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코트렌 트레나

Euskotren Trena
유스코트렌 트레나
Logo of Euskotren Trena
Bermeo EuskoTren station III.JPG
2015년 7월 베르메오의 950 시리즈 EMU
개요
소유자유스칼 트렌비데 사레아
로캘비스케이, 기푸스코아(스페인 바스크 국가)
운송종류
줄 수7[1][nb 1]
측점수82[1][nb 1]
연간 기수3950만(2018년)[4]
본부비스케이 빌바오 아쓰리 거리 8번지
웹사이트euskotren.eus/en/mess.
작전
작업 시작됨1982
연산자유스코트렌
기술
시스템 길이182.5km (182.4mi) (1988)
트랙 게이지1,000 mm (3ft 3+38 인치) 미터 게이지
전기화1500V DC 오버헤드 기념일

이전에 유스코트렌으로 알려진 유스코트렌 트레나는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비스케이기푸스코아 지방에서 지방과 도시 간 여객 서비스를 운영하는 통근자, 시·도간도시환승 열차 운영 회사다. 유스코트렌이 운영하는 4대 상업 브랜드 중 하나로 바스크 정부가 관리하는 공기업이다. 전체 181.1km(112.5mi) 네트워크는[5] 바스크 정부가 스페인 정부로부터 이전한 이후 소유해온 1,000mm(3ft 3+38 인치)의 좁은 궤간 궤간을 사용한다. 철도 선로와 역은 그 이전까지 FEV 네트워크의 일부였다. 유스코트렌 트레나는 메트로 도노스티알데아라는 브랜드로 도노스티아/산 세바스티안 지하철도 운영하고 있다.

에우스코트렌트레나는 철도 서비스와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에우스코트렌트란비아는 전차망을, 에우스코트렌 오토부사는 버스 서비스를, 에우스코트렌 카르고는 화물열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2006년부터 Euskotren Trena는 공공단체인 Euskal Trenbide Sraea가 소유하고 있는 반면, 네트워크 자체는 Euskotren인 Basque Country의 철도망 운영자의 상업 브랜드였다. 2012년 상업용 브랜드는 단순한 유스코트렌에서 유스코트렌 트렌아로 바뀌면서 바스크어 트렌나를 추가했다.

서비스

소개

도노스티아-산 세바스티안 아마라 역의 유스코트렌 트레나 부대.

에우스코트렌 트레나는 비스케이지푸즈코아바스크 지방에 에우스칼 트렌비데 사레아(바스크 철도망)가 소유한 철도망을 비롯해 프랑스 피레네아틀란티크 주(Pyrénées-Atlantiques)의 쇼트트랙과 역을 운영하고 있다. 초기 네트워크는 빌바오 주변의 FEVE(가로궤도 철도) 지역 서비스와 FTS 도시 서비스의 연속이었다. 그 이후로 그 서비스는 도시철도 서비스와 함께 통근 철도 시스템이 되었다. 이 네트워크는 빌바오 시와 그레이터 빌바오 지역을 가로지르는 자치구두랑고, 베르메오, 레자마비스케이 주를 연결한다. 기푸스코아 주에서는 산 세바스티안 시를 자라우츠, 라자르트-오리아, 이룬 등 다른 도시와 프랑스 국경을 넘어 헨다예와 연결한다. 도시 간 철도 서비스는 빌바오와 산 세바스티안 시를 서로, 그리고 헨다이와 연결한다. 유스코트렌 트레나는 2012년 8월부터 토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산 세바스티안 지하철 시스템을 메트로 도노스티알데아라는 브랜드로 운영하고 있다.[6]

유스코트렌 트레나는 유스코트렌이 운영하고 있다.

줄들

Euskotren Trena 네트워크 맵(Euskotren Tranbia 전차 노선 포함).

Euskotren Trena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회선으로 구성된다.

이 네트워크는 빌바오 전차선, 메트로 빌바오, FEV, RENFE, 체르카니아스 서비스에 연결된다. Euskotren trena 노선은 표준 인쇄 네트워크 맵에서 다른 열차 노선과 함께 나타나지 않지만, 별도의 지도를 이용할 수 있다. Euskotren Trena 노선은 바스크 정부가 제공하는 Moveuskadi.com 서비스에 바스크 국가의 다른 철도망과 함께 나타난다.

