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 및 임명직 여성 국가원수 목록

List of elected and appointed femal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여성 국가원수 선출 및 임명
2023년 3월 13일 현재 선출되거나 임명된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으로 재직 [a][b]중인 여성이 있는 모든 국가
2023년 2월 16일 기준으로 여성이 선출되거나 임명된 모든 국가 또는 정부 수반으로 활동하는 모든 국가.[a][b]
여성정부[c] 수반
여성[d] 국가원수
여성 결합 국가원수/정부원수 또는 여성 국가원수 및 군주 국가원수 중 부지방 대표가 없는 경우
여성 국가원수와 여성 정부원수가 각각 다른 사무실에서[d]

다음은 전간기(1918-1939) 이후 각 국가의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으로 선출되거나 임명된 여성 목록입니다. 첫 번째 목록에는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일 수도 있는 여성 대통령총리와 같은 국가 원수가 동시에 아닌 여성 정부 수반이 포함됩니다. 이 목록에는 국가 원수인 여성 군주는 포함되지 않습니다(그러나 정부 수반은 포함되지 않습니다).[e]

대부분 인정받지 못하고 현재는 소멸된 투반 인민 공화국케르텍 안치마아토카는 다당제,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에서는 아니지만 "세계 최초로 선출된 여성 국가 원수"로 간주됩니다. 우리나라 최고 지도자의 부인인 그녀는 한 나라의 의장으로 선출된 최초의 여성입니다. 그녀는 1940년에 이 나라의 대통령직의 의장이 되었습니다.[1][2]

한 나라의 총리로 선출된 최초의 여성은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의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Sirimavo Bandaranaike)로 1960년 7월 총선에서 그녀의 당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3][2]

아르헨티나의 이사벨 페론(Isabel Peron)은 한 나라의 대통령을 역임한 최초의 여성으로, 아르헨티나의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1974년 7월 남편이 사망하면서 대통령직을 승계했습니다.[4][2]

한 나라의 대통령으로 선출된 최초의 여성은 아이슬란드Vigdís Finbogadóttir로, 1980년 대통령 선거와 그 후 세 번의 선거에서 승리하여 총 16년 동안 재임했으며, 이것은 그녀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비 세습적인 여성 국가 원수가 된 것입니다.[5][2]

이슬람 다수 국가의 최초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여성 총리는 파키스탄베나지르 부토였는데, 그는 1988년 총선1993년 총선에서 그녀의 당을 승리로 이끌었고, 이로써 그녀는 이슬람 국가최초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가 되었습니다.[6] 부토는 또한 재임 중 아이를 낳은 단 두 명의 비 세습적인 여성 세계 지도자 중 첫 번째 사람이었고, 다른 한 명은 뉴질랜드저신다 아던이었습니다.[7]

최장수 여성 비 세습 정부 수반이자 한 나라에서 최장수 여성 지도자는 방글라데시셰이크 하시나입니다. 그녀는 1996년부터 2001년까지 그리고 2009년 1월부터 다시 총 20년 동안 총리직을 수행했습니다.[8]

적도기니, 나미비아, 페루, 우간다의 총리는 선출되거나 임명된 여성 부총리 명단에 포함되지만 선출되거나 임명된 여성 부총리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부 수반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들 국가에는 부통령직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 부주석도 없는 반면, 한국의 총리는 이 두 목록에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바베이도스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가원수와 정부원수가 모두 여성인 공화국입니다. 온두라스마셜 제도는 여성 대통령이 국가와 정부의 수반을 겸하는 공화국입니다.

여성 대표이사 선출 또는 선임

이 목록에는 국가원수나 정부 수반이 시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는 통치 위원회나 의회에 의해 임명된 여성들이 포함됩니다. 이 목록에는 세습 군주가 선택한 여성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임시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은 이탤릭체로 나열됩니다.

