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들 (1932년 영화)
Freaks (1932 film)프릭스 | |
---|---|
![]() 1932년 극장 개봉 포스터 | |
연출자 | 토드 브라우닝 |
시나리오별 | |
에 기반을 둔 | "스퍼스" 1923년 이야기 토드 로빈스의 |
제작자 | |
스타링 | |
영화 촬영 | 메릿비. 게르스타드 |
편집자 | 바질 랑겔 |
생산. 회사 | |
배포자 | Loew's Inc. |
출고일자 |
|
러닝타임 | 64분[2] |
나라 | 미국 |
언어들 | 영어 독일의 프랑스어 |
예산. | ~ $310,000[a] |
박스오피스 | $341,000[3] |
《괴물 이야기》("The Monster Story",[6][unreliable source?] "Forbiddened Love", "자연의 실수[7]"로도 재발매)는 1932년 개봉한 미국의 코드 전 공포 영화로, 월리스 포드, 레일라 하이암스, 올가 바클라노바, 로스코 에이테스, 해리 얼스 등이 출연했습니다.
원래 론 체이니의 차량으로 의도된 [7]프릭스는 여행하는 프랑스 서커스를 배경으로 하며, 그의 유산을 얻기 위해 극단의 난쟁이를 유혹하고 살해할 계획으로 카니발 사이드쇼 공연자 그룹에 합류하는 통념의 곡예 예술가를 따라갑니다. 하지만, 그녀의 음모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 영화는 1923년 2월 먼시 잡지에 처음 출판된 토드 로빈스의 단편 소설 "Spurs"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며 판권은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MGM)에 의해 구매되었습니다. 로빈스의 어린 시절 친구이자 MGM 미술 부서장인 세드릭 기븐스가 구매를 책임졌습니다.[6]
1931년 가을, 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된 MGM의 일부 직원들은 촬영장에서 "괴물"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존재에 불편함을 느꼈고, 소위 더 평범한 외모의 "괴물"인 샴 쌍둥이와 얼스를 제외한 출연자들은 스튜디오 로트에 있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으며, 대신 특수 제작된 텐트로 밀려났습니다.[7] 이 영화는 1932년 1월에 테스트 상영을 했는데, 많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너무 그로테스크하다고 생각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에 대해 MGM 임원 어빙 탈버그(Irving Thalberg)는 브라우닝 감독의 동의 없이 원래의 90분 기능을 편집했으며, 이 기능은 실행 시간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도록 추가 대체 영상을 통합했습니다. 1932년 2월에 개봉된 이 영화의 마지막 약식 컷은 64분이었고, 오리지널 버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프릭스는 1월 28일 이후의 컷 없이 샌디에이고의 폭스 극장에서 전 세계 초연을 했고 성공적인 상영을 했습니다. 극장 측은 이 영화를 "원작 무검열 버전"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고 광고했습니다.[7]
영화의 컷에도 불구하고, 프릭스는 여전히 사이드쇼 연기자로 일했고 실제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동명의 캐릭터를 묘사한 것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출연진에는 난쟁이 남매 해리와 데이지 얼스, 천골 발육 부전증을 앓고 있는 조니 에크, 결합된 쌍둥이 자매 데이지와 바이올렛 힐튼, 그리고 소두증을 앓고 있는 남자 슐리츠가 포함되었습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 때문에, 이 영화는 영국에서 30년 이상 금지되었고, 캐나다에서는 "잔인하고 그로테스크한" 영화로 분류되었습니다.[8]
비록 초기 개봉 당시 비평가들의 반발을 받았고 흥행에 실패했지만, 프릭스는 1960년대, 특히 유럽에서 오랫동안 잊혀졌던 할리우드의 고전으로 대중과 비평가들의 재평가를 받았고 1962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습니다. 돌이켜보면, 앤드류 새리스는 프릭스를 "가장 동정적인" 영화 중 하나라고 선언하면서, 수많은 영화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착취적인 인물이 아니라 등장인물을 보여주는 측면에서 매우 동정적인 초상화를 보여준다고 제안했습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평가들은 이 영화의 공포 요소에 계속 주목해 왔습니다. 2009년, 조 모겐스턴은 프릭스가 영화 역사상 가장 끔찍한 장면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영화 학자들은 이 영화를 대공황을 반영한 계급 갈등의 은유로 해석해왔고, 이론가들은 이 영화가 반유대주의적 메시지를 제시한다고 주장하면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묘사한 것으로 연구되어 왔습니다. 이 영화는 큰 영향을 미쳤고, 컬트 클래식이 되었으며, 1994년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한" 영화를 보존하고자 하는 미국 국립 영화 등록소에 의해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10][11]
줄거리.
아름답고 함축적인 곡예사 클레오파트라는 이름의 예술가는 그의 큰 유산을 알게 된 후 한스라는 이름의 카니발 사이드쇼 난쟁이를 유혹합니다. 이 정도면 그의 약혼자이자 난쟁이인 프리다의 불만입니다. 클레오파트라는 또한 서커스의 강자 헤라클레스와 음모를 꾸며 한스를 죽여서 한스의 부를 물려받게 됩니다. 한편, 사이드쇼 출연자들 사이에 다른 로맨스들이 성행하고 있는데, 바로 인간 해골과 사랑에 빠진 수염난 여인이 그들의 딸을 출산하는 것입니다. 이 소식은 황새 여인에 의해 친구들 사이에 퍼집니다. 또한 여동생 데이지가 버벅거리는 서커스 광대 로스코와 결혼한 결합 쌍둥이 바이올렛은 서커스의 주인과 약혼합니다.
클레오파트라를 사랑한 한스는 결국 그녀와 결혼합니다. 그들의 결혼식에서 클레오파트라는 한스의 포도주를 독살하기 시작하지만, 술에 취해 헤라클레스 앞에서 그녀의 외도를 드러냅니다. 망각한 채, 다른 "이상한" 사람들은 클레오파트라가 "정상적인" 외부인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받아들인다고 발표합니다. 그들은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입니다, 우리 중 한 명입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테이블 주위로 사랑의 컵을 건네는 신고식을 치릅니다. 우리 중 한 명인 그녀를 받아들입니다. 구글구글. 구글구글."[12] 그러나 이 의식에서 클레오파트라의 비열한 유희는 헤라클레스가 나머지 연예인들이 그녀를 그들 중 한 명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농담한 후 곧 두려움과 분노로 바뀝니다. 그녀는 그들을 조롱하고, 그들의 얼굴에 와인을 집어던지고 쫓아내기 전에 한스를 꾸짖고, 술에 취해 그를 어린아이처럼 어깨 위에 가두었습니다. 굴욕을 당한 한스는 자신이 바보로 농락당했음을 깨닫고 클레오파트라의 사과 시도를 거부하지만, 그 후 독약에 걸려 병에 걸립니다.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한스는 클레오파트라에게 "사과"하고 그녀가 주는 독약도 "먹지만" 클레오파트라와 헤라클레스에게 반격하기 위해 다른 연예인들과 비밀리에 음모를 꾸민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한스는 세 명의 연예인을 백업 깡패로 삼아 클레오파트라와 대결합니다. 그러나 한스의 서커스 마차가 폭풍우에 뒤집히면서 클레오파트라는 그들에게 바짝 쫓긴 채 숲 속으로 탈출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동시에 헤라클레스는 줄거리를 알았기 때문에 바다 사자 조련사 비너스를 죽이러 갑니다. 비너스의 남자친구 광대 프로소는 헤라클레스를 막으려 하지만 나머지 사람들이 끼어들어 헤라클레스를 다치게 하기 전에 거의 죽임을 당해 프로소를 구합니다. 그들은 모두 부상당한 헤라클레스를 쫓습니다.