이전 또는 폐쇄 라인

  • Txorierri 선의 일부. 2010년 5월 카스코 비에조더우스토 사이의 쓰리에리 노선의 철도 운행이 메트로 빌바오 3호선의 건설로 인해 3년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폐쇄된 역은 더우스토, 유니베르츠테타테라, 마티코, 즈말라카레기이다. 이전에 폐쇄되었던 로리-시우다드 자르딘 역은 현재 폐쇄된 역의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되었다.
  • 우롤라 선. 이전에 우롤라 철도가 운행하던 우롤라 노선은 1986년 에우스코 트렌비데악에 의해 개보수하려는 헛된 시도 끝에 폐쇄되었다.서비스는 주마리아 시와 주마라가 시 사이의 버스 노선으로 대체되었다.
  • 빌바오-플렌치아 빌바오플렌치아는 폐점 당시 이용자가 가장 많았다. 원래의 노선은 카스코 비에조 역에서 시작하여 우루시아 역우루자 시와 빌바오 시내를 연결했다. 메트로 빌바오 1호선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산 이나지오와 우루시아 사이의 구간은 에우스코트렌 대신 메트로 빌바오가 1호선의 일부로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그 후 카스코 비에조 역은 츠소리에리 선과 연결되었고, 시우다드 자르딘과 말로나 역은 폐쇄되었다(카스코 비에조 역과 가깝기 때문이다). 더우스토산 이나지오 구간은 철로가 있는 고속도로가 신설돼 결국 폐쇄됐다.
  • 루타나-손디카 그레이터 빌바오 지역에 있는 손디카와 루트사나(에란디오의 경우) 사이의 노선은 여객 서비스를 위해 다시 열려는 시도 끝에 1996년에 폐쇄되었다. 그러나, 이 트랙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Euskotren Trena는 이 트랙을 새로운 유닛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한다.

서비스 주파수

루가리츠 역

2014년 1월 현재 평일의 대표적인 서비스 빈도는 다음과 같다.[8]

  • Bilbao-Donostia 노선 – Bilbao-Atxuri와 Donostia-Amara 사이를 시간당 1회 운행하는 열차.
  • 듀랑갈데아 노선 – 각 방향에서 빌바오-아츠리와 에르무아 사이를 시간당 2회 운행하며, 한 대는 도노스티아-아마라까지 계속 운행하고 있으며, 일부 급행열차는 빌바오와 두랑고, 트라냐와 잘디바르 사이를 운행하고 있다.
  • 코스타데아 노선 – 에르무아와 도노스티아-아마라 사이를 각 방향에서 시간당 1회 열차(도노스티아-아마라에서 출발하는 열차들은 빌바오-아츠리까지 계속)
  • Tranbia Ermua-Eibar 노선 – 각 방향에서 Ermua와 Eibar 사이의 시간당 4대의 열차.
  • Topo 노선 – 라자르트-오리아와 이룬 사이를 시간당 4대의 열차로, 두 대의 열차가 헨다예까지 이어진다. 헨다예와 라자르트-오리아 사이의 시간당 두 대의 열차.
  • Urdaibai 노선 – 각 방향의 Bilbao-Atxuri와 Bermeo 사이의 시간당 2대의 열차와 Bilbao와 Gernika 사이의 하루 4대의 급행열차.
  • Txorierri 노선 – 각 방향에서 Casco Viejo와 Lezama 사이의 시간당 2대의 열차. 피크 시간대에 시간당 3대의 열차.
  • Larreineta funicular – Larreineta와 Escontraya 사이의 시간당 1개의 funicula. 피크 타임에 시간당 2회.

스테이션

Euskotren Trena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역을 서비스한다(빌바오-도노스티아 선 역은 듀랑갈데아 및 코스타데아 구간에 포함된다).