이름. 초상화 나라 사무실. 시작 의무화 위임사항
끝.
항장 국가원수
또는 정부
경영진
또는 비상임의
Khertek Anchimaa-Toka
타누 투바[f] 프레지덴시움 의장
리틀 쿠랄의
1940년 4월 6일 1944년 10월 11일 4년 188일 국가원수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실론/
스리랑카
수상 1960년 7월 21일 1965년 3월 27일 4년 249일 정부 수반 경영진
1970년 5월 29일 1977년 7월 23일 7년 55일
1994년11월14일 2000년 8월 9일 5년 269일
인디라 간디
인도 수상 1966년 1월 24일 1977년 4월 24일 11년 90일 정부 수반 경영진
1980년 1월 15일 1984년 10월 31일
(assass)
4년 290일
골다 미르
이스라엘 수상 1969년 3월 17일 1974년 6월 3일 5년 78일 정부 수반 경영진
이사벨 페론
아르헨티나 대통령 1974년 7월 1일 1976년3월24일 1년 267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엘리자베스 도미티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상 1975년 1월 2일 1976년4월7일 1년 96일 정부 수반
마가렛 대처
영국 수상 1979년 5월 4일 1990년 11월 28일 11년 208일 정부 수반 경영진
마리아 데 루르드 핀타실고
포르투갈 수상 1979년 8월 1일 1980년 1월 3일 155일 정부 수반 경영진
리디아 구에일러 테자다
볼리비아 대통령 1979년 11월 16일 1980년 7월 17일 244일 국가원수 경영진
에우제니아 샤를
도미니카 수상 1980년 7월 21일 1995년 6월 14일 14세 328일 정부 수반 경영진
Vigdís Finnbogadóttir
아이슬란드 대통령 1980년 8월 1일 1996년 8월 1일 16년 0일 국가원수
그로할렘 브룬트랜드
노르웨이 수상 1981년2월4일 1981년 10월 14일 252일 정부 수반 경영진
1986년 5월 9일 1989년 10월 16일 3년 160일
1990년 11월 3일 1996년10월25일 5년 357일
쑹칭링
중국 명예회장 1981년 5월 16일 1981년 5월 28일 12일 국가원수
아가타 바바라
몰타 대통령 1982년 2월 15일 1987년 2월 15일 5년 국가원수
밀카 플라닌크
유고슬라비아 수상 1982년 5월 16일 1986년 5월 15일 3년 364일 정부 수반 경영진
코라손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 1986년 2월 25일 1992년 6월 30일 6년 126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스텔라 시카우
트란스케이[g] 수상 1987년 10월 5일 1987년 12월 30일 86일 정부 수반 경영진
베나지르 부토
파키스탄 수상 1988년 12월 2일 1990년 7월 6일 1년 216일 정부 수반 경영진
1993년 10월 19일 1996년11월5일 3년 17일
에르타 파스칼 트뤼요트
아이티 대통령 1990년 3월 13일 1991년 2월 7일 331일 국가원수
카지미라 프룬스키엔 ė
리투아니아 수상 1990년 3월 11일 1991년 1월 10일 299일 정부 수반 경영진
사빈 베르그만폴
동독 인민회의 주석 1990년 4월 5일 1990년 10월 2일 180일 국가원수
비올레타 카모로
니카라과 대통령 1990년 4월 25일 1997년1월10일 6년 260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메리 로빈슨
아일랜드 대통령 1990년 12월 3일 1997년 9월 12일 6년 283일 국가원수
Khaleda Zia
방글라데시 수상 1991년 2월 27일 1996년3월30일 5년 32일 정부 수반 경영진
2001년10월1일 2006년10월29일 5년 28일
Édith Cresson
프랑스. 수상 1991년 5월 15일 1992년 4월 2일 323일 정부 수반
한나 수초카
폴란드 수상 1992년 7월 11일 1993년10월25일 1년 106일 정부 수반
Tansu Çiller
튀르키예 수상 1993년 6월 13일 1996년3월6일 2년 267일 정부 수반
김캠벨
캐나다 수상 1993년 6월 25일 1993년11월4일 132일 정부 수반 경영진
실비 키니기
부룬디 수상 1993년7월10일 1994년2월7일 109일 정부 수반
아가테 우윌링기이마나
르완다 수상 1993년 7월 18일 1994년 4월 7일
(assass)
263일 정부 수반
찬드리카 쿠마라퉁가
스리랑카 대통령 1994년11월12일 2005년 11월 19일 11년 7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클라우데트 벨리
아이티 수상 1995년 11월 7일 1996년2월27일 112일 정부 수반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수상 1996년 6월 12일 2001년7월15일 5년 33일 정부 수반 경영진
2009년1월6일 현직 15년 83일
루스 페리
라이베리아 국무원 의장 1996년9월3일 1997년8월2일 333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로살리아 아르테아가
에콰도르 대통령 1997년2월9일 1997년2월11일 2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메리 맥알리스
아일랜드 대통령 1997년11월11일 2011년11월10일 13년 364일 국가원수
제니 쉬플리
뉴질랜드 수상 1997년 12월 8일 1999년 12월 10일 2년 2일 정부 수반 경영진
자넷 제이건
가이아나 대통령 1997년 12월 19일 1999년 8월 11일 1년 235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Vaira Vīķe-Freiberga
라트비아 대통령 1999년 7월 8일 2007년 7월 8일 8년 국가원수
미레야 모스코소
파나마 대통령 1999년 9월 1일 2004년9월1일 5년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수상 1999년 12월 10일 2008년11월19일 8년 350일 정부 수반 경영진
타르자 할로넨
핀란드 대통령 2000년3월1일 2012년 3월 1일 12년 국가원수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 2001년1월20일 2010년 6월 30일 9년 161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마디어 보예