그 후 괴짜들은 클레오파트라를 사로잡았고, 얼마 후, 그녀는 기괴한 "인간 오리"로 카니발 손님들을 위해 전시되었습니다. 그녀의 혀는 제거되었고, 한쪽 눈은 도려졌고, 손의 살은 녹아 오리발처럼 변형되었고, 다리는 잘렸습니다. 그녀의 몸통에 남은 것은 영구적으로 얼룩지고 깃털이 돋아났습니다. 이 영화의 원작에서는 괴짜들이 헤라클레스를 잡은 후 그를 카스트라토 가수로 만들었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일부 버전은 클레오파트라가 인간 오리로 끝나는 반면, 또 다른 엔딩에서는 한스가 현재 상속받은 저택에서 살고 있으며 여전히 굴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프로소, 비너스, 프리다가 방문합니다. 프리다는 한스에게 그가 클레오파트라에게 독약병을 요구하고 싶었을 뿐이지, 그녀를 절단하고 싶지 않았고, 일어난 일에 대해 자신을 비난하고 싶지 않았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그녀는 여전히 그를 사랑한다고 말합니다. 그런 다음 두 사람은 따뜻한 포옹을 합니다.
출연자들
- 프로소 역의 월리스 포드
- 비너스 역의 레일라 햄스
- 클레오파트라 역의 올가 바클라노바
- 로스코 아테스 역
- 헤라클레스 역의 헨리 빅터
- 한스 역의 해리 얼스
- 프리다 역의 데이지 얼스
- 마담 테탈리니 역의 로즈 디오네
- 데이지와 바이올렛 힐튼은 샴쌍둥이로
- 슐리츠와[b][7] 새뮤얼 위스커스가 같은 역할을 하는
- 하프 우먼 역의 조세핀 조셉
- 조니 에크(Johnny Eck)
- 팔 없는 소녀 역의 프란시스 오코너
- 인간 해골의 피터 로빈슨
- 올가 로데릭(Olga Roderick): 수염난 여인 역
- 구구 자신
- 살아있는 몸통으로 랜디안 왕자
- 안제노의 팔 없는 아내 역의 마사 모리스
- 핀헤드 핍 역의 엘비라 스노우
- Jenny Lee Snow가 핀헤드 집을 맡았습니다.
- 새소녀 역의 엘리자베스 그린
- 안젤로 로시토 역
- 롤로 브라더스 역의 에드워드 브로피와 맷 맥휴
분석 및 테마
계급갈등
영화 평론가 멜빈 매튜스(Melvin Matthews)는 대공황의 맥락에서 프릭스를 해석하며 "본질적으로 작은 사람들(평균 미국인) 대 큰 사람들(부자와 사업가)의 이야기"라고 썼습니다. 영화는 클레오파트라와 헤라클레스에 의해 의인화된 큰 사람들이 괴짜들을 경멸한다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그런 경멸적인 태도는 대공황 시기에 일부 기업가들의 실제 사회적 전망에 반영되었습니다."[13] 영화학 학자인 제니퍼 피터슨도 마찬가지로 프릭스를 "외부 영화"의 한 예로 꼽고 있습니다.[14] 역사학자 제인 니콜라스(Jane Nicholas)는 서커스 공연자들이 클레오파트라를 "우리 중 한 명"을 부르면서 절단하는 이 영화의 결론이 괴짜들의 사회적 화폐를 강화하고 있다고 제안합니다. "영화에서 공포를 구현하는 것으로 종종 포함 중 하나로 읽는 진술이 인용된다는 것은 흥미롭습니다. '우리 중 한 명'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우리 중 한 명'이라는 구호의 오싹한 공포는 왜 이 괴상한 쇼가 계속되는지를 보여줍니다."[15]
미드나잇 무비즈(1991)에서 비평가 J. 호버먼과 조나단 로젠바움은 프릭스를 1933년의 골드 디거에 비유하며, 프릭스는 "거의 문자 그대로 같은 것을 다루고 있다"고 썼습니다. 하지만 더 직접적으로 말하자면, 최종 제품은 단순히 쇼를 하는 것이 아니라, 노예들이 사슬을 끊고 주인에게 승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Freaks는 우울증 청중들에게 아름다운 사람들과 동일시하는 것이 아니라, 변이를 보여주는 측면에서, 완전한 저급한 사람들과 동일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16]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오랜 발행인인 존 스탠리는 이 영화를 크리쳐 피처스에서 "괴물의 고전"이라고 묘사합니다.[17]
장애와 우생학

영화의 장애인 묘사는 영화 평론가들과 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분석 포인트가 되었습니다.[18][19] 비평가 존 톨슨(Jon Towlson)은 그의 저서 '전제적 공포 영화: 프랑켄슈타인에서 현재까지 영화의 반문화적 메시지'(2014)에서 프릭스가 반(反)유제닉 정서의 모범을 보인다고 제안합니다.[18] 이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Towlson은 영화의 시작을 구성하는 비네트 시퀀스를 인용하는데, 그들의 사이드쇼의 맥락에서 주로 괴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브라우닝이 "일상생활의 활동에 참여하는 괴짜들을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괴짜 쇼의 관음증적인 측면을 약화시키기 시작하기 전에, 초기의 충격과 혐오감을 없애고, 시청자로 하여금 괴짜들을 자신의 장애를 극복한 개인으로 보도록 격려합니다."[20]
Towlson은 또한 괴짜들을 동등하고 친구로 대하는 Phroso, Roscoe, 그리고 Venus와 같은 괴짜들과 신체 건강한 편들의 매일의 상호작용이 서커스단의 신체 건강한 구성원들과 장애가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구별을 더욱 흐리게 한다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트라페즈 아티스트 클레오파트라와 같은 육체적으로 아름다운 인물들은 복수심이 많고 우월주의적이며 부도덕한 인물들이라는 것입니다.[21] 그는 또한 영화 속에 내포된 섹슈얼리티, 예를 들어 데이지와 바이올렛 힐튼이 연기한 쌍둥이 자매가 각자의 분리된 성생활을[22] 수행한다는 암시와 같은 것은 "신체적으로 부적합한" 사람들 사이의 생식과 성 활동에 대한 우생학적 입장에 대한 모욕이라고 주장합니다.[23] Towlson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성격의 전복이 신체적 외모가 내적 가치와 동일시된다는 우생학의 핵심 신념에 대한 극명한 반대를 보여준다고 결론지었습니다.[20]
영화 및 장애 학자인 안젤라 스미스도 마찬가지로 프릭스가 프릭스가 일상적이고 평범한 가정 행동을 하는 수많은 장면을 보여준다고 지적합니다.[24] 그 중 스미스는 괴짜들의 수염난 여인의 아기 탄생 축하와 괴짜들이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인다,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인다, 우리는 우리 중 하나를 받아들인다"를 환영 노래로 부를 때 클레오파트라가 격분하는 영화의 핵심 만찬 순서를 인용합니다.[25] 그러나 영화학자 마틴 노든과 매들린 케이힐은 괴짜들이 건강하고 도덕적으로 잔인한 클레오파트라를 절단하는 영화의 마지막 복수 순서에 대한 브라우닝의 의도에 의문을 제기합니다.[26] "[클레오파트라]에 대한 폭력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습니다."라고 그들은 썼습니다. "전통적으로 무력화된 소수 집단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집단적인 힘을 사용하여 다수의 구성원들을 무력화시키고, 사실상 그녀를 그들 중 한 명으로 바꾸어 놓으며, 우리는 그녀가 진정으로 무력화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무력화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합니다. 이 점에 대한 브라우닝의 모호함은 영화의 불안한 특성을 향상시킬 뿐입니다."[27]
