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리케 그라나도스
Enrique Granados흔히 엔리케 그라나도스로 알려진 판탈레온 엔리케 요아킨 그라나도스 이 캄피냐(1867년 7월 27일~1916년 3월 24일)는 스페인의 클래식 작곡가, 콘서트 피아니스트였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고예스카, 스페인 무용 마리아 델 카르멘 등이 있다.[1]
인생
Pantaleón Enrique Joaquín Granados Campiña was born in Lleida, Spain, the son of Calixto José de la Trinidad Granados y Armenteros, a Spanish army captain who was born in Havana, Cuba, and Enriqueta Elvira Campiña de Herrera, from Santander, Spain. 젊은 시절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피아노를 공부했는데, 그의 선생님들 중에는 프란시스코 주르넷과 조안 베티스타 푸졸이 있었다. 1887년에 그는 파리로 공부하러 갔다. 파리 음악원 학생은 될 수 없었지만, 음악원 교수인 샤를 윌프리드 드 베리오트와 함께 개인 교습을 받을 수 있었는데, 그의 어머니인 소프라노 마리아 말리브란은 스페인 혈통이었다. 베리오트는 음조 제작에서 극도의 정교함을 주장했는데, 이는 그라나도스의 페달 기술 교수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라나도스의 즉흥 연주 능력도 키웠다.[2] 펠리프 페드렐과의 연구도 그만큼 중요했다. 그는 1889년에 바르셀로나로 돌아왔다. 그의 첫 번째 성공은 1890년대 말, 오페라 마리아 델 카르멘으로 알폰소 13세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1903년 그라나도스는 마드리드 왕립 음악원의 토마스 브레톤이 주최한 대회에 참가하여 솔로 피아노의 최고 "콘서트 알레그로"에 상당한 액수의 500페세타를 수여하였다. 그라나도스는 그의 알레그로 데 콩쿠르인 Op. 46을 제출했고, 배심원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그를 우승자로 선언했다. 그 승리는 그라나다를 국민적 관심에 불러 일으켰다.[3]
1911년 그라나도스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 된 피아노 곡예스카의 스위트룸을 초연했다. 프란시스코 고야의 그림을 원작으로 한 6점 세트다. 이 일의 성공이 그러하여 그는 그것을 확대하도록 격려받았다. 그는 1914년 이 주제를 바탕으로 오페라를 썼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유럽 초연회가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 1916년 1월 28일 뉴욕시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그 직후, 그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피아노 연주회에 초대되었다. 그라나도스는 뉴욕을 떠나기 전에 뉴요크 소재 애올리언 컴퍼니의 "듀오 아트" 시스템을 위해 라이브 녹음된 플레이어 피아노 롤을 만들었는데, 이 모든 것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그의 마지막 음반인 것을 들을 수 있다.
죽음
리사이틀 초대를 수락하면서 생긴 뉴욕에서의 지연으로 그는 스페인으로 돌아가는 배를 놓치게 되었다. 대신 그는 영국으로 배를 타고 가서 프랑스 디에프행 여객선 SS 서섹스에 탑승했다. 영국 해협을 가로지르는 도중에 서섹스호는 독일 제1차 세계 대전 무제한 잠수함전 정책의 일환으로 독일 U보트에 의해 어뢰 공격을 받았다. 목격자 다니엘 사르젠트에 따르면 그라나도스의 아내 암파로 씨는 구명정에 타기에는 너무 무거웠다고 한다. 그라나도스는 그녀를 떠나려 하지 않고 그녀가 무릎을 꿇고 그가 매달리는 작은 구명 뗏목에 그녀를 태웠다. 두 사람 모두 다른 승객들이 보는 앞에서 익사했다.[4] 그러나 또 다른 생존자와는 다른 설명에 따르면, "1916년 크로스 채널 페리호에서 어뢰 공격을 당한 생존자는 스페인 작곡가 그라나도스를 구명정에 태우고, 그의 아내는 물속에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그라나도스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뛰어들어 죽었다."[5] 배가 두 부분으로 갈라져 침몰한 것은 (80명의 승객과 함께) 한 명뿐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선실이 들어 있던 부분은 침몰하지 않고 좌현으로 견인되었는데, 부딪혔을 때 반대편에 있던 그라나도스 부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승객들이 타고 있었다. 그라나도스 부부는 에두아르(음악가), 솔리타, 엔리케(수영 챔피언), 빅터, 나탈리아, 프란시스코 등 6명의 자녀를 남겼다.