세네갈 수상 2001년3월3일 2002년 11월 4일 1년 246일 정부 수반 경영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인도네시아 대통령 2001년7월23일 2004년 10월 20일 3년 89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마리아 다스 네베스
상투메 프린시페 수상 2002년10월3일 2004년9월18일 1년 351일 정부 수반
Anneli Jäätteenmäki
핀란드 수상 2003년 4월 17일 2003년 6월 24일 68일 정부 수반 경영진
율리아 티모셴코
우크라이나 수상 2005년1월24일 2005년9월6일 225일 정부 수반 경영진
2007년 12월 18일 2010년 3월 3일 2년 75일
마리아도 카르모 실베이라
상투메 프린시페 수상 2005년 6월 8일 2006년 4월 21일 317일 정부 수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재상 2005년11월22일 2021년 12월 8일 16년 16일 정부 수반 경영진
엘렌 존슨 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 2006년1월16일 2018년1월22일 12년 6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미셸 바첼렛
칠리 대통령 2006년3월11일 2010년 3월 11일 4년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2014년 3월 11일 2018년 3월 11일 4년
포르티아 심슨밀러
자메이카 수상 2006년3월30일 2007년 9월 11일 1년 165일 정부 수반 경영진
2012년 1월 5일 2016년3월3일 4년 58일
Pratibha Patil
인도 대통령 2007년 7월 25일 2012년 7월 25일 5년 국가원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너
아르헨티나 대통령 2007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10일 8년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Zinaida Greceanîi
몰도바 수상 2008년 3월 31일 2009년 9월 14일 1년 167일 정부 수반 경영진
미쉘 피에르 루이
아이티 수상 2008년9월5일 2009년 11월 11일 1년 67일 정부 수반
Jóhanna Sigurðardóttir
아이슬란드 수상 2009년2월1일 2013년 5월 23일 4년 111일 정부 수반 경영진
Jadranka Kosor
크로아티아 수상 2009년 7월 6일 2011년 12월 23일 2년 170일 정부 수반 경영진
Dalia Grybauskaitė
리투아니아 대통령 2009년 7월 12일 2019년 7월 12일 10년 국가원수
Roza Otunbayeva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2010년 4월 7일 2011년 12월 1일 1년 238일 국가원수
로라 친칠라
코스타리카 대통령 2010년 5월 8일 2014년 5월 8일 4년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캄라 페르사드 비세사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수상 2010년 5월 26일 2015년9월9일 5년 106일 정부 수반 경영진
마리 키비니에미
핀란드 수상 2010년 6월 22일 2011년 6월 22일 1년 정부 수반 경영진
줄리아 길라드
호주. 수상 2010년 6월 24일 2013년 6월 27일 3년 3일 정부 수반 경영진
이베타 라디초바
슬로바키아 수상 2010년 7월 8일 2012년 4월 4일 1년 271일 정부 수반 경영진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2011년 1월 1일 2016년 8월 31일
2016년 5월 12일 중지
5년 243일
5년 139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시제 마리암 ï 다마 시디베
말리 수상 2011년 4월 3일 2012년 3월 22일 354일 정부 수반
Atifete Jahjaga
코소보 대통령 2011년 4월 7일 2016년4월7일 5년 국가원수
잉락 친나왓
태국. 수상 2011년 8월 5일 2014년 5월 7일 2년 275일 정부 수반 경영진
헬레 토닝슈미트
덴마크 수상 2011년 10월 3일 2015년 6월 28일 3년 268일 정부 수반 경영진
조이스 반다
말라위 대통령 2012년 4월 7일 2014년 5월 31일 2년 54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박근혜
대한민국. 대통령 2013년2월25일 2017년3월10일
2016년 12월 9일 중지
4년 13일
3년 288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Alenka Bratušek
슬로베니아 수상 2013년 3월 20일 2014년9월18일 1년 182일 정부 수반 경영진
타티아나 투란스카야
트란스니스트리아[h] 수상 2013년 6월 10일 2015년10월13일 2년 125일 정부 수반 경영진
2015년11월30일 2015년 12월 2일 2일
시벨 시버
북키프로스[i] 수상 2013년 6월 13일 2013년9월2일 81일 정부 수반 경영진
아미나타 투레
세네갈 수상 2013년9월1일 2014년 7월 8일 310일 정부 수반 경영진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수상 2013년10월16일 2021년10월14일 7년 363일 정부 수반 경영진
Laimdota Straujuma
라트비아 수상 2014년 1월 22일 2016년 2월 11일 2년 20일 정부 수반 경영진
캐서린 삼바판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2014년1월23일 2016년3월30일 2년 67일 국가원수 경영진
마리 루이 콜레이로 프레카
몰타 대통령 2014년 4월 4일 2019년 4월 4일 5년 국가원수
Ewa Kopacz
폴란드 수상 2014년9월22일 2015년11월16일 1년 55일 정부 수반
콜린다 그라바르 키타로비치
크로아티아 대통령 2015년 2월 19일 2020년 2월 18일 4년 364일 국가원수
Ameenah Gurib-Fakim
모리셔스 대통령 2015년 6월 5일 2018년3월23일 2년 291일 국가원수
비디야 데비 반다리