공포영화의 위상
존 토마스(John Thomas)와 레이몬드 더그나트(Raymond Durgnat)와 같은 일부 비평가들은 프릭스가 이 장르를 완전히 구현하지 못한다고 언급했습니다.[28] 토마스는 필름 쿼털리에서 "프릭스는 대부분의 공포 영화를 소비하는 아무도 실망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확실히 그건 끔찍합니다... 하지만 핵심은 프릭스가 공포영화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비록 몇몇 끔찍한 장면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말이죠."[29] 더그나트는 루이스 부뉴엘의 영화들처럼 충격적인 가치가 "천박해 보이는 순간들과 섞이지만, 영화가 끝날 때쯤에는 그들의 기분을 잡기 시작한다"고 비슷한 관찰을 했습니다.[28]
영화학자인 조안 호킨스는 영화의 장르가 어떻게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진화를 설명하며, 영화가 "개척 분야로 이주한 주류 공포 영화로 시작하여 마침내 아방가르드 또는 예술 프로젝트로 회복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30] 호킨스는 브라우닝이 "우리의 존경, 동정, 궁극적으로 우리의 애정을 강요하는, 평범하고, 겉보기에는 정상적이며, 소름끼치는 아름다운, 괴물과 왜곡된" 것임을 보여주며 관객들의 기대를 뒤집는다고 지적합니다.[31] 스미스는 "프리크스를 공포 장르에 포함시키는 것은 모든 공포 영화가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해 괴물 같은 몸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판독에 대한 우리의 재검토를 강요한다"고 썼습니다.[32] 영화 이론가 유진 브링케마(Eugenie Brinkema)는 프릭스가 "클레오가 죽고 헤라클레스가 죽었기 때문이 아니라 번개와 어두운 그림자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니, 프릭스는 공포 영화입니다. 왜냐하면 시선 자체가 끔찍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시선을 위치시키는 것은 공포 속의 작품이기 때문입니다."[33]
생산.
발전
MGM(Metro-Goldwyn-Mayer)은 1920년대 중반 토드 브라우닝의 요청으로 토드 로빈스의 단편 소설 "Spurs"의 판권을 구입했습니다.[34] 해리 얼스는 브라우닝 감독의 "불굴의 3인방"(1925)에 출연했고, 궁극적으로 프릭스의 한스 역으로 출연하게 된 난쟁이로, 원래 브라우닝 감독에게 "스퍼"의 영화 버전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35] 스튜디오는 Dracula(1931)와 함께한 Universal Pictures에서의 그의 과거 성공과 Lon Chaney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감독하기 위해 Browning을 고용하기로 동의했습니다.[36]
1931년 6월, MGM의 감독관 어빙 탈버그는 브라우닝에게 존 배리모어와 함께 아르센 루팡을 감독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브라우닝은 1927년에 시작한 프로젝트인 프릭스의 개발을 선호하며 거절했습니다. 브라우닝은 영화 제작자가 되기 전에 순회 카니발과 함께 일했습니다.[37] 시나리오 작가 윌리스 골드벡과 엘리엇 클로슨은 브라우닝의 요청으로 이 프로젝트에 할당되었습니다.[38] 레온 고든, 에드거 앨런 울프, 알 보아스버그, 그리고 신용이 없는 찰스 맥아더 또한 대본에 기여할 것입니다.[38] 대본은 5개월에 걸쳐 제작되었습니다.[38] 난쟁이와 보통 크기의 여성 사이의 결혼과 그들의 결혼 잔치 외에 원래의 이야기는 거의 남아 있지 않았고, 그 장소는 원래 프랑스로 옮겨졌습니다.[38] 탈버그와 해리 랩프는 모두 이 영화에서 인정받지 못한 공동 제작자로 활동했습니다.[39]
캐스팅

빅토르 맥라글렌은 헤라클레스 역으로 고려되었고, 마이르나 로이는 처음에 클레오파트라 역으로, 장 할로우는 금성 역으로 출연할 예정이었습니다.[34] 궁극적으로, 탈버그는 사진에 어떤 주요 스타도 캐스팅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40] 대신, 러시아 여배우 올가 바클라노바가 로스엔젤레스에서 제작한 무대 연출 작품 '침묵의 증인'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클레오파트라 역에 캐스팅되었습니다.[34]
해리 얼스는 클레오파트라가 그의 영지를 위해 살인을 시도하는 카니발 부대 공연자 한스 역에 캐스팅되었습니다.[34] 얼스의 실제 여동생 데이지는 그의 왜소한 사랑 관심사 프리다를 연기했습니다.[34]
"괴물"로 등장하는 조연들 중, 캐스팅 에이전트 벤 피아자는 한 달 넘게 동부 해안을 경멸했고, 사진과 스크린 테스트를 위한 광고를 냈고, 브라우닝을 위한 카니발과 사이드쇼를 섭외했습니다. 그 중에는 "코끼리 피부", "개다리를 가진 소년", "거인", "거인"을 가진 소녀가 있었습니다. "피그미 떼"와 전설적인 난쟁이 공연자 "메가마이트"는 무대에[7][41] 오르지 못했습니다. 피터 로빈슨, 올가 로데릭,[42] 프랜시스 오코너와 마사 모리스,[43] 그리고 쌍둥이 데이지와 바이올렛 힐튼이 출연했습니다.[34] 영화에 등장하는 소두증 캐릭터 중에는 집과 핍(엘비라와 제니 리 스노우)과 드레스를 입은 사이먼 메츠라는 이름의 남성 슐리츠가 있었습니다.[44]
또한 그녀의 좌-우로 나뉜 성별을 가진 남녀 성간 [45]조세핀 조셉, 몬트리올에서 공연을 하는 동안 그 역할을 위해 영입된 다리가 없는 남자 조니 에크,[46] 완전히 다리가 없는 랜디안 왕자 ("인간 몸통"으로도 알려져 있고 "라디온"으로 잘못 알려진),[47] 황새 여인 엘리자베스 그린, 그리고 새 소녀 구구구, 비르초-세켈 증후군이나 새머리 왜소증이 있었고 테이블 위에서 춤을 추는 장면으로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34]
촬영
프릭스는 1931년 11월 24일간의 촬영 일정으로 [c]주요 사진 촬영을 시작했습니다.[34] 제작 초기에 이 영화는 약 20만 9천 달러의 예산을 가지고 있었지만,[34] 최종적으로 30만 달러 이상으로 확장될 것입니다.[a] 이 영화는 캘리포니아 컬버시티에 있는 MGM 스튜디오 로트에서 촬영되었습니다.[48] 바클라노바는 촬영장에서 자신의 공동 주연 배우들을 처음 만났을 때를 회상했습니다.
