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리프 페드렐

Felip Pedrell
펠리프 페드렐 사바테
Felipe Pedrell 01.jpg
펠리프 페드렐
태어난(1841-02-19)1841년 2월 19일
죽은1922년 8월 19일 (1922-08-19) (81)
스페인 카탈로니아 바르셀로나
휴게소바르셀로나 산트 게르바시 묘지
국적스페인어
직업작곡가, 기타리스트, 음악학자
로 알려져 있다.L'ultimo Abenzeraggio(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제목: 엘 울티모 아펜서라제) (리브레토: J. B. 알테), 4막 오페라

펠리프 페드렐 사바테(스페인어: 펠리페)(1841년 2월 19일 – 1922년 8월 19일)는 스페인의 작곡가, 기타리스트, 음악학자였다.

인생

페드렐은 토르토사(카탈로니아)에서 태어나 9세부터 토르토사 성당에서 소년 소프라노로 노래했는데, 그곳에서 예배당의 거장 조안 닌 아이 세라(1804–1867)로부터 음악 교육의 대부분을 받기도 했다. 1867년 9월 29일 그는 카르멘 도밍고와 결혼했는데, 그와 함께 한 딸이 있었는데, 카르멘이라는 이름도 함께 지었다.[1]

1873년 그는 바르셀로나에 가서 자르주엘라 극단을 공동 연출하고 호세 브로카와 함께 기타를 공부했다. 기타리스트로서 프란시스코 타레가의 깊은 영향을 받아 작곡의 몇 가지를 그에게 바쳤다(인상곡, 플로리아다, 도냐 멘시아, 바체바, 알 아타르데서, 로스 자르딘알라자). 이 무렵 그는 이미 100편이 넘는 작곡을 썼는데, 이 곡의 대부분은 피아노용 살롱음악과 일부 노래, 1874년 테아트로 리체오에서 공연된 오페라 룰티모 아벤체라조(최초판: 1868년)와 같은 무대에서 활동하는 곡들이다. 1876년과 1880년 사이에 페드렐은 주로 이탈리아와 프랑스에 살았다: 로마에서는 음악적 관심을 발견했고, 파리에서는 주로 작곡에 종사하면서 노래 주기 동양어(빅터 위고의 단어)와 교향시 엑셀시오어(1880)를 썼다.[2]

1880년 2월, 음악 교사 겸 작곡가로 바르셀로나에 정착하여 첫 제자가 된 아이작 알베니즈엔리케 그라나도스의 친분을 쌓았다. 다른 주목할 만한 학생들은 작곡가 로사 가르시아 아스코트, 마누엘 팔라, 조안 라모테 드 그리뇽 이다.[3] 페드렐은 1889년 또 다른 룰티모 아벤체라조의 공연 이후 스페인 전통음악의 요소와 당대의 고전 예술음악을 결합한 '에스쿨라 나시오날 드 무시카'(국립음악학교)의 창설을 심각하게 고려했다. 첫 번째 결과는 오페라 엘스 피리누스(1891년)로, 그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포르 누에스트라 무시카(To Our Musica, 1891년)로 밑그림을 그렸는데, 이 때문에 [4]당대의 많은 작곡가와 기타리스트들이 스페인 민속을 알게 되었다. 로베르토 게르하르드의 8개의 페드렐에서 유래한 포크 튜닝(Cancionero de Pedrell)과 마누엘 팔라의 페드렐리아나(Pedrelliana)는 그의 네 개의 호메나제스("호메이지스") 중 마지막(1939년)에서 영향을 받았다.

1891년에서 1904년 사이에 페드렐은 마드리드에 살았고, 그곳에서 1895년 레알아카데미벨라스 아르테스 드 산 페르난도의 회원이 되었고 레알 음악원에서 음악 미학과 음악사 교수직을 역임했다. 1894년 그의 히스패니에 스콜라 사크라 제1권이 등장했는데, 스페인에서 온 르네상스와 바로크 교회 음악의 편집된 악보들이 연재되었다. 음악학자로서 페드렐은 특히 초기 음악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빅토리아오페라 옴니아와 조안 브루디외(Joan Brudieu)의 레퀴엠을 편집했다. 이것과 그의 다른 작품들은 스페인의 초기 음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1904년에 바르셀로나로 돌아왔고, 그 때 그의 오페라 엘스 피리누스가 결국 공연되었다.

1912년 딸이 죽자 페드렐은 공직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그의 마지막 제자인 음악학자 히기니오 앙글레스와 작곡가 로베르토 게르하드는 그의 마지막 출판물과 작곡에서 페드렐을 도왔다. 는 바르셀로나에서 죽었고 산 게르바시 묘지에 묻혔다. 작곡가 카를로스 페드렐(Carlos Pedrell, 1878–1941)은 그의 조카다. 펠리프 페드렐의 개인 서류는 비블리오테카카탈루냐에 보존되어 있다.

그의 주요 직계 제자로는 아이작 알베니즈, 엔리케 그라나도스, 크리스천포 탈타불, 페드로 블랑코, 호아킨 투리나, 마누엘팔라 등이 있다.

작동하다

오페라

  • L'ultimo Abenzeraggio(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제목: 엘 울티모 아펜서라제) (리브레토: J. B. 알테), 4막 오페라(1868년, 1874년 개정, 1889년)
  • 콰시모도(리브레토:J. Barrer, 빅토르 위고 이후), 4막 오페라(1875년)
  • 엘스 피리누스(리브레토: Victor Balaguer), 프롤로지의 오페라 및 3막(1891년)
  • 라 셀레스티나(리브레토: 페드렐, 페르난도 로하스의 뒤를 이어), 4막 오페라(1902)
  • 엘 콤트 아르나우(리브레토: Joan Maragall), "축제 리리히 인기" (1904)
  • 다른 오페라 다섯 편과 자르주엘라 여덟 편

기악 작품

  • 녹투노스트리오(1873년)
  • La veu de les muntanyes (1877), 교향시
  • 엑셀시오르(1880), 교향시
  • 피아노와 기타를 위한 많은 작품들

음성과 피아노를 위한 노래들

  • 노케스에스파냐(1871년)
  • 오리엔탈레스 (빅토르 휴고) (1876년)
  • 위로 (Théophile Gautier) (1876년)
  • 라 프리마베라 (F. Matheu) (1880)
  • 칸시오네스 아라베스카(1906)

합창곡

  • 라틴어로 된 56곡의 성가
  • 스페인어 또는 카탈로니아어로 된 27개의 작품
  • 코러스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18개의 작품

참조

  1. ^ 보나스트르, 프란체스코: "페드렐 이 사바테, 펠리페" in: 게시히테 und 게겐와트(MGG), 전기 부분, 13권 (Kasel: 베렌레이터, 2005), cc. 232–234.
  2. ^ 보나스트레(2005년), 위와 같다.
  3. ^ 참고 항목: 교사별 음악 학생 목록: N ~ Q#Fellip Pedrell.
  4. ^ 보나스트레(2005년), 위와 같다.
  • "Pedrell, Felipe". Britannica Concise Library. Britannica. 2006.
  • 점수 및 음악이 포함된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