네팔 대통령 2015년10월29일 2023년3월13일 7년 135일 국가원수
Beata Szydło
폴란드 수상 2015년11월16일 2017년 12월 11일 2년 25일 정부 수반 경영진
힐다 하이네
마셜 제도 대통령 2016년1월28일 2020년 1월 14일 3년 351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2024년 1월 3일 현직 86일
아웅산 수치
미얀마 주 고문 2016년4월6일 2021년 2월 1일 4년 301일 사실상의두
정부의
사실상의 경영진
차이잉원
타이완[j] 대통령 2016년 5월 20일 현직 7년 314일 국가원수 경영진
테레사 메이
영국 수상 2016년 7월 13일 2019년 7월 24일 3년 11일 정부 수반 경영진
Kersti Kaljulaid
에스토니아 대통령 2016년10월10일 2021년 10월 11일 5년 1일 국가원수
아나 브르나비치
세르비아 수상 2017년 6월 29일 2024년 3월 20일 6년 265일 정부 수반 경영진
Halimah Yacob
싱가포르 대통령 2017년9월14일 2023년9월14일 6년 0일 국가원수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수상 2017년10월26일 2023년1월25일 5년 91일 정부 수반 경영진
Katrín Jakobsdóttir
아이슬란드 수상 2017년11월30일 현직 6년 120일 정부 수반 경영진
Viorica Dăncilă
루마니아 수상 2018년 1월 29일 2019년11월4일 1년 279일 정부 수반 경영진
폴라-매 위크스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통령 2018년 3월 19일 2023년3월20일 5년 1일 국가원수
미아 모틀리
바베이도스 수상 2018년 5월 25일 현직 5년 309일 정부 수반 경영진
Sahle-Work Zewde
에티오피아 대통령 2018년10월25일 현직 5년 156일 국가원수
살로메 주라비치빌리
조지아 대통령 2018년 12월 16일 현직 5년 104일 국가원수
Brigitte Bierlein
오스트리아 재상 2019년 6월 3일 2020년 1월 7일 218일 정부 수반 경영진
마이아 산두
몰도바 수상 2019년 6월 8일 2019년11월14일 159일 정부 수반 경영진
대통령 2020년 12월 24일 현직 3년 96일 국가원수
Zuzana Čaputová
슬로바키아 대통령 2019년 6월 15일 현직 4년 288일 국가원수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수상 2019년 6월 27일 현직 4년 276일 정부 수반 경영진
소피 윌메스
벨기에 수상 2019년10월27일 2020년 10월 1일 340일 정부 수반 경영진
잔느 아녜스
볼리비아 대통령 2019년 11월 12일 2020년 11월 8일 362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산나 마린
핀란드 수상 2019년 12월 10일 2023년 6월 20일 3년 192일 정부 수반 경영진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그리스 대통령 2020년 3월 13일 현직 4년 16일 국가원수
로즈 크리스찬 라폰다
가봉 수상 2020년 7월 16일 2023년1월9일 2년 177일 정부 수반 이그제큐티브[k]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포장이요 수상 2020년9월28일 현직 3년 183일 정부 수반 이그제큐티브[l]
Ingrida Šimonytė
리투아니아 수상 2020년 12월 11일 현직 3년 109일 정부 수반 경영진
Kaja Kallas
에스토니아 수상 2021년 1월 26일 현직 3년 63일 정부 수반 경영진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 2021년 3월 19일 현직 3년 10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Vjosa Osmani
코소보 대통령 2021년 4월 4일 현직 2년 360일 국가원수
피암 ē 나오미 마타 ʻ파
사모아 수상 2021년 5월 24일 현직 2년 310일 정부 수반 경영진
나탈리아 가브릴리 ț아
몰도바 수상 2021년 8월 6일 2023년2월16일 1년 194일 정부 수반 경영진
Najla Bouden
튀니지 수상 2021년 10월 11일 2023년8월2일 1년 295일 정부 수반 경영진
산드라 메이슨
바베이도스 대통령 2021년11월30일 현직 2년 120일 국가원수
막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수상 2021년11월30일 2022년10월18일 322일 정부 수반 경영진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 2022년 1월 27일 현직 2년 62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카탈린 노바크
헝가리 대통령 2022년 5월 10일 2024년2월26일 1년 292일 국가원수
엘리자베스 본
프랑스. 수상 2022년 5월 16일 2024년 1월 9일 1년 238일 정부 수반
드루파디 무르무
인도 대통령 2022년 7월 25일 현직 1년 248일 국가원수
리즈 트러스
영국 수상 2022년9월6일 2022년10월25일 49일 정부 수반 경영진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수상 2022년10월22일 현직 1년 159일 정부 수반 경영진
Dina Boluarte
페루 대통령 2022년 12월 7일 현직 1년 113일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경영진
Nataša Pirc Musar
슬로베니아 대통령 2022년12월23일 현직 1년 97일 국가원수
Borjana Krišto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각료이사회 의장 2023년1월25일 현직 1년 64일 정부 수반
크리스틴 캉갈루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통령 2023년3월20일 현직 1년 9일 국가원수
Evika Siliņa
라트비아 수상 2023년9월15일 현직 196일 정부 수반 경영진
실바니 버튼
도미니카 대통령 2023년10월2일 현직 179일 국가원수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몰타 대통령 2024년 4월 4일 당선자 -6일 국가원수