토드 브라우닝, 난 그를 사랑했습니다. 그는 "당신과 함께 사진을 찍고 싶어요, 올가 바클라노바... 이제 여러분이 누구와 함께 경기를 할 것인지 보여드리겠습니다. 하지만 기절하지 마세요." "왜 기절해야 하나요?"라고 묻습니다. 그래서 그는 저를 데리고 그곳의 모든 괴짜들을 보여줍니다. 먼저 그 미장센을 만나는데 우리는 독일어를 하고 그는 독일에서 왔기 때문에 그는 저를 존경합니다. 그리고 오랑우탄 같은 소녀를 보여주고, 머리는 있지만 다리는 없고, 아무것도 없고, 머리만 있고, 몸은 달걀만 있는 남자를 보여줍니다. 그리고는 발 없이 태어났기 때문에 손으로 걷는 소년을 보여줍니다. 조금씩 보여주시는데 저는 못 봤어요. 저는 그들을 보고 울고 싶었습니다. 그들은 얼굴이 너무 좋은데 너무 끔찍해요. 이제 사진을 시작한 후에, 저는 그것들을 모두 너무 좋아합니다.[49]
촬영 중에 이 영화는 이미 혐오스러운 반응을 이끌어내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MGM은 영화의 출연진과 제작진을 "사람들이 토하지 않고 매점에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내식당으로 분리했습니다.[50] 1931년 12월 16일에 촬영이 완료되었고, 브라우닝은 12월 23일에 재촬영을 시작했습니다.[49]
풀어주다
검열
1932년 1월, MGM은 이 영화의 테스트 상영회를 열었고, 이는 재앙임이 증명되었습니다. 예술감독 메릴 파이는 "예고편을 반쯤 지나자 많은 사람들이 일어나서 뛰쳐나왔다"고 회상했습니다. 그들은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뛰쳐나갔습니다."[51] 보도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은 병이 들거나 실신했습니다. 상영회에 참석한 한 여성은 이 영화가 그녀를 유산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하며 MGM을 고소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50] 극도로 불리한 반응 때문에 스튜디오는 원래 90분 상영 시간에서 1시간 남짓으로 사진을 줄였습니다.[51] 서커스 연예인들이 클레오파트라가 번개가 치는 나무 아래 누워있을 때 그녀를 공격하는 시퀀스의 대부분은 제거되었고, 헤라클레스가 거세되어 카스트라토로 만들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시퀀스, 다수의 코미디 시퀀스, 그리고 대부분의 영화의 원작 에필로그, 여기에는 헤라클레스가 클레오파트라와 함께 가성으로 노래하는 것(그의 거세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49][52][53] 이러한 절제된 시퀀스는 손실된 것으로 간주됩니다.[52] 이 컷들 이후 러닝 타임을 준비하기 위해 카니발 바커가 등장하는 새로운 프롤로그와 난쟁이 연인들의 화해를 특징으로 하는 대체 에필로그가 추가되었습니다.[54]
지금은 64분밖에 되지 않는 이 잘린 버전은 1932년 2월 12일 로스앤젤레스 폭스 크리테리언에서 초연되었습니다.[1][55] 그 후 1932년 7월 8일 뉴욕에서 개장했습니다.[56] 지역적으로, 이 영화는 극장 개봉과 동시에 논란을 불러 일으켰고, 애틀랜타에서 상영된 영화에서 제외되었습니다.[57] 영국에서는 이 영화가 영국 검열관들에 의해 금지되었고,[57][58] 1963년 8월에 X 등급으로 통과되기 전까지 30년 이상 그 상태를 유지했습니다.[56]
박스오피스

프릭스는 총 16만 4천 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59]흥행 폭탄이었습니다.[3][4] 미국에서는 289,000달러, 국제적으로는 52,000달러의 수입을 올렸습니다.[3] 비록 재정적인 성공은 아니었지만, 이 영화는 로스앤젤레스나 시카고와 같은 대도시보다 신시내티, 보스턴, 세인트 폴과 같은 작은 도시에서 더 많은 수입을 올렸습니다.[50]
임계응답
동시대의
샴쌍둥이는 어때요? 사랑할 권리가 없나요? 핀헤드, 반은 남자, 반은 여자, 난쟁이들! 그들은 평범한 인간과 같은 열정, 기쁨, 슬픔, 웃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주제는 만질 수 없는 건가요?
