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니타몬

Enitharmon

에니타몬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에 나오는 주요 여성 캐릭터로, 그의 예언서 중 일부에서 주요 역할을 한다.그녀는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네 명의 조아 중 하나인 수컷 우르토나의 한 단면이다.그녀는 사실 로스에마네이션이기도 하고 남자이기도 하다.복잡한 언어적 연결고리가 붙어있다.조아 타르마족에는 에니온이 있고 에니 타르마족에는 에니온이 있다.그러나 그것은 아마도 Tharmas/Enion 쌍의 이름의 구성으로서 역방향으로 읽혀져야 한다.블레이크의 신화에서, 그녀는 예술적 상상력을 제한하는 여성의 지배와 성적 구속을 상징한다.그녀는 로스와 함께 오크를 포함한 다양한 아이들을 낳는다.

배경

에니타몬이라는 캐릭터가 블레이크의 아내 캐서린 블레이크에 바탕을 두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802년 11월 22일 블레이크가 친구 토마스 버츠 주니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서리에 있는 자신의 집에 "에니타몬의 나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S. Foster Damon은 Enitharmon이라는 이름을 (z)enit(h)-harmon(y)의 파생 또는 생략이라고 설명했다.이는 거울에 비친 이름 Los(Los, Sol = Sun(라틴어로는 태양))에 비추어 읽어야 합니다.그는 또한 그리스식 무수 또는 "numberless"가 이름의 또 다른 가능한 시작점이라고 제안했다.Urthona는 "지구 주인"이다.그러므로 에니타몬은 단순한 지구의 여신도 아니고, 그 역할과 단절되지도 않는다.그녀의 이름은 또한 그녀의 두 물질적인 부모[1]에니온과 타르마스의 이름으로 분해될 수 있다.

성격

이니타르몬은 정신적 아름다움과 시적 영감을 상징합니다.그녀는 달로 상징되고 연민으로 특징지어진다.로스와 함께 그녀는 북쪽을 지배하고 있는 우르토나 출신이라는 점에서 연결된다.시적 본능으로, 이니타르몬은 [1]사춘기에 일어나는 성적 문제에서 태어난 것으로 표현된다.블레이크의 [2]작품에서 그녀는 천국의 여왕으로 군림하고 있다.에니타르몬과 우르토나의 관계에서 그녀는 자연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을 대표하는 여신이다.블레이크의 신화 속 자연순환에는 [3]라합, 에니타몬, 발라로 대표되는 노파의 반복적인 이미지가 있다.에니타몬은 로스가 창조하려는 것을 나타내며, 에니타몬은 자신의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에니타몬을 가질 수 없다.공간과의 관계에서,[4] 그녀는 정신에 대한 무한한 공간의 심리적인 측면을 표현한다.

다른 에마네이션과 달리, 그녀는 신의 그림자가 아니라 로스의 에마네이션과 그의 에마네이션의 물질적인 아내 역할을 한다.블레이크의 초기 신화는 로스가 Urizen에게 물질적 형태를 준 후 그녀가 어떻게 태어났는지 그리고 그녀는 첫 여성으로 태어났다.그의 후기 신화에서, 에니타몬의 탄생은 우르토나를 몰락시키고 에니온에서 태어나게 만들었다.이 버전에서는 Los와 Enitharmon이 모두 Enion에서 나옵니다.그녀가 태어난 후, 에니타몬은 남자는 사랑을 받고 여자는 자존심을 갖게 되면서, 여성이 세상을 지배할 것이라고 선언한다.이것은 남성들에게 여성의 지배에 대한 두려움을 조성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그들을 여성의 지배하에 둘 것이다.그녀의 성적 체계에는 네 개의 부분이 있다: 마나투 바르시온(욕망), 안타몬(파름), 테오토르몬(전쟁)이것들은 에틴투스(신체)에게 억제된 성욕으로 나타나며, 이는 로이트(죄)로 이어지며, 우툰(실망)으로 이어지며 티랄라타(에로틱 드림)로 끝난다.마지막 단계에서 전쟁은 성적 [1]억압의 궁극적인 결과이다.이 전쟁은 일반전쟁과 에너지 전체로 연결된다.섹스는 상상력과 사랑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사랑은 사람을 더 높은 상태로 남겨두고 블레이크가 보기에 성욕의 왜곡은 파괴로 [5]이어집니다.