여성 대표이사 직무대행 선출 또는 선임

이 목록에는 임시로 공석이 된 자리를 맡은 연기 자격으로 선출되거나 임명된 여성이 포함됩니다.

이름. 초상화 나라 사무실. 시작 의무화 의무종료 항장 국가원수
또는 정부
Sükhbaataryn Yanjmaa
몽골 국가대쿠랄 대통령
권한대행
1953년 9월 7일 1954년 7월 7일 303일 국가원수
쑹칭링
중국 공동대표 직무대행 1968년 10월 31일 1972년 4월 24일 3년 176일 국가원수
위원장 직무대행 1976년7월6일 1978년3월5일 1년 242일
카르멘 페레이라
기니비사우 대통령 권한대행 1984년 5월 14일 1984년 5월 16일 2일 국가원수
실비 키니기
부룬디 대통령 권한대행 1993년10월27일 1994년2월5일 101일 국가원수
르네타 인츠호바
불가리아 국무총리 권한대행 1994년 10월 17일 1995년 1월 25일 100일 정부 수반
이레나 데구티엔 ė
리투아니아 국무총리 권한대행 1999년 5월 4일 1999년 5월 18일 14일 정부 수반
1999년 10월 27일 1999년 11월 3일 7일
Nyam-Osoryn Tuyaa
몽골 국무총리 권한대행 1999년 7월 22일 1999년 7월 30일 8일 정부 수반
니노 부르자나제
조지아 대통령 권한대행 2003년11월23일 2004년1월25일 63일 국가원수
조지아 2007년 11월 25일 2008년1월20일 56일
바바라 프래머
오스트리아 공동대표 2004년 7월 6일 2004년 7월 8일 2일 국가원수
Radmila Šekerinska
북마케도니아 국무총리 권한대행 2004년 5월 12일 2004년 6월 12일 31일 정부 수반
2004년11월3일 2004년 12월 15일 42일
Dalia Itzik
이스라엘 대통령 권한대행 2007년1월25일 2007년 7월 15일 171일 국가원수
아이비 맛세페-카사부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권한대행 2008년9월25일 14시간[11][12] 국가원수
그리고 정부
로즈 프랑세느 로곰베
가봉 대통령 권한대행 2009년 6월 10일 2009년 10월 16일 128일 국가원수
세실 매너오한타
마다가스카르. 국무총리 권한대행 2009년 12월 18일 2009년 12월 20일 2일 정부 수반
아디아토 잘로 난디냐
기니비사우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2년 2월 10일 2012년 4월 12일 62일 정부 수반
모니크 오산 벨레포
모리셔스 대통령 권한대행 2012년 3월 31일 2012년 7월 21일 112일 국가원수
2015년 5월 29일 2015년 6월 5일 7일
슬라비카 두키치 데야노비치
세르비아 대통령 권한대행 2012년 4월 5일 2012년 5월 31일 56일 국가원수
줄리 비숍
호주.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4년 12월 20일 2015년1월16일 27일 부총리
나탈리아 게르만
몰도바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5년 6월 22일 2015년 7월 30일 38일 정부 수반
바실리키 타누
그리스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5년 8월 27일 2015년9월21일 25일 정부 수반
마야 파르나스
트란스니스트리아[h]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5년10월13일 2015년11월30일 48일 정부 수반
2015년 12월 2일 2015년12월23일 21일
도리스 부레스
오스트리아 공동대표 2016년7월8일 2017년1월26일 202일 국가원수
줄리 비숍
호주. 국무총리 권한대행 2018년9월21일 2018년10월23일 32일 부총리
Đặng Thị Ngọc Thịnh
베트남 대통령 권한대행 2018년9월21일 2018년10월23일 32일 국가원수
Vjosa Osmani
코소보 대통령 권한대행 2020년 11월 5일 2021년 3월 22일 137일 국가원수
마야 츠키티쉬빌리
조지아 국무총리 권한대행 2021년 2월 18일 2021년 2월 22일 4일 정부 수반
Võ Thị Ánh Xuân
베트남 대통령 권한대행 2023년1월18일 2023년3월2일 43일 국가원수
2024년 3월 21일 현직 8일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엘살바도르 대통령 권한대행 2023년12월1일 현직 119일 국가원수