–1932 press release from MGM responding to accusations that the film exploited its subjects[60]
광범위한 컷오프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여전히 영화 팬들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고, 개봉 초기에 대중 사이에서 극심한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었습니다.[61] 비평가들의 반응도 엇갈렸습니다.[62][63] MGM은 "비정상적인 사람들은?"과 같은 태그라인과 함께 영화를 주제에 대해 동정적인 것으로 홍보함으로써 착취에 대한 비판을 해결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들에게도 목숨이 있습니다!"[60] 개봉 당시 수많은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브라우닝의 경력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으로 여겼습니다.[64] 프릭스는 국내 계약을 완료하기 전에 개봉에서 철수한 유일한 MGM 영화가 되었고,[65] 1932년 여름 뉴욕 계약이 끝난 후 배급에서 철수했습니다.[60] 영화가 받은 반발에 환멸을 느낀 MGM 스튜디오 대표 Louis B. 메이어는 25년 동안 5만 달러에 판 판권을 드웨인 에스퍼에게 팔았습니다.[66]
다수의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매우 비판적일 뿐만 아니라 분노와 반감을 표현했습니다.[67] 해리슨의 보고서는 "이 오락을 고려하는 사람은 누구나 어떤 병원의 병리 병동에 있어야 한다"고 썼습니다.[68] 캔자스시티 스타에서 존 C. 모핏은 "이 사진에는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것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한 정신이 필요했고 그것을 보기 위해서는 강한 위가 필요했습니다."[69] 할리우드 리포터는 이 영화를 "관객들의 감정, 감각, 뇌, 위에 대한 터무니없는 맹공격"이라고 불렀습니다.[68] 버라이어티는 또한 이 영화가 "풍부하게 제작되었고, 훌륭히 감독되었으며, 비용을 아끼지 않았다"고 쓴 불리한 리뷰를 발표했지만, 메트로의 책임자들은 다른 종류의 제안을 하더라도 이야기가 여전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는 너무 환상적인 로맨스를 위해 쉽게 흥미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흥미를 갖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리뷰는 계속해서 이 이야기는 "정상적인 남자나 여자가 야망이 있는 미드필더에게 공감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릴이 없고 동시에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경우에만 이야기가 매력적이 될 것입니다."[70]
상당히 많은 리뷰들이 호의적이지 않았지만, 이 영화는 몇몇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뉴욕 타임즈는 그것을 "쉽게 잊혀지지 않는 사진" 뿐만 아니라 "때로는 훌륭하고, 엄밀한 의미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끔찍하다고 불렀습니다.[71] 뉴욕 헤럴드 트리뷴(New York Herald Tribune )은 이 작품이 "분명히 건강에 좋지 않고 일반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작품"이지만 "이상한 방식으로 이 그림은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때때로 감동적"이라고 썼습니다.[69] 칼럼니스트 루엘라 파슨스(Louella Parsons)는 이 영화에 대한 열정적인 보고서를 작성하며 "순수한 선정성 때문에 프릭스는 지금까지 제작된 모든 사진에서 1위를 차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프릭스에는 이전에 알려진 적이 없는 괴물과 같은 괴물들이 있습니다. 정상이라면 직접 가서 그들을 보시오, 그렇지 못하다면 스스로 판단하시오."[72]
뉴요커의 존 모셔(John Mosher)는 "교실에 혼자 서 있고, 아마도 그것을 보는 사람들에 의해 급하게 잊혀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호의적인 리뷰를 썼습니다. 그는 "완벽하게 그럴듯한 이야기"가 공포의 효과에 대한 열쇠라고 생각하며, "우리에 대한 격렬한 증오로 연합한, 그들 자신의 삶과 공허함과 열정을 가진 이 이상한 존재들을 상상하는 것은 소름 끼치는 생각입니다"라고 썼습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를 다루면서, 모셔는 "만약 그 가난한 것들 자체가 매디슨 스퀘어 가든의 지하에 전시될 수 있다면, 그들의 사진들이 리알토에 전시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들은 앞으로 존경에 가까운 새로운 두려움으로 육체적으로 간주될 수도 있습니다."[73]
회고

20세기 중후반, 프릭스는 유럽에서 컬트 추종자를 형성한 후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 시작했고 비평가들과 관객들로부터 다시 찬사를 받았습니다.[75][76][77] 해외에서 이 영화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미국 관객들 사이에서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고, 1964년 존 토마스(John Thomas)의 영화 계간지(Film Quarterly)에서 회고적인 리뷰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는 이 영화를 "작은 걸작"으로 여겼습니다.[78]
평론가 킴 뉴먼은 이 영화가 20세기 중후반 관객들 사이에서 따뜻한 반응을 얻은 것은 "괴짜"라는 용어가 비난을 받기 보다는 축하해야 할 것으로 더 긍정적인 의미를 띠었기 때문이라고 제안합니다. 뉴먼은 또한 이 영화가 "카니 캐스트에 대한 명백한 애정을 보여준다"고 덧붙였습니다.[77]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마크 샬론 스미스는 1995년 회고록에서 "괴물들은 난폭한 놀이기구이지만, 일부 사람들이 말하는 괴물 여행은 아닙니다. 그것은 끔찍하고 불안하지만, 브라우닝은 영화의 그늘진 가운데에 있는 기형적인 인물들을 악마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화하기로 선택했습니다."[5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여전히 21세기의 적나라한 공포 이미지로 유명하며, 조 모겐스턴은 2009년에 "지금까지 영화에 의뢰된 가장 무서운 장면들 중 일부"를 자랑한다고 썼습니다."[74]BBC의 제이미[74] 러셀도 2002년에 "왜 이 영화에 대한 반응이 그렇게 강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그것은 70년 전과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불안한 비정상적이고 기괴하며 기괴한 것에 대한 목록이다."[79]라고 말했습니다.
영화 평론가 마크 커모드(Mark Kermode)는 2015년 리뷰에서 "오늘날 브라우닝의 동정심은 분명합니다; 만약 여기에 '이상한'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은 그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재다능한 연기자들이 아닙니다"[80]라고 언급하며 영화에 상을 주었습니다. 영화 이론가이자 비평가인 앤드류 새리스는 프릭스를 "지금까지 만들어진 영화들 중 가장 동정적인 영화들 중 하나"라고 선언하며 이러한 감정을 반영했습니다.[9] Slant Magazine의 Ed Gonzalez는 2003년 회고록에서 이 영화의 도덕적 중요성은 더 충격적인 요소에 대한 비판적인 관심에 의해 종종 가려졌다고 썼습니다. 이것은 "영화의 맹렬한 인간성과 브라우닝이 우리가 아름다움과 비정상을 정의하는 방식에 도전하는 대담한 미학적, 철학적 길이를 심각하게 과소평가한다"[81]고 언급했습니다.
2021년[update] 기준, Freaks는 인터넷 리뷰 집계업체 Rotten Tomatoes에서 53개 리뷰를 기준으로 94%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평균 8.48/10의 평점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합의문에는 "시간은 이 공포의 전설에게 친절했습니다. 괴짜들은 현대의 시청자들이 놓친 방식으로 시청자들을 겁주고, 충격을 주고, 심지어 감동을 주기도 합니다."[82]
홈 미디어
1986년 MGM/UA Home Video에 의해 베타, VHS, LaserDisc로 처음 발행되었으며,[83] 1990년 MGM/UA Home Video에 의해 VHS로 재발매되었습니다.[84] 그 후 MGM/UA는 1993년에 LaserDisc를 리마스터링했습니다.