여성의지는 독립성을 포기하는 것을 거부하는 애정의 대상으로부터 태어나며, 그 개념은 개인이 진정한 [6]비전을 가질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여성 의지의 지배를 대표하는 아이타몬의 통치 아래 로스와 에니타몬은 서로 끊임없는 갈등을 빚게 된다.하지만, 이 갈등은 또한 로스가 그녀와 두 명의 아이를 낳는 것으로 이어집니다.우리젠은 루바와 발라를 심판하는 능력으로 그들을 유혹함으로써 둘 사이의 투쟁을 이용할 수 있다.이로 인해 두 사람 모두 결백의 마지막 한 점을 잃게 된다.그 후 그들의 결합은 질투와 질투로 가득 찼다.그들의 결합은 또한 [7]에니온으로 하여금 이로 인해 시작된 몰락한 상태에 대해 한탄하게 만든다.그녀는 로스와 결혼했고, 그들의 결혼을 통해 혁명의 상징인 오크가 탄생한다.이것은 예술과 혁명의 관계를 상징한다.하지만 로스는 오크를 질투하게 되고 오크를 산에 묶는다.Enitharmon은 개입을 시도하지만 Los는 Orc를 해방시킬 수 없다.오크에 이어 에니타몬은 많은 아이들을 낳는다.이들 중 사탄, 밀턴, 메리그녀[8]자녀로 묘사된다.

외관

Enitharmon은 유럽에서 기독교 문화의 몰락에 관한 그녀의 통치를 비교하는 예언으로 나타난다.그녀를 통해, 신탁과 올림피아 신들이 [9]되살아난다.작품의 대부분은 에니타몬의 물질적 세계 지배에 전념하고 있으며 종교를 통한 다양한 성적 규칙을 제시한다.블레이크는 이 규칙들이 어떻게 정통 기독교에서 발견되는 오류인지 설명한다.'우리젠의 서'에는 로스가 우리젠을 위해 형태를 만든 후 로스의 연민 에니타르몬이 그와 어떻게 헤어지고 첫 번째 여성이 되었는지 기술되어 있다.발라, 조아스에서, 그녀는 이브와 비슷하고 로스/아담의 임시변통이다.이 작품은 또한 시적 본능과 성적인 연결고리를 묘사하고, 그녀와 그녀의 딸들이 어떻게 다양한 스펙터가 만들어질 수 있는 신체와 같은 다양한 것들을 창조할 수 있는지를 지적하고 있다.밀턴의 시는 에니타몬이 어떻게 많은 아이를 낳았는지를 묘사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밀턴 본인도 포함되어 있다.이 작품에서 그녀는 스페이스와 연결되고 로스는 타임과 연결된다고 묘사된다.'예루살렘의 거대 알비온의 발산'에서 그녀는 시와 연결되고 결국 자신이 사라져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Enitharmon은 물질계의 영원한 세계를 반영하는 Looking Glass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이 이미지는 블레이크의 99번째 삽화에서 단테의 작품에 나타난다.이 디자인은 여성 통치를 대표하는 천국의 여왕을 보여주며 유리는 [10]물질주의이다.그녀는 또한 천국[11]지옥의 결혼에 삽화로 등장한다.

메모들

  1. ^ a b c 데이먼 1988 페이지 124
  2. ^ 프라이 페이지 127
  3. ^ Bloom 1993 32, 60페이지
  4. ^ Frye 1990, 261페이지
  5. ^ Frye 1990 페이지.262–263
  6. ^ Frye 1990 페이지 263페이지
  7. ^ Bloom 1993 78, 84페이지
  8. ^ Damon 1988 페이지 124~125
  9. ^ Frye 1990, 262페이지
  10. ^ Damon 1988 페이지 124~125, 246
  11. ^ ['천국과 지옥의 결혼', 제프리 케인스 경의 소개와 해설,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5 링크 텍스트] 추가 텍스트.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