엔리케 그라나도스의 개인 서류가 카탈로니아 국립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음악과 영향력
그라나도스는 단테의 신성한 희극을 바탕으로 피아노 음악, 실내악(피아노 5중주, 피아노 3중주,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음악), 노래, 자르주엘라, 관현악 음색시를 작곡했다. 그의 피아노 작곡의 대부분은 클래식 기타용으로 옮겨졌다; 예를 들면 데디카토리아, 단자 5번, 고이스카스 등이 있다.
그의 음악은 세 가지 스타일이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에스케나스 로만티카스, 에스케나스 시레나스 같은 작품을 포함한 낭만적인 스타일.
- 단자스 에스파뇰라(스페인 춤), 6 피에자스 소브레 칸툴라 에스파뇰레(스페인 대중가요를 바탕으로 한 식스피스) 등 보다 대표적인 민족주의적인 스페인 스타일이다.
- 피아노 스위트 고예스카, 오페라 고예스카, 음성과 피아노의 다양한 토나디야 등이 포함된 고야(고예스카) 시대.
그라나도스는 적어도 두 명의 다른 유명한 스페인 작곡가들과 음악가들인 마누엘 드 팔라와 파블로 카살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작곡가 로사 가르시아 아스코트의 스승이기도 했다.
몇몇 중요한 작품들
- 피아노의 경우 12단자 에스파뇰라(1890), Op. 37, H. 142, DLR 1:2. 4권의 내용은 1권: 갈란테(또는 미누에토), 동양, 판당고(또는 자라반다), 2권: 빌라네스카(Villanesca), 안달루사(또는 플레이라); 론달라 아라고네사(또는 조타), 3권: 발렌시아나; 사르다나(또는 아스투리아나); 로만티카 (또는 마즈르카); 제4권: 멜랑쿨리카 (또는 단자 트리스테); 잠브라; 아라베스카.
- 마리아 델 카르멘(1898), 오페라
- 알레그로 데 콩코르(1904)
- 피아노는 에스케나스 로만티카스(1903)이다. 개개의 "막장"은: Mazurca; Berceeuse; Allegretto; Mazurka; Allegro appassionato; Epilogo이다.
- 단테(1908), 교향시
- Tonadillas al estilo antiguo, H136 (1910) 음성 및 피아노용, 페르난도 페리켓 es 의 시 집합 설정. Titles of individual songs in the collection are: "Amor y odio"; "Callejeo"; "El majo discreto"; "El majo olvidado"; "El majo tímido"; "El mirar de la maja"; "El tra-la-la y el punteado"; "La maja de Goya"; "La maja dolorosa I (Oh muerte cruel!), II (Ay majo de mi vida!), and III (De aquel majo amante)"; "La currutacas modestas" (duet).
- 칸시오네스 에스파뇰라 음성과 피아노. 이 컬렉션의 개별 곡의 제목은 "Yo no tengo Quieno me lore", "Cantar I", "Por una mirada, un mundo", "Si al retiro me llevas"이다.칸시온, 세레나타, 칸토 기타노.
- 성악과 피아노용 칸사콘 카탈라나. 이 컬렉션에 수록된 개별 곡의 제목은 "로셀 프로페타", "에레기아테네타", "칸소 드 제네랄", "칸소 다모르", "칸소네타", "라보이라"이다.
- 피아노 스위트룸인 Goyescas(1911년)는 "Los mazos enamorados"라는 부제를 달았다. 그것은 두 권에 여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은 1권: "로스 레퀴브로", "콜로키오 엔 라 레자", "엘 판당고 드 칸딜", "케하스 오 라 마자 이 엘 루아세뇨르", 2권: "엘 아모르 라 무에르테", "에피로고(세레나타 델 에스펙트로)"이다. "엘 펠레일"은 괴이스카스의 일부로서 출판되지는 않았지만, 보통 거기에 추가된다. 공연에서는 7번째이자 마지막 곡으로 연주된다. '마자'들이 공중에서 '펠레'를 던지고 있는 그라나도스 오페라 '고예스카'의 오프닝 장면의 음악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 보케토스(1912년)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Despertar del cazador", "El hada y el niyno", "Vals muy ento", "La campana de la tarde".
- Colechion de canciones amatorias (1915년) (음성 및 피아노용) Titles of individual songs in the collection are: "Descúbrase el pensamiento de mi secreto cuidado"; "Mañanica era"; "Llorad, corazón, que tenéis razón 'Lloraba la niña'"; "Mira que soy niña"; "No lloréis, ojuelos"; "Iban al pinar 'Serranas de Cuenca'"; "Gracia mía".