듀랑갈데아 선 코스타데아 선 트란비아 선 메트로 도노스티알데아 우다이바이 선
  • 빌바오아츠리
  • 볼루에타
  • 엣세바리
  • 아리조나 주
  • 주하쯔갈다카오
  • 우산솔로
  • 베디아
  • 레모아
  • 아모레비에타
  • 유바
  • 듀랑고
  • 트라냐아바디뇨
  • 베리츠
  • 잘디바르
  • 에르무아
  • 에르무아
  • 아르단차
  • 아이바
  • 톨렉세게인
  • 알졸라
  • 멘다로
  • 데바
  • 아로아
  • 주마아
  • 자라우츠
  • 산펠라이오
  • 아이아오리오
  • 우스터빌
  • 에레칼데
  • 아뇨르가
  • 루가리츠
  • 도노스티아아마라
  • 에르무아
  • 에로타바리
  • 산로렌초
  • 우니베르티테라과
  • 아마냐
  • 아르단차
  • 아이바
  • 아지타인
  • 라사르테오리아
  • 에레칼데
  • 아뇨르가
  • 루가리츠
  • 도노스티아아마라
  • 아노에타
  • 로이올라
  • 녹사우론도
  • 에레라
  • 파사이아
  • 갈차라보르다
  • 에렌테리아
  • 판데리아
  • 오이아르트쥔
  • 잔추리즈케타
  • 이룬벤탁
  • 벨라스코네아
  • 이룬
  • 이룬피코바
  • 헨다예
  • 빌바오아츠리
  • 볼루에타
  • 엣세바리
  • 아리조나 주
  • 주하쯔갈다카오
  • 우산솔로
  • 베디아
  • 레모아
  • 아모레비에타 게랄레쿠아
  • 즈가스티에타
  • 묵시카
  • 루고리
  • 게르니카
  • 인스티튜토아
  • 포루아
  • 부스루리아산크리스토발
  • 부스터리아악스페
  • 부스투리아이츠베기
  • 문다카
  • 베르메오
츠소리에리 선
  • 카스코 비에조
  • 로루리-시우다드 자르딘
  • 올라
  • 손디카
  • 라론도
  • 엘롯살레리
  • 데리오
  • 르쿤비즈
  • 자무디오
  • 쿠르체아
  • 레자마

현재 작업

유스코트렌트레냐 브랜드를 운영하는 유스코트렌빌바오 이바오온도빌바오아츠리역에 중앙 사무소를 두고 있다. 듀랑고도노스티아산 세바스티안 등 몇몇 역에 운영센터가 있다. 현재 압류주는 아바디뇨, 게르니카, 에렌테리아 등의 디포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룬에 새로운 디포트가 건설되고 있다.

티켓팅

유스코트렌 트레나는 일반 종이 티켓과 일부 라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바리크 카드를 모두 사용한다. 이용자는 모든 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서 1인승권과 왕복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월별·연간 여행카드도 이용할 수 있다. 젊은이들과 노인들 또한 특별 티켓을 얻을 수 있다.[9] 바리크 여행권은 당초 Txorierri 노선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으며, 완전하게 시행되면 모든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티켓 가격은 구역에 근거한 규칙에 근거한다.

롤링 스톡

Euskotren Trena는 58개의 전기 다중이용장치(EMU)의 함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모두 CAF에 의해 건설되었다.

클래스 이미지 유형 가동중 숫자 메모들
900계 전동차 Bilbao - Estación de Atxuri 02.jpg EMU 2011년 현재 30[10] EMU는 최고 속도가 90km/h(56mph)인 차량 4대로 구성된다.[10] 첫 번째는 2011년에 도입되었으며, 토포(메트로 도노스티알데아) 라인에 서비스를 운영하였다.[11] 2011~2014년 총 30대가 납품돼 3500계 전동차를 대체했다.[citation needed] 현재 전 노선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citation needed]
940계 전동차[12] EMU TBD 4 2021년 유스코트렌이 발주한 4대의 전동차. 950계 전동차와 비슷하지만 3량 대신 4량이다.[13]
950계 전동차 Estación de Uribarri 10.jpg EMU 2016-현재의 28 2016년과 2018년 사이에 28개의 EMU가 연속적으로 배달되었다.[14] 900계 전동차와 비슷하지만 4량 대신 3량이다.[15] 최초의 열차는 Txorierri 노선에서 운행되기 시작했고,[16] 점차 200, 300계 전동차를 대체했다.[15] 현재, 그들은 또한 에이바르와 에르무아 사이, 우르다이바이 선, 메트로 빌바오 3호선에서 현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citation needed]