2004년, 워너는 처음으로 DVD로 이 영화를 발행했습니다.[84] 이 영화에는 1947년에 재발매된 배급사 드웨인 에스퍼가 추가한 "특별한 메시지" 프롤로그, 브라우닝 역사가 데이비드 J. 스칼의 오디오 해설, 프릭스: 사이드쇼 시네마, 영화의 다양한 대체 엔딩에 대한 짧은 다큐멘터리. 이 디스크는 2016년에 절판되었습니다.
필름 어라운드 더 월드(FAT-W)는 2016년에 프릭스를 DVD로 출시했고, 프롤릭 픽처스는 2018년 브라우닝의 1931년 영화 드라큘라와 함께 2편 DVD로 프릭스를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 디스크들 중 어느 것도 두 영화의 승인된 개봉작이 아니었습니다.
2023년 더 크리테리언 컬렉션은 프릭스, 더 언노운, 더 미스틱의 새로운 2K 복원물을 포함한 토드 브라우닝의 사이드쇼 쇼 쇼커스의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2023년 10월 17일 블루레이와 DVD로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85] 데이비드 J. 스칼(David J. Skal)은 이번 프릭스의 개봉을 위해 새로운 해설을 녹음했습니다.[86]
레거시
프릭스는 현재 브라우닝 감독의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지고 있습니다.[87][88] 비평가들 사이에서 이 영화에 대한 존경의 증가는 196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때 이 영화는 특히 유럽 관객들 사이에서 반문화적인 컬트 영화로 재발견되었습니다.[75][76] 1962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그 직후 영국에서 처음으로 상영되었고, 1932년부터 영국에서 상영이 금지되었습니다.[75]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이 영화는 미국에서 자정 영화 상영에서 정기적으로 상영되었습니다.[75] 호킨스에 따르면 브라우닝이 "프랑스 지식인들 사이에서 특정한 포에스크 위상"을 달성했기 때문에 이 시기에 프랑스에서도 비판적인 재평가를 받았습니다.[75][89] 1999년 비평가 데릭 말콤은 이 영화가 "바로크 영화의 걸작 중 하나"이며, "신체적인 완벽함에 대한 숭배에 대한 해로운 해독제이자 그 출연진을 구성한 소위 괴짜들의 공동체에 대한 특별한 헌사"라고 언급했습니다.[90]
1994년, 프릭스는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한" 영화들을 보존하는 미국 국립 영화 등록소에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91][92] 영화학자 제니퍼 피터슨은 프릭스를 가장 중요한 미국 영화 50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93] 영국 영화 연구소의 마틴 콘테리오(Martyn Conterio)는 브라우닝의 경력에 대한 2018년 회고에서 이 영화를 "브라우닝의 작품, 특히 인간의 비정상과 심각한 장애에 대한 감독의 감정적으로 복잡한 관심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가장 잘 접근했다"고 평가합니다." 그리고 "할리우드의 표준화된 이미지인 아름다움과 화려함에 대한 공격을 반복하는 선구적이고 경계를 추구하는" 브라우닝의 영화 중 하나로 간주합니다.[94] 그것은 또한 영화 참고서 1001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 책은 "단순한 줄거리 요약은 이 무섭고 심오한 영화에 정의를 줄 수 없으며, 이것은 진실로 믿어져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드라큘라의 원작(1931)을 포함한 감독의 경력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영화로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세계 영화의 최고의 기이한 점(freak?)입니다."[95]
영화의 여러 시퀀스는 지속적인 문화적 영향, 특히 Bravo TV의 가장 무서운 영화 순간 100개 중 15위에 오른 괴짜들의 기후적 복수 시퀀스로 주목을 받았습니다.[96] A.V.의 마이크 당젤로와 함께 괴짜들이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인다,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인다, 우리는 그녀를 받아들인다, 우리 중 한 명"을 외치는 연회 순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클럽은 "영화의 가장 위대한 문화적 유산"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우리들 중 하나, 우리들 중 하나"는 대중에 의해 순응하도록 강요받는 한 개인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확실하게 시작됩니다.--심슨 가족과 사우스 파크에서 모두 오마주를 본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아마 수십 명의 다른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97]
Freaks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비공식적인 리메이크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She Freak(1967)와 Freakshow([87][98]2007). 그것은 또한 프리크 쇼(2014-2015)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시리즈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American Horror Story)의 네 번째 시즌의 주요한 영감으로 작용했습니다.[99] 프릭스는 1992년 판타지아틱스에서 출판한 만화책 시리즈로 각색되었고, 짐 우드링이 집필하고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즈가 삽화를 맡았습니다.[100]
대중문화에서는
브라우닝과 이 영화는 1974년 데이비드 보위의 노래 "다이아몬드 도그"에서 언급되었습니다.[101]
펑크 록 밴드 라모네스의 노래 "Pinhead" (1977)는 프릭스에서 영감을 받아 공연이 취소된 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공연했습니다. 조이 라몬의 형 미키 리(Mickey Leigh)는 "가바 가바, 우리는 당신을 받아들인다, 우리는 당신을 받아들인다"는 대사가 "중간신랑이 연회 테이블에서 춤을 추고 신부에게 '구블 도깨비, 우리는 당신을 받아들인다, 우리는 당신을 받아들인다'를 노래하는 장면에서 특별히 따온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노래는 관객 참여곡으로, 라이브 공연 중에 Leigh는 "Gabba Gabba, Hey"라는 문구가 적힌 큰 팻말을 들고 무대에 뛰쳐나와 조이에게 전달하곤 했습니다. 조이는 이를 들고 관중들의 참여를 촉구했습니다. 이 곡은 그들의 앨범 Leave Home에 수록되었습니다.[102]
Wolf of Wall Street(월가의 늑대)에서 조던 벨포트([103]Jordan Belfort)와 동료들은 작은 사람들을 목표물에 던지는 것과 관련된 다트 토너먼트 계획을 세우며 '구블 도깨비, 우리는 당신을 받아들입니다'를 외칩니다.
이 영화는 소프라노스의 세 번째 시즌 에피소드인 "유니버시티"에서 케이틀린이라는 등장인물이 영화 속 등장인물들에 대한 그녀의 급우들의 냉담한 반응에 혐오감을 표현하면서 언급되었습니다.[104]
참고 항목
해설주
- ^ a b Freaks의 예산과 관련된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학자 그레고리 윌리엄 망크(Gregory William Mank)에 따르면 최종 예산은 $310,607.37이었습니다.[3] 그런데 루이 B. 메이어 전기 작가 스콧 에어는 이 영화를 위해 31만 6천 달러의 예산을 들였습니다.[4] 1947년 10월 버라이어티사의 보고서에는 35만 달러를 청구하는 더 높은 예산이 기재되어 있습니다.[5]
- ^ 대체 철자 Schlitze
- ^ 영화 역사가 그레고리 윌리엄 맨크는 1931년 11월 9일에 제작을 시작했지만,[34] 프리코드 할리우드의 토마스 도허티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 부도덕, 아메리칸 시네마의 반란 1930-1934 (1999)은 주요 사진 촬영이 유인원 타잔과 같은 날인 11월 2일에 시작되었다고 썼습니다.[48]
인용
- ^ a b "Circus Freaks Invade Field of Film Work". Los Angeles Times. Los Angeles, California. February 7, 1932. p. 49 – via Newspapers.com.
