. 7 February 2022. Retrieved 13 March 2022.
- ^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2009/2010 ed.). Schweers + Wall. 2009. ISBN 978-3-89494-139-0.
- ^ "Tarifzonenplan" (PDF). Mitteldeutscher Verkehrsverbund. 1 August 2021. Retrieved 22 August 2021.
- ^ a b Andreas Flegel (2002). Eilenburg in alten Ansichten (in German). Europäische Bibliothek Verlag.
- ^ a b c d e Otto Künnemann (2006). "Eisenbahnknotenpunkt Eilenburg". Jahrbuch für Eilenburg und Umgebung (in German). Verlagshaus Heide-Druck.
- ^ a b c d Erhard Künitz, Erich Preuß (2007). Bahnhöfe A–Z: Eilenburg (in German). GeraMond Verlag.
- ^ "Deutsche Bahn investiert sieben Millionen Euro in Eilenburg". LVZ-Online (in German). 19 Jul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14. Retrieved 12 August 2014.
- ^ Kathrin Kabelitz (4 May 2012). "Bahn verkauft Eilenburger Bahnhofsgebäude". Leipziger Volkszeitung (in German). p. 17.
- ^ "Platform information" (in German). Deutsche Bah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ugust 2014. Retrieved 12 August 2014.
- ^ Kurt Krause (2008). "Das Bahnbetriebswerk Eilenburg der Deutschen Reichsbahn". Jahrbuch für Eilenburg und Umgebung (in German). Verlagshaus Heide-Druck.
- ^ "Jahreszahlen zum Bahnbetriebswerk Eilenburg" (in German). www.sachsenschiene.de. Retrieved 12 August 2014.
- ^ "Timetable" (in German). Deutsche Reichsbahn. 1944. Retrieved 12 August 2014.
- ^ 1970년 5월 31일부터 1970년 9월 26일까지의 라이히스반디렉션 할레 여름 시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