구 롤링 스톡

클래스 이미지 유형 가동중 숫자 메모들
200계 전동차 Euskotren San Sebastián 1.jpg EMU 1986-2018 20 200 시리즈 EMU는 CAF, Babcock & Wilcox, Westinghouse에 의해 1985년에 지어졌다.[17][18] 이들은 유스코트렌이 빌바오-플렌츠아 노선의 전임 페로카라릴레스 교번도스(FTS)로부터 물려받은 열차를 대체했다.[17] 1995년 이 노선이 메트로 빌바오 1호선에 통합된 후, 200계 전동차는 Euskotren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서비스를 운행했다.[17] 이 열차는 원래 세 대의 자동차가 있었지만, 1996년에서 1999년 사이에 모두 네 번째 차가 추가되었다.[17] 마지막 열차는 2018년 말에 운행이 중단되었다.[19]
300계 전동차 23.03.06 Bilbao Atxuri ET 312 (6076637955).jpg EMU 1990-2018 12 300 시리즈 EMU는 1990년에 CAFBabcock & Wilcox에 의해 제작되었다.[20] 이 두 대의 자동차 열차는 토포(메트로 도노스티알데아) 노선의 3500계 전동차를 대체하는 것으로 구상되었지만,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빌바오-아츠리-산 세바스티안제한된 급행 운행 서비스인 에우스코풀만 서비스에 일부(빨간색으로 도색)가 사용되었다.[21] 1995년 빌바오 메트로 1호선이 개통된 후, 200대의 직렬 열차가 토포 노선에서 운행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300대의 직렬 열차를 TxorierriUrdaibai 노선에 재할당하였다.[20]
3100계 전동차 Azpeitia station.JPG EMU 1988-1998 8 이 EMU들은 원래 1965년에서 1975년 사이에 Ferrocarliles y Transportes Convertos MB 시리즈로 지어졌다.[citation needed] 그들은 1988년과 1991년 사이에 재교육되었다. 그들은 1998년에 퇴역했다.[22]
3150계 전동차 Trenbidearen Euskal Museoa P1270534.jpg 레일카 1962-1997 4 원래 1960년대에 페로카라릴스 바스콩고도를 위해 지어졌다. 페로카릴레스 바스콩가도스가 FEVE에 흡수된 후 3150 시리즈로 다시 번호를 매겼다.[23]
3500계 전동차 Bf San Sebastián Amara, ET 3501.jpg EMU 1978-2013 15 3500계 전동차는 원래 FEV용으로 제작되어 1978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시리즈를 구성하는 31대의 열차 중 15대의 열차(이 중 3대의 차가 있는 열차는 나머지 4대의 열차)가 유스코트렌으로 옮겨졌다.[24] 900시리즈로 대체된 이들의 마지막 서비스는 2013년 7월 6일이었다.[25]

리베리

이전 Euskotren 로고(역 및 열차에서 여전히 표시됨).

새로운 롤링 스톡(UT-900)은 새로운 유스코트렌 트레나 리베리로 칠해져 있으며, 흰색은 검은색 대비를 이루고 있으며, 파란색과 주황색 원은 문에 그려져 있다. 오래된 롤링 스톡은 2002년부터 Euskotren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란색과 흰색을 유지한다.

현재 개발 현황

유스코트렌트렌트레나의 상업 브랜드로 운영되는 유스코트렌이 운영하는 네트워크의 개발은 바스크 철도망을 장악하고 있는 유스칼 트렌비데 사레아가 진행하고 있다. 개발에는 노선 확장이나 신규 노선(아직 제안되거나 계획되지 않은 노선)이 포함되지 않지만, 현재 네트워크의 개선은 물론, 단 하나뿐인 지역에 새로운 역, 대체 노선 및 제2의 철도 선로를 설치하는 것, 그리고 모든 레벨 교차로의 제거 또는 최소한 감축이 포함된다.

  • 에우바-이우레타 구간. 아모레비에타에타에타노의 유바와 이우레타 사이의 구간은 현재 주파수 향상과 10단계의 건널목을 없애기 위해 제2의 트랙을 포함하도록 개량되고 있다. 이번 개발은 듀랑갈데아 지역의 서비스와 주파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듀랑고+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2013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26]
  • 이우레타-두랑고-아바디뇨 구간. 에우바-이우레타 직후 구간은 두랑고와 아바디뇨를 통과하는 수평교차로와 선로를 없애기 위해 지하에 건설 중인 이우레타-두랑고-아바디뇨 구간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두 개의 새로운 역이 나올 것이다: 현재의 지상 1을 대체할 두랑고의 지하 역과 아바디뇨의 마티에나 인근을 위한 반 지하 역이다. 두랑고 창고는 아바디뇨 주 레바리오의 새로운 시설로 이전될 예정이다. 그것은 2013년에 끝날 것으로 예상되었다.[27]
  • 아바디뇨-베리즈 구역. 아바디뇨베리즈 사이의 구간은 제2의 철도 선로를 추가하기 위해 갱신되고 있다. 이 섹션은 르바리오에 있는 새로운 창고와 사무실, 그리고 베리츠에 있는 새로운 기차역을 포함한다.
  • 아이바르 엘고이바르 구간. EibarElgoibar 사이의 구간은 다음과 같이 완전히 갱신되고 있다.
    • 20만 유로의 비용으로 Eibar의 새로운 스테이션으로, 전체 스테이션을 리프트 추가, 레벨 교차로의 제거 및 새로운 플랫폼의 통합으로 대체한다.[28]
    • 짜라쿠아-아지타인 구간. 열차의 빈도를 개선하기 위한 두 번째 철도 선로의 통합. 그것은 2012년 말에 열릴 예정이었다.[29]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Lutxana-Sondika 셔틀 포함.[2][3]