- ^ "FREAKS (12)".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August 13, 2001. Retrieved July 19, 2013.
- ^ a b c d Mank 2005, p. 127.
- ^ a b Eyman 2005, 페이지 152.
- ^ "Metro's 'Freaks' Going Out As Exploitation Special In First Outside Sale". Variety. October 1947. p. 5 – via Internet Archive.
- ^ a b Elias Savada (2004). "The Making of "Freaks":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creation of Tod Browning's classic fil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1, 2022. Retrieved July 10, 2023.
- ^ a b c d e f "11 Astonishing Facts About Tod Browning's Freaks". July 6, 2018.
- ^ "Obituaries: Tiny Doll". The Telegraph. September 15,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4, 2016.
- ^ a b 스칼 1995, 224쪽
- ^ "25 Films Added to National Registry". The New York Times. November 15, 1994. ISSN 0362-4331. Retrieved October 2, 2020.
- ^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October 2, 2020.
- ^ 피터슨 2014, 239쪽.
- ^ 매튜스 2009, 58쪽.
- ^ Peterson 2009, 37쪽.
- ^ Nicholas 2018, p. 204.
- ^ Hoberman & Rosenbaum 1991, 306쪽.
- ^ Stanley, John (2000). Creature Features: The Science Fiction, Fantasy And Horror Movie Guide. New York City: Berkley Books. ISBN 9780425175170.
- ^ a b Towlson 2014, 22-25쪽.
- ^ Smith 2012, 페이지 88–92.
- ^ a b Towlson 2014, 25페이지
- ^ Towlson 2014, 25-26쪽.
- ^ Hartzman 2006, 169쪽
- ^ Towlson 2014, 29페이지
- ^ Smith 2012, 89쪽
- ^ 스미스 2012, 89-90쪽.
- ^ Norden & Cahill 2000, 163-165쪽.
- ^ 노든 & 케이힐 2000, 페이지 164.
- ^ a b 호킨스 2000, 150쪽.
- ^ 토마스 1964, 59쪽.
- ^ 호킨스 2000, 167쪽
- ^ 호킨스 1996, 267쪽.
- ^ Smith 2012, 페이지 117.
- ^ 브링케마 2008, 166쪽.
- ^ a b c d e f g h i j Mank 2005, p. 124.
- ^ Hartzman 2006, 139쪽.
- ^ Mank 2005, 123쪽
- ^ Smith 2012, p. 86.
- ^ a b c d 젠슨 2012, 페이지 201.
- ^ Peterson 2009, 36쪽.
- ^ Mank 2005, pp. 123–125.
- ^ "Freaks".
- ^ ""Freaks" Now At Liberty Is Most Unusual Motion Picture Ever Produced For Screen". The Sedalia Democrat. Sedalia, Missouri. February 21, 1932. p. 12 – via Newspapers.com.
- ^ 매튜스 2009, 54쪽.
- ^ Nicholas 2018, p. 236.
- ^ Bombaci 2006, 101쪽.
- ^ Nicholas 2018, 페이지 136.
- ^ Mank 2005, 페이지 118
- ^ a b 도허티 1999, 11페이지
- ^ a b c Mank 2005, 125쪽
- ^ a b c 스미스 2012, 페이지 93.
- ^ a b 매튜스 2009, 53쪽.
- ^ a b Faraci, Devn (October 3, 2014). "The Unseen Freaks". Birth.Movies.Death. Alamo Drafthouse Cine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7, 2015.
- ^ 매튜스 2009, 53-55쪽.
- ^ Smith 2012, p. 267.
- ^ "Odd Story Booked at Criterion". Los Angeles Times. Los Angeles, California. February 5, 1932. p. 6 – via Newspapers.com.
- ^ a b "Freaks". AFI Catalog of Feature Films. Los Angeles, California: American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9, 2019.
- ^ a b Smith 2012, 페이지 94.
- ^ a b Smith, Mark Chalon (October 30, 1995). "Grotesquerie Is Merely a Sideshow in 'Freaks'". Los Angeles Times. Los Angeles, Califor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5, 2017.
- ^ 매튜스 2009, 59쪽.
- ^ a b c 매튜스 2009, 페이지 57.
- ^ Smith 2012, 페이지 94–96.
- ^ 호킨스 2000, 페이지 141–142.
- ^ 호킨스 1996, 265쪽.
- ^ 스미스 2012, 94-95쪽.
- ^ Vieira 2003, 페이지 49.
- ^ 매튜스 2009, 57-58쪽.
- ^ 매튜스 2009, 56-58쪽.
- ^ a b Smith 2012, p. 209.
- ^ a b Miller, Frank (ed.). "The Critic's Corner – Freaks". Turner Classic Mov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30, 2015.
- ^ Variety Staff (July 12, 1932). "Film Reviews: Freaks". Variety: 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6, 2016.
- ^ "Freaks". The New York Times. July 9, 193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7, 2014. Retrieved June 21, 2015.
- ^ 매튜스 2009, 56쪽.
- ^ Mosher, John C. (July 16, 1932). "The Current Cinema". The New Yorker. New York: F-R Publishing Corporation. pp. 45–46.
- ^ a b Morgenstern, Joe (October 30, 2009). "'This Is It': One Last Thriller". The Wall Street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20.
- ^ a b c d e Smith 2012, 페이지 113.
- ^ a b 호킨스 2000, 164쪽.
- ^ a b Newman, Kim (January 1, 2000). "Freaks Review". Emp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 2017.
- ^ 토마스 1964, 59-61쪽.
- ^ "Films – review – Freaks". BBC. September 20,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20.
- ^ Kermode, Mark (June 14, 2015). "Freaks review – 'remarkable beauty' in once-banned movie".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6, 2019.
- ^ Gonzalez, Ed (October 29, 2003). "Review: Tod Browning's Freaks". Slan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0, 2019.
- ^ "Freaks (1932)". Rotten Tomatoes. Retrieved July 13, 2019.
- ^ "LaserDisc Database: Freaks". LaserDisc Database.
- ^ a b Gonzalez, Ed (August 2, 2004). "DVD Review: Freaks". Slan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19.
- ^ T, Amber (July 17, 2023). "Here's All The Horror Headed To The Criterion Collection This October". Fangoria. Retrieved July 18, 2023.