국가원수단체 여성회원

이름. 초상화 나라 사무실. 시작 의무화 의무종료 항장 국가원수 또는 정부원수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소비에트 러시아 인민위원회 위원 1917년 10월 26일 1918년 2월 23일 120일 국가원수의 일원
나데즈다 크루프스카야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37년 12월 12일 1939년 2월 27일 1년 77일 국가원수의 일원
Klavdiya Nikolayeva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37년 12월 12일 1946년 2월 10일 8년 60일 국가원수의 일원
안나 판크라토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54년 3월 14일 1957년 5월 25일 3년 41일 국가원수의 일원
Yekaterina Furtseva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50년 3월 12일 1962년 4월 18일 12년 6일 국가원수의 일원
Alicja Musiałowa-Afanasjew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52년 11월 20일 1965년 6월 24일 12년 216일 국가원수의 일원
야드가르 나스리디노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59년 3월 24일 1970년9월25일 11년 154일 국가원수의 일원
루이스 에르미슈
동독 국무위원 1960년 9월 12일 1963년 11월 13일 3년 62일 국가원수의 일원
이르마르트 노이만
동독 국무위원 1960년 9월 12일 1963년 11월 13일 3년 62일 국가원수의 일원
투르수노이 아쿠노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62년 4월 18일 1974년 6월 16일 12년 59일 국가원수의 일원
리즐로트 헤르포스
동독 국무위원 1963년 11월 13일 1981년 6월 25일 17년 224일 국가원수의 일원
엘세 메르케
동독 국무위원 1963년 11월 13일 1971년 11월 26일 8년 13일 국가원수의 일원
브룬힐드 한케
동독 국무위원 1964년 11월 19일 1990년 4월 5일 25년 137일 국가원수의 일원
안니 노이만
동독 국무위원 1964년 11월 19일 1971년 11월 26일 7년 7일 국가원수의 일원
에우제니아 크라소프스카-요드워프스카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65년 6월 24일 1972년 3월 28일 6년 278일 국가원수의 일원
Zoya Pukhova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66년 6월 12일 1989년 5월 25일 22년 347일 국가원수의 일원
마리아 슈나이더
동독 국무위원 1967년 7월 13일 1971년 11월 26일 4년 136일 국가원수의 일원
마가레테 뮐러
동독 국무위원 1971년 11월 26일 1990년 1월 11일 18세 46일 국가원수의 일원
일스 틸레
동독 국무위원 1971년 11월 26일 1990년 1월 11일 18세 46일 국가원수의 일원
로셀 발터
동독 국무위원 1971년 11월 26일 1990년 4월 5일 18세 130일 국가원수의 일원
Halina Koźniewska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72년 3월 28일 1980년4월2일 8년 5일 국가원수의 일원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74년 6월 1989년 3월 또는 4월 c. 14년 국가원수의 일원
림마 가브릴로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74년 6월 16일 1984년 3월 4일 9년 293일 국가원수의 일원
캄샤트 도넨바에바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74년 6월 16일 1989년 5월 25일 14년 343일 국가원수의 일원
에우제니아 켐파라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76년 12월 18일 1985년 11월 6일 8년 323일 국가원수의 일원
예카테리나 무키나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위원회 위원 1979년3월4일 1984년 3월 4일 5년 0일 국가원수의 일원
비올레타 카모로
니카라과 국가재건군사위원회 위원 1979년 7월 18일 1980년 4월 19일 276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Krystyna Marszałek-Młyńczyk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80년4월2일 1983년 3월 23일 2년 355일 국가원수의 일원
마리아 레아 페디니안젤리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1981년4월1일 1981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요한나 튈퍼
동독 국무위원 1981년 6월 25일 1989년 11월 17일 8년 145일 국가원수의 일원
글로리아나 라노치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1984년 4월 1일 1984년 10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1989년 10월 1일 1990년 4월 1일 182일
엘리자베스 켑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1984년 10월 21일 1989년 1월 12일 4년 83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Elżbieta Gacek
폴란드 국무원 의원 1985년 11월 6일 1988년 6월 17일 2년 224일 국가원수의 일원
모니카 베르너
동독 국무위원 1986년 6월 16일 1990년 4월 5일 3년 293일 국가원수의 일원
에벨린 클렛
동독 국무위원 1986년 6월 16일 1990년 4월 5일 3년 293일 국가원수의 일원
Edda Ceccoli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1991년 10월 1일 1992년 4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빌랴나 플라비치
Socialist Republic of Bosnia and Herzegovina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대통령 1992년3월1일 1992년 4월 9일 39일 국가원수의 일원
Tatjana Ljujić-Mijatović[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대통령 1992년 12월 24일 1996년10월5일 3년 286일 국가원수의 일원
루스 드레퓌스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1993년4월1일 2002년 12월 31일 9년 296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파트리치아 부시냐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1993년4월1일 1993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루스 메츨러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1999년 1월 1일 2003년 12월 31일 4년 364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로사 자페라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1999년 4월 1일 1999년 10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2008년 4월 1일 2008년10월1일 183일
마리아 도메니카 미셸로티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00년 4월 1일 2000년 10월 1일 183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미켈린 칼미레이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03년1월1일 2011년 12월 31일 8년 364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발레리아 치아바타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03년 10월 1일 2004년 4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2014년 4월 1일 2014년10월1일 183일
파우스타 모르간티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05년 4월 1일 2005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도리스 류트하르트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06년8월1일 2018년 12월 31일 12년 152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Eveline Widmer-Schlumpf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08년1월1일 2015년 12월 31일 7년 364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아순타 멜로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08년10월1일 2009년 4월 1일 182일 국가원수의 일원
시모네타 소마루가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10년 11월 1일 2022년 12월 31일 12년 60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마리아 루이사 베르티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1년 4월 1일 2011년 10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산마리노 2022년10월1일 2023년4월1일 182일
데니스 브론제티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2년 10월 1일 2013년 4월 1일 182일 국가원수의 일원
안토넬라 물라로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3년 4월 1일 2013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안나 마리아 무치올리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3년10월1일 2014년 4월 1일 182일 국가원수의 일원
로렐라 스테파넬리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5년10월1일 2016년 4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Mimma Zavoli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7년4월1일 2017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바네사 담브로시오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7년4월1일 2017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카린 켈러서터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19년 1월 1일 현직 5년 88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비올라 아머드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19년 1월 1일 현직 5년 88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아이샤 무사 알 사이드[14]
수단 주권위원회 위원 2019년 8월 21일 2021년 5월 21일[15] 1년 273일 국가원수의 일원
라자 니콜라
수단 주권위원회 위원 2019년 8월 21일 현직[16] 4년 221일 국가원수의 일원
마리엘라 물라로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19년10월1일 2020년 4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Grazia Zafferani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20년 4월 1일 2020년 10월 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Željka Cvijanović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대통령 2022년11월16일 현직 1년 134일 국가원수의 일원
엘리자베스 바우메슈나이더
스위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 2023년1월1일 현직 1년 88일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일원
아델 토니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23년4월1일 2023년10월1일 183일 국가원수의 일원
밀레나 가스페로니
산마리노 캡틴 리젠트 2024년 4월 1일 당선자 -3일 국가원수의 일원