참조

  1. ^ a b "Tarifas" (PDF). euskotren.eus (in Spanish). Retrieved 15 May 2021.
  2. ^ "Horario lanzadera" (PDF). euskotren.eus (in Spanish). Retrieved 15 May 2021.
  3. ^ Gude, Erlantz (4 April 2017). "Los trenes circularán cada hora desde el lunes para conectar Lutxana con el Txorierri". El Correo (in Spanish). Retrieved 15 May 2021.
  4. ^ "El Topo gana en Gipuzkoa un 11,6% de viajeros". El Diario Vasco (in Spanish). 18 January 2019. Retrieved 15 May 2021.
  5. ^ "Inicio – Corporativo – Información Corporativa – Euskotren Trena – Trenes" [Home – Corporate – Corporate Information – Euskotren Trena – Trains] (in Spanish). Eskotren Tre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14. Retrieved 18 May 2014.
  6. ^ "El Metro conecta desde hoy Intxaurrondo con el centro de San Sebastián en ocho minutos". 4 October 2012.
  7. ^ Euskotren Trena 웹사이트의 공식 일정
  8. ^ Euskotren Trena 공식 웹사이트의 일정
  9. ^ Euskotren Trena 공식 웹사이트 티켓]
  10. ^ a b "Tren de cercanías S/900 de Euskotren". CAF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11. ^ "En servicio las tres primeras unidades de la serie 900 de Euskotren". Vía Libre (in Spanish). 22 July 2011. Retrieved 16 May 2021.
  12. ^ "Tren de cercanías S/940 Euskotren". CAF. Retrieved 16 May 2021.
  13. ^ "Euskotren adjudica a CAF la fabricación de cuatro nuevos trenes". EITB (in Spanish). 1 February 2021. Retrieved 16 May 2021.
  14. ^ Euskotren. Memoria 2018 (PDF). euskotren.eus (Report) (in Spanish). p. 37. Retrieved 15 May 2021.
  15. ^ a b "Tren de cercanías S/950 Euskotren". CAF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16. ^ "Así son las nuevas unidades de la serie 950 de Euskotren". Vía Libre. 14 April 2016. Retrieved 16 May 2021.
  17. ^ a b c d "UT-200". Vía Libre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18. ^ "Unidad eléctrica serie 200". euskotren.eus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8. Retrieved 16 May 2021.
  19. ^ Olaizola Elordi, Juanjo (2020). Línea 3, eslabón clave (PDF) (in Spanish). Servicio Central de Publicaciones del Gobierno Vasco. p. 208. Retrieved 16 May 2021.
  20. ^ a b "Unidad eléctrica serie 300". euskotren.eus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September 2017. Retrieved 16 May 2021.
  21. ^ "UT-300". Vía Libre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22. ^ Martínez Suero, Estela (27 June 2001). "Adiós a los trenes multicolores". El País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23. ^ Olaizola, Juanjo (2001). Bilbo eta Donostia arteko trenaren material motorea / Material motor del ferrocarril de Bilbao a San Sebastián (in Spanish and Basque). Bilbao: Eusko Tren. pp. 119–122. ISBN 84-920629-3-2.
  24. ^ "UT-3500". Vía Libre (in Spanish). Retrieved 16 May 2021.
  25. ^ "Actividades para el fin de semana en torno al ferrocarril". Vía Libre (in Spanish). 5 July 2013. Retrieved 16 May 2021.
  26. ^ El Correo, ed. (6 August 2009). "El desdoblamiento de la vía férrea hasta Abadiño enfilara en otoño su recta final".
  27. ^ El Correo, ed. (26 November 2011). "Arriola vuelve a retrasar las obras del soterramiento a mediados de 2013".
  28. ^ El Diario Vasco, ed. (11 August 2011). "Avanza la remodelación de la antigua estación de EuskoTren".
  29. ^ El Correo, ed. (28 December 2010). "El tramo ferroviario entre Txarakua y Azitain tendrá doble vía para mediados del 201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