- 고이스카스, 오페라, 1916년
- 6 에스투디오스 엑스포스
- 6 피에자 소브레 칸토스 에스파냐놀레스는 다음과 같다: "아뇨란자", "에코스 데 라 파란다", "바스콩다", "마라 오리엔탈", "잠브라", "자파테라도"
- 마드리갈, 첼로와 피아노용
- 8 발레스 포에티코스, 피아노용, 6번 "발스 포에티코" 포함
- 트리오,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용
- "군대의 행진곡" 피아노의 경우, Op.38
미디어
참조
메모들
출처 및 추가 판독
- Clark, Walter Aaron (2005). Enrique Granados: Poet Of The Piano. Oxford University Press. pp. 55–57. ISBN 0195140664.
- Milton, John W. (2005). The Fallen Nightingale. Edina, MN. ISBN 1-59298-071-6. OCLC 58522918.
- Larrad, Mark (2007). "Granados (y Campiña), Enrique [Enríc]". Grove Music Online (8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 Hess, Carol A. (1991). Enrique Granados: A Bio-Bibliography. New York: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6920-9. OCLC 615629336.
- 산주안, 파블로 빌라: 파펠레스 아인티모스 데 엔리케 그라나도스. 아미고스 데 그라나도스, 1966. (스페인어로)
- 페란도네스, 미리암(El compositor catalan enrique Granados Anallis de trees canciones de conciores: La boyra (1900), Canso d'amor (1902) y Elegia eterna (1912) Reecerca musicològica, no. 20–21, 2013–2014, 페이지 277–304(스페인어)
- 페란도네스, 미리암: "La cancion de Enrique Granados: un microcosmos estilistico", Cuadernos de musica iberoamerana, 2011, 151–186 (스페인어)
- 페란도네스, 미리암: "Enrique Granados en Paries: la construchion de un icono espaignol el ambito musicologiaa, vol. 34, nº 1, 2011, pags." 203-232. (스페인어)
- 페란도네스, 미리암: "Estancia y reseccion de Enrique Granados en Nueva York (1915–1916) desde la persionitiva de su epistolario inédito", Revista de Musicologia, volo, vol. 1, 2009, 페이지 281–295 (스페인어)
- 코멘타리스(Comentaris a la gravacio de la suit "Goyescas")는 피아노 한 대에 속한다. 1980년 마드리드 RCA 레코드, 호아킨 아추카로(스페인어)
- 히스토리아 데 라 무시카 에스파뇰라 시글로 XIX. 카를로스 고메즈 아마트, 알리안자 무시카, 1984년. ISBN 84-206-8505-4(스페인어)
- 엔리케 그라나도스(수오브라파라 피아노). 2권. 안토니오 이글레시아스, 1985-1986년 편집위원 ISBN 84-381-00-99-6 i 84-3810101-1(스페인어)
- 그라나도스. 안토니 카레라스 이 그라나도스, 누아 아트 토르 1988 ISBN 84-7327-173-4 (카탈란에서)
녹음
- 그라나도스가 피아노 롤, c. 1913, 파리(인포)에 녹음한 고이스카스, 파트 1 로스 레퀴브로스
- L'escola pianistica catalana (Enregistrations histrics) (la mah de guido, LMG3060)
- 엔리케 그라나도스는 오늘날 1913년 해석을 연기하고 있다. 나)
- 엔리케 그라나도스: 피아니스트로서의 작곡가 (Pierian Recording Society, PIR0002) ASIN B000051ZMS
- 피아노 롤의 마스터즈: 그라나도스를 연주하는 그라나도스 (Dal Segno Records, DSPRCD008)
- 카탈루냐 피아노 전통 (VAI 오디오, 1001) ASIN B000003LIC
- Rollos de Pianola (Obras de Albeniz, Granados, Turina, Ocon, Chapi, Alonso y Otros) (Amamaviva, DS – 0141) ASIN B000GI34D6
- 피아노 롤 (복제 피아노 롤 파운데이션)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엔리케 그라나도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전기 및 이미지
- www.kreusch-sheet-music.net – 그라나도스별 무료 점수
- 카탈루냐 비블리오테카 데 카탈루냐의 엔리크 그라나도스 개인 서류
- 국제 음악 점수 라이브러리 프로젝트(IMSLP)에서 Enrique Granados의 무료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