여성 부대표

아래는 안도라의 여성 총독프랑스 대표와 같은 국가원수의 대표로 임명된 여성들입니다. 총독은 영연방 왕국의 군주(현 샤를 3세)의 대표로 임명되며, 안도라의 프랑스 대표는 안도라의 프랑스 공동 왕자(현 에마뉘엘 마크롱)의 대표로 임명됩니다. 그들은 국가원수로서 역할을 하며 영연방 영역(총독이 없는 영국은 제외하고 영연방 영역의 군주가 주로 거주함)과 안도라에서 그러한 역할과 관련된 기능과 의무를 정기적으로 수행합니다.

이름. 초상화 나라 사무실. 시작 의무화 의무종료 항장
엘미라 미니타 고든
벨리즈 총독부 1981년9월21일 1993년11월17일 12년 57일
잔 소베
캐나다 총독부 1984년 5월 14일 1990년1월29일 5년 260일
니타 바로우
바베이도스 총독부 1990년 6월 6일 1995년 12월 19일 5년 196일
캐서린 티자드
뉴질랜드 총독부 1990년 12월 13일 1996년3월21일 5년 99일
펄렛 루이시
세인트루시아 총독부 1997년9월17일 2017년 12월 31일 20년 105일
애드리언 클락슨
캐나다 총독부 1999년 10월 7일 2005년9월27일 5년 324일
실비아 카트라이트
뉴질랜드 총독부 2001년 4월 4일 2006년 8월 4일 5년 122일
아이비 듀몽
바하마 총독부 2001년 11월 11일 2005년11월30일 4년 19일
미차 ë 쟝
캐나다 총독부 2005년9월27일 2010년 10월 1일 5년 4일
에마뉘엘 미뇽
안도라 프랑스 공동 왕자 대표 2007년 6월 6일 2008년9월24일 1년 110일
루이스 레이크택
앤티가 바부다 총독부 2007년 7월 17일 2014년 8월 13일 7년 27일
쿠엔틴 브라이스
호주. 총독부 2008년9월5일 2014년 3월 28일 5년 204일
실비 후박
안도라 프랑스 공동 왕자 대표 2012년 5월 15일 2015년1월5일 2년 235일
세실 라 수류탄
그레나다 총독부 2013년 5월 7일 현직 10년 327일
마거리트 핀들링
바하마 총독부 2014년 7월 8일 2019년 6월 28일 4년 355일
팻시 레디
뉴질랜드 총독부 2016년9월28일 2021년9월28일 5년 0일
줄리 파예트
캐나다 총독부 2017년10월2일 2021년 1월 21일 3년 111일
산드라 메이슨
바베이도스 총독부 2018년1월8일 2021년11월30일
(became 취임사)
3년 326일
수잔 더건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독부 2019년 8월 1일 현직 4년 241일
Froyla Tzalam
벨리즈 총독부 2021년 5월 27일 현직 2년 307일
메리 사이먼
캐나다 총독부 2021년 7월 26일 현직 2년 247일
신디 키로
뉴질랜드 총독부 2021년10월21일 현직 2년 160일
마르셀라 리부르
세인트키츠 네비스 총독부 2023년2월1일 현직 1년 57일
신시아 A. 프랫
바하마 총독부 2023년9월1일 현직 210일

여성부대표대행

목록에는 대리 자격으로 대리로 임명된 여성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임시로 공석인 사무실을 맡았습니다.