- ^ https://www.criterion.com/boxsets/6911-freaks-the-unknown-the-mystic-tod-brownings-sideshow-shockers
- ^ a b "Freaks (1932)". Filmsite.org. AMC Netwo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20.
- ^ Clarke, Donald. "Freaks: Tod Browning's greatest film still has the power to shock". The Irish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20.
- ^ 호킨스 2000, 148쪽.
- ^ Malcolm, Derek (April 15, 1999). "Tod Browning: Freak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5, 2020.
- ^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January 15, 2017.
- ^ "Mission – National Film Preservation Board".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January 15, 2017.
- ^ Peterson 2009, 36-37쪽.
- ^ Conterio, Martyn (July 12, 2018). "Where to begin with Tod Browning".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0, 2020.
- ^ Scheider 2013, 페이지 99.
- ^ Dirks, Tim. "Greatest Scariest Movie Moments and Scenes: F". Filmsite.org. AMC Netwo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13.
- ^ D'Angelo, Mike (March 29, 2010). "Freaks". The A.V. Cl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3, 2019.
- ^ 2015년 센 2015, 페이지 138.
- ^ Stack, Tim (September 15, 2014). "Ryan Murphy on 'Freak Show': 'This season, once you die, you're dead'". Entertainment Week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2, 2020.
- ^ "Freaks (1992)". The Comic Book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2, 2013.
- ^ Chapman, Ian (September 2015). Experiencing David Bowie: A Listener's Companion. ISBN 9781442237520.
- ^ Leigh, Mickey; McNeil, Legs (2009). I Slept With Joey Ramone: A Punk Rock Family Memoir. New York City: Touchstone Books. ISBN 978-1439159750.
- ^ Wolf of Wall Street - Freaks , "One of us" Scenes compared. Retrieved December 31, 2023.
- ^ Seitz, Matt Zoller; Sepinwall, Alan (2019). The Sopranos Sessions: A Conversation with David Chase. Abrams. ISBN 9781683355267. Retrieved May 13, 2022.
일반출처
- Bombaci, Nancy (2006). Freaks in Late Modernist American Culture: Nathanael West, Djuna Barnes, Tod Browning, and Carson McCullers. New York: Peter Lang. ISBN 978-0-820-47832-6.
- Brinkema, Eugenie (2008). "Browning. Freak. Woman. Stain.". In Herzogenrath, Bernd (ed.). The Cinema of Tod Browning: Essays of the Macabre and Grotesque.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pp. 158–173. ISBN 978-0-786-43447-3.
- Doherty, Thomas (1999). Pre-Code Hollywood: Sex, Immorality, and Insurrection in American Cinema, 1930–1934.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50012-8.
- Eyman, Scott (2005). Lion of Hollywood: The Life and Legend of Louis B. Mayer. New York: Simon and Schuster. ISBN 978-0-743-20481-1.
- Hartzman, Marc (2006). American Sideshow: An Encyclopedia of History's Most Wondrous and Curiously Strange Performers. New York: Penguin. ISBN 978-1-585-42530-3.
- Hawkins, Joan (1996). "'One of Us': Tod Browning's Freaks". In Thomson, Rosemarie Garland (ed.). Freakery: Cultural Spectacles of the Extraordinary Body.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pp. 265–276. ISBN 978-0-814-78222-4.
- Hawkins, Joan (2000). Cutting Edge: Art-Horror and the Horrific Avant-Garde. Minneapolis,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ISBN 978-1-452-90430-6.
- Hoberman, J.; Rosenbaum, Jonathan (1991). Midnight Movies. New York: Da Capo Press. ISBN 978-0-306-80433-5.
- Jensen, Dean (2012). The Lives and Loves of Daisy and Violet Hilton: A True Story of Conjoined Twins. Berkeley, California: Ten Speed Press. ISBN 978-0-307-81477-7.
- Mank, Gregory William (2005). Women in Horror Films, 1940s.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ISBN 978-0-7864-2335-4.
- Matthews, Melvin E Jr. (2009). Fear Itself: Horror on Screen and in Reality During the Depression and World War II.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ISBN 978-0-786-44313-0.
- Nicholas, Jane (2018). Canadian Carnival Freaks and the Extraordinary Body, 1900-1970s. Toronto, Ontari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SBN 978-1-487-52208-7.
- Norden, Martin F.; Cahill, Madeleine (2000). "Violence, Women and Disability in Tod Browning's Freaks and The Devil Doll". In Silver, Alain; Ursini, James (eds.). The Horror Film Reader. New York: Limelight Editions. pp. 151–166. ISBN 978-0-879-10297-5.
- Peterson, Jennifer (2009). "Freaks". In White, John; Haenni, Sabine (eds.). Fifty Key American Films. New York: Routledge. pp. 36–41. ISBN 978-1-135-97932-4.
- Peterson, Jennifer (2014). "Freaks (1932)". In Haenni, Sabine; Barrow, Sarah; White, John (eds.).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Films. New York: Routledge. pp. 234–240. ISBN 978-1-317-68261-5.
- Scheider, Steven Jay (2013). 1001 Movies You Must See Before You Die. Hauppauge, New York: B.E.S. Publishing. ISBN 978-0-7641-6613-6.
- Senn, Bryan (2015). A Year of Fear: A Day-by-Day Guide to 366 Horror Films.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ISBN 978-1-476-61090-0.
- Skal, David J. (1995). Dark Carnival: The Secret World of Tod Browning—Hollywood's Master of the Macabre. New York: Anchor Books. ISBN 978-0-385-47406-1.
- Smith, Angela (2012). Hideous Progeny: Disability, Eugenics, and Classic Horror Cinem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52785-9.
- Thomas, John (Spring 1964). "Freaks". Film Quarterly.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3): 59–61. doi:10.2307/1210917. JSTOR 1210917.
- Towlson, Jon (2014). Subversive Horror Cinema: Countercultural Messages of Films from Frankenstein to the Present.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ISBN 978-1-476-61533-2.
- Vieira, Mark A. (2003). Hollywood Horror: From Gothic to Cosmic. New York: Harry N. Abrams. ISBN 0-8109-4535-5.
외부 링크

- 미국영화연구소 카탈로그의 괴짜들
- 영화에 출연하는 괴짜들
- Freaks at IMDb
- 로튼 토마토의 괴짜들
- TCM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이상 징후
- "Beyond 'Freaks': Kukoo the Bird Girl" 2016년 8월 1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패럴림픽 선수이자 서커스 공연자인 Sarah Houbolt와의 인터뷰
- 미국 영화 유산의 다니엘 이건의 괴짜 에세이: 국립 영화 등록소의 랜드마크 영화에 대한 권위 있는 가이드, A&C Black, 2010, ISBN 0826429777, 페이지 190–192