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쿨보이

The School Boy
현재 [1]미국 의회도서관에서 열리고 있는 '경험의 노래' 카피 B에 수록된 '스쿨보이'의 삽화본.

"The School Boy"는 윌리엄 블레이크의 1789년 시로 그의 시집인 "Songs of Experience"의 일부로 출판되었다.이 시들은 블레이크의 '순수의 노래'와 함께 "인간의 영혼의 상반된 두 상태를 나타내는 순수의 노래와 경험의 노래"라는 제목의 전체 컬렉션을 만들기 위해 나중에 추가되었다.이 시집에는 '타이거', '잃어버린 소년', '유아의 기쁨', '양치기' 등의 시가 포함되어 있었다.이 시들은 블레이크가 [2]1789년에 처음 만든 다채로운 예술작품으로 묘사되어 있다.1789년 초판은 [2]16부로 구성되었다.순결의 노래들 중 일부는 미완성이거나 사후에 "모방"[2]으로 색칠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없다.

"The School Boy"는 형식적인 학문의 단점에 초점을 맞춘 목가적인 전통에서 쓰여진 시이다.그것은 여름날 학교에 가는 것이 "모든 기쁨을 몰아내는"[3] 방법을 고려합니다.이 시 속의 소년은 그의 선생님이 가르치려는 어떤 것보다도 그의 교실을 탈출하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16~20행에서, 학교의 아이는 [3]새장 속의 새와 비교된다.자유롭고 자연에서 태어난 어떤 것을 뜻한다는 것은 대신 안에 갇혀 순종하게 만든다.

시표기

난 여름 아침에 일어나는 걸 좋아해
새들이 모든 나무 위에서 노래할 때,
먼 사냥꾼은 뿔피리를 불며
그리고 하늘 종달새는 나와 함께 노래한다:
오, 얼마나 달콤한 친구인가!

하지만 여름 아침에 학교에 가는 건...
오! 모든 기쁨을 날려버려요!
잔혹한 눈초리로
어린애들은 하루를 보낸다.
한숨과 낙담 속에서.

아! 그러면 제가 축 처지고 앉아 있을 때
그리고 많은 걱정스러운 시간을 보낸다.
내 책에서도 기쁨을 누릴 수 없다.
배움의 그늘에 앉아 있지 말고
음침한 샤워로 지쳤다.

기뻐하기 위해 태어난 새가 어떻게
철창에 앉아서 노래하라고?
공포가 거슬릴 때 어떻게 아이가
하지만 그의 부드러운 날개를 축 늘어뜨리고
그리고 그의 젊은 봄은 잊어라!

오, 아버지, 어머니, 만약 싹이 틔워지면,
그리고 꽃은 흩날렸다.
그리고 만약 부드러운 식물들이 벗겨진다면
봄날 그들의 기쁨의 원천은
슬픔과 근심의 낙담으로-

여름은 어떻게 즐거움으로 떠오를까
아니면 여름 과일이 나오나요?
아니면 슬픔이 파괴하는 것을 어떻게 모을 것인가?
무르익어가는 해를 축복하고
겨울의 돌풍은 언제 나타날까요?
-윌리엄 블레이크
[3]

그것은 무엇을 뜻하나요?

  • 첫 번째 스탠자:그 남학생은 잠에서 깨어난 후 새소리를 즐겁게 본다.마치 하늘 종달새가 그와 함께 노래하는 것처럼 보였다.이 모든 것이 그에게 아주 달콤한 회사였다.
  • 두 번째 스탠자:남학생들은 선생님 앞에서 절망으로 나날을 보냈다.
  • 제3절은 어떻게 홈스쿨링을 할 때 즐겁게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학교에는 자유가 없다. 당신은 배우라는 것을 배우게 될 것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학교는 그를 기쁘게 할 수 없다.
  • 4절은 학교에서 착한 아이를 새장 속의 새에 비유한다.새는 새장 안에서 노래할 수 없다. 또한 아이는 학교에서 행복할 수 없다. 그의 잠재력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 5절은 사람들이 학교에서 얼마나 실망하고 학생들이 얼마나 즐거움을 빼앗겼는지 보여준다.
  • 마지막 구절은 학교가 어떻게 결코 즐거울 수 없는지를 묘사하고 있지만, 따뜻한 여름을 강타하는 추운 겨울날과 같다.
  • 마지막 두 구절에서 블레이크는 부모들에게 삶의 자연 주기에 대한 연장된 은유를 사용하여 진심 어린 탄원을 한다.자연의 세계에서는 꽃봉오리가 자라면서 열매를 맺게 되는 꽃나무가 된다.블레이크는 가을의 과일 수확이 혹독한 겨울 동안 어떻게 생명을 유지하는지 묘사하면서 계절을 언급합니다.이렇게 해서 그는 자연계로부터 배우는 행복한 어린 시절이 현명하고 알찬 노후의 혜택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것은 이러한 자연의 순환을 방해하고 지혜를 기를 기회가 없는 평생의 불행으로 귀결된다.
  • 그는 여름 아침을 좋아한다.
  • 그는 학교를 좋아하지 않는다.
  • 그는 학교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한다.
  • 그는 학생들이 행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그는 학교에 자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 그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그들의 즐거움을 빼앗겼다고 생각한다.
  • 그는 학교가 결코 즐겁지 않다고 생각한다.

일러스트와 형태

이 시의 삽화는 주로 자연의 요소를 담고 있는데, 이는 시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다.인쇄물 하단에는 세 명의 인간 형상이 앉아 땅이나 땅 위에 있는 것을 살펴보고 있다.이것은 자연과 그것이 정리된 것에 대한 관심을 나타냅니다.

판화의 테두리 주변에는 넝쿨이 얽혀 엮여 있다.이 덩굴 안에는 잎과 꽃과 같은 잎이 자연 속에 있다.덩굴 밑바닥에 팔을 뻗고 덩굴을 기어오르는 식물군까지 뻗은 사람의 모습도 있다.덩굴을 따라 올라가면 두 개의 덩굴이 서로 다른 덩굴을 이루고 각각 책을 읽고 있다.이것은 자연 속으로 더 멀리 갈수록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이것은 블레이크가 "자연스러운" 교육에 중점을 둔 것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또 덩굴의 잎과 열매 가운데 왼쪽에는 날아오르려는 새가 있다."승리와 자유는 모두 새의 [4]날개와 관련이 있습니다."새들은 또한 지식과 자연을 상징할 수 있다.새의 존재는 정규 교실이 아닌 자연으로부터의 교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유와 배움을 더욱 의미했다.

이 시는 각각 다섯 줄씩 6개의 연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일정한 패턴의 구조를 따르고 있다.또한 ABABB의 운율 체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제 및 비판적 분석

이 시는 블레이크의 대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호감을 강조한다.교실 교육의 지치게 하는 요소,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학생들이 부족한 학습과 학생들에 대한 유지에 기여하게 만드는가 하는 것이 일관되게 반복된다.Blake는 대신 교실 밖에서 배우는 것을 장려하고, 특히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창의력이 번성한다고 믿습니다.게다가, 자신을 교실 밖으로 내보내고 싶은 욕망(사회에 대한 은유)은 제3대 샤프트베리 백작 앤서니 애슐리 쿠퍼의 은퇴 아이디어와 관련이 있다.여기서 은퇴란 사회의 끈질긴 끈질김으로부터 영혼과 상상력을 되살리기 위해 사회에서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쿠퍼는 사회에 오래 남아 있으면 영혼이 쇠약해지고 자연이 공동체와 자애의 개념을 재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었다.

새와 소년의 비유는 또한 이 시에서 반복되는 자연의 주제를 보여주는 증거이다.낭만주의 시인으로서 블레이크는 자연, 주관적 자아, 감정에 중점을 둔다.이 시에서 자연에 대한 암시는 여름, 바람, 꽃, 소나기, 새, [3]봄과 같은 것들을 언급하며 도처에 존재한다.블레이크는 지구의 계절을 소년의 삶의 계절과 동일시한다.블레이크는 또한 소년처럼 자연에서 자유로운 장소를 얻기 위해 소년을 새장에 갇힌 새와 비유한다.

데이비드 아몬드는 그의 소설 스켈리그에서 "The School Boy"를 언급하며 미나의 어머니가 그녀에게 제공한 비공식적인 학습과 블레이크의 [5]자료로 많은 부분을 보완한 그의 역할을 입증한다.그는 "미나와 그녀의 어머니는 블레이크를 직접 인용하고 언급하며 많은 등장인물들이 그의 교육, 영성, 상상력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그러나 블레이크의 말을 인용하는 것 이상으로 스켈리그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블레이크의 주요 생각 중 하나인 정반대의 생각들을 살아있고 예시하고 있다.[6]"The Schoolboy"는 전통적인 학교 환경에 있는 것이 얼마나 피곤한가를 계속해서 떠올리게 하고, 한 소년을 "젊은 [3]봄을 잊게 할 것"으로 만들 것이다.

레퍼런스

  1. ^ Morris Eaves; Robert N. Essick; Joseph Viscomi (eds.). "Songs of Innocence and of Experience, object 20 (Bentley 53, Erdman 53, Keynes 53) "The School Boy"". William Blake Archive. Retrieved 28 April 2015.
  2. ^ a b c Eaves, Morris; Essick, Robert N.; Viscomi, Joseph. "Songs of Innocence". The William Blake Archive. Retrieved 9 April 2015.
  3. ^ a b c d e Blake, William (1908). The Poetical Works of William Blake, ed. by John Samps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31 March 2015.
  4. ^ Ehrlich, Paul R.; Dobkin, David S.; Wheye, Darryl. "Bird Biology and the Arts".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9 April 2015.
  5. ^ Latham 2008.
  6. ^ Sahm 2010, 페이지 116

원천

  • Davies, J. G. (1968). "Review of Blake's Contrary States: The 'Songs of Innocence and of Experience' as Dramatic Poems". The Modern Language Review. 63 (1): 206–207. doi:10.2307/3722712. JSTOR 3722712.
  • Guest, Harriet; Barrell, John (1988). "'Who Ever Perished, Being Innocent?' Some Plates from the 'Songs of Innocence'". Style. 22 (2): 238–262. JSTOR 42945709.
  • B., L. (1933). "Blake's Songs of Innocence and Experience". The British Museum Quarterly. 7 (3): 66–65. doi:10.2307/4421435. JSTOR 4421435.
  • Latham, Don (September 2008). "Empowering Adolescent Readers: Intertextuality in Three Novels by David Almond".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9 (3): 213–226. doi:10.1007/s10583-007-9052-6. S2CID 145703675.
  • Morgenstern, John (2002). "The Fall into Literacy and the Rise of the Bourgeois Child". Children's Literature Association Quarterly. 27 (3): 136–145. doi:10.1353/chq.0.1312. Project MUSE 249966.
  • Sahm, Danielle (14 May 2010). "Contrary to Expectations: Exploring Blake's Contraries in David Almond's Skellig". Children's Literature. 38 (1): 115–132. Project MUSE 380761.
  • Simpson, Matt (1992). "Blake's 'Songs of Innocence and Experience'". Critical Survey. 4 (1): 22–27. JSTOR 41555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