이름. 초상화 나라 사무실. 시작 의무화 의무종료 항장
시안 엘리아스
뉴질랜드 정부의 행정관
(총독 직무대행)
2001년3월22일 2001년 4월 4일 13일
2006년 8월 4일 2006년8월23일 19일
2011년 8월 23일 2011년 8월 31일 8일
2016년 8월 31일 2016년9월28일 28일
모니카 데이콘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독 권한대행 2002년 6월 3일 2002년9월2일 91일
산드라 메이슨
바베이도스 총독 권한대행 2012년 5월 30일 2012년 6월 1일 2일
테니쿠 테일리 호놀룰루
투발루 총독 권한대행 2019년 8월 22일 2021년 1월 15일 1년 146일
헬렌 빈켈만
뉴질랜드 정부의 행정관
(총독 직무대행)
2021년9월28일 2021년10월21일 23일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직무 수행 능력에 종사하는 사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2. ^ a b 지도에는 구 동독, 소련, 타누 투바, 트란스케이, 유고슬라비아의 국가나 부분적으로 인정된 코소보, 북키프로스,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국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3. ^ 군주제 국가원수가 있고 부통령이 없는 국가에는 포함되지 않음
  4. ^ a b 임명된 여성 부통령을 포함하며, 군주제 여성 국가원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5. ^ 2024년 현재 에스와티니Ntfombi라는 주권 국가의 여성 군주가 한 명 있습니다.
  6. ^ 타누 투바는 1921년에서 1944년 사이에 존재했던 부분적으로 인정된 주였습니다. 소련몽골만이 독립을 인정했고, 이후 1944년 소련에 흡수되었습니다.
  7. ^ 트랜스케이는 1976년에서 1994년 사이에 존재했던 부분적으로 인정된 주였습니다. 독립을 인정한 유일한 유엔 회원국남아프리카 공화국이었고, 이후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재흡수되었습니다.
  8. ^ a b 트란스니스트리아는 1990년에 독립을 선언한 미인정 국가입니다. 유엔 회원국들에 의해 독립 국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에서 몰도바 공화국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9. ^ 북키프로스부분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상의 국가입니다. 튀르키예만 독립을 인정하고 나머지 국제 사회는 키프로스를 키프로스 공화국의 일부로 간주합니다.
  10. ^ 대만의 정치적 위상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중화민국(대만)은 13개 유엔 회원국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59개 유엔 회원국과 비공식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을 대표하여 대부분의 국제 관계를 수행합니다.
  11. ^ 가봉의 헌법[9]

    제목 II: 나. 공화국 대통령의 행정권 제8조
    •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의 최고 통치자입니다. 헌법의 존중을 보장합니다. 대통령은 자신의 결단으로 공권력의 규칙적인 기능과 국가의 연속성을 보장합니다.
    • 대통령은 정부와 협력하여 국가의 정책을 결정합니다.
    • 대통령은 총리와 공유하는 행정권의 최고 보유자입니다.
    제목 II: 행정부의 힘, II. 정부 제29조, 제31조
    • 수상은 정부의 행동을 지시합니다. 그 또는 그녀는 법의 집행을 보장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제20조의 조건에 따라 국무총리는 규제권을 행사하고 국가의 민·군직을 지명합니다.
    • 정부는 국무총리와 정부의 다른 구성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수상은 정부의 최고 책임자입니다.
  12. ^ 토고 헌법[10]

    제78조
    • 수상은 정부의 수장입니다. 그는 정부의 행동을 지휘하고 다른 구성원들의 기능을 조정합니다. 그는 국방위원회를 주재합니다.
    • 총리는 취임 전에 정부의 행동 계획을 국회에 제출합니다.
    • 국회는 재적 의원 절대 다수의 찬성으로 신임을 그에게 부여합니다.

참고문헌

  1. ^ "Khertek Anchimaa Toka: the world's first female head of state". The Times. 2 Dec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y 2021. Retrieved 3 December 2008.
  2. ^ a b c d "6 of the First Women Heads of State". Encyclopaedia Britannica. Retrieved 9 May 2019.
  3. ^ "From the archive, 22 July 1960: Sri Lanka elects world's first woman prime minister". From the Guardia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3. Retrieved 22 July 2013.
  4. ^ Cords, Suzanne (4 February 2021). "Isabel Peron turns 90". Deutsche Wel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21. Retrieved 5 February 2021.
  5. ^ Einarsdóttir, Gréta Sigríður (15 April 2020). "Vigdís Finnbogadóttir's 90th Birthday". Iceland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23. Retrieved 16 April 2020.
  6. ^ Burns, John F. (28 December 2007). "Benazir Bhutto, 54, Who Weathered Pakistan's Political Storm for 3 Decades, Die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February 2023. Retrieved 29 December 2007.
  7. ^ Khan, M Ilyas (21 June 2018). "Ardern and Bhutto: Two different pregnancies in power". B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8. Retrieved 22 June 2018.
  8. ^ "Survey: Sheikh Hasina tops as longest serving female leader in world". Dhaka Tribune. 11 September 2019. Retrieved 12 September 2019.
  9. ^ "Gabon's Constitution of 1991 with Amendments through 2011" (PDF). constituteproject.org. 2011.
  10. ^ "Togo's Constitution of 1992 with Amendments through 2007" (PDF). constituteproject.org. 2007.
  11. ^ "No wars, no drama for Matsepe-Casaburri". IOL News. 26 September 2008. Retrieved 26 August 2016.
  12. ^ Chikane, Frank (28 April 2012). "Emotional farewell as Mbeki holds last cabinet meeting". Daily Nation. Retrieved 12 November 2019.
  13. ^ "Institucije BiH u periodu 1992-1996: Ko su bili članovi Predsjedništva, premijeri i ministri RBiH". Faktor.ba (in Bosnian). 22 May 2017. Retrieved 16 January 2018.
  14. ^ "FFC finally agree on nominees for Sudan's Sovereign Council". Sudan Tribune. 20 August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ugust 2019. Retrieved 20 August 2019.
  15. ^ "Woman on Sudan's ruling council quits, saying civilians are being ignored". Reuters. 22 May 2021.
  16. ^ 2021년 수단 쿠데타로 인해 2021년 10월부터 11월까지 평의회는 잠시 해산되었습니다. 니콜라는 11월 의회가 재건된 후 자신